KR20060030536A - 표시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광학 유닛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광학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0536A
KR20060030536A KR1020040079327A KR20040079327A KR20060030536A KR 20060030536 A KR20060030536 A KR 20060030536A KR 1020040079327 A KR1020040079327 A KR 1020040079327A KR 20040079327 A KR20040079327 A KR 20040079327A KR 20060030536 A KR20060030536 A KR 20060030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opening
color filter
pixel thin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영
윤석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9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0536A/ko
Priority to US11/237,036 priority patent/US20060114403A1/en
Priority to TW094133500A priority patent/TW200615631A/zh
Priority to CNA2005101080790A priority patent/CN1779526A/zh
Publication of KR2006003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16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e.g. printing, electro-deposition or photolithograph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표시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광학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표시기판의 화소영역 상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일부가 곡면인 개구가 형성된 제 1 화소 박막 및 개구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부가 개구의 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 2 화소 박막을 포함한다. 표시기판에 형성된 박막, 예를 들면, 컬러필터 등에 이물질이 배치될 경우, 컬러필터의 일부를 레이저빔으로 제거한 후, 제거된 컬러필터에 유동성 컬러필터를 제공하여 컬러필터를 리페어하고, 이때, 제거되는 컬러필터의 개구의 일부가 곡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리페어 되는 컬러필터에 유동성 컬러필터가 채워지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광학 유닛{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AND OPTICAL UNIT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표시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 2 표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Ⅰ1-Ⅰ2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른 제 1 표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 2 기판에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2 기판상에 컬러필터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물질을 컬러필터로부터 제거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컬러필터의 개구에 컬러필터 조성물을 적하 하여 컬러 필터를 리페어 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개구에 액체 상태의 컬러필터 조성물질이 적하 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컬러필터가 덮이도록 제 2 기판에 배치된 공통전극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 형성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 형성 유닛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광학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영상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킨 표시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광학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display device)는 전기적 포맷 형태를 갖는 데이터를 영상으로 변환시킨다. 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는 광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광의 투과율은 액정표시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액정층에 인가된 전기장에 의하여 조절된다.
액정표시장치의 액정층은 마주보는 한 쌍의 기판들의 사이에 개재되고, 어느 하나의 기판에는 전극들, 예를 들면, 화소전극(pixel electrode)들이 형성되고, 나 머지 하나의 기판에는 화소전극과 마주보는 공통전극(common electrode)이 형성된다.
풀 컬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공통전극이 형성된 기판은 컬러필터를 더 포함한다. 컬러필터는 각 화소전극과 마주보도록 기판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컬러필터 등에 이물질이 부착될 경우, 영상의 표시 품질이 크게 감소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된 부분을 리페어 하여 영상의 표시품질을 보다 향상시킨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상기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광학 유닛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표시기판의 화소영역 상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일부가 곡면인 개구가 형성된 제 1 화소 박막 및 개구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부가 개구의 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 2 화소 박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시기판에 형성 된 화소영역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 1 화소 박막을 형성하고, 제 1 화소 박막에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가 곡면인 개구를 형성하고, 개구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 2 화소 박막을 형성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영역 및 화소영역 상에 형성된 화소박막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이 탑재되는 몸체, 화소영역의 상부에서, 적어도 2 개가 교차되어 적어도 일부가 곡면인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형성 유닛 및 개구를 통해 화소박막에 레이저빔을 주사하기 위한 레이저 발생 유닛을 포함하는 광학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 박막, 예를 들면, 컬러필터 박막에 이물질이 배치되는 등의 불량을 리페어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리페어 불량을 크게 감소시켜 영상의 표시품질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표시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제 1 및 제 2 표시기판(110, 120)들 및 제 1 및 제 2 표시기판(110, 120)들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120)을 포함한다. 제 1 표시기판(110) 및 제 2 표시기판(120)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 1 및 제 2 표시기판(110, 120)들은 밀봉부재(14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액정층(120)은 제 1 및 제 2 표시기판(110, 120)들 및 밀봉부재(14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도 2는 도 1의 제 1 표시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표시기판(110)은 제 1 기판(112), 제 1 기판(112)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화소(pixel, P)를 포함한다. 제 1 기판(112)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영역(pixel region; PR)이 형성된다.
표시장치(100)의 해상도가, 예를 들어, 1024 ×768일 경우, 제 1 표시기판(110)에는 1024 ×768 ×3개의 화소영역(PR)이 형성되고, 각 화소영역(PR)에는 화소(P)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각 화소(P)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게이트 신호선(Gate Line; GL), 데이터 신호선(Data Line; DL), 출력선(Drain; D) 및 화소전극(pixel electrode; PE)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제 2 표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Ⅰ1-Ⅰ2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2 표시기판(120)은 제 1 표시기판(110)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 2 표시기판(120)은 제 2 기판(122), 컬러필터(Color Filter; CF),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BM) 및 공통전극(Common Electrode; CE)을 포함한다.
제 2 표시기판(120)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영역이 형성된다. 제 2 표시기판(120)에 형성된 화소영역은 제 1 표시기판(110)에 형성된 화소영역과 동일하다. 표시장치(100)의 해상도가, 예를 들어, 1024 ×768일 경우, 제 2 표시기판(120)에는 1024 ×768 ×3개의 화소영역(PR)이 형성되고, 각 화소영역(PR)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 1 화소박막(first pixel layer)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화소박막은, 예를 들어, 컬러필터(CF)이다. 컬러필터(CF)는, 예를 들어, 백색광으로부터 적색광을 필터링 하는 적색 컬러필터, 백색광으로부터 녹색광을 필터링 하는 녹색 컬러필터 및 백색광으로부터 청색광을 필터링 하는 청색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판(122) 상에 형성된 각 화소영역에 형성된 컬러필터(CF)의 사이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기판(122) 상에는 컬러필터(CF)의 사이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랙 매트릭스(BM)가 배치된다. 블랙 매트릭스(BM)는 컬러필터(CF)의 사이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자 형상을 갖는다.
한편, 제 2 기판(122) 상에 형성된 제 1 화소박막인 컬러필터(CF)는 개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컬러필터(CF)에 형성된 개구(123)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바람직하게 일부가 곡면이다.
바람직하게, 개구(123)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 형상, 예를 들면,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각형 형상을 갖는 개구(123)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1 개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다각형 형상을 갖는 개구(123)의 모서리들은 모두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개구(123)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화소 박막인 컬러필터(CF)에 형성된 개구(123)에는 제 2 화소 박막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 2 화소 박막은 컬러필터이다.
제 2 화소 박막은 개구(123)의 곡면과 대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개구(123)의 곡면과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제 2 화소박막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개구(123)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화소 박막인 컬러필터(CF)에 형성된 개구(123)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원형 형상일 경우, 제 2 화소 박막은 개구(123)와 동일한 평면적 및 동일한 형상을 갖는 원형 형상을 갖는다. 이와 다르게, 제 1 화소 박막인 컬러필터(CF)에 형성된 개구(123)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1 개의 모서리가 곡면인 다각형 형상일 경우, 제 2 화소 박막은 개구(123)와 동일한 평면적 및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 1 화소 박막인 컬러필터(CF)가 적색 컬러필터일 경우, 제 1 화소 박막의 개구(123)의 내부에 배치된 제 2 화소 박막도 적색 컬러필터이다. 또한, 제 1 화소 박막인 컬러필터(CF)가 녹색 컬러필터일 경우, 제 1 화소 박막의 개구(123)의 내부에 배치된 제 2 화소 박막도 녹색 컬러필터이다. 또한, 제 1 화소 박막인 컬러필터(CF)가 청색 컬러필터일 경우, 제 1 화소 박막의 개구(123)의 내부에 배치된 제 2 화소 박막도 청색 컬러필터이다.
제 1 표시기판(110) 및 제 2 표시기판(120)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표시기판(110, 120)들의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표시기판(110, 120)의 사이에 셀 갭이 형성되도록 밀봉부재(140)가 배치된다. 밀봉부재(140), 제 1 표시기판(110) 및 제 2 표시기판(12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는 액정층(130)이 배치된다.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른 제 1 표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1 표시기판(110)을 제조하기 위해서, 먼저, 제 1 기판(112)에는 게이트 라인(GL)이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게이트 라인(GL)은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복수개가 병렬 배치된다. 게이트 라인(GL)들은 표시장치의 해상도가 1024 ×768일 경우, 약 768개로 이루어진다. 참조부호 GE는 각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돌출된 게이트 전극이다.
게이트 라인(GL)들이 형성된 후, 제 1 기판(112)에는 게이트 라인(GL)들이 덮이도록 절연막(Insulation layer; 미도시)이 형성된다.
절연막이 형성된 후, 절연막의 상면에는 채널층(C)이 형성된다. 채널층(C)은 게이트 전극(GE)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채널층(C)은 아몰퍼스 실리콘 패턴(amorphous silicon pattern) 및 아몰퍼스 실리콘 패턴의 상면에 상호 이격 되어 형성된 고농도 이온도핑 아몰퍼스 실리콘 패턴(n+ amorphous silicon pattern)으로 이루어진다.
절연막의 상면에는 데이터 라인(DL)이 형성된다. 데이터 라인(DL)은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데이터 라인(DL)은 제 2 방향으로 복수개가 병렬 배치된다. 데이터 라인(DL)들은 표시장치의 해상도가 1024 ×768일 경우, 약 1024 ×3 개가 절연막의 상면에 배치된다. 참조부호 DE는 각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돌출된 소오스 전극이다.
소오스 전극(DE)은 한 쌍의 고농도 이온도핑 아몰퍼스 실리콘 패턴들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데이터 라인(DL)이 형성되는 도중, 제 1 기판(112)에는 드레인 전극(D)이 함께 형성된다. 드레인 전극(D)은 한 쌍의 고농도 이온도핑 아몰퍼스 실리콘 패턴들 중 소오스 전극(DE)과 연결되지 않은 고농도 이온도핑 아몰퍼스 실리콘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어서,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에 의하여 형성된 영역에는 화소전극(PE)이 형성된다. 화소전극(PE)은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산화 주석 인듐(Indium Tin Oxide), 산화 아연 인듐(Indium Zinc Oxide) 및 아몰퍼스 산화 주석 인듐(amorphous Indium Tin Oxide, a-ITO)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 2 기판에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표시기판(120)상에는 블랙 매트릭스(BM)가 형성된다. 블랙 매트릭스(BM)는 제 2 기판(122) 상에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블랙 매트릭스(BM)는 크롬 또는 산화 크롬 등 불투명한 금속 물질 또는 불투명한 유기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2 기판상에 컬러필터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기판(122)상에는 컬러필터(CF)가 형성된다. 컬러필터(CF)는 백색광으로부터 적색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적색 컬러필터, 백색광으로부터 녹색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녹색 컬러필터 및 백색광으로부터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청색 컬러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 2 기판(122) 상에 형성된 컬러필터(CF)에는 이물질(particle, 126)이 안착될 수 있다. 이물질은 비주얼 검사 장치(visual inspection device) 등에 의하여 발견할 수 있고, 컬러필터에 안착된 이물질은 셀 갭, 컬러필터를 통과하는 광량을 변경시킴으로써 영상의 표시품질을 크게 감소시킨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물질을 컬러필터로부터 제거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컬러필터에 이물질이 안착된 부분은 레이저빔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제거되고, 이로 인해 컬러필터(CF)에는 개구(12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123)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빔은 파장 길이가 약 532㎚인 야그 레이저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파장 길이가 약 532㎚인 야그 레이저빔이 사용되었지만, 이와 다르게, 레이저빔의 파장 길이는 532㎚보다 짧거나 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컬러필터(CF)에 조사된 레이저빔의 형상은 일부가 곡면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컬러필터(CF)에 조사된 레이저빔의 평면 형상은 원형, 일부 모서리가 곡면인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컬러필터의 개구에 컬러필터 조성물을 적하 하여 컬러필터를 리페어 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컬러필터(CF)에 개구(123)가 형성된 상태에서, 개구(123)와 대응하는 곳에는 컬러필터 조성물을 개구(123)로 적하 하기 위한 적하 유닛(129)이 형성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개구에 액체 상태의 컬러필터 조성물질이 적하 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적하 유닛(129)으로부터는 유동성이 풍부한 액체 상태의 컬러필터 조성물이 액적(droplet) 형상으로 개구(123)의 내부로 적하 된다. 이때, 적하 유닛(129)으로부터 개구(123)의 내부로 적하 된 컬러필터 조성물의 부피는 개구(123)의 부피보다 다소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개구(123)의 내부로 적하 된 컬러필터 조성물은 컬러필터(CF)의 표면으로부터 다소 돌출 되고, 컬러필터(CF)의 표면으로부터 다소 돌출된 컬러필터 조성물은 건조 과정에서 컬러필터(CF)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이어서, 제 2 기판(122)의 상면에는 컬러필터(CF)가 덮이도록 공통전극(CE) 이 형성된다. 공통전극(CE)은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산화 주석 인듐, 산화 아연 인듐 및 아몰퍼스 산화 주석 인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컬러필터가 덮이도록 제 2 기판에 배치된 공통전극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표시기판(110) 및 제 2 표시기판(120)이 제조된 후, 제 1 표시기판(110) 및 제 2 표시기판(120)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 1 표시기판(110)의 화소전극(PE) 및 제 2 표시기판(120)의 공통전극(CE)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 1 및 제 2 표시기판(110, 120)들의 사이에는 밀봉부재가 배치된다. 밀봉부재는 예를 들어, 제 2 표시기판(120)에 형성되며, 밀봉부재가 형성된 후, 제 2 표시기판(120)에는 액정이 적하 방식에 의하여 적하 된다. 이어서, 제 2 표시기판(120) 및 제 1 표시기판(110)의 사이에 개재된 밀봉부재는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하여 경화되며, 밀봉부재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표시기판(110, 120)들은 상호 접합되어 표시장치가 제조된다.
광학 유닛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광학 유닛(200)은 몸체(210), 개구 형성 유닛(220) 및 레이저빔 발생장치(230)를 포함한다.
몸체(210)에는 표시기판(130)이 탑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기판(130)에는 바람직하게, 컬러필터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210)의 상부에는 개구 형성 유닛(220)이 배치된다. 개구 형성 유닛(220)은 표시기판(130)에 형성된 컬러필터에 이물질 등이 배치되었을 때, 컬러필터 중 이물질이 형성된 부분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레이저빔이 통과하는 개구를 제공한다.
개구 형성 유닛(220)은 레이저빔에 의한 손상이 작은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개구 형성 유닛(220)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일부가 곡면 형상을 갖거나,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전체가 곡면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 형성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개구 형성 유닛(220)은 L 자 형상을 갖는 적어도 2 개의 제 1 부재(222) 및 제 2 부재(224)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부재(222, 224)들의 절곡된 부분에는 곡면부(222a, 224a)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부재(222, 224)들은 곡면부(222a, 224a)들이 상호 마주보도록 겹쳐지게 배치된다.
제 1 부재(222) 및 제 2 부재(224)에는 제 1 및 제 2 부재(222, 224)들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225)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콘트롤 유닛(222b, 22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 형성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개구 형성 유닛(220)은 L 자 형상을 갖는 4 개의 제 1 부재(226a), 제 2 부재(226b), 제 3 부재(226c) 및 제 4 부재(226d)를 포함한다. 각 제 1 내지 제 4 부재(226a, 226b, 226c, 226d)들의 절곡된 부분에 각각 곡면부(226e, 226f, 226g, 226i)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4 부재(226a, 226b, 226c, 226d)들은 곡면부(226e, 226f, 226g, 226i)들이 상호 마주보도록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한편, 제 1 내지 제 2 부재(226a, 226b, 226c, 226d)들에는 제 1 내지 제 4 부재(226a, 226b, 226c, 226d)의하여 형성된 개구(227a)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콘트롤 유닛(2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 형성 유닛(220)의 상부에 배치된 레이저 빔 발생 장치(230)는 개구 형성 유닛(220)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를 향해 레이저빔을 주사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빔 발생 장치(230)는 바람직하게 야그 레이저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야그 레이저빔의 파장은 약 53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 형성 유닛(220)은 바람직하게 L 자 형상을 갖지만, 이와 다르게,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 형성 유닛(220)은 바람직하게, U 자 형상 또는 C 자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표시기판에 형성된 박막, 예를 들면, 컬러필터 등에 이물질이 배치될 경우, 컬러필터의 일부를 레이저빔으로 제거한 후, 제거된 컬러필터에 유동성 컬러필터를 제공하여 컬러필터를 리페어하고, 이때, 제거되는 컬러필터의 개구의 일부가 곡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리페어 되는 컬러필터에 유동성 컬러필터가 채워지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상기 표시기판의 상기 화소영역 상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일부가 곡면인 개구가 형성된 제 1 화소 박막; 및
    상기 개구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개구의 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 2 화소 박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다수개의 모서리를 갖고, 상기 모서리들 중 적어도 1 개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원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박막은 적색 컬러필터,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 박막은 적색 컬러필터,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 박막을 이루는 물질은 상기 제 1 화소박막을 이루는 물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기판;
    상기 표시기판의 상기 화소영역 상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가 곡면인 제 1 화소 박막; 및
    일부가 상기 제 1 화소 박막의 상기 곡면과 대응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제 2 화소 박막을 포함하는 제 2 화소 박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박막은 원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제 1 화소 박막과 대응하는 원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표시기판에 형성된 화소영역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 1 화소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화소 박막에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가 곡면인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 및
    개구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 2 화소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박막은 적색 컬러필터,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 박막은 상기 제 1 화소 박막을 이루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을 상기 개구에 적하 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레이저빔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은 야그 레이저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의 파장은 5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7.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영역 및 상기 화소영역 상에 형성된 화소박막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이 탑재되는 몸체;
    상기 화소영역의 상부에서, 적어도 2 개가 교차되어 적어도 일부가 곡면인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형성 유닛; 및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화소박막에 레이저빔을 주사하기 위한 레이저 발생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형성 유닛은 L 자 형상을 갖는 적어도 2 개의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들의 절곡된 부분에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들은 상기 곡면부들은 상호 마주보도록 겹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형성 유닛은 L 자 형상을 갖는 4 개의 제 1 부재 내지 제 4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부재들의 절곡된 부분에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부재들은 상기 곡면부들은 상호 마주보도록 겹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은 야그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형성 유닛은 상기 개구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콘트롤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KR1020040079327A 2004-10-06 2004-10-06 표시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광학 유닛 KR20060030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327A KR20060030536A (ko) 2004-10-06 2004-10-06 표시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광학 유닛
US11/237,036 US20060114403A1 (en) 2004-10-06 2005-09-27 Display apparatus having multiple pixel layers
TW094133500A TW200615631A (en) 2004-10-06 2005-09-27 Display apparatus having multiple pixel layers
CNA2005101080790A CN1779526A (zh) 2004-10-06 2005-09-29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以及制造该显示装置的光学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327A KR20060030536A (ko) 2004-10-06 2004-10-06 표시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광학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536A true KR20060030536A (ko) 2006-04-11

Family

ID=3656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327A KR20060030536A (ko) 2004-10-06 2004-10-06 표시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광학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14403A1 (ko)
KR (1) KR20060030536A (ko)
CN (1) CN1779526A (ko)
TW (1) TW2006156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960B1 (ko) * 2006-10-25 2008-04-28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컬러 필터 수정 장치 및 방법
KR100877015B1 (ko) * 2006-07-24 2009-01-07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컬러 필터 기판, 컬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777064B2 (en) 2020-03-09 2023-10-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repairing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2482A1 (ja) * 2007-08-16 2009-02-19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9664507B2 (en) * 2014-09-17 2017-05-30 Canon Kabushiki Kaisha Depth value measurement using illumination by pixels
TWI597549B (zh) * 2016-08-08 2017-09-01 Alignment membrane repair method that saves repair costs
CN107526191A (zh) 2016-11-09 2017-12-29 惠科股份有限公司 液晶面板、液晶显示器和液晶面板的修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4700A (en) * 1929-03-18 1933-08-29 Siemens Ag Diaphragm for apparatus for picture telegraphy
GB2230354B (en) * 1989-03-31 1993-09-15 Asahi Optical Co Ltd Zoom lens assembly
US5126865A (en) * 1990-12-31 1992-06-30 Honeywell In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sub-pixels
US6054235A (en) * 1997-09-08 2000-04-25 Photon Dynamics, Inc. Color filter repair method
US5923913A (en) * 1998-02-04 1999-07-13 Eastman Kodak Company Iris diaphragm
JP4521741B2 (ja) * 1999-06-25 2010-08-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の欠陥修正方法
JP4653867B2 (ja) * 1999-06-30 2011-03-16 エーユー オプトロニ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電子部品の欠陥修復方法
US6812992B2 (en) * 2001-01-26 2004-11-02 Rockwell Collins Photo ablation to resolve “bright on” pixel defects in a normally white LCD
JP4165337B2 (ja) * 2003-08-18 2008-10-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015B1 (ko) * 2006-07-24 2009-01-07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컬러 필터 기판, 컬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24960B1 (ko) * 2006-10-25 2008-04-28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컬러 필터 수정 장치 및 방법
US11777064B2 (en) 2020-03-09 2023-10-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repair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9526A (zh) 2006-05-31
US20060114403A1 (en) 2006-06-01
TW200615631A (en)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982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휘점 리페어 방법
US10705357B2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repairing bright spots
US850293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and repairing methods thereof
KR100877015B1 (ko) 컬러 필터 기판, 컬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60114403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multiple pixel layers
KR10118914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5012246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pparatus using electro-optical modulating material
KR101269394B1 (ko) 표시기판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US9075268B2 (en) LCD device including a repair region with a metal pattern capable of being burnt down
KR20030025871A (ko) 전기 광학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JP4173332B2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画素修復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182570B1 (ko) 쇼트 불량 리페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제조 방법
KR101345836B1 (ko) 액정표시장치,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화소 리페어 방법
KR101566429B1 (ko) 표시판,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기판의 수리 방법
CN1892327A (zh) 液晶显示器件及其制造方法
US8988646B2 (en) Method for adjusting amount of liquid crystal in an LCD device including reducing the thickness of a seal member to form a repair region by laser heating a metal pattern thereunder
US20110025941A1 (en) Active matrix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equipped with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ctive matrix substrate
KR101279238B1 (ko) 액정표시장치 내의 액정량 조절 방법
KR101165971B1 (ko) 액정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682030A (zh) 修补后的阵列基板及修补方法、显示面板
KR102010959B1 (ko) 배향막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 방법
TW201010031A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H06230416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
KR20070055196A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컬러 필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액정 표시 장치
KR20050064407A (ko)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