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5726A - 내용 기반 분류를 이용한 웹사이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용 기반 분류를 이용한 웹사이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5726A
KR20060025726A KR1020040074518A KR20040074518A KR20060025726A KR 20060025726 A KR20060025726 A KR 20060025726A KR 1020040074518 A KR1020040074518 A KR 1020040074518A KR 20040074518 A KR20040074518 A KR 20040074518A KR 20060025726 A KR20060025726 A KR 20060025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word
web page
keyword
web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284B1 (ko
Inventor
신형주
양승현
신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40074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284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페이지상에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주로부터 등록받은 각 키워드 별로 단어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단어 정보와 사용자가 브라우징(browsing)하고 있는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한 주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키워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키워드에 따른 광고를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광고 및 상기 광고와 연관된 제1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별로 상기 제1 키워드와 연관된 단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브라우징(browsing)되는 웹페이지로부터 복수의 주제어를 포함하는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제어 리스트 및 상기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제2 키워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브라우징하고 있는 웹페이지에 게재되는 웹사이트 광고와 상기 웹페이지와의 내용적 연관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웹사이트 광고를 선택하는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웹사이트 광고, 키워드 광고, 주제어 리스트 추출, 단어 정보, 내용 기반 분류, 키워드 확장, 단어 벡터

Description

내용 기반 분류를 이용한 웹사이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EB SITE ADVERTISEMENT USING CONTENT-BASED CLASS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웹페이지로부터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웹페이지에 대한 필터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형태소 분석을 통한 단어 벡터 생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키워드 선택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용 기반 분류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에 포함된 웹사이트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단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여러 검색 사이트의 검색 결과 중 사 이트 광고인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단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주의 웹사이트의 컨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단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여러 검색 사이트의 검색 결과 중 상위 문서에 기초하여 단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용 기반 분류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자동 유지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0 : 광고 제공 시스템
1201 : 제1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
1202 : 제2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
1203 : 주제어 추출 모듈
1204 : 키워드/웹사이트 선택 모듈
1205 : 광고 제공 모듈
1210 : 사용자
본 발명은 웹페이지상에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주로부터 등록받은 각 키워드 별로 단어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단어 정보와 사용자가 브라우징(browsing)하고 있는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한 주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키워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키워드에 따른 광고를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웹사이트 광고는 광고주와 광고대행자 및 파트너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는 광고주가 자신의 웹사이트 혹은 회사, 상품을 가장 잘 표현한다고 생각하는 키워드를 광고대행자에게 등록하고, 광고대행자가 파트너 웹사이트에 이 광고주의 광고를 게재하는 방식이다. 파트너 웹사이트는 일반적으로 검색 기능을 갖춘 인터넷 포탈이나 뉴스사 등이 되는데, 사용자가 이런 파트너 웹사이트에서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을 수행하면, 파트너 웹사이트는 이 검색어를 광고대행자에게 전달하고, 광고대행자는 이 검색어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등록한 광고주의 광고를 다시 파트너 웹사이트에게 전달하여 게재한다. 이 때, 사용자가 이러한 웹사이트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광고주가 광고대행자에게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하느냐에 따라 광고주와 파트너 웹사이트에 이익이 발생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은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였을 때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단순 브라우징(browsing)하는 경우에는 웹사 이트 광고를 게재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한 형태의 내용 기반 키워드 광고 기법이 사용되는데, 이는 파트너 웹사이트의 컨텐츠 분류 기준을 활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파트너 웹사이트가 뉴스 웹사이트인 경우 이 웹사이트는 자신의 컨텐츠를 정치, 경제, 연예오락, 스포츠 등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은데, 광고대행자는 사용자가 브라우징 하는 페이지가 스포츠에 속한 컨텐츠인 경우, 스포츠 관련 광고주 중 몇 개를 임의로 선택하여 광고를 게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페이지의 내용과 광고간의 연관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광고에 대해 관심을 거의 가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트너 웹사이트가 추가될 때마다 해당 웹사이트의 컨텐츠 분류에 따라 키워드를 새로 분류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파트너 웹사이트의 컨텐츠 분류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는데, 이 분류가 바뀔 때마다 파트너 웹사이트와 광고대행자는 바뀐 분류에 따라 분류별 키워드를 새로 작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광고주가 아직 등록하지 않은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의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을 요청하기 때문에 그러한 검색에 대한 광고주의 광고 노출 범위는 매우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확장 검색 등의 방법(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가 광고주가 등록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이라던지, 단어 나열 순서가 바뀐 경우에도 해당 웹사이트 광고를 게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에 의하더라도 내용의 유사성에 의한 광고 게재는 할 수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결혼 예물" 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혼수" 또는 "예물 시계" 등의 키워드를 등록한 광고주의 광고는 게재할 수가 없다.
이에, 사용자가 브라우징하고 있는 웹페이지에 게재되는 웹사이트 광고와 상기 웹페이지와의 내용적 연관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웹사이트 광고를 선택하는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이 요청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웹페이지상에서 웹사이트를 광고함에 있어, 사용자가 브라우징하고 있는 웹페이지에 게재하는 웹사이트 광고와 상기 웹페이지와의 내용적 연관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웹사이트 광고를 선택하는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사용자가 브라우징하고 있는 웹페이지에 키워드를 할당함에 있어 상기 웹페이지의 실제 내용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주제어를 추출하고, 이 주제어를 키워드로 자동 할당하여 상기 웹페이지의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하는 키워드를 할당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웹사이트 광고에 대한 관심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확장함에 있어 단순한 확장 검색이 아닌 검색어 자동분류를 이용하여 검색어의 실제 종류가 어떤 것인지에 의해 키워드를 할당함으로써 광고의 노출범위를 정확한 방향으로 높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파트너 웹사이트의 컨텐츠 분류 체계를 광고대행사의 키워드에 할당하기 위한 초기 작업을 할 필요가 없도록 함과 동시에, 파트너 웹사이트의 컨텐츠 분류 체계가 변화하더라도 광고 게재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파트너 웹사이트와 광고 대행자가 이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해야만 하는 수고를 줄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주제어와 키워드간의 관계가 학습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화해 나가도록 하여, 새로운 검색어 또는 컨텐츠에 대하여도 광고의 내용을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광고주가 키워드를 등록하지 않고 웹사이트만 등록하는 경우에 웹페이지를 등록된 키워드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등록된 웹사이트로 직접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변화된 웹사이트의 내용에 맞는 키워드에 대해 광고가 게재되도록 하여, 광고주가 광고대행사에 등록된 키워드 및 웹사이트 설명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수고를 경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광고 및 상기 광고와 연관된 제1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별로 상기 제1 키워드와 연관된 단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브라우징(browsing)되는 웹페이지로부터 복수의 주제어를 포함하는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제어 리스트 및 상기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제2 키워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광고 및 상기 광고와 연관된 제1 웹사이트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웹사이트 별로 상기 제1 웹사이트와 연관된 단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브라우징(browsing)되는 웹페이지로부터 복수의 주제어를 포함하는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제어 리스트 및 상기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제2 웹사이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웹사이트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웹페이지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상기 웹페이지의 내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내용 정보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통해 상기 내용 정보로부터 단어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어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검색어로부터 제2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2 주제어 리스트 및 상기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제2 키워드 또는 제2 웹사이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 또는 상기 제2 웹사이트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 및 상기 광고와 연관된 제1 키워드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포함하여 유지하기 위한 제1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 상기 제1 키워드 별로 상기 제1 키워드와 연관된 단어 정보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포함하여 유지하기 위한 제2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 사용자에 의해 브라우징(browsing)되는 웹페이지로부터 복수의 주제어를 포함하는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기 위한 주제어 추출 모듈, 상기 추출된 주제어 리스트 및 상기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제2 키워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워드 선택 모듈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하는 광고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 기반 분류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소정의 광고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광고 및 상기 광고와 연관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유지하고, 또한 상기 키워드 별로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단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110)를 생성,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광고 및 상기 광고와 연관된 웹사이트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유지하고, 또한 상기 웹사이트 별로 상기 웹사이트와 연관된 단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120)를 생성,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 또는 120)의 생성, 유지 및 관리 과정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단계(S101)에서 사용자가 파트너 웹사이트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단계(S102)에서 상기 홈페이지상의 소정의 검색창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이러한 검색어 입력 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홈페이지상에 제시된 메뉴, 링크 등을 클릭하거나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면, 그에 따른 출력으로서 소정의 웹페이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단계(S103)에서 상기 사용자는 이렇게 제공된 웹페이지를 브라우징할 수 있다.
단계(S104)에서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브라우징(browsing)되는 웹페이지로부터 복수의 주제어를 포함하는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한다.
도 2는 상기와 같이 웹페이지로부터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단계(S201)에서 웹페이지(210)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단계(S202)에서 웹페이지(210)의 내용 정보를 추출한다.
도 3은 웹페이지(210)에 대한 필터링을 예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웹페이지(210)는 실제 내용과 광고 등 그 실제 내용과 큰 관계가 없는 부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브라우징하고 있는 웹페이지(210)의 소스를 분석하여 광고를 비롯한 웹페이지(210)의 실제 내용과 큰 관계가 없는 부분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부분을 제외한 웹페이지(210)의 실제 내용만을 내용 정보로서 추출한다. 웹페이지(210)의 실제 내용과 큰 관계가 없는 부분에는 웹페이지(210)에 포함된 광고, 하이퍼 링크 리스트, 플래시 무비, 주석, 반복되는 문자열 등이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이렇게 추출된 내용 정보를 실제 내용 문서 di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단계(S203)에서 실제 내용 문서 di에 대하여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단계(S204)에서 단어 벡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도 4는 형태소 분석을 통한 단어 벡터 생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실제 내용 문서 di에 각 단어가 나타난 횟수를 기록하여 단어 벡터의 생성에 활용할 수 있다.
일례로, 단어 벡터는 t, tf, df로 구성될 수 있다.
D = {d 1 , d 2 , ..., d N }
d i = {(t i1 , tf i1 , df i1 ), (t i2 , tf i2 , df i2 ), ...., (t iM' , tf iM' , df iM' )}
t ij 란 실제 내용 문서 d i j번째 단어를 의미하고, tf ij 는 term frequency 즉 t ij d i 에 나타난 횟수를 의미하며, df ij 는 document frequency 즉 t ij 가 전체 N개의 웹페이지 중 몇 개의 실제 내용 문서에 나타났는지를 의미한다.
이 때, 실제 내용 문서 d i 에 나타난 모든 단어를 검색에 사용할 수는 없으므로,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단계(S205)에서 M'개의 단어에 대하여 단어별 가중치를 계산함으로써, 그 중 가중치가 높은 단어 M개를 선택하는데 이것이 주제어 리스트 추출이다.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단어별 가중치를 tf와 df값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df값을 알아내기 위해 키워드 또는 웹사이트 별로 단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110 또는 120)를 참조할 수 있다.
단어는 실제 내용 문서 d i 에 여러 번 나타날수록 그 선택될 확률이 높아지나, 실제 내용 문서 d i 를 포함한 다른 실제 내용 문서들에도 동일하게 여러 번 나타나는 경우라면 그 선택될 확률이 낮아질 수 있다.
일례로, 각 단어의 가중치를 계산하는 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idf ij = log((N+1)/df ij ), N= 총 실제 내용 문서의 개수
가중치 w ij = tf ij *idf ij i
이와 같이 각 단어의 가중치를 계산해서 상위 M개의 단어를 주제어로서 추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추출된 복수의 주제어를 주제어 리스트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d i = {(t i1 , tf i1 , df i1 ), (t i2 , tf i2 , df i2 ), ...., (t iM , tf iM , df iM )}
도 5는 키워드 선택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5)에서 상기 추출된 주제어 리스트 및 데이터베이스(110)에 포함된 키워드별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사용자가 브라우징하고 있는 웹페이지와 연관된 키워드를 선택한다.
데이터베이스(110)는 광고주들이 등록한 키워드 집합 K = {k 1 , k 2 ... , k K }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키워드는 자신과 연관하여 단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일례로 상기 단어 정보는 다음과 같은 주제어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k k = {(t k1 , tf k1 , df k1 ), (t k2 , tf k2 , df k2 ), ...., (t kM , tf kM , df kM )}
여기서, 실제 내용 문서 d i 를 어떤 키워드 k k' 로 분류할 것인가가 문제되는데, 일례로 k k' 를 선택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k' = max(k=1, ..., K)score(d i , k k )
score(d i , k k ) = sum(j=1,...,M) w ij * w' kj (w ij : 실제 내용 문서 d i j번째 단어 t j 의 가중치, w' lj : 키워드 k k j번째 단어 t j 의 가중치)
즉, 단어 정보는 소정의 단어 별로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5)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리스트의 주제어와 매칭되는 상기 단어에 대하여 양자의 가중치를 곱셈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곱셈값 중 최대 값에 해당하는 단어를 키워드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6)에서 상기 추출된 주제어 리스트 및 데이터베이스(120)에 포함된 웹사이트 별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사용자가 브라우징하고 있는 웹페이지와 연관된 웹사이트를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광고주들이 등록한 웹사이트 집합 S = {s 1 , s 2 ... , s S }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웹사이트는 자신과 연관하여 단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일례로 상기 단어 정보는 다음과 같은 주제어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s s = {(t s1 , tf s1 , df s1 ), (t s2 , tf s2 , df s2 ), ...., (t sM , tf sM , df sM )}
여기서, 실제 내용 문서 d i 를 어떤 웹사이트 s s' 로 분류할 것인가가 문제되는데, 일례로 s s' 를 선택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s' = max(s=1, ..., S)score(d i , s s )
score(d i , s s ) = sum(j=1,...,M) w ij * w' sj (w ij : 실제 내용 문서 d i j번째 단어 t j 의 가중치, w' sj : 웹사이트 s s j번째 단어 t j 의 가중치)
즉, 단어 정보는 소정의 단어 별로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6)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리스트의 주제어와 매칭되는 상기 단어에 대하여 양자의 가중치를 곱셈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곱셈값 중 최대 값에 해당하는 단어를 키워드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7)에서 광고주의 광고를 키워드와 연관하여 포함하고 있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사용자에 의해 브라우징되고 있는 웹페이지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7)에서 광고주의 광고를 웹사이트와 연관하여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웹사이트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사용자에 의해 브라우징되고 있는 웹페이지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키워드 별 또는 웹사이트 별로 그와 연관된 단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110 또는 120)의 생성, 유지 및 관리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용 기반 분류를 위한 데이터베이스(1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단어 정보 k k = {(t k1 , tf k1 , df k1 ), (t k2 , tf k2 , df k2 ), ...., (t kM , tf kM , df kM )}를 어떻게 만드는가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 포탈"이라는 키워드와 연관된 단어는 다음과 같이 생성될 수 있는데,
검색포털, naver, empas, daum, 엠파스, COO, e메일, hankyung, ID, Identity, InFocus, Intel, IT기업, Korea, kr, KT, KT의, LG전자, 효과, Ltd, MS, MSN, MS도, .com, Oracle, pyt, SK커뮤니케이션즈, SK텔레콤, TV, voice, yahoo
이러한 단어를 결정하는 방법과 상기 단어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1) 해당 키워드를 등록한 웹사이트의 웹사이트 설명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에 포함된 웹사이트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단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고 컴퓨터"에 대해 등록한 웹사이트가 5개가 있다고 할 때 각 사이트의 설명에 나온 단어들이 다음 표와 같이 이 키워드에 대한 단어 집합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중고 컴퓨터
중고 컴퓨터, Dell, 컴퓨터, 데스크톱, 노트북, 판매, 제품사양, 조립견적, 할인구매, 중고 모니터, LCD, 허브, ....
여기에 속한 단어의 경우 해당 키워드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광고주에 의해 결정된 단어들이므로 가중치를 높여서 M개의 단어 안에 포함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2) 해당 키워드로 메타 검색한 결과 중 광고 검색 결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엔진을 통한 검색 결과 중 광고인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단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대부분의 검색 포탈 웹사이트(예를 들어, 엠파스,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는 검색 결과로서 스폰서 링크(광고 검색 결과)를 게재한다.
도 8과 같은 메타검색의 광고 검색 결과로 게재되는 웹사이트 설명에 나온 단어들에 대해 가중치를 계산하여 다음 표와 같이 키워드에 대한 단어 정보의 일부를 결정할 수 있다.
중고 컴퓨터
중고 컴퓨터, 중고 모니터, 전문 쇼핑몰, 고가 매입, 중고 노트북, 플래시메모리, 노트북, LCD, 중고부품, 고품질...
여기에 속한 단어들 역시 해당 키워드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사람에 의해 결정된 단어들이므로 가중치를 부여하여(상기 (1)의 단어 가중치보다는 낮게) M개의 단어 안에 포함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3) 해당 키워드를 등록한 사이트의 컨텐츠 분석결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웹사이트의 컨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단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해당 키워드를 등록한 웹사이트의 첫 페이지는 그 키워드와 관련성이 높은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예를 들어, "중고 컴퓨터"라는 키워드를 엠파스에 등록한 사이트 중 하나인 http://www.junggodanawa.com의 경우, 그 첫 페이지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다.
이와 같이 키워드를 등록한 웹사이트의 컨텐츠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계산하여 다음 표와 같이 키워드에 대한 단어 정보의 일부를 결정할 수 있다.
중고 컴퓨터
펜티엄, LCD, 판매가격, 인텔, 삼성, 삼보, LG, 일반모니터, XP, Dimension, Windows, Home, 포함, 프로세서, 모니터, 한글Microsoft, 한정판매, TG, CD, LBM, 4GHz, 업그레이드, 80GHz, 무료, 1Ghz, Intel, 할인, HT, 다량, 시스템, 0GHz, 추가, 추가할인, 기술기반, 인텔Pentium...
키워드를 등록된 웹사이트의 첫 페이지는 웹사이트 관리자에 의해 웹사이트의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하는 단어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해당 키워드와도 관련성이 높은 단어들이 많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에 속한 단어들에도 역시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2)의 단어 가중치보다는 낮게) M개의 단어 안에 포함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4) 해당 키워드로 메타 검색한 결과 중 상위 문서
상기 (1) 내지 (3)에서 생성된 웹사이트 광고에서 생성한 단어 정보 외에 일반적인 웹페이지에서 해당 키워드와 연관된 단어도 추출하여 상기 단어 정보에 추 가할 수 있다. 일례로, 메타검색 또는 웹로봇으로 수집한 일반 웹페이지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엔진을 통한 검색 결과 중 상위 문서에 기초하여 단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례로, 메타검색을 사용할 경우, 예를 들어 5개의 검색 포탈 웹사이트에 "중고 컴퓨터"라는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중 상위 웹페이지 리스트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다.
중고 컴퓨터
중고컴퓨터, 컴퓨터, 중고, 중고모니터, 모니터, 중고PC, 노트북, 부품, 보안, 중고노트북, okpcmart, CPU, PC, HDD, RAM, 허브, 전문, oldcomputer, 중고부품, PC방매매관련, VGA, 프린터, 소프트웨어, 수거, 전문쇼핑몰, 중고컴퓨터쇼핑몰, 복사기, 컴부품판매, 프레임, 조립컴퓨터, 삼성, 메인보드, 중고컴퓨터세상, 도소매, 중고컴퓨터점, LCD, board, CDROM계열, 본체, 하드웨어, 필립스, 피씨마트, 중고컴퓨터튜닝...
이 리스트에 나온 단어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계산하여 위 표와 같이 키워드에 대한 단어 정보의 일부를 결정할 수 있다.
웹로봇을 통해 수집한 문서에 대한 검색 방법도 위와 마찬가지로, 웹로봇을 통해 현재까지 수집된 문서에 대해 해당 키워드로 검색을 수행하고, 상위에 리스트 되는 웹페이지를 분석하여 단어 리스트를 추출하며, 각 단어별 가중치를 계산하여 위 표와 같이 키워드에 대한 단어 정보의 일부를 결정할 수 있다.
(5) 관리자 입력
상기 (1) 내지 (4)의 방법으로 생성된 단어 정보 외에도, 필요한 경우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키워드에 단어를 수동으로 할당할 수 있다. 관리자에 의해 할당된 단어는 상기 (1) 내지 (4)에서 생성된 단어보다 가중치를 크게 부여하여 M개의 단어 안에 포함될 확률을 가장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10)를 자동으로 유지, 관리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용 기반 분류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자동 유지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베이스(110)에서 키워드에 할당된 단어 정보는 해당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단어의 리스트이다. 이러한 단어의 리스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동될 필요가 있다. 가령, 키워드 "중고 모니터"에 대한 단어 리스트에 과거에는 "CRT 모니터"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지만, 현재는 "CRT 모니터"보다는 "LCD모니터"가 더 적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110)의 유지 및 관리도 데이터베이스(110) 생성 단계에서 사용한 방법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 해당 키워드를 등록한 웹사이트의 웹사이트 설명이 수정되어 새로 등록된 경우, 새로이 등록된 내용을 분석한 단어 리스트로 기존의 단어 리스트를 교체할 수 있다.
(2) 주기적인 메타검색을 통해 각 검색 포탈의 스폰서 링크의 설명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새로운 주제어를 추가하거나 그 가중치값을 변경할 수 있다.
(3) 웹사이트 광고에 등록된 웹사이트의 첫 페이지의 변동 사항을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새로운 단어를 추가하거나 그 가중치값을 변경할 수 있다.
(4) 웹사이트 광고를 사용자가 클릭하였을 때, 해당 광고가 게재된 웹페이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새로운 단어를 추가하거나 그 가중치값을 변경할 수 있다.
(5) 주기적인 메타검색을 통해 메타검색의 상위 리스트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새로운 단어를 추가하거나 그 가중치값을 변경할 수 있다.
(6) 웹로봇을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웹페이지를 수집하되, 주기적으로 수집된 문서를 최근의 문서로 교체하고, 현재 수집된 문서에 대해 해당 키워드로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의 상위 리스트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새로운 단어를 추가하거나 그 가중치값을 변경할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의 방법으로 새롭게 생성되거나 변경된 단어 정보 외에 필요한 경우 관리자에 의해 키워드에 단어 정보를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웹사이트 별로 그와 연관된 단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120)의 생성, 유지 및 관리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단어 정보 s s = {(t s1 , tf s1 , df s1 ), (t s2 , tf s2 , df s2 ), ...., (t sM , tf sM , df sM )}를 어떻게 만드는가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중고 컴퓨터 관련 사이트인 http://www.junggodanawa.com이 웹사이트 광고에 등록되어 있다고 할 때 이 웹사이트에 대한 단어 정보는 다음과 같이 생성될 수 있는데,
펜티엄, LCD, 판매가격, 인텔, 삼성, 삼보, LG, 일반모니터, XP, Dimension, Windows, 프로세서, 모니터, 한글Microsoft, 한정판매, TG, CD, 업그레이드
이러한 단어 및 각 단어의 가중치값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1) 해당 웹사이트의 웹사이트 설명
http://www.junggodanawa.com의 광고주가 "중고 컴퓨터"라는 키워드를 등록하고, 그 웹사이트 광고를 위한 웹사이트 설명이 다음과 같다면,
중고컴퓨터다나와 - 중고 컴퓨터, 중고 모니터, LCD, 허브, 부품, 보상판매 www.junggodanawa.com
이 웹사이트에 대한 단어 정보에는 다음 단어들이 포함될 수 있다.
www.junggodanawa.com
중고 컴퓨터, 중고 모니터, LCD, 허브, 부품, 보상판매
여기에 속한 단어의 경우 해당 웹사이트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광고주에 의해 결정된 단어들이므로 가중치를 높여서 M개의 단어 안에 포함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2) 등록한 웹사이트의 웹사이트 컨텐츠 분석 결과
해당 웹사이트의 첫 페이지는 그 키워드와 관련성이 높은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예를 들어, "중고 컴퓨터"라는 키워드를 엠파스에 등록한 웹사이트 중 하나인 http://www.junggodanawa.com의 경우 첫 페이지가 도 9와 같다.
이 페이지의 단어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여 다음과 같이 웹사이트에 대한 단어 정보의 일부를 결정할 수 있다.
http://www.junggodanawa.com/
펜티엄, LCD, 판매가격, 인텔, 삼성, 삼보, LG, 일반모니터, XP, Dimension, Windows, 프로세서, 모니터, 한글Microsoft, 한정판매, TG, CD, 업그레이드
등록된 웹사이트의 첫 페이지는 웹사이트 관리자에 의해 웹사이트의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하는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 속한 단어들 역시 가중치를 높여서 (상기 (1)의 단어 가중치보다는 낮게) M개의 단어 안에 포함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3) 관리자 입력
상기 (1) 및 (2)의 방법으로 생성된 웹사이트 별 단어 정보 외에, 필요한 경우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웹사이트에 단어를 수동으로 할당할 수 있다. 관리자에 의해 할당된 단어에는 상기 (1) 및 (2)에서 생성된 단어보다 가중치를 가장 크게 부여하여 M개의 단어 안에 포함될 확률을 가장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20)를 자동으로 유지, 관리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웹사이트에 할당된 단어 정보는 해당 웹사이트와 연관성이 높은 단어의 리스트이다. 이러한 단어의 리스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동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120)의 유지 및 관리도 데이터베이스(120) 생성 단계에서 사용한 방법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 등록된 웹사이트의 웹사이트 설명이 수정되어 새로 등록된 경우, 새로이 등록된 내용을 분석한 단어 리스트로 기존의 단어 리스트를 교체할 수 있다.
(2) 등록된 웹사이트의 첫 페이지의 변동 사항을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새로운 단어를 추가하거나 그 가중치값을 변경할 수 있다.
(3) 상기 (1) 및 (2)의 방법으로 새롭게 생성되거나 변경된 단어 정보 외에, 필요한 경우 관리자에 의해 웹사이트에 단어를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의 내용에 기반하여 확장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검색어와 내용적으로 연관된 광고를 웹페이지상에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광고주가 아직 등록하지 않은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의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을 요청할 수 있기 때문에, 검색에 대한 광고주의 광고 노출 범위는 매우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확장 검색 등의 방법(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가 광고주가 등록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이라던지, 단어 나열 순서가 바뀐 경우에도 해당 웹사이트 광고를 게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에 의하더라도 내용의 유사성에 의한 광고 게재는 할 수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결혼 예물" 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혼수" 또는 "예물 시계" 등의 키워드를 등록한 광고주의 광고는 게재할 수가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가 키워드에 일치되지 않는 경우라 하여도, 내용 기반 검색어 확장을 통해 상기 검색어와 내용적으로 연관된 웹사이트 광고를 게재할 수 있다.
도 1의 단계(S102)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4)에서 상기 입력된 검색어로부터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5 또는 S106)에서 상기 추출된 주제어 리스트 및 데이터베이스(110 또는 120)에 포함된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110 또는 12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브라우징되는 웹페이지와 연관된 키워 드 또는 웹사이트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7)에서 광고주의 광고를 키워드와 연관하여 포함하고 있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사용자에 의해 브라우징되고 있는 웹페이지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7)에서 광고주의 광고를 웹사이트와 연관하여 포함하고 있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웹사이트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사용자에 의해 브라우징되고 있는 웹페이지상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 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1200)은 제1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1201), 제2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1202), 주제어 추출 모듈(1203), 키워드/웹사이트 선택 모듈(1204) 및 광고 제공 모듈(12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1201)은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광고 및 상기 광고와 연관된 제1 키워드/제1 웹사이트를 제1 데이터베이스(1206)에 포함하여 유지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1202)은 상기 제1 키워드/제1 웹사이트 별로 상기 제1 키워드/제1 웹사이트와 연관된 단어 정보를 제2 데이터베이스(110/120)에 포함하여 유지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110/120)의 생성, 유지 및 관리 과정에 대하여는 본 명세서에서 도 6 내지 11을 통해 설명한 바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주제어 추출 모듈(1203)은 사용자(1210)에 의해 브라우징(browsing)되는 웹페이지로부터 복수의 주제어를 포함하는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한다. 도 2 내지 4 는 상기와 같이 웹페이지로부터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 내지 4에 대하여는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키워드/웹사이트 선택 모듈(1204)은 상기 추출된 주제어 리스트 및 상기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110/120)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제2 키워드/제2 웹사이트를 선택한다. 도 5는 키워드 선택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에 대하여는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광고 제공 모듈(1205)은 제1 데이터베이스(1206)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제2 웹사이트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하여, 사용자(1210)의 광고 선택을 유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의 내용에 기반하여 확장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검색어와 내용적으로 연관된 광고를 웹페이지상에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가 키워드에 일치되지 않는 경우라 하여도, 내용 기반 검색어 확장을 통해 상기 검색어와 내용적으로 연관된 웹사이트 광고를 게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주제어 추출 모듈(1203)은 상기 검색어로부터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고, 키워드/웹사이트 선택 모듈(1204)은 상기 추출된 주제어 리스트 및 제2 데이터베이스(110/120)에 포함된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110/120)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의해 브라 우징되고 있는 웹페이지와 연관된 제2 키워드/제2 웹사이트를 선택하고, 광고 제공 모듈(1205)은 제1 데이터베이스(1206)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제2 웹사이트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웹페이지상에서 웹사이트를 광고함에 있어, 사용자가 브라우징하고 있는 웹페이지에 게재하는 웹사이트 광고와 상기 웹페이지와의 내용적 연관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웹사이트 광고를 선택하는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브라우징하고 있는 웹페이지에 키워드를 할당함에 있어 상기 웹페이지의 실제 내용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주제어를 추출하고, 이 주제어를 키워드로 자동 할당하여 상기 웹페이지의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하는 키워드를 할당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웹사이트 광고에 대한 관심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 력한 검색어를 확장함에 있어 단순한 확장 검색이 아닌 검색어 자동분류를 이용하여 검색어의 실제 종류가 어떤 것인지에 의해 키워드를 할당함으로써 광고의 노출범위를 정확한 방향으로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파트너 웹사이트의 컨텐츠 분류 체계를 광고대행사의 키워드에 할당하기 위한 초기 작업을 할 필요가 없도록 함과 동시에, 파트너 웹사이트의 컨텐츠 분류 체계가 변화하더라도 광고 게재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파트너 웹사이트와 광고 대행자가 이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해야만 하는 수고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주제어와 키워드간의 관계가 학습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화해 나가도록 하여, 새로운 검색어 또는 컨텐츠에 대하여도 광고의 내용을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광고주가 키워드를 등록하지 않고 웹사이트만 등록하는 경우에 웹페이지를 등록된 키워드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등록된 웹사이트로 직접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변화된 웹사이트의 내용에 맞는 키워드에 대해 광고가 게재되도록 하여, 광고주가 광고대행사에 등록된 키워드 및 웹사이트 설명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수고를 경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9)

  1. 웹페이지상에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고 및 상기 광고와 연관된 제1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별로 상기 제1 키워드와 연관된 단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브라우징(browsing)되는 웹페이지로부터 복수의 주제어를 포함하는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제어 리스트 및 상기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제2 키워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정보는 (1) 상기 제1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에 포함된 웹사이트에 대한 설명, (2) 소정의 검색 엔진을 통해 상기 제1 키워드로 검색하여 출력된 검색 결과 중 광고인 검색 결과 및 (3) 상기 웹사이트의 컨텐츠 분석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정보는 상기 (1) 내지 (3)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여된 단어 별 가중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별 가중치는 상기 (1), (2) 및 (3)의 순으로 높게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정보는 (4) 소정의 관리자로부터의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단어 별 가중치는 상기 (4)에 따라 부여되며,
    상기 단어 별 가중치는 상기 (4), (1), (2) 및 (3)의 순으로 높게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정보는 상기 (1) 내지 (3)에 변동이 있는 경우 또는 상기 관리자로부터 새로운 입력이 있는 경우에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웹페이지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상기 웹페이지의 내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내용 정보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통해 상기 내용 정보로부터 단어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어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의 내용 정보를 추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광고, 하이퍼 링크 리스트, 플래시 무비, 주석, 및 반복되는 문자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웹페이지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내용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벡터는 상기 내용 정보에 포함된 제1 단어 별로 (1) 상기 제1 단 어가 상기 내용 정보에 나타난 횟수 및 (2) 상기 내용 정보를 포함하여 전체 추출된 내용 정보 중 상기 제1 단어가 나타난 내용 정보의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1)과 (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어 별 제1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어 별 제1 가중치에 따라 상기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정보는 소정의 제2 단어 별 제2 가중치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주제어 리스트 및 상기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제2 키워드를 선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단어에 매칭되는 제2 단어에 대하여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를 곱셈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곱셈값 중 최대 값에 해당하는 단어를 상기 제2 키워드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12. 웹페이지상에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고 및 상기 광고와 연관된 제1 웹사이트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웹사이트 별로 상기 제1 웹사이트와 연관된 단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브라우징(browsing)되는 웹페이지로부터 복수의 주제어를 포함하는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제어 리스트 및 상기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제2 웹사이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웹사이트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정보는 (1) 상기 제1 웹사이트와 연관된 광고에 포함된 상기 제1 웹사이트에 대한 설명 또는 (2) 상기 제1 웹사이트의 컨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정보는 상기 (1) 또는 (2)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여된 단어 별 가 중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어 별 가중치는 상기 (1), (2)의 순으로 높게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15.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검색어로부터 제2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2 주제어 리스트 및 상기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제2 키워드 또는 제2 웹사이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 또는 상기 제2 웹사이트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7. 웹페이지상에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광고 및 상기 광고와 연관된 제1 키워드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포함하여 유지하기 위한 제1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
    상기 제1 키워드 별로 상기 제1 키워드와 연관된 단어 정보를 제2 데이터베 이스에 포함하여 유지하기 위한 제2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
    사용자에 의해 브라우징(browsing)되는 웹페이지로부터 복수의 주제어를 포함하는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기 위한 주제어 추출 모듈;
    상기 추출된 주제어 리스트 및 상기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제2 키워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워드 선택 모듈;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하는 광고 제공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시스템.
  18. 웹페이지상에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광고 및 상기 광고와 연관된 제1 웹사이트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포함하여 유지하기 위한 제1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
    상기 제1 웹사이트 별로 상기 제1 웹사이트와 연관된 단어 정보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포함하여 유지하기 위한 제2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
    사용자에 의해 브라우징(browsing)되는 웹페이지로부터 복수의 주제어를 포함하는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기 위한 주제어 추출 모듈;
    상기 추출된 주제어 리스트 및 상기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제2 웹사이트를 선택하기 위한 웹사이트 선택 모듈;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웹사이트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하는 광고 제공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시스템.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주제어 추출 모듈은 상기 검색어로부터 제2 주제어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 선택 모듈 또는 웹사이트 선택 모듈은 상기 추출된 제2 주제어 리스트 및 상기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와 연관된 제2 키워드 또는 제2 웹사이트를 선택하고,
    상기 광고 제공 모듈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 또는 상기 제2 웹사이트와 연관된 광고를 추출하여 상기 웹페이지상에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상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1020040074518A 2004-09-17 2004-09-17 내용 기반 분류를 이용한 웹사이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671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518A KR100671284B1 (ko) 2004-09-17 2004-09-17 내용 기반 분류를 이용한 웹사이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518A KR100671284B1 (ko) 2004-09-17 2004-09-17 내용 기반 분류를 이용한 웹사이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726A true KR20060025726A (ko) 2006-03-22
KR100671284B1 KR100671284B1 (ko) 2007-01-18

Family

ID=3713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518A KR100671284B1 (ko) 2004-09-17 2004-09-17 내용 기반 분류를 이용한 웹사이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284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377B1 (ko) * 2006-03-28 2008-01-11 엔에이치엔(주) 점수 분포에 따른 광고리스트의 생성 방법 및 광고리스트생성 시스템
WO2008066261A1 (en) * 2006-11-28 2008-06-05 Opms Co., Ltd. Category-based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WO2008114928A1 (en) * 2007-03-20 2008-09-25 Nhn Corporation Method for exposuring advertisement using keyword relevance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WO2009105287A1 (en) * 2008-02-19 2009-08-27 Google Inc. Hybrid advertising campaign
WO2009123399A1 (ko) * 2008-03-31 2009-10-08 엔에이치엔 비지니스 플랫폼 주식회사 확장된 키워드를 등록하여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926878B1 (ko) * 2007-06-01 2009-11-16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광고 제공에 대한학습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100936595B1 (ko) * 2007-08-14 2010-01-13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단어 연관도를 기반으로 카테고리 연관도를 측정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KR20100052903A (ko) * 2008-11-11 2010-05-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연상 단어망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12170B1 (ko) * 2008-06-30 2011-02-07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검색결과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추가 컨텐츠를 제공하는검색결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추가 광고 컨텐츠를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15635B1 (ko) * 2008-09-22 2012-02-15 주식회사 이사칠리얼미디어 광고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131244B1 (ko) * 2009-08-21 2012-04-12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의 반응에 기반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52245B1 (ko) * 2009-11-13 2013-04-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제 분류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문맥 광고 시스템
KR101355945B1 (ko) * 2006-10-26 2014-01-27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온라인 문맥기반 광고 장치 및 방법
KR20140034421A (ko) * 2012-09-11 2014-03-20 포럴톤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몰에 기반한 물품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82012B1 (ko) * 2009-09-30 2015-01-16 네이버 주식회사 컨텍스트 광고 정보를 노출하는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33563A (ko) 2014-09-18 2016-03-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0878B2 (en) * 2008-02-25 2010-12-28 Yahoo! Inc. Prioritizing media assets for publication
KR101688496B1 (ko) * 2015-12-04 2016-12-22 주식회사 허블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한 부가기능 제공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635B1 (ko) * 2000-02-22 2003-04-08 하나로드림(주) 월드와이드 웹페이지를 검색하기 위한 시스템과, 이검색결과를 저장하고, 뷰잉하고, 활용하는 방법
KR20020028044A (ko) * 2000-10-06 2002-04-15 김 좌우태 데이터베이스 링크 키워드 포털서비스 방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377B1 (ko) * 2006-03-28 2008-01-11 엔에이치엔(주) 점수 분포에 따른 광고리스트의 생성 방법 및 광고리스트생성 시스템
KR101355945B1 (ko) * 2006-10-26 2014-01-27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온라인 문맥기반 광고 장치 및 방법
WO2008066261A1 (en) * 2006-11-28 2008-06-05 Opms Co., Ltd. Category-based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KR100863990B1 (ko) * 2006-11-28 2008-10-16 주식회사 오피엠에스 카테고리 광고 시스템 및 방법
WO2008114928A1 (en) * 2007-03-20 2008-09-25 Nhn Corporation Method for exposuring advertisement using keyword relevance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0926878B1 (ko) * 2007-06-01 2009-11-16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광고 제공에 대한학습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100936595B1 (ko) * 2007-08-14 2010-01-13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단어 연관도를 기반으로 카테고리 연관도를 측정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US8036936B2 (en) 2008-02-19 2011-10-11 Google Inc. Hybrid advertising campaign
WO2009105287A1 (en) * 2008-02-19 2009-08-27 Google Inc. Hybrid advertising campaign
US9058613B2 (en) 2008-02-19 2015-06-16 Google Inc. Hybrid advertising campaign
WO2009123399A1 (ko) * 2008-03-31 2009-10-08 엔에이치엔 비지니스 플랫폼 주식회사 확장된 키워드를 등록하여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980578B1 (ko) * 2008-03-31 2010-09-06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확장된 키워드를 등록하여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방법
US8725733B2 (en) 2008-03-31 2014-05-13 Nhn Business Platfor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results based on registration of extended keywords
KR101012170B1 (ko) * 2008-06-30 2011-02-07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검색결과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추가 컨텐츠를 제공하는검색결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추가 광고 컨텐츠를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15635B1 (ko) * 2008-09-22 2012-02-15 주식회사 이사칠리얼미디어 광고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00052903A (ko) * 2008-11-11 2010-05-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연상 단어망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31244B1 (ko) * 2009-08-21 2012-04-12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의 반응에 기반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82012B1 (ko) * 2009-09-30 2015-01-16 네이버 주식회사 컨텍스트 광고 정보를 노출하는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1252245B1 (ko) * 2009-11-13 2013-04-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제 분류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문맥 광고 시스템
KR20140034421A (ko) * 2012-09-11 2014-03-20 포럴톤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몰에 기반한 물품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3563A (ko) 2014-09-18 2016-03-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284B1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1476B2 (en) Personalization engine for characterizing a document
US95762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web activity data
US8321278B2 (en) 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s and page profile
KR100671284B1 (ko) 내용 기반 분류를 이용한 웹사이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US9268843B2 (en) Personalization engine for building a user profile
US102896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xpert thread search results
US8886636B2 (en) Context transfer in search advertising
US8306962B1 (en) Generating targeted paid search campaigns
US8676827B2 (en) Rare query expansion by web feature matching
US87992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web pages for topics unassociated with a dominant URL
TWI471737B (zh) 具搜尋結果之蹤跡識別系統與方法
US9798820B1 (en) Classification of keywords
US20050222989A1 (en) Results based personalization of advertisements in a search engine
US200500807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documents with contextual advertisements
US201200958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behavior history of a user to augment content of a webpage
US201300546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izing a toolbar
JP2009521750A (ja) コンテキストを決定するためのコンテンツの分析およびコンテキストに基づく関係のあるコンテンツの供給
KR20050071356A (ko) 기사 이력에 기초하는 문자형 광고 할당 방법
CN102257525A (zh) 用于基于先前捕捉的相关性数据重定向广告的系统和方法
US10997264B2 (en) Delivery of contextual interest from interaction information
KR20090000691A (ko) 컨텍스트 광고 정보를 노출하는 광고 방법 및 시스템
US20180096067A1 (en) Creation and optimization of resource contents
EP2384476A1 (en) Personalization engine for building a user profile
KR100851042B1 (ko) 확장 광고 키워드를 추천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6046650A1 (en) Method of and server for processing a message to determine i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