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850A - 네트워크 문제를 식별하여 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문제를 식별하여 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850A
KR20060026850A KR1020057019556A KR20057019556A KR20060026850A KR 20060026850 A KR20060026850 A KR 20060026850A KR 1020057019556 A KR1020057019556 A KR 1020057019556A KR 20057019556 A KR20057019556 A KR 20057019556A KR 20060026850 A KR20060026850 A KR 20060026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determining
calls
packe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0157B1 (ko
Inventor
알란 디. 클락
Original Assignee
텔케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케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텔케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26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77Localisation of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redundant apparatus to increase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H04L41/06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involving logical or physical relationship, e.g. grouping and hierarch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87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voi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9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media content delivery, e.g. audio, video or 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04L43/0829Packet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04L43/087J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04L43/106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using time related information in packets, e.g. by adding time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네트워크 문제를 식별하여 네트워크 내에서의 이런 문제의 위치에 대한 가이던스를 제공하는 패킷 계통의 멀티미디어 신호 전송 시스템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
네트워크 문제 유형, 시그내처, 타이밍과 지연 변경, 패킷 손실, 경로 변경, 이벤트 그룹

Description

네트워크 문제를 식별하여 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시스템{SYSTEM FOR IDENTIFYING AND LOCATING NETWORK PROBLEMS}
본 발명은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문제를 식별하여 네트워크 내에서의 이 문제의 위치에 대한 가이던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래 데이터 전송용이었던 패킷망은 점차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이송하는 데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컨제스천 (congestion) 등과 같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문제는 멀티미디어 성능의 두드러진 열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패킷 스트림을 관찰하여, 네트워크 문제를 식별하여 적절한 멀티미디어 성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테스트 장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킷망은 데이터, 음성 및 비디오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에 이용된다. 통상의 패킷망 유형은 인터넷 프로토콜 ("IP"), 프레임 릴레이 (Frame Relay) 및 비동기성 전송 모드 ("ATM")를 포함한다. 각 패킷은 페이로드를 포함하고, 이것은 데이터 또는 디지트화 음성이나 비디오 및 헤더를 운반하며, 헤더는 근원지 및 목적지 어드레스와 그 외 프로토콜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패킷화 멀티미디어 스트림은 연속적 블럭의 디지트화 음성이나 비디오를 포함하는 순차적 패킷의 스트림이 다.
일반적으로, 일 패킷의 패킷화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패킷망 내에서 손실되거나 너무 늦게 도착해 이용할 수가 없는 경우, 재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응하는 갭이 있게 되며 이로 인해 품질의 열화가 두드러지게 된다. 따라서, 패킷망의 성능을 측정하고 패킷이 손실되거나 지연되게 하는 문제를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네트워크 문제의 해결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공지된 네트워크 문제중 어떤 것이 품질 열화의 원초적인 원인인지를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킷이 손실되거나 지연되게 하는 통상의 문제로는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ⅰ) 큐가 채워지고 충돌이 발생되게 하는 다른 스트림으로부터의 과잉 수의 패킷으로 인한 컨제스천; 컨제스천은 근거리 통신망 ("LAN")에서, LAN을 패킷망에 상호 연결하는 데에 이용되는 링크 상에서, 또는 패킷망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ⅱ) 패킷을 어느 방향으로 경로되게 할지에 대한 결정 표준을 수정하는, 패킷망 내의 라우터나 스위치로 인한 경로 변경
(ⅲ) 패킷망 내의 장비의 이상이나 손상되거나 절단된 케이블로 인한 링크 이상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종래의 시스템은 네트워크 내의 여러 위치에서 측정을 행하여 비교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많은 경우, 패킷은 여러 엔티티에 의해 소유되어 운용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되므로 많 은 위치에서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실용적일 수가 없다.
종래의 시스템은 또한 통상적으로 패킷 손실, 지터 (jitter) 및 지연 등의 메트릭스 (metrics)만을 보고할 뿐 그 문제의 특성을 식별하지는 않았다. 그 외 "네트워크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로 표제된 미국 특허 번호 6,327,677와 같은 종래 시스템은 네트워크 문제의 출현을 보고하기 위해서 이미 저장된 이력 데이터와 수집된 데이터의 비교를 행하지만, 또 이 문제의 진정한 원인을 식별하지는 못한다.
또 다른 종래 시스템은 핑 (Ping)과 트레이스루트 (Traceroute) 등의 공지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측정을 행하기 위해 테스트 패킷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들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문제가 보고된 후에 연결을 조정하도록 이용되기 때문에, 이런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종래 시스템은 네트워크 내의 특정 엔드-투-엔드 연결에서 무엇이 발생했는지를 검출할 수가 없다.
따라서, 네트워크 문제, 이런 네트워크 문제의 가능한 원인, 및 네트워크의 일 지점에서 행해진 관찰로 네트워크 문제의 근사 위치를 식별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패킷 손실, 지터, 지연, 지연 변이, 왜곡 및 그 외 측정 가능한 손상에 관하여 특정 네트워크 문제가 형성하는 특성 "시그내처"를 이용하여 이 필요성을 해결한다. 네트워크 문제과 이들의 대응 시그내처의 예는:
(ⅰ) 패킷에 의해 취한 경로가 하나의 영구 경로에서 다른 것으로 변경되는 라우트 플래핑 (route flapping) - 이것은 지연의 단차 변경을 초래함;
(ⅱ) 패킷이 역 경로로 보내지는 부하 분산 (Load sharing) 또는 라우트 다이버시티 (route diversity) - 이것은 패킷 지연을 크게 변형시키고 상당한 수의 패킷이 시퀀스에서 벗어나 도달하게 함 - ; 및
(ⅲ) 트래픽의 빌드업 (build-up)이 있는 컨제스천 - 이것은 지터의 동시성 증가로 지연의 (통상 사다리꼴) 증가를 초래함 - .
본 발명은 가장 가능한 네트워크 문제를 식별하기 위해서 지연과 패킷 손실의 단기간과 장기간 둘 다의 변형을 분석한다. 본 발명은 공지된 공칭의 연속 지연으로부터의 타이밍과 지연 변경에 기초한 이벤트로 손상을 식별한다. 이들 이벤트는 "이벤트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다음에 공지의 문제 프로파일과 비교 평가되어 특정 부류의 네트워크 문제와 관련되게 카테고리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밀도를 높이고 단일의 관찰로 분류하기 어려운 경로 변경 등의 네트워크 문제 유형의 식별을 돕기 위해서 이벤트를 역분류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니터되고 있는 호를 조사하고 이들 호의 근원지 아이디를 이용하여 호를 로직 그룹으로 함께 그룹화함으로써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에 대한 가이던스를 제공한다. 몇 측정 간격 동안, 동일한 네트워크 손상이 하나의 호 그룹에 대해서만 검출되면, 본 발명은 이 문제가 그 그룹의 호에 공통적인 몇 지점에서 발생했다고 추론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IP 및 비디오 트래픽을 통해 음성을 전송하는 데에 통상 이용되는 실시간 프로토콜 ("RTP") 패킷 스트림의 비강제적인 분석에 적용될 수 있다. 이들 패킷은 시퀀스 번호와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므로 테스트 패킷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은 또한 대다수의 평행 스트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트림의 세트에서 검출된 문제의 일치하는 타이밍을 관찰하는 것으로 그 문제가 네트워크의 특정 주요 위치나 영역에서 발생했다고 추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을 위해서 후술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방법 및 상술한 실시예의 변형들은 당업자에 의해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영역 내로 간주된다.
도 1은 통상의 패킷망을 설명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 액세스 링크 및 코어 패킷망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위 도면이다.
도 3은 두 공통 유형의 네트워크 손상의 예를 나타낸다.
도 3는 본 발명의 시연속의 문제 분류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1)는 근거리 통신망 ("LAN"; 12), 액세스 링크(13), 코어 패킷망(14), 원격 액세스 링크(15), 및 원격 근거리 통신망(16)을 통해 원격 멀티미디어 통신 장치(17)로 패킷을 규칙적인 간격으로 보낸다. 네트워크 문제는 LAN(12, 16), 액세스 링크(13, 15) 또는 코어 패킷망(14)에서 발생할 수 있다. 네트워크 분석기(10)는 보통 근거리 통신망(12, 16) 또는 액세스 링크(13, 15)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분석기(10)는 패킷 스트림이 통과하고 있는 통신 링크에 부착된다. 패킷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에 의해 캡쳐되어 패킷 필터(22)로 전달된다. 멀티미디어 통신 또는 "핑" 등의 특정 테스트 메시지의 결과인 타임 스탬프되거나 시퀀스 번호 매겨진 패킷(23)은 주소나 그 외 식별자로 분류된 다음에 타임스탬프 분석기(24)에 의해 지연 측정이 행해진다. 최종적인 지연 측정은 분류기(25)에 의해 요약되어 분석된 다음에 유저 인터페이스(26)를 통해 보고된다.
후술되는 유도 메트릭스의 세트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를 통해 모니터되고 있는 호의 세트 N에 대해, 타임스탬프 분석기(25) 및 분류기(26)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산된다. 메트릭스 값은 매 일 초와 같이 규칙적인 간격 T로 샘플된다. 이것으로 호의 수와 동일한 컬럼의 수와 샘플 측정 간격의 수와 동일한 로우의 수를 가지는 메트릭스 값의 어레이 세트를 만들게 된다.
유도된 메트릭스와 관련하여, 각 수신된 패킷에 대해 평가된 절대값 패킷 지연 변이 ("APDV") 또는 d는 패킷의 실제 도달 시간을 추정된 도달 시간과 비교하여 연산된다. 추정된 도달 시간은 실시간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에 이용되는 RTP 패킷이 전송 타임스탬프와 시퀀스 번호를 가지고, 규칙적인 간격으로 전송되는 것을 관찰하여 결정된다. 패킷의 추정 도달 시간은 현재 패킷에 대한 전송 타임스탬프에서 이전의 기준 패킷에 대한 전송 타임스탬프를 뺀 다음에, 이 시간차를 기준 패킷의 기준 도달 시간에 더하여 연산된다. 현재 패킷의 실제 도달 시간이 추정된 도 달 시간 보다 더 빠르면 현재 패킷은 기준 패킷으로 이용되고 기준 도달 시간은 실제 도달 시간으로 세트되고; 이것은 패킷 지연이 최소의 전송 지연과 컨제스천으로 인한 과도의 시간 변형 지연을 더한 것이라는 기본 원리를 인식한 것이다.
패킷의 상대적 패킷 대 패킷 지연 변이 ("PPDV") 또는 r은 현재 패킷에 대해 지연 값으로 도달하도록 이전 패킷의 도달 시간에서 현재 패킷의 실제 도달 시간을 빼고, 다음에 이전의 패킷에 대해 이전에 연산된 지연 값에서 이 지연 값을 빼는 것으로 연산된다.
단기간 지연 변이 ("Vsav")는 짧은 시주기 동안 또는 적은 수의 패킷에 대해 패킷 대 패킷 지연의 변이 측정으로 연산된다. 나타낸 실시예에서, 단기간 지연 변이는 절대치 r(i)의 연속 평균치로서 정의되고, 이 때 r(i)는 8과 32 사이의 짧은 시상수로, 이전의 패킷에 관련하여 (i)번째 패킷에 대해 상대적인 패킷 대 패킷 지연 변이이다.
단기간 평균 지연 ("Dsav")는 짧은 시주기에 걸쳐 이루어진 평균 지연의 측정으로 연산된다. 나타낸 실시예에서, 단기간 평균 지연은 절대값 d(i)의 연속 평균으로 정의되고, 이 때 d(i)는 8과 32 사이의 짧은 시상수로, 그 예상되는 도달 시간에 관련한 (i)번째 패킷의 지연이다.
타이밍 드리프트는 측정 지점의 지역 시각과 관련하여 패킷의 명확한 전송 시간의 장기간 시프트의 측정으로 연산된다. 이것은 일반적인 것으로 통상 초당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30마이크로초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은 최소의 지연을 갖는 이들 패킷을 식별하고, 이전에 식별된 최소한의 지연 패킷의 지연에서 새로 식별된 패킷의 지연을 빼고, 클럭 속도의 변경률을 추정하도록 이 뺀 값을 식별된 패킷 간의 시간격으로 나누는 것으로 타이밍 드리프트를 결정한다. 추정된 클럭 속도의 변경률은 통상 초당 100 마이크로초인, 임계치와 비교되어, 그 절대값이 임계치 보다 적은 경우에만 평균 변경률에 결합되게 된다. 이 프로세스는 큰 규모의 지연 변이로 인한 "노이즈"와 결합되는 값을 제거한다.
패킷 손실 ("PL")은 측정 지점 이전에 손실된 패킷의 비율의 측정으로 연산된다. 나타낸 실시예에서, 패킷 손실은 손실된 패킷에 수신된 패킷을 더한 것에 대한 손실된 패킷의 퍼센티지로 표현된다.
시퀀스에서 벗어난 패킷 ("Poseq")의 비율은 얼마나 많은 도달 패킷이 이들이 전송되게 되는 것과 동일한 시퀀스에 있지 않은지를 측정하여 연산된다.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시퀀스에서 벗어난 패킷의 비율은 수신된 총 패킷의 퍼센티지로 표현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컨제스천은 LAN(12, 16) 상에서, 억세스 링크(13, 15) 상에서, 또는 코어 패킷망(14)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LAN 컨제스천(31) 및 액세스 링크 컨제스천(32)의 통상적인 "시그네처"의 예를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에지 라우터에서 큐의 통합 효과로 인해, LAN 컨제스천(31)은 "스파이크" 시그내쳐를 제공하는 드문 지연 패킷을 초래하며 액세스 링크 컨제스천(32)은 지연 변이의 증가와 관련한 전체적인 단기간 지연 증가를 초래한다. 유사하게, 경로 변 경은 경로 변경에 이어 모든 패킷이 직면하게 되는 지연이 유사하게 증가되거나 감소됨에 따라 단차형 시그내쳐를 초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전의 손상 이벤트 그룹 (프로세스의 종료시 평가될 때)은 네트워크 문제의 실재적인 원인과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손실 패킷의 출현, 단기간 지연 스파이크의 출연, 지연의 단차 변경의 출현, 또는 큰 값의 단기간 지연 변이의 출현과 같은 각 손상이 이벤트로 식별된다. 이벤트는 공지된 공칭의 연속 지연(40)으로부터의 타이밍과 지연의 변경에 기초한 것이다. 이들 이벤트는 "이벤트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다음에 공지의 문제 프로파일과 비교 평가되어 특정 부류의 네트워크 문제 예를 들어, LAN 컨제스천 이벤트 그룹(41), 액세스 컨제스천 이벤트 그룹(43), 또는 경로 변경 이벤트 그룹(42)과 관련되게 카테고리화된다. 이들 프로파일과 그 외 관련되는 실행 파라미터로, 네트워크 문제와 위치를 유도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LAN 컨제스천 이벤트 그룹(41)은 지연의 증가가 수반되지 않는 높은 값의 단기간 지연 변이의 특성이 있으며, 또한 패킷 손실이 없다. 액세스 링크 컨제스천 이벤트 그룹(43)은 단기간 지연 변이의 증가가 수반되는 지연의 단차나 램프 증가에 이어서, 지연의 단차나 램프 감소의 특성이 있다. 경로 변경 이벤트 그룹(42)은 지연의 단차 증가나 감소의 특성이 있으며, 단기간 지연 변이의 레벨은 여전히 일정하다.
설명을 위해, 본 발명은 발생한 시간의 지연 변경을 주지한 다음에 이 지연을 몇 측정 간격 후에 재조사하였다. 지연이 그 원래 값으로 돌아가면, 이벤트는 컨제스천 이벤트 그룹의 일부로 간주되게 된다. 그러나, 지연이 새로운 값을 유지하게 되면, 이벤트는 경로 변경 이벤트 그룹으로 간주되게 된다.
본 발명은 품질의 저하의 원인이 되는 특정 네트워크 문제를 식별하는 것에 덧붙혀,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에 대한 가이던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를 통해 모니터되는 호의 일정 비율이나 모두를 조사한다 (도 2). 이들 호의 근원지 IP 주소와 같은 근원지 ID는 호를 로직 그룹으로 함께 그룹화하는 데에 이용된다. 몇 측정 간격 동안, 동일한 네트워크 손상이 한 그룹의 호에서만 검출되었다면, 본 발명은 문제가 그 그룹의 호에 일반적인 몇 지점에서 발생했다고 추론하게 된다. 예를 들어, 문제가 모니터되고 있는 모든 호에서 검출되게 되면, 본 발명은 문제가 관찰 지점에 가까운 네트워크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추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문제가 발생한 지점을 통과하고 있는 모든 패킷 스트림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액세스 링크 컨제스천과 같은 유형의 네트워크 문제를 포함하여, 문제를 인식하여 위치를 찾아낼 수가 있다. 각 스트림에 미치는 정확한 영향은 다르지만, 많은 통계적 유사성이 있다고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문제의 출현과 위치를 식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영역 내에서 이용될 수 있으며 고안될 수 있는 상술한 네트워크 문제를 식별하는 일반적인 방법에는 많은 다른 변형이 있을 수 있지만, 일 실시예를 후술의 알고리즘 (방법)으로 설명한다:
Figure 112005058115021-PCT00001
여러 유형의 손상을 상관되게 하여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변경이 지연의 감소를 가져오면 지연 변경 전의 마지막 패킷이 지연 변경 후 첫 패킷과 만날 가능성이 있다. 지연 감소가 액세스 링크의 컨제스천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에, 패킷의 순서는 보존되게 된다.
이 방법을 아래 나타낸 비주얼 베이직 예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58115021-PCT00002
Figure 112005058115021-PCT00003
Figure 112005058115021-PCT00004
Figure 112005058115021-PCT00005
Figure 112005058115021-PCT00006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러 수정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들 및 그 외 수정은 다음 청구범위의 정신 및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39)

  1.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문제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하나 이상의 간격 동안 하나 이상의 손상의 레벨을 판정하는 단계;
    b. 상기 하나 이상의 손상의 레벨을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c.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을 하나 이상의 문제 시그내쳐와 비교하는 단계; 및
    d.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하나 이상의 문제 시그내쳐 중 하나를 갖는 네트워크 문제와 관련되는 것으로 카테고리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하나 이상의 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호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c. 각 호 그룹에 대해 상기 네트워크 문제를 갖는 호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네트워크 문제를 갖는 호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호의 상기 근원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는:
    a. 상기 네트워크 문제를 갖는 상기 호 그룹 내의 호의 퍼센티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호의 퍼센티지가 높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가 상기 호 그룹과 관련되는 근원지와 동일하다고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손상은 지연, 패킷 손실, 지터, 왜곡, 절대적 패킷 지연 변이, 상대적 패킷 대 패킷 지연 변이, 단기간 지연 변이, 단기간 평균 지연, 타이밍 드리프트, 패킷 손실 및 시퀀스를 벗어난 패킷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문제는 근거리 통신망 컨제스천, 액세스 링크 컨제스천, 경로 변경, 액세스 링크 이상, 라우트 플래핑, 부하 분산 및 라우트 다이버시티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문제는 근거리 통신망 컨제스천, 액세스 링크 컨제스천, 경로 변경, 액세스 링크 이상, 라우트 플래핑, 부하 분산, 및 라우트 다이버시티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a.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호를 하나 이상의 호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c. 각 호 그룹에 대해 상기 네트워크 문제를 갖는 호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d. 상기 네트워크 문제를 갖는 호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는:
    a. 상기 네트워크 문제를 갖는 상기 호 그룹 내의 호의 퍼센티지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호의 퍼센티지가 높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가 상기 호 그룹과 관련되는 근원지와 동일하다고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일 위치에서 행한 측정으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손상의 레벨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a.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호를 하나 이상의 호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c. 각 호 그룹에 대해 상기 네트워크 문제를 갖는 호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네트워크 문제를 갖는 호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는:
    a. 상기 네트워크 문제를 갖는 상기 호 그룹 내의 호의 퍼센티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호의 퍼센티지가 높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가 상기 호 그룹과 관련되는 근원지와 동일하다고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손상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a. 상기 패킷의 실제 도달 시간에 대응하는 패킷에 로컬 타임스탬프를 적용하는 단계;
    b. 상기 패킷으로부터 송신 타임스탬프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패킷으로부터 송신 시퀀스 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패킷에 대해 예측되는 도달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패킷의 예측된 도달 시간으로부터 상기 패킷의 실제 도달 시간을 빼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손상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짧은 시주기 동안 상기 뺀 값의 평균을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문제 시그내쳐는:
    a. 지연 증가 없는 큰 값의 단기간 지연 변이;
    b. 단기간 지연 변이의 증가에 수반되는 지연 증가에 이은 지연 감소; 또는
    c.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기간 지연 변이의 레벨에 수반되는 지연의 증가나 감소
    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을 하나 이상의 문제 시그내쳐와 비교하는 단계는:
    a. 한 간격 동안의 지연 변경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b. 상기 간격 동안의 상기 단기간 지연 변이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c. 이전 간격이 지연 손상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는:
    a. 상기 지연 변경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고 상기 이전의 간격이 상기 지연 손상을 포함할 때, 상기 이벤트 그룹을 상기 액세스 링크 컨제스천으로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카테고리 화하는 단계는:
    a. 상기 지연의 변경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고, 상기 이전의 간격이 지연 손상을 포함하고, 상기 단기간 지연 변이의 레벨이 낮을 때, 상기 이벤트 그룹을 상기 경로 변경으로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는:
    a. 상기 지연의 변경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고, 상기 이전 간격이 지연 손상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단기간 지연 변이의 레벨이 증가할 때, 상기 이벤트 그룹을 상기 근거리 통신망 컨제스천으로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손상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a. 제1 패킷의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
    b. 후속 패킷의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패킷의 지연으로부터 상기 후속 패킷의 지연을 빼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손상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짧은 시주기 동안 상기 뺀 값의 평균을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문제 시그내쳐는:
    a. 지연 증가 없는 큰 값의 단기간 지연 변이;
    b. 단기간 지연 변이의 증가가 수반되는 지연의 증가에 이은 지연의 감소; 또는
    c.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의 단기간 지연 변이가 수반되는 지연의 증가나 감소
    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을 하나 이상의 문제 시그내처와 비교하는 단계는:
    a. 한 간격 동안의 지연 변경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b. 상기 간격 동안의 상기 단기간 지연 변이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c. 이전의 간격이 지연 손상을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는:
    a. 상기 지연 변경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고 상기 이전 간격이 상기 지연 손상을 포함할 때, 상기 이벤트 그룹을 상기 액세스 링크 컨제스천으로 카테고리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는:
    a. 상기 지연 변경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고, 상기 이전 간격이 상기 지연 손상을 포함하고, 상기 단기간 지연 변이의 레벨이 낮을 때, 상기 이벤트 그룹을 상기 액세스 링크 컨제스천으로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는:
    a. 상기 지연 변경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고, 상기 이전 간격이 상기 지연 손상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단기간 지연 변이의 레벨이 증가할 때, 상기 이벤트 그룹을 상기 근거리 통신망 컨제스천으로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손상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a. 최소의 지연을 갖는 제1 패킷을 식별하는 단계;
    b. 상기 패킷의 지연으로부터 제2 패킷의 지연을 빼는 단계;
    c. 상기 뺀 값을 상기 제1 및 제2 패킷 간의 시간격으로 나누어 클럭 속도의 변경률을 추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추정된 클럭 속도의 변경률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추정된 클럭 속도의 변경률을 평균 변경률에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손상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손실된 패킷의 수를 손상된 패킷과 수신된 패킷의 합의 퍼센티지로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손상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시퀀스를 벗어나 수신된 패킷의 수를 수신된 패킷의 총수의 퍼센티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문제 시그내처는:
    a. 지연 증가 없는 큰 값의 단기간 지연 변이;
    b. 단기간 지연 변이의 증가가 수반되는 지연 증가에 이은 지연 감소; 또는
    c.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의 단기간 지연 변이가 수반되는 지연의 증가나 감소
    를 포함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a.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호를 하나 이상의 호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c. 각 호 그룹에 대해 상기 네트워크 문제를 갖는 호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네트워크 문제를 갖는 호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호의 근원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는:
    a. 상기 네트워크 문제를 갖는 상기 호 그룹 내의 호의 퍼센티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호의 퍼센티지가 높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문제의 위치가 상기 호 그룹과 관련되는 근원지와 동일하다고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을 하나 이상의 문제 시그내 처와 비교하는 단계는:
    a. 한 간격 동안의 지연 변경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b. 상기 기간 동안의 상기 단기간 지연 변이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c. 이전의 간격이 지연 손상을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는:
    a. 상기 지연 변경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고 상기 이전 간격이 상기 지연 손상을 포함할 때, 상기 이벤트 그룹을 상기 억세스 링크 컨제스천으로 카테고리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는:
    a. 상기 지연 변경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고, 상기 이전 간격이 상기 지연 손상을 포함하고, 상기 단기간 지연 변이의 레벨이 낮을 때, 상기 이벤트 그룹을 상기 경로 변경으로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카테고리 화하는 단계는:
    a. 상기 지연 변경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고, 상기 이전 간격이 상기 지연 손상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단기간 지연 변이의 레벨이 증가할 때, 상기 이벤트 그룹을 상기 근거리 통신망 컨제스천으로 카테고리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57019556A 2003-04-14 2004-04-09 네트워크 문제를 식별하여 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시스템 KR100860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6299603P 2003-04-14 2003-04-14
US60/462,996 2003-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850A true KR20060026850A (ko) 2006-03-24
KR100860157B1 KR100860157B1 (ko) 2008-09-24

Family

ID=3330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556A KR100860157B1 (ko) 2003-04-14 2004-04-09 네트워크 문제를 식별하여 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08915B2 (ko)
EP (1) EP1614018A4 (ko)
JP (1) JP2007525856A (ko)
KR (1) KR100860157B1 (ko)
CA (1) CA2522892C (ko)
WO (1) WO200409289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229B1 (ko) * 2008-08-14 2011-09-22 주식회사 케이티 타임스탬프를 이용한 실시간 서비스의 고장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3604A2 (en) * 2004-08-17 2006-03-0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ngestion control using queue control and one-way delay measurements
US20060198312A1 (en) * 2005-02-01 2006-09-07 Schondelmayer Adam H Network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for altering the format and bandwidth of network messages
US20060200711A1 (en) * 2005-02-01 2006-09-07 Schondelmayer Adam H Network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network messages
WO2006083959A2 (en) * 2005-02-01 2006-08-10 Finisar Corporation Network diagnostic system and methods for aggregated links
US20060198318A1 (en) * 2005-02-01 2006-09-07 Schondelmayer Adam H Network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for statistical triggering
US20060190594A1 (en) * 2005-02-04 2006-08-24 Apparent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of a real time application operating over a packet-based network
US20070038880A1 (en) * 2005-08-15 2007-02-15 Noble Gayle L Network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storage devices
US8107822B2 (en) 2005-05-20 2012-01-31 Finisar Corporation Protocols for out-of-band communication
US20080075103A1 (en) * 2005-05-20 2008-03-27 Finisar Corporation Diagnostic device
US7899057B2 (en) * 2006-04-28 2011-03-01 Jds Uniphase Corporation Systems for ordering network packets
US20070211696A1 (en) * 2006-03-13 2007-09-13 Finisar Corporation Method of generating network traffic
US20060264178A1 (en) * 2005-05-20 2006-11-23 Noble Gayle L Wireless diagnostic systems
US20070104188A1 (en) * 2005-11-07 2007-05-10 Zenon Kuc Determining transmission latency in network devices
JP4648181B2 (ja) * 2005-12-16 2011-03-09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解析装置、データ解析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A2634913A1 (en) * 2005-12-22 2007-07-05 Telchemy, Incorporated Distributed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network problems
JP4606338B2 (ja) * 2006-01-30 2011-01-05 富士通株式会社 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US8213333B2 (en) 2006-07-12 2012-07-03 Chip Greel Identifying and resolving problems in wireless device configurations
US8526821B2 (en) 2006-12-29 2013-09-03 Finisar Corporation Transceivers for testing networks and adapting to device changes
CN101350740A (zh) * 2007-12-21 2009-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导致QoS异常因素的检测方法和系统
US7933214B2 (en) * 2008-08-29 2011-04-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Fault detection in a transport network
EP2194670A1 (en) * 2008-12-05 2010-06-09 Nokia Siemens Networks Oy Localisation method for bidirectional interruptions of communication links
US9680567B2 (en) * 2011-03-03 2017-06-13 Acacia Communications, Inc. Fault localization and fiber security in optical transponders
US20130173514A1 (en) * 2011-12-30 2013-07-04 Rev2 Networks, Inc. Automated Network Disturbance Prediction System Method & Apparatus
WO2014030061A2 (en) 2012-08-20 2014-02-27 Jds Uniphase Corporation Validating network traffic policy
US9197568B2 (en) * 2012-10-22 2015-11-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in software-defined networking based network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078811B2 (en) 2013-11-29 2018-09-18 Fedex Corporate Services, Inc. Determining node location based on context data in a wireless node network
US9392574B1 (en) * 2015-01-21 2016-07-1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Notification factors and rules for proactive notification of potential service impacts
US10491479B2 (en) * 2015-07-08 2019-11-26 Fedex Corporate Services,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of time gap related monitoring for an event candidate related to an ID node within a wireless node network
GB2535819B (en) * 2015-07-31 2017-05-17 Imagination Tech Ltd Monitoring network conditions
CA3014870A1 (en) 2016-03-23 2017-09-28 Fedex Corporate Services,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self-adjusting a broadcast setting of a node in a wireless node network
FR3092953B1 (fr) * 2019-02-15 2021-10-15 Thales Sa Dispositif electronique et procede de reception de donnees via un reseau de communication asynchrone, systeme de communication et programme d'ordinateur associes
US10873533B1 (en) * 2019-09-04 2020-12-22 Cisco Technology, Inc. Traffic class-specific congestion signatures for improving traffic shaping and other network ope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3140A (ja) * 1989-11-09 1991-07-01 Fujitsu Ltd パターン・ビットマップによる故障判定方式
JPH05260050A (ja) * 1992-03-13 1993-10-08 Hitachi Ltd 網障害診断システム
JPH06284148A (ja) * 1993-03-30 1994-10-07 Hitachi Ltd 動画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装置
US5528516A (en) * 1994-05-25 1996-06-18 System Management Ar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vent correlation and problem reporting
JP3452997B2 (ja) * 1995-02-08 2003-10-06 富士通株式会社 回線品質劣化区間推定方法
US5666353A (en) * 1995-03-21 1997-09-09 Cisco Systems, Inc. Frame based traffic policing for a digital switch
AUPN786896A0 (en) * 1996-02-02 1996-02-29 Telstra Corporation Limited A network fault system
US6377570B1 (en) * 1997-02-02 2002-04-23 Fonefriend Systems, Inc. Internet switch box,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telephony
US20010052087A1 (en) * 1998-04-27 2001-12-13 Atul R. Garg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network environment
US6990616B1 (en) * 2000-04-24 2006-01-24 Attune Networks Ltd. Analysis of network performance
WO2001088763A1 (en) * 2000-05-18 2001-11-22 Brix Networks, Inc. Ip packet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tcp connection and udp stream
JP2002164890A (ja) * 2000-11-27 2002-06-07 Kddi Corp ネットワークの診断装置
US20020152185A1 (en) * 2001-01-03 2002-10-17 Sasken Communication Technologies Limited Method of network modeling and predictive event-correl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by the use of contextual fuzzy cognitive maps
JP2002271392A (ja) * 2001-03-06 2002-09-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Ip網における呼毎の音声品質管理方法
US20030225876A1 (en) * 2002-05-31 2003-12-04 Peter Oliver Method and apparatus for graphically depicting network performance and connectivity
US7242668B2 (en) * 2002-11-07 2007-07-10 Alcatel Lucent Network monitoring system responsive to changes in packet arrival variance and mea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229B1 (ko) * 2008-08-14 2011-09-22 주식회사 케이티 타임스탬프를 이용한 실시간 서비스의 고장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92891A2 (en) 2004-10-28
CA2522892A1 (en) 2004-10-28
EP1614018A2 (en) 2006-01-11
US20040225916A1 (en) 2004-11-11
CA2522892C (en) 2010-06-29
US7808915B2 (en) 2010-10-05
WO2004092891A3 (en) 2006-07-27
EP1614018A4 (en) 2012-07-04
KR100860157B1 (ko) 2008-09-24
JP2007525856A (ja)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157B1 (ko) 네트워크 문제를 식별하여 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시스템
US76843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izing individual streams within a multimedia flow
EP16461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trusive measurement of delay variation of data traffic on communication networks
US7417991B1 (en) Network quality estimation
US77920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network data packet delay, jitter and loss
EP1382219B1 (en) Method and device for robust real-time estimation of bottleneck bandwidth
US8531952B2 (en) Method for measurement of network path capacity with minimum delay difference
US8687507B2 (en) Method, arrangement and system for monitoring a data path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8536346A (ja) パケットベースのネットワークにわたって動作するリアルタイムアプリケーションのサービス品質を評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509229B1 (en) Bayesian approach to correlating network traffic congestion to performance metrics
EP18256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real time multimedia sessions
Daniel et al. An interarrival delay jitter model using multistructure network delay characteristics for packet networks
US7701852B1 (en) Method for analyzing performance of a network through measuring and reporting delay in routing devices
US7385930B2 (en) Packet discard point probing method and device
JP3953999B2 (ja) 輻輳検知装置、tcpトラヒックの輻輳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ui et al. SCONE: A tool to estimate shared congestion among Internet paths
Ozturk et al. DIChirp: Direct injection bandwidth estimation
US8054760B2 (en) Line-rate, real-time-traffic detector
Dempsey et al. An empirical study of packet voice distribution over a campus-wide network
Bali et al. Characterizing user‐perceived impairment events using end‐to‐end measurements
Kampichler et al. On measuring quality of service limitations in local area networks
Luong et al. Unicast probing to estimate shared loss rate
Loukatos et al. An approach to the quantification of delay variation effects on live audio streams
CN112615764A (zh) 一种基于主被动相结合的空地宽带链路网络带宽测量方法
Dinh Luong et al. Unicast probing techniques for estimation of shared loss 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