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858A - 차량용,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용 외부 후사경 - Google Patents

차량용,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용 외부 후사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858A
KR20060026858A KR1020057022931A KR20057022931A KR20060026858A KR 20060026858 A KR20060026858 A KR 20060026858A KR 1020057022931 A KR1020057022931 A KR 1020057022931A KR 20057022931 A KR20057022931 A KR 20057022931A KR 20060026858 A KR20060026858 A KR 20060026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housing
rearview mirror
vehic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란트 오만
Original Assignee
쉐프네커 비젼 시스템즈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쉐프네커 비젼 시스템즈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쉐프네커 비젼 시스템즈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26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용 외부 후사경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외부 후사경에서는, 거울 하우징과 거울 지지체가 성향 판 스프링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그러한 성형 판 스프링의 제조는 외부 후사경을 비싸게 하고, 그 조립을 어렵게 한다. 외부 후사경을 저렴하게 제조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거울 하우징(2)과 거울 지지체(3)는 하나 이상의 로킹 장치(15, 16, 17')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그럼으로써, 부가의 성형 판 스프링이 생략될 수 있게 된다.
외부 후사경, 거울 하우징, 거울 지지체, 로킹 장치, 로킹 텅, 로킹 리세스, 보조 램프

Description

차량용,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용 외부 후사경{EXTERIOR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PREFERABLY MOTOR VEHICLES}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용,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용 외부 후사경에 관한 것이다.
외부 후사경에서는, 거울 하우징을 성형 판 스프링에 의해 거울 지지체와 결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성형 판 스프링의 제조는 외부 후사경을 비싸게 하고, 그 조립을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제된 바에 따른 외부 후사경을 그것이 저렴하게 제조되고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전제된 유형의 외부 후사경에서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에 특징져진 특징들에 의해 달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후사경에서는, 거울 하우징과 거울 지지체가 로킹 장치(locking device)에 의해 서로 직접 결합된다. 그럼으로써, 부가의 형상화 판 스프링이 생략될 수 있어 거울 헤드 및 그에 따른 전체의 외부 후사경이 저렴하게 제작될 뿐만 아니라, 간단하게 조립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은 다른 청구항들,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도시된 2개의 실시 양태들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후사경에서 거울 유리 없이 거울 하우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거울 하우징에 삽입될 수 있는 거울 지지체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거울 지지체의 정면도이고,
도 4는 거울 지지체가 로킹된 거울 하우징의 정면도이며,
도 5는 거울 지지체가 로킹된 거울 하우징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 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B-B 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깜빡이 등이 외부 후사경에 삽입된 도 7에 상응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7에 따른 거울 지지체와 거울 하우징 사이의 로킹 구역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따른 거울 하우징의 배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후사경의 거울 헤드의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후사경의 거울 헤드의 제2 실시 양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후사경에 삽입되는 깜빡이 등의 종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에 따른 거울 지지체와 거울 하우징 사이의 로킹 구역의 확대도이다.
차량용 외부 후사경은 차량에 고정된 거울 받침대(도시를 생략함)와 공지의 방식대로 결합되는 거울 헤드(1)를 구비한다. 거울 헤드(1)는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및 그 반대 방향으로 거울 받침대에 대해 꺾어질 수 있다. 거울 헤드(1)를 모터에 의해 사용 위치로부터 그 거울 헤드가 차량 옆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주차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거울 헤드(1)가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및 그 반대 방향으로 단일의 직립 축을 중심으로 하여 거울 받침대에 대해 선회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거울 받침대에 대한 거울 헤드(1)의 양쪽 선회 방향에 대해 2개의 별개의 직립 선회 축을 제공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거울 헤드(1)는 거울 하우징(2)(도 1 및 도 10을 참조)과 그 거울 하우징(2) 내에 밀어 넣어지는 거울 지지체(3)를 포함한다. 거울 하우징(2)은 후방 벽(5)으로부터 돌출되고 그 후방 벽(5)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환형 측벽(4)을 구비한다. 그러한 환형 측벽(4)은 거울 지지체(3) 상에 지지되는 거울 유리(도시를 생략함)가 놓이는 개구부(6)를 형성한다. 거울 하우징(2)은 거울 받침대(도시를 생략함) 쪽을 향한 측면에서 개방된다(도 1을 참조). 그러한 슬라이드인 개구부(slide-in opening)(7)를 통해, 거울 지지체(3)가 거울 하우징(2) 내에 밀어 넣 어질 수 있다. 회부 후사경의 조립 위치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앞쪽을 향하는 거울 하우징(2)의 후방 벽(5)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후방 벽(5)의 내면(8)으로부터 돌출되는 벽 섹션(17)은 횡단면이 U형인 2개의 프로파일 부재들(9, 10)을 구비하는데, 그 프로파일 부재들(9, 10)은 거울 지지체(3)의 슬라이드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드인 터널들(11, 12)을 각각 형성하고, 그 슬라이드인 터널(11, 12)에서는 거울 지지체(3)가 아직 설명되지 않은 방식으로 포지티브 로킹 부재(positive locking member)(13, 14)(도 2를 참조)에 맞물린다. 양자의 슬라이드인 터널들(11, 12)은 거울 지지체(3)의 슬라이드인 방향으로 전방에 있는 그 단부들에서 폐쇄된다. 프로파일 부재들(9, 10)은 거울 헤드(1)의 벽 섹션(17)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자의 프로파일 부재들(9, 10) 사이의 구역에는 로킹 텅(locking tongue)(15)(도 1을 참조)이 놓이는데, 그 로킹 텅(15)은 그 자유 단부에 로킹 캐치(16)를 구비한다. 로킹 텅(15)은 거울 지지체(3)의 로킹 리세스(17') 또는 로킹 개구부(도 7을 참조)에 맞물린다. 탄성에 의해 스프링 작용을 하도록 형성되는 로킹 텅(15)은 자유롭게 걸리도록 형성되고, 그 자유 단부 쪽으로 점감한다. 도 1이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 부재들(9, 10)의 구역에서의 로킹 텅(15)의 폭은 대략 그 프로파일 부재들(9, 10) 사이의 간격에 해당한다.
벽 섹션(17)은 후방 벽(5)의 내면(8)에 비해 안쪽으로 옮겨져 있다. 그 벽 섹션(17)은 U형 횡단면을 갖고, 거울 지지체(3)의 슬라이드인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후방 벽(5)의 내면(8)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다. 그 벽 섹션(17)은 예컨대 깜 빡이 등과 같은 보조 램프(19)용의 수납 공간(18)(도 6을 참조)을 형성한다.
거울 지지체(3)의 2개의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은 서로 간격을 두고서 서로 평행하게 놓인다. 그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거울 지지체(3)를 넘어 돌출된다(도 3을 참조). 그 2개의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9, 10)은 슬라이드인 방향으로 놓인 서로 외면된 길이 방향 측면들(20, 21)에 사면들(22, 23)을 각각 구비한다.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의 자유 단부 쪽으로 수렴하여 연장되는 그러한 사면들(22, 23)에 의해,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이 슬라이드인 터널들(11, 12) 내로 확실하게 밀어 넣어지는 것이 보장되게 된다. 또한,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은 그 일 측면에 스토퍼들(24, 25)을 각각 구비하는데, 그 스토퍼들(24, 25)은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의 길이 방향 연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조립 위치에서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을 프로파일 부재들(9, 10)의 단부 면들(26, 27)에 접하게 한다. 그 스토퍼들(24, 25)은 포지티브 로킹 부재(13, 14)의 상면에 수직으로 놓인 쇼울더 면(shoulder face)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것은 도 6에서 포지티브 로킹 부재(13)에 대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조립 시에, 거울 지지체(3)는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이 슬라이드인 터널들(11, 12) 내에 닿도록 슬라이드인 개구부(7)를 통해 거울 하우징(2) 내에 삽입된다. 사면들(22, 23)은 2개의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이 확실하게 슬라이드인 터널들(11, 12) 내에 도달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거울 하우징(2)과 거울 지지체(3) 사이의 확실한 결합은 로킹 텅(15)에 의해 이뤄지게 된다. 거울 지지체(3)를 밀어 넣으면, 2개의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이 그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곳인 슬라이드인 방향으로의 전방 에지(28)가 로킹 텅(15)에 맞닿는다. 그 로킹 텅(15)은 거울 지지체(3)를 계속 밀어 넣을 때에 로킹 캐치(16)가 로킹 개구부(17')에 맞물릴 수 있을 때까지 탄성적으로 굽혀져 떨어진다. 그러한 로킹 과정이 확실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거울 지지체(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텅(15) 쪽을 향한 그 하면(29)에 슬라이드인 방향으로 상승하는 사면(30)을 구비한다. 그러한 사면(30)의 경사 위치에 의거하여, 슬라이드인 삽입 과정 동안 로킹 텅(15)이 로킹 리세스(17')에 로킹 캐치(16)가 맞물릴 수 있을 때까지 탄성적으로 눌려 떨어진다. 그러한 위치에서는, 거울 하우징(2)과 거울 지지체(3)가 완전하게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되게 된다.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은 거울 지지체(3)가 수월하게 그 정확한 조립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보장해준다.
거울 지지체(3)는 로킹 캐치(16)가 리세스(17')로부터 해제될 정도로 로킹 텅(15)이 탄성적으로 눌려져 떨어질 경우에만 다시 거울 하우징(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런 연후에야 비로소 거울 지지체(3)를 슬라이드인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거울 하우징(2)으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된다. 거울 유리를 제거하거나 떼어 선회시키면, 로킹 텅(15)에의 출입이 가능해진다. 그런 후에, 로킹 텅(15)을 개구부(6)(도 4를 참조)를 통해 적절한 공구에 의해 탄성적으로 구부려 떨어뜨릴 수 있다.
로킹 텅(15)은 로킹 위치에서 탄성 편향력이 걸린 채로 거울 지지체(3)에 접 하여 거울 하우징(2)과 거울 지지체(3)가 슬라이드인 방향으로 간극이 없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울 하우징(2)과 거울 지지체(3) 사이의 결합은 전술된 거울 하우징(2)과 거울 지지체(3)의 구성에 의해 간단하게 구현되게 된다. 거울 지지체(3) 및/또는 거울 하우징(2)은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슬라이드인 삽입 과정이 간단하게, 그에 따라 저렴하게 행해질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성형 판 스프링과 같은 부가의 부품이 필요치 않다. 전술된 구성에 의거하여, 매우 적은 공간 소요 및 매우 납작한 구조가 주어지게 된다. 전술된 로킹 결합의 편향력 때문에, 거울 하우징(2)과 거울 지지체(3) 사이의 확실한 로킹 결합이 일어나게 된다. 거울 하우징(2) 및/또는 거울 지지체(3)의 높은 진동 안전성을 얻기 위해,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은 프로파일 부재들(9, 10)의 슬라이드인 터널들(11, 12)에 클램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울 지지체(3)를 거울 하우징(2) 내에 슬라이드인 삽입하는 동안, 거울 지지체(3)의 사면(30')은 로킹 캐치(16)의 사면(31)(도 9를 참조)과 함께 그 슬라이드인 삽입 과정에서의 허용 오차를 보상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한 사면(30')은 거울 지지체(3)의 슬라이드인 방향으로 로킹 리세스(17')를 한정한다.
벽 섹션(17)에는 후방 벽(5)으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대략 평행하게 놓이는 측벽들(32, 33)이 연결된다(도 1을 참조). 로킹 텅(15)은 그 측벽들(32, 33) 사이의 간격을 갖고서 놓인다(도 1을 참조). 로킹 텅(15)의 자유 단부로부터 간격을 두고서, 측벽들(32, 33)이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브리지(34)에 의해 결합되는데, 그 브리지(34)는 측벽들(32, 33)의 상부 에지들의 높이에 놓이고 후방 벽(5)의 위에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울 지지체(3)의 하면에 마련되는 돌출부들(35, 36)(도 2를 참조)은 그러한 측벽들(32, 33)과 연동한다. 그 돌출부들(35, 36)은 슬라이드인 삽입 과정 동안 벽 섹션(17)의 부근에서 측벽들(32, 33)의 상부 에지들 상에 닿는다. 따라서, 그 측벽들(32, 33)의 그러한 구역이 슬라이딩 사면들을 형성하게 된다.
보조 램프(19)는 수납 공간(18) 내에 공지된 바대로 고정되고, 조립 위치에서 거울 하우징(2)의 후방 벽(5)에 놓여 차량의 주행 방향의 전방으로 향하는 램프 창(37)(도 6을 참조)을 구비한다. 그러한 보조 램프(19)는 예컨대 공지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깜빡이 등이다. 거울 받침대의 반대쪽을 향한 그 단부는 후방 벽(5)의 외면을 넘어 약간 돌출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따른 실시 양태에서는, 보조 램프(19)가 거울 하우징(2)과 거울 지지체(3) 사이에 로킹된다. 도 12 및 도 14가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거울 하우징(2)은 프로파일 부재들(9, 10)의 높이에 보조 램프(19)의 하우징(40)의 리세스(39)에 맞물리는 돌출 캠들(38)을 구비한다. 그 캠들(38)은 거울 지지체(3)의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이 포지티브 로킹되어 맞물리는 각각의 슬라이드인 포켓(41)의 배후에 놓인다.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은 앞의 실시 양태에서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슬라이드인 포켓(41)의 자유 횡단면은 앞의 실시 양태의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거울 지지체(3)의 슬라이드인 방향으로 점감한다.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은 조립 위치에서 슬라이드인 포켓(41)의 상면에 접한다(도 14를 참조). 슬라이드인 포켓(41)에는 슬라이드인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위쪽으로 향하는 에지(42)가 연결되는데, 그 에지(42)는 지지체(3)의 슬라이드인 삽입 시에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이 확실하게 슬라이드인 포켓(41)에 도달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은 조립 위치에서 그 사면들(43)에 의해 에지(42)에 접한다. 즉,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의 사면들(43)은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이 슬라이드인 포켓(41) 내에 삽입되는 깊이를 결정하는 스토퍼 면들을 형성한다.
조립 시에는, 거울 지지체(3)가 그 포지티브 로킹 부재들(13, 14)에 의해 보조 램프의 슬라이드인 포켓(41)에 끼워 넣어진다. 그와 동시에, 앞의 실시 양태에 입각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로킹 텅(15)이 거울 지지체(3)의 로킹 리세스(17')(도 9를 참조)에 맞물린다. 그와 같이 하여, 거울 하우징(2)과 거울 지지체(3)가 서로 맞붙들려 결합되게 된다. 또한, 거울 하우징(2)은 캠들(38)에 의해 보조 램프(19)의 하우징(40)의 로킹 리세스들(39)에 맞물린다. 그리하여, 거울 하우징(2)과 보조 램프(19)가 포지티브 로킹되어 서로 결합되게 된다. 그러한 포지티브 로킹에 의해, 보조 램프(19)가 외부 후사경으로부터 더 이상 빠져나올 수 없게 되므로, 거울 하우징(2)과 보조 램프(19)가 서로 맞붙들려 결합되게 된다.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 양태에서는, 보조 램프(19)의 하우징(40)이 거울 하우징(2)의 캠들(39)이 각각 맞물리는 2개의 리세스들(39)을 구비한다. 거울 하우징(2)과 보조 램프(19) 사이의 서로 맞붙드는 결합을 이루는데에는 단일의 캠(38) 및 그에 대응하는 단일의 리세스(39)로도 충분하다.
거울 하우징(2)의 벽 섹션(17)은 에지 구역(44)에 의해 그 에지 구역(44)의 하면에 접하는 슬라이드인 포켓(41)의 위에 맞물린다(도 14를 참조). 그럼으로써, 거울 하우징(2)의 벽 섹션(17)에 슬라이드인 포켓(41)에 대한 스토퍼가 형성되게 된다.
거울 헤드(1)는 거울 하우징(2) 내에 차량 부근의 바닥 구역을 조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주위 조명등, 안테나, 거울 유리용 가열 장치, 거울 유리 조절용 조정 모터, 하나 이상의 스피커, 송신기를 비롯한 차고 문 개폐기의 부품들, GPS 모듈 등과 같은 추가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거울 헤드에 조인트 연결되는 거울 받침대 내에도 하나 이상의 주위 조명등, 깜빡이 등, 거울 헤드에 수납된 요소들의 제어를 위한 회로 장치 등과 같은 추가의 부품들이 포함될 수 있다.

Claims (24)

  1. 거울 받침대와 거울 헤드를 구비하고, 거울 헤드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하우징은 거울 지지체와 결합되는 차량용,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용 외부 후사경에 있어서,
    거울 하우징(2)과 거울 지지체(3)는 하나 이상의 로킹 장치(15, 16, 17')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2. 제1항에 있어서, 로킹 장치(15, 16, 17')는 하나 이상의 로킹 리세드(17')와 연동하는 하나 이상의 로킹 텅(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3. 제2항에 있어서, 로킹 텅(15)은 거울 하우징(2)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로킹 리세스(17')는 거울 지지체(3)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5.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텅(15)은 거울 하우징(2)의 후방 벽(5)으로부터 간격을 두고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6.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텅(15)은 자유 단부에 하나 이상의 로킹 캐치(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장치(15, 16, 17')는 거울 하우징(2)과 거울 지지체(3)를 서로 맞춰 정렬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장치(9, 10, 13, 14)를 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8. 제7항에 있어서, 위치 설정 장치(9, 10, 13, 14)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인 부재(13, 14)를 위한 하나 이상의 수납부(11, 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9. 제8항에 있어서, 수납부(11, 12)는 거울 하우징(2)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수납부(11, 12)는 포켓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납부(11, 12)는 거울 하우 징(2)의 프로파일 부재(9, 1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설정 장치(9, 10, 13, 14)는 로킹 장치(15, 16, 17')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장치(15, 16, 17')는 2개의 위치 설정 장치들(9, 10, 13, 14)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14. 제13항에 있어서, 2개의 위치 설정 장치들(9, 10, 13, 14)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인 부재(13, 14)는 거울 하우징(3)의 에지(28)를 넘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16. 제8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인 부재(13, 14)는 수납부(11, 12)에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17. 제8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인 부재(13, 14)는 슬라이드인 방향으로의 그 전방 단부에 사면들(22, 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울 하우징(2)은 거울 지지체(3)를 위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사면(32, 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울 하우징(2)에 하나 이상의 보조 램프(19)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보조 램프(19)가 하나 이상의 포지티브 로킹 부재(38, 39)에 의해 거울 하우징(2)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21. 제20항에 있어서, 포지티브 로킹 부재(38, 39)는 거울 하우징(2)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캠(38)을 구비하고, 캠(38)은 보조 램프(19)의 하우징(40)에 있는 리세스(39)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울 지지체(3)는 포지티브 로킹 부재(13, 14)에 의해 보조 램프(19)의 하우징(40)의 하나 이상의 수납부(41)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23. 제22항에 있어서, 수납부(41)는 거울 지지체(2)의 슬라이드인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넓어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수납부(41)는 거울 하우징(2)의 일부분의 위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부 후사경.
KR1020057022931A 2003-06-17 2004-06-14 차량용,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용 외부 후사경 KR200600268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27180.5 2003-06-17
DE10327180A DE10327180A1 (de) 2003-06-17 2003-06-17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vorzugsweise für Kraftfahrzeu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858A true KR20060026858A (ko) 2006-03-24

Family

ID=3352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931A KR20060026858A (ko) 2003-06-17 2004-06-14 차량용,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용 외부 후사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22345B2 (ko)
EP (1) EP1633601B1 (ko)
KR (1) KR20060026858A (ko)
DE (3) DE10327180A1 (ko)
WO (1) WO2004113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3414B2 (en) 2005-11-23 2010-12-14 Electric Mirror, Llc Mounting structure for a mirror assembly
US8099247B2 (en) * 2005-11-23 2012-01-17 Electric Mirror, Llc Back lit mirror with media display device
JP5071024B2 (ja) * 2007-10-01 2012-11-14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ミラー
US8851690B2 (en) * 2009-10-27 2014-10-07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interior mirror
EP2399780B1 (de) * 2010-06-28 2013-07-31 SMR Patents S.à.r.l. Außenrückblickspiegel
US9352691B2 (en) 2012-11-05 2016-05-31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EP4074547B1 (en) 2021-04-01 2024-01-31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Fastening arrangement, rearview device an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10562U1 (de) 1994-06-30 1994-08-11 Magna Reflex Holding GmbH, 97959 Assamstadt Außenrückblickspiegel
JPH10181452A (ja) 1996-12-26 1998-07-07 Sakae Riken Kogyo Kk 車両用ミラー装置
USD452671S1 (en) 1998-08-26 2002-01-01 Lang-Mekra North America, Llc Rear-view mirror mounting assembly
JP4092844B2 (ja) 2000-02-24 2008-05-28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DE10064647A1 (de) * 2000-12-22 2002-07-11 Mekra Lang Gmbh & Co Kg Rückblickspiegel,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20106321U1 (de) 2001-04-10 2001-07-19 Hohe Gmbh & Co Kg Außenrückspiegel mit zweiteiligem Gehäuse
JP2002337604A (ja) 2001-05-16 2002-11-27 Ishizaki Honten:Kk 車両用サイドミラー
AU2003253938A1 (en) * 2002-07-19 2004-02-09 Magna Donnelly North America, L.L.C. Rear view mirror with snap connection
USD581333S1 (en) 2008-01-18 2008-11-25 Lang-Mekra North America, Llc Mounting bracket and support arm for an exterior vehicle mirr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27180A1 (de) 2005-01-13
US7922345B2 (en) 2011-04-12
US20080030883A1 (en) 2008-02-07
DE112004001558D2 (de) 2006-06-01
EP1633601A1 (de) 2006-03-15
EP1633601B1 (de) 2010-08-18
DE502004011555D1 (de) 2010-09-30
WO2004113124A1 (de)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662B2 (en) Outside mirror assembly for vehicle
US7562857B2 (en) Attaching structure
EP2159103B1 (en) Vehicular Lamp
KR20060026858A (ko) 차량용,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용 외부 후사경
KR100946092B1 (ko) 차량용 외부 후사경
US7387396B2 (en) Outside mirror apparatus for vehicle
JP2002117709A (ja) 車輌用灯具
US7279648B2 (en) Automotive combination switch
JPH09270201A (ja) 車輌用灯具
US20060187666A1 (en) Vehicle lamp
EP1908632B1 (en) Lens for a lighting fixture
US11738697B2 (en) Mounting part structure of external detection sensor for vehicle
JP3174992B2 (ja) 車輌用灯具
JP2019036519A (ja) ランプユニット
US11815246B2 (en) Lamp unit and vehicle door equipped with lamp unit
CN110785322B (zh) 用于将车辆部件保持在机动车玻璃表面上的保持装置
KR100439822B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램프 체결구조
US10906462B2 (en) Trim arrangement for a vehicle interior
KR100463153B1 (ko) 자동차의 범퍼 고정구조
KR200221703Y1 (ko) 자동차용 룸램프어셈블리.
KR200155309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착홀의 커버구조
US8654459B2 (en) Resin molded lens
JP2023102649A (ja) 車両用ドアミラー
KR100756699B1 (ko) 자동차용 사이드마커램프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