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443A -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443A
KR20060029443A KR1020040078384A KR20040078384A KR20060029443A KR 20060029443 A KR20060029443 A KR 20060029443A KR 1020040078384 A KR1020040078384 A KR 1020040078384A KR 20040078384 A KR20040078384 A KR 20040078384A KR 20060029443 A KR20060029443 A KR 20060029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roadcast data
storage medium
editing
common multi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0680B1 (ko
Inventor
차희규
조일준
강병길
김정무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주)글로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글로벌테크 filed Critical (주)글로벌테크
Priority to KR1020040078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6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629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buffer having a specific struc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cluster, i.e. a data structure which consists of a fixed number of sectors or ECC blo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3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sector, i.e. the minimal addressable physical data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생 시에 버퍼링을 통해 저장매체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일정 크기로 읽어 들임과 동시에 그 저장소의 위치를 계산하여 기억하고 이용자가 편집 시작점과 편집 종료점을 각각 선택하여 지정하는 시점에 버퍼링 되는 방송 데이터의 저장소 위치를 기억함으로써, 이용자가 설정한 편집구간에 1 대 1로 대응하는 저장매체의 저장소 영역 단위로 편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녹화 시에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여 저장매체의 저장효율을 높이면서, 방송 데이터에 대한 편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퍼링 시 및 편집할 때의 기본 단위를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단위와 저장매체의 저장소 단위의 최소 공배수로 함으로써, 편집구간의 경계부위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단위의 손실이나 중첩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영상의 끊김, 깜박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및 방법 {Apparatus for recording & editing of digital broadcasting data and method of the same}
도 1은 종래예의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다른 종래예의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5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클러스터에 방송 데이터의 패킷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패킷을 버퍼링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에서 패킷에 대해 최소 공배수 단위의 클러스터들을 기본단위로 편집구간을 설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역다중화기/디스크램블러 120, 160: 버퍼메모리
125: 버퍼 크기 조정부 130: 복호화기
140: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150: 리드 카운터
170: 키 입력부 180: 제어부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전송레벨의 방송데이터를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방송통신 기술 역시 놀랍게 발전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은 하나의 전파에 하나의 영상 밖에 실을 수 없고, 음성은 다른 전파로 전송하므로 전파 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어려웠던 것에 반해, 디지털 방송은 하나의 전파에 복수의 영상이나 음성 등을 실을 수 있는 장점 외에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정보를 압축할 수 있어 기존 아날로그 방송의 1채널 주파수 대에 4~8 정도의 채널을 전송할 수 있어 전파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장치 등을 이용해 정보를 제어하기 용이하고 시청자가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등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이에 상기와 같이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됨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TV 수상기 및 셋톱박스에 대한 개발 역시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TV 수상기 및 셋톱박스과 더불어, 최근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디지털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을 녹화/재생/편집하는 디 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Personal Video Recorder; 이하, "PVR"라 함.)가 개발,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PVR"은 디지털 방송의 본격화에 따라 기존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ideo Cassette Recorder; 이하, "VCR"이라 함.)를 급속히 대체해갈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VCR은 단순히 마이컴을 통해 사용자가 녹화하고자 하는 방송을 테이프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므로 녹화된 프로그램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녹화된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탐색해야하며, 녹화 또는 편집 시에는, 다른 VCR 이나 녹화장비와 연결하여야 테이프에 수록된 내용을 녹화/편집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PVR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와 같이 랜덤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저장매체에 디지털 방식으로 녹화하기 때문에, 재생 시 탐색이 신속하고 복사, 편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PVR은 녹화하는 방식에 따라 2가지 형태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 다중화기(demultiplexer)/디스크램블러(descrambler)(10)와 복호화기(decoder)(20)를 거쳐 나온 데이터 즉, 재생레벨의 데이터를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30)를 통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ck drive)(40)에 저장하는 타입이다.
다른 하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 다중화기/디스크램블러(60)만 거쳐 나온 데이터 즉, 전송레벨의 데이터를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버퍼 메모리(70)를 통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90)에 저장하고, 재생 시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 이브(90)에 저장되어 있는 전송레벨의 데이터를 복호화기(80)를 통해 재생레벨의 데이터로 복호화하여 TV 수상기로 출력하는 타입이다.
전자의 장치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0)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이미 재생레벨의 데이터이므로, 각종의 비디오 편집기술이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소정의 기술표준(예컨대, "MPEG" 등)에 따라 압축되어 있는 스트림(Stream) 형태의 방송 데이터를 압축을 풀어 저장하기 때문에, 그 저장 데이터의 양이 막대하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후자의 장치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는, 압축이 풀리지 않은 데이터를 단순 저장한 것이므로, 전자의 장치에 비해 저장 데이터의 양이 현저히 감소하므로 동일한 방송데이터에 대해서 보다 적은 저장 공간을 차지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편집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도 2의 장치의 경우, 재생 시에 이용자가 보는 재생화면은 복호화기에서 복호화된 재생레벨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이용자가 재생화면을 보면서 편집구간을 설정할 경우 이용자가 설정한 편집구간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게 되므로, 편집이 어렵게 된다.
그런데, 방송 데이터와 같이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녹화하는 장치를 이용함에 있어서, 항상 중요하게 여겨지는 부분이 저장용량으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 브와 같이 고정화된 저장매체를 사용하는 장치일 경우, 저장용량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저장용량의 효율성이 중요하다.
즉, 저장용량의 효율성 측면에서, 상기한 도 2의 장치와 같이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방식의 경우 저장된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편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여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 개발의 요구에 부응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여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는, 일정 바이트(Byte)의 저장소로 구획되어 있는 저장영역에 다른 일정 바이트의 전송묶음 단위로 방송 데이터가 순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 단위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읽어 들여 재생하는 재생 처리 수단과, 상기 저장매체와 상기 재생 처리 수단을 제어하며, 방송 데이터의 재생 중에, 이용자가 편집 시작점을 선택하면 현재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읽어 들이고 있는 방송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최소 공배수 단위의 저장소들을 편집구간의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이용자가 편집 종료점을 선택하면 현재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읽어 들이고 있는 방송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최소 공배수 단위의 저장소들을 편집구간의 종료점으로 설정하며, 이 설 정된 편집구간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들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데이터를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집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는, 상기 재생 처리 수단이, 크기가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에 해당하는 버퍼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 버퍼 메모리를 통해 최소 공배수 단위로 방송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재생 시에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최소 공배수의 단위로 읽어 들이는 방송 데이터의 저장소 위치를 계산하여 기억하고 이용자가 지정한 편집 시작점과 편집 종료점에 각각 해당하는 최소 공배수 단위의 저장소 위치를 기억하는 리드 카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방법은, 일정 바이트(Byte)의 저장소로 구획되어 있는 저장영역을 갖는 저장매체에 다른 일정 바이트의 전송묶음 단위로 방송 데이터를 순서적으로 저장하는 스텝과,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 단위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읽어 들여 재생하는 스텝과, 상기 재생되는 방송 데이터에서 이용자가 편집 시작점을 지정할 경우 현재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읽어 들이고 있는 방송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최소 공배수 단위의 저장소들을 편집구간의 시작점으로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재생되는 방송 데이터에서 이용자가 편집 종료점을 지정할 경우 현재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읽어 들이고 있는 방송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최소 공배수 단위의 저장소들을 편집구간의 종료점으로 설정하는 스텝과, 설정된 편집 구간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들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데이터를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집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방법은, 크기가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에 해당하는 버퍼 메모리를 통한 버퍼링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최소 공배수 단위로 방송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생 시에 버퍼링을 통해 저장매체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일정 크기로 읽어 들임과 동시에 그 저장소의 위치를 계산하여 기억하고 이용자가 편집 시작점과 편집 종료점을 각각 선택하여 지정하는 시점에 버퍼링 되는 방송 데이터의 저장소 위치를 기억함으로써, 이용자가 설정한 편집구간에 1 대 1로 대응하는 저장매체의 저장소 영역 단위로 편집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버퍼링 시 및 편집할 때의 기본 단위를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단위와 저장매체의 저장소 단위의 최소 공배수로 함으로써, 편집구간의 경계부위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단위의 손실이나 중첩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영상의 끊김, 깜박임 등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사항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다중화기/디스크램블러(110), 제1 버퍼 메모리(120), 버퍼 크기 조정부(125), 복호화기(130),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40), 리드 카운터(150), 제2 버퍼 메모리(160), 키 입력부(170), 제어부(180) 및, 제3 버퍼 메모리(190)를 포함한다.
상기 역다중화기/디스크램블러(110)는 외부(예컨대, 위성안테나 등)로부터 입력되는 복수개의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분리함과 더불어 역다중화 처리 및 임의 부호 계열로부터 원래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크램블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1 버퍼 메모리(120)는 역다중화기/디스크램블러(110)에 의해 분리된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40)로 전달하기 위해 버퍼링(buffering)을 수행하는 것으로, 최소 크기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의 클러스터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패킷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m)에 해당하고, 이 최소 공배수(m)의 단위로 그 크기가 가변된다.
상기 버퍼 크기 조정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1 버퍼 메모리(120)의 버퍼 크기를 최소 공배수(m)의 단위로 가변시킨다.
상기 복호화기(130)는 역다중화기/디스크램블러(110)에 의해 역다중화 및 디스크램블 처리된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재생레벨의 방송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재생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재생장치(예컨대, TV 수상기 등)로 출력한다. 일예로, 복호화기(130)는 MPEG(Motion Picture Expert Grope)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화를 수행하는 MPEG 디코더(Decoder)일 수 있다.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1 버퍼 메모리(120)로부터 입력되는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되어 있는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읽어 들여 리드 카운터(150)를 통해 제2 버퍼 메모리(160)로 출력한다.
여기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는, 물리적 최소 저장 공간 단위가 섹터(sector)이고 이들 섹터를 일정한 수로 묶어 이루어지는 논리적인 단위인 클러스터(cluster)가 운영 체계에서 파일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는 최소 저장 공간 단위가 된다.
상기 리드 카운터(Read Counter)(15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로부터 제2 버퍼메모리(160)로 읽어 들이는 방송 데이터의 클러스터 위치를 계산하여 기억하고, 제어부(18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용자가 지정한 편집 시작점과 편집 종료점에 각각 해당하는 최소 공배수 단위의 클러스터 위치를 기억한다.
상기 제2 버퍼메모리(16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40)로부터 읽어 들여진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역다중화기/디스크램블러(110)로 전달하기 위해 버퍼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 크기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의 클러스터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패킷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m)에 해당한다.
상기 키입력부(170)는 리모트콘트롤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키신호를 수신받아 유선 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입력하는 무선신호 수신부와, 조작 버튼 등을 다수개 구비하여 이용자가 조작 버튼을 조작하면 그에 상응 하는 키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80)로 입력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키입력부(18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40)로 저장하는 녹화처리를 수행함과 더불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40)로부터 방송데이터를 읽어 들여 재생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방송 데이터의 재생 중에, 이용자가 키 입력부(170)를 통해 편집 시작점을 선택하면 현재 제2 버퍼메모리(160)를 통해 버퍼링되고 있는 최소 공배수(m) 단위의 클러스터들을 편집구간의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이용자가 편집 종료점을 선택하면 현재 제2 버퍼메모리(160)를 통해 버퍼링되고 있는 최소 공배수(m) 단위의 클러스터들을 편집구간의 종료점으로 설정하며, 이 설정된 편집구간에 해당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의 클러스터들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데이터를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집 처리한다.
상기 제3 버퍼메모리(190)는 역다중화기/디스크램블러(110)에 의해 역다중화 및 디스크램블 처리된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복호화기(130)로 전달하기 위해 버퍼링한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용자가 리모트콘트롤러 등을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의 녹화를 선택하여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키 입력부(170)로 입력하면, 제어부(180)가 역다중화기/디스크램블러(110)와 제1 버퍼 메모리(120)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40)를 제어하여, 외부(예컨대, 위성 안테나 등)로부터 입력되는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 패킷(Packet)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의 클러스터에 순서적으로 저장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의 클러스터에 방송 데이터의 패킷이 순서적으로 저장되는데, 동도면은 하나의 예시일 뿐, 꼭 클러스터가 1열 횡대의 순서를 갖는 것은 아니며, 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에 다수의 녹화파일에 대한 반복적인 쓰기, 지우기 등이 수행되어 저장영역에 단편화가 이루어져 있을 경우, 하나의 방송데이터를 저장하는 클러스터들은 저장영역에서 서로 띄엄띄엄 떨어져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버퍼 크기 조정부(125)를 통해 제1 버퍼 메모리(120)의 버퍼링 상태를 체크하며, 입력되는 방송 데이터의 양에 따라 버퍼 크기 조정부(125)를 제어하여 제2 버퍼 메모리(120)의 버퍼 크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의 클러스터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패킷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m) 단위로 그 크기를 가변시킨다.
즉, 디지털 방송 신호가 초당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은 방송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시간당 입력되는 방송 데이터의 양이 급증하게 되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의 액세스 횟수가 그만큼 빈번해지므로, 제1 버퍼 메모리(120)의 버퍼 크기를 증가시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의 액세스 횟수를 감소시킨다.
다음, 이용자가 녹화된 방송 데이터의 재생이나 검색을 선택하여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키 입력부(170)로 입력하면(S10), 제어부(180)가 하드디스크 드라이 브(140)를 제어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방송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로부터 읽어 들인다(S20).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로부터 읽어 들여진 방송 데이터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2 버퍼 메모리(160)에서 버퍼링 과정을 거쳐 역다중화기/디스크램블러(110)로 전달되는데, 제2 버퍼 메모리(160)의 크기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의 클러스터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패킷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m)에 해당하므로 한번에 상기 최소 공배수(m)에 해당하는 방송 데이터의 패킷이 버퍼링된다(S30)(도 6 참조).
여기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로부터 제2 버퍼메모리(160)로 읽어 들이는 방송 데이터의 클러스터 위치는 리드 카운터(150)에 의해 계산되어 기억된다.
제2 버퍼 메모리(160)의 버퍼링 후 전달된 방송 데이터는 역다중화기/디스크램블러(110)에서 역다중화에 의해 역다중화 처리 및 디스크램블 처리된 후 제3 버퍼메모리(190)를 통해 복호화기(130)로 전달된다.
복호화기(130)로 전달된 방송 데이터는 복호화 처리된 후 재생레벨의 방송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되며, 이 복호화기(130)로부터 출력된 재생레벨의 방송데이터는 재생장치(예컨대, TV 수상기 등)로 전달되어 이용자가 재생되는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용자가 재생되는 화면을 보면서, 리모트콘트롤러 등을 이용해 편집 시작점을 선택하여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키 입력부(170)로 입력하면(S40), 제어부(170)가 리드 카운터(150)를 제어하여, 제2 버퍼 메모리(160)에서 버퍼링되고 있는 방송데이터의 패킷이 저장되어 있는 최소 공배수(m) 단위의 클러스터 위치를 편집구간의 시작점(Eo)으로 리드 카운터(150)에 기억시킨다(S50).
여기서, 제2 버퍼 메모리(160)에서 버퍼링되는 방송 데이터의 패킷은 실제 재생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화면과는 다소 시간차가 있게 되지만(버퍼링 중인 방송 데이터가 다소 뒤짐), 이러한 시간차는 극히 짧은 순간으로서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다.
다음, 이용자가 재생되는 화면에서, 리모트콘트롤러 등을 이용해 편집 종료점을 선택하여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키 입력부(170)로 입력하면(S60), 제어부(170)가 리드 카운터(150)를 제어하여 제2 버퍼 메모리(160)에서 버퍼링되고 있는 방송데이터의 패킷이 저장되어 있는 최소 공배수(m) 단위의 클러스터 위치를 편집구간의 종료점(Ec)으로 리드 카운터(150)에 기억시킨다(S70).
이때도, 제2 버퍼 메모리(160)에서 버퍼링되는 방송 데이터의 패킷은 실제 재생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화면과는 다소 시간차가 있게 되지만(버퍼링 중인 방송 데이터가 다소 뒤짐), 이러한 시간차는 극히 짧은 순간으로서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다.
이용자가 편집 종료점을 선택하여 지정한 후, 리모트콘트롤러 등을 이용해 편집방법(예컨대, 복사, 이동, 삭제 등)을 선택하여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키 입력부(170)로 입력하면(S80), 제어부(170)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40)를 제어하여 리드 카운터(150)에 기억시킨 편집구간의 시작점(Eo)에 해당하는 클러스터로부터 편집구간의 종료점(Ec)에 해당하는 클러스터까지의 클러스터들(도 7 참조)에 저장 되어 있는 방송데이터 패킷을 이용자의 선택에 따른 편집방법(예컨대, 복사, 이동, 삭제 등)으로 편집하여 이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에 저장한다(S9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생 시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40)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데이터를 클러스터의 묶음 단위로 버퍼링하여 읽어 들이고 이 버퍼링 중인 방송 데이터가 저장된 클러스터의 묶음 단위 위치를 리드 카운터(150)를 통해 계산 · 기억시킴으로써, 제어부(180)가 재생 화면과 방송 데이터의 클러스터 저장 위치를 1 대 1로 일치하여 인식할 수 있게 된다(참고적으로, 버퍼링 중인 방송데이터와 재생화면 사이에는 다소의 시간차가 있으나 극히 짧은 순간의 차이로 무시할 수 있는 정도임).
그리고, 이용자가 지정하는 방송데이터의 편집구간에 대한 클러스터의 묶음 위치가 리드 카운터(150)에 의해 기억되고, 리드 카운터(150)에 의해 기억된 클러스터 묶음 단위로 이용자가 선택한 편집방법에 따른 복사, 이동, 삭제 등을 수행함으로써, 전송레벨의 방송데이터에 대한 편집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클러스터의 묶음 단위를, 클러스터 바이트 수(예컨대, 1024 Byte)와 방송 데이터의 패킷 바이트 수(예컨대, 188 Byte)의 최소 공배수(m)로 함으로써, 편집 후 편집구간의 경계부위에서 화면의 끊김이나 깜박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방송 데이터의 패킷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0)의 클러스터에 연속하여 기록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클러스터와 다음 클러스터의 경계부위에는 1개의 패킷이 양쪽으로 걸친 상태로 저장되므로, 개개의 클러스터 단위로 편집을 하게 되면, 양쪽의 클러스터에 걸쳐서 저장되어 있는 패킷이 손실 또는 중첩되면서, 영상이 끊기거나 깜박이는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이에, 클러스터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패킷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m)로 된 복수의 클러스터 묶음으로 기본 단위를 설정하면, 이 기본 단위의 클러스터 묶음의 맨 앞 클러스터의 경계부위와 맨 뒤 클러스터의 경계부위는 패킷이 걸쳐지지 않기 때문에(도 5 내지 도 7 참조), 영상의 끊김이나 깜박이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생 시에 버퍼링을 통해 저장매체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일정 크기로 읽어 들임과 동시에 그 저장소의 위치를 계산하여 기억하고 이용자가 편집 시작점과 편집 종료점을 각각 선택하여 지정하는 시점에 버퍼링 되는 방송 데이터의 저장소 위치를 기억함으로써, 이용자가 설정한 편집구간에 1 대 1로 대응하는 저장매체의 저장소 영역 단위로 편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녹화 시에 전송레벨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여 저장매체의 저장효율을 높이면서, 방송 데이터에 대한 편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퍼링 시 및 편집할 때의 기본 단위를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단위와 저장매체의 저장소 단위의 최소 공배수로 함으로써, 편집구간의 경계부위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단위의 손실이나 중첩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영상의 끊김, 깜박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 장치에 있어서,
    일정 바이트(Byte)의 저장소로 구획되어 있는 저장영역에 다른 일정 바이트의 전송묶음 단위로 방송 데이터가 순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 단위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읽어 들여 재생하는 재생 처리 수단과,
    상기 저장매체와 상기 재생 처리 수단을 제어하며, 방송 데이터의 재생 중에, 이용자가 편집 시작점을 선택하면 현재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읽어 들이고 있는 방송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최소 공배수 단위의 저장소들을 편집구간의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이용자가 편집 종료점을 선택하면 현재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읽어 들이고 있는 방송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최소 공배수 단위의 저장소들을 편집구간의 종료점으로 설정하며, 이 설정된 편집구간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들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데이터를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집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처리 수단은, 크기가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에 해당하는 버퍼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 버퍼 메모리를 통해 최소 공배수 단위로 방송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재생 시에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최소 공배수의 단위로 읽어 들이는 방송 데이터의 저장소 위치를 계산하여 기억하고 이용자가 지정한 편집 시작점과 편집 종료점에 각각 해당하는 최소 공배수 단위의 저장소 위치를 기억하는 리드 카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이 저장 처리 수단은, 크기가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에 해당하는 버퍼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이 저장 처리 수단은, 최소 크기가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에 해당하고, 이 최소 공배수의 단위로 그 크기가 가변되는 버퍼 메모리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버퍼 메모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버퍼 크기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는, 물리적 최소 저장 공간 단위인 섹터를 일정한 수로 묶어 이루어지는 논리적인 최소 저장 공간 단위인 클러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7.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 방법에 있어서,
    일정 바이트(Byte)의 저장소로 구획되어 있는 저장영역을 갖는 저장매체에 다른 일정 바이트의 전송묶음 단위로 방송 데이터를 순서적으로 저장하는 스텝과,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 단위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읽어 들여 재생하는 스텝과,
    상기 재생되는 방송 데이터에서 이용자가 편집 시작점을 지정할 경우 현재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읽어 들이고 있는 방송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최소 공배수 단위의 저장소들을 편집구간의 시작점으로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재생되는 방송 데이터에서 이용자가 편집 종료점을 지정할 경우 현재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읽어 들이고 있는 방송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최소 공배수 단위의 저장소들을 편집구간의 종료점으로 설정하는 스텝과,
    설정된 편집 구간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들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데이터를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집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스텝에서는, 크기가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 바이트 수와 방송 데이터의 전송묶음 바이트 수의 최소 공배수에 해당하는 버퍼 메모리를 통한 버퍼링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최소 공배수 단위로 방송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소는, 물리적 최소 저장 공간 단위인 섹터를 일정한 수로 묶어 이루어지는 논리적인 최소 저장 공간 단위인 클러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방법.
KR1020040078384A 2004-10-01 2004-10-01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및 방법 KR10061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384A KR100610680B1 (ko) 2004-10-01 2004-10-01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384A KR100610680B1 (ko) 2004-10-01 2004-10-01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443A true KR20060029443A (ko) 2006-04-06
KR100610680B1 KR100610680B1 (ko) 2006-08-10

Family

ID=3713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384A KR100610680B1 (ko) 2004-10-01 2004-10-01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6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0087A (ja) * 1994-02-25 1995-09-12 Otari Kk 部分消去可能な記録装置
JPH09320247A (ja) * 1996-05-31 1997-12-12 Kenwood Corp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00348265B1 (ko) * 1999-12-30 200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비디오 편집 방법
JP4545993B2 (ja) 2000-06-26 2010-09-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についての編集装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編集プログラム。
KR20040066451A (ko) * 2003-01-18 2004-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부분삭제기능을 가지는 영상 기록/재생장치 및 그의부분삭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0680B1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605B1 (ko) 계층적 메모리를 구비한 영상 기록 재생 장치 및 계층적메모리 구현 방법
JP2006503496A (ja) データ管理方法
JP3769412B2 (ja) 録画システム
KR100481246B1 (ko) 프로그램 신호 기록 재생 장치 및 프로그램 신호 재생 장치
JP2005515723A (ja) サービス番組再生再開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0030219234A1 (en) Method of digital recording
JP2006012225A (ja) 情報処理装置
JP2006060630A (ja) 記録装置
JP4431374B2 (ja) 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受信装置
JP2003179852A (ja) 映像音声データ記録再生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JP3911508B2 (ja) 記録されたデータを再圧縮して書き直す映像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の再圧縮記録方法
JP2006302337A (ja) 記録再生装置
KR100978995B1 (ko) 정보 기록 처리 장치, 정보 재생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JP4040637B2 (ja) 録画システム
KR100610680B1 (ko)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및 방법
JP2005508586A (ja) シャドー・イントラ・ピクチャの挿入によるビデオ変更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1155470A (ja) ランダムアクセス可能な記録媒体を用いた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ジタルデータの再生方法
JP4636720B2 (ja) 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200229090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503459B1 (ko) 오류파일 자동삭제 기능을 가지는 영상 기록/재생장치 및그에 따른 오류파일 자동 삭제 방법
JP4416586B2 (ja) 映像記録再生装置
KR100774195B1 (ko) 방송 재생 장치 및 방송 재생 방법
JP4951376B2 (ja) 再生装置、映像記録装置、および、その番組情報編集方法
JP4229167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2005110117A (ja) ビデオレコーダおよびビデオ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