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503A - 심장 및 혈관질환, 혈액의 산성화의 예방 또는 치료를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심장 및 혈관질환, 혈액의 산성화의 예방 또는 치료를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503A
KR20060023503A KR1020040073596A KR20040073596A KR20060023503A KR 20060023503 A KR20060023503 A KR 20060023503A KR 1020040073596 A KR1020040073596 A KR 1020040073596A KR 20040073596 A KR20040073596 A KR 20040073596A KR 20060023503 A KR20060023503 A KR 20060023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blood
composition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화
Original Assignee
유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화 filed Critical 유승화
Priority to KR102004007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3503A/ko
Publication of KR2006002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5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61K33/10Carbonates; Bicarb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61K33/08Oxides; Hyd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7Birds; Materials from birds, e.g. eggs, feathers, egg white, egg yolk or endothelium corneum gigeriae gal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학적 활성을 갖고 산에 의해 이온화된 칼슘(ca2+)과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구체적으로 기존의 불용성 칼슘제제나 칼슘 함유식품과는 달리, 산에 의해 용해되어 체외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투여되는 칼슘과 마그네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등에 우수한 치료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압과 혈당의 정상치를 유지시키며,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약물의 내성도 생기지 않을 뿐 아니라, 또한 장기간 사용해도 활성 효과가 지속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동맥경화를 포함한 심장 및 혈관 질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심장 및 혈관질환, 혈액의 산성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A composition for curing and prevention of heart and vascular disease, acidify of blood}
본 발명은 생물학적 활성을 갖고 산에 의해 이온화된 칼슘(ca2+)과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구체적으로 기존의 불용성 칼슘제제나 칼슘 함유식품과는 달리, 산에 의해 용해되어 체외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투여되는 칼슘과 마그네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등에 우수한 치료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압과 혈당의 정상치를 유지시키며,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약물의 내성도 생기지 않을 뿐 아니라, 또한 장기간 사용해도 활성 효과가 지속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동맥경화를 포함한 심장 및 혈관 질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발명의 배경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산에 의해 용해되어 체외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투여되는 칼슘과 마그네슘 성분을 주요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이들의 용도, 혈장 지질 수준,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키는 항지방 분해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및 이들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산에 의해 용해되어 체외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투여되는 칼슘과 마그네슘을 주요 유효성분으로 하여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에 우수한 치료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및 이의 제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당수의 사람들에게 혈압이 상승하는 고혈압이 발생한다. 고혈압은 정상 범위를 넘어서서 지속적으로 높은 혈압을 의미하는 것으로, 혈압은 건강한 사람도 정신적인 흥분이나 운종으로 인해 증가할 수 있고, 개인차에 따라 존재하므로 어떤 범위를 고혈압으로 보느냐는 일반적인 기준을 따르게 된다. 임상적으로 안정시에 측정한 혈압으로서 최고혈압(수축기 혈압)이 150~160mmHg이상, 최저혈압(이완기 혈압)90~95mmHg 이상을 고혈압으로 취급한다. 고혈압에는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이 높은 경우와 최고 혈압만 높은 경우가 존재하는데, 보통의 경우 전자가 일반적이고 최고 혈압만이 놓은 경우는 심장에서 보내는 혈액량이 많아질 때와 대동맥의 탄력성이 감소되어 있을 때, 즉 어떤 종류의 심장 판막증이거나 갑상선 기능항진증, 대동맥 경화, 대동맥류 등인 경우이며, 최고 및 최저 혈압이 모든 경우는 고혈압을 일으킨 병을 알수 있는 것(2차성 혹은 속발성)과 원인을 알 수 없는 것으로 유전적 인 요소를 가진 것 (1차성 또는 본태성)이 있다. 숫자상으로는 본태성 고혈압이 압도적으로 많아 고혈압의 90~95%를 차지하지만, 고혈압의 연구가 진행되면서 본태성으로 생각되었던 것 가운데서 원인질환이 판명된 고혈압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혈압을 조절하는 기본 인자는 심장 혈액 방출량 및 말초 혈관 저항이고, 후자는 여러 가지 영향에 의해 조절되는 우세한 통상적인 메커니즘이다. 교감 신경계는 알파- 및 베타_아드레날린 수용체에 대한 직접적인 여향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레닌 방출에 대한 간접적인 영향을 통해서 말초 혈관 저항을 조절한다. 약물 치료는 이들 혈압 조절 시스템의 특정 성분을 겨냥한 것으로, 여러 가지 약물 등급을 한정하는 작용의 상이한 메커니즘으로는 이뇨제,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제(베타-차단제), 안지오텐신(angiotensin) 전환효소(ACE)억제제 및 칼슘 채널 길항제를 들 수 있다.
고혈압의 자각증세는 진단에 도움이 되나, 보통 가벼울 때에는 진행이 정지하여 고정되어 버리면 자각이 힘들다. 혈압이 갑자기 높아질 때나 고혈압의 초기에 증세가 나타난다. 본태성의 경우 시작도 진행도 서서히 이루어져서 수년이 지난 후 결과적으로 다른 기관에 장애가 나타난 다음에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에는 최저가 120~130에 이르고 최고혈압은 200~300에 육박하게 된다.
고혈압의 뇌신경증세로 가장 많은 것이 두통, 현기증, 이명, 흥분 등이며, 여기에 등이나 목의 결림 등이 따르는데, 이것들은 고혈압 초기에 보이는 증세이고 차츰 진행이 되면서 심박항진, 호흡곤란, 수면장애, 감정의 불안 등이 계속되고 뇌 의 동맥경화가 진행되면 기억력 감퇴, 반신마비 증세가 나타나며 안저출혈에 의한 시력감퇴도 발생한다. 이후 몇 년이 지나면 중요 장기에 이상이 나타나고 흉부압박감, 심장동통 등이 발작적으로 일어나고. 심장은 비대해지고 폐와 간에 울혈이 나타나며 하지에 부기가 생기거나 심한 호흡곤란이 생긴다.
고혈압이 원인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교감신경 기능의 항진, 호르몬 분비이상, 신장동맥의 이상 등에 의해 일어난다. 즉, 자연발증 고혈압은 적어도 3 가지 이상의 유전자가 관여하는데, 여기에 식염의 과다 섭취나 스트레스 등의 환경인자가 작용하여 고혈압을 일으킨다. 발병 초기에는 신경 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혈관의 대사 및 구조 이상 등의 요인에 의해 발전된다. 고혈압이 지속되면 동맥의 수축이 고정되고 혈장의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이 감소하며 심혈관계의 콜라겐(collagen) 및 비콜라겐 대사가 항진되어 고혈압이 고정된다. 높아진 혈관의 압력을 지탱하기 위하여 혈관 내층의 변화는 심장 및 신장으로 향하는 혈액 흐름에 영향을 주어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증 등의 순환기계 질환으로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고혈압이 오래 계속되면 동맥경화도 조금씩 진행되고, 이에 따라 혈압은 더욱 높아지고 동맥경화는 더욱 심해지는 악순환이 되풀이 된다. 동맥경화는 전신, 특히 뇌, 심장, 신장 등에 일어나기 쉬우며, 신장에 일어날 경우는 야간의 빈뇨증과 아침에 얼굴이 부석부석하고 발이 붓는 등의 증세를 들 수 있다.
고혈압에 대한 의학적인 관심과 함께 연구가 진행되어 여러 치료제가 개발되었으나 현재까지 만족할 만한 고혈압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고혈압 치료 시에는 약용 기전이 다른 2종 또는 3 종류의 혈압 강하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되었다.
칼슘 채널 길항제는 평활근 세포로서의 칼슘의 유입을 감소시키고, 이들의 항고혈압 효과를 초래하는 전신 혈관 확장을 유발한다. 칼슘 채널 길항제의 기타 효과는 이들의 항고혈압 효과에 부가될 수 있는 안지오텐신 2 및 알파2-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 작용을 방해한다. 칼슘 채널 길항제는 티아지드 또는 베타-차단제의 대사 및 약물학적 부작용을 갖지 않고, 따라서 당뇨병, 말초혈관 질환, 또는 만성 장애의 폐질환 환자에게 유용할 수 있다. 2 개의 칼슘 채널 길항제인 베라파밀(Veraoamil)과 디티아젬(ditiazem)은 이미 존재하는 전도 이상인 환자에게서 심방의 심장 전도에 대한 심장 혈관의 심각한 부작용을 갖고, 이들은 서맥, 방실 분리 및 충혈성 심기능부전을 악화시길 수 있다. 칼슘 채널 길항제의 기타 소소한 부작용으로는 말초성 부종, 현기증, 경미한 상기, 두통, 메스꺼움, 홍조를 들 수 있으며, 특히 니페디핀(nifedipine), 및 니카르디핀(nicardipine)이 있다.
다수의 항고혈압제는 증가된 레닌 방출, 상승된 알도르테론 분비 및 증가된 교감 혈관수축제 긴장 등의 보상 승압 메커니즘을 활성화시키고, 동맥압을 소정의 수준으로 복귀시키도록 설계되어 있고, 염 및 물 보유, 부종을 유발하고, 긍극적으로는 제제의 항고혈압 작용에 대한 저항을 유도할 수 있다. 더욱이, 항고혈압 약물의 보충에 따라 경험되는 여러 가지 부작용 및 성인 흑인은 포함하는 특정 고혈압 환자 및 만성장애의 폐질환, 당뇨병 또는 말초 혈관 질환을 앓는 환자들이 경험한 문제점들로 인해,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한 추가 그룹의 약물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 한다.
많은 고혈압 치료제들은 위와 같은 부작용을 감수하면서도 사용해야 되는 현실적 고통이 따른다. 또한 혈압조절에 있어서 어느 한 쪽을 억제하면 다른 쪽이 항진되어 고혈압의 새로움 불균형이 일어난다. 혈압은 서로 상반되는 요인에 의해 길항적으로 유지되고 있지만, 고혈압 치료를 위하여 혈압강하제를 투여해도 실제 그의 효과는 불충분하며, 내성이 생기면 어느 한쪽의 길항인자가 항진된다. 따라서 혈압강하제를 병용할 때는 기전이 다른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고혈압 치료제는 표적 장기의 장애를 예방하고 혈압을 조절함으로써 조직이나 장기의 혈류를 개선하며, 약물을 계속 복용하더라도 혈압이 정상범위 내에 있으면서, 독성이나 부작용이 거의 없어야 한다.
항지방분해 잘용
과지질혈증 및 과콜레스테롤 혈증은 서양에서 사망 및 무력화의 주된 원인이 되는 아테롬성 동맥 격화증 및 관상 심장 질환에 대한 2가지 주요 위험 인자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의 병인은 여러 가지 다른 원인에서 유래하지만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및 관상 동맥 질환, 말초 혈관 질환 및 제한된 혈류로부터 초래되는 뇌혈관 질환을 포함하는 질병의 발병은 혈청 콜레스테롤 및 지질 수준의 이상과 연관된다. 포화 지방 및 콜레스테롤 규정 섭취 등의 인자가 기여할 수도 있지만, 과콜레스테롤 혈증 및 과지질 혈증의 병인은 주로 유전적이다.
상승된 혈압 및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혈장 지질은 심근 질환으로부터 초래되는 사망률과 연관된 2가지의 익히 수용되는 위험 인자이다. 심장 혈관 질 환으로부터 사망률 가능성이 실질적으로 보다 큰 당뇨병 환자에 대해, 이들 인자와 연관된 위험이 더욱 확대된다.
항고혈압체 및 항지방분해제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혈관 및 대사 위험 인자 두가지 모두의 치료 및 경감에 유용하고, 특정한 가치 및 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은 고혈압 및 당뇨병의 치료에 있어서 이들의 용도, 각 증세에 따르는 정도를 경감시키는 보호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혈장 지질 수준, 혈청트리글리세라이드 수준 및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키는 항지방 분해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및 이들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칼슘은 뼈에 99% 정도 존재하고 1% 정도가 혈액 내에 존재 한다. 세포반응의 약 70%가 이러한 칼슘에 의해서 조절되며, 다른 2가 이온들과는 달리 제 2 전령으로 신호전이 기작을 조절하고 있다. 이는 칼슘이온이 다른 이온에 비해서 자유에너지 값인 델타 지(delta G)가 가장 낮은 이온이기 때문에 에너지측면, 즉 자유에너지변화에서 세포질 내에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라는 설이 지배적이다. 이온화된 칼슘(Ca++)은 최근에 와서 세포 내의 많은 단백질의 인산화가 이온화된 칼슘의 농도변화에 의해 유도되며, 이온화된 칼슘의 분비는 많은 길항제의 일차적인 반응임이 밝혀졌다.
세포질 내의 이온화된 칼슘 농도는 크게 두 가지 다른 기작에 의해 조절된다. 첫째는 효능약의 작용에 의해 세포막의 전위가 달라져서 세포막에 존재하는 전위의존성 칼슘이온통로가 열리는 것이다. 둘째로는 다른 종류의 효능약에 의해 세포질 내의 이온화된 칼슘 저장소로부터 칼슘이온이 분비되어 이온화된 칼슘 의존성 효소들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I(1,4,5)P3이 외부의 신호에 의해 세포 내의 이온화된 칼슘을 분비하는 2차 전달물질로 작용한다는 발견은 신호전달계에서 매우 중요한 발견이다. 칼슘은 이와 같이 체내에서 신경전달물질로서의 이용과 세포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이온화된 칼슘은 간극연결의 투과성 조절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질내의 이온화된 칼슘 농도가 높으면 이웃 한 세포간의 정상적인 물질의 이동이나 신호전달이 중지된다. 이것은 이온화된 칼슘 때문에 커넥션분자의 구조에 변화가 생겨 통로가 닫히기 때문이다. 닫힌 통로는 세포내의 이온화된 칼슘 농도가 정상수준으로 내려가면 다시 열린다. 이온통로는 신경, 근육조직 등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배출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써, 살아있는 세포에서 전기신호를 만들어내고 전달한다. 이온통로는 세포막을 통과하는 친수성 통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한 통로가 1초에 백만 개 이상의 이온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고효율을 가지고 있다. 최근 진행되고 있는 이온화된 칼슘에 대한 연구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세포내 칼슘이온의 기능에 대한 연구이다. 세포 내에서 이온화된 칼슘은 세포의 생존과 죽음의 2가지 상반된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데 주로 세포내 이온화된 칼슘의 증가 정도와 증가된 이온화된 칼슘의 유지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경우 세포는 일시적인 이온화된 칼슘의 증가를 통해 세포의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필요한 경우, 많은 종류의 세포에서 이온화된 칼슘의 진동을 유발한다. 이온화된 칼슘의 진동에는 진동주기(frequency modulation, FM)와 진동의 고도(amplitude modulation, AM) 등 2가지 신호를 갖게 되는데 세포는 주로 진동주기를 이용해 세포내 인산화 효소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켜 세포의 기능을 조절한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두 번째는 세포내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의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장 널리 알려진 저장고는 InsP3에 예민한 이온화된 칼슘 저장고 InsP3-sensitive Ca++ stores)인데 소포체와 골지체가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처럼 이온화된 칼슘은 조절하는 물질과 그 저장고가 복잡해서 아직까지 세포내 이온화된 칼슘의 조절기작이 잘 규명되어 있지 않다.
칼슘이 인간뿐만 아니라 포유동물의 뼈나 치아 형성에 불가결한 성분임은 널리 인식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그뿐 아니라 모든 생명현상을 지탱하는 매우 중요한 영양소인 것이 해명되어, 이제야말로 칼슘은 의학의 최전선에서 주목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의약저널사 발행[Clinical Calcium]-특집-칼슘 파라독스/1996년 1월호]에는 「영양학과 세포생물학의 접점」이라 제목을 붙인, 칼슘 파라독스에 관한 갖가지 연구성과가 발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인체에 있어서의 칼슘이 담당하는 기능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이 해명되고 있다. 특히, 인간 건강의 관건은, 칼슘과 부갑상선 호르몬의 관계를 빼고서는 고려할 수 없을 만큼 중요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인체의 생명활동은 먹은 것의 소화, 흡수, 배설, 호르몬 합성 분비, 또한 면역기능으로부터 사물을 보거나 생각하거나 하는 것까지 모든 기능이 칼슘의 작용에 의존하며, 세포는 모두 혈액 중의 칼슘이 내는 신호(정보)에 의해 제어되고 있고, 심장이나 뇌가 활동하는 것도 칼슘의 작용이라는 것이 보고 되어 있다.
이 보고에 따르면, 세포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혈액 중의 칼슘농도가 항상 일정 레벨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 필요하고, 칼슘이 내는 신호를 세포가 바르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세포 중의 칼슘농도는 세포 밖의 칼슘농도의 대략 1/10,000이라는 극히 미량이 아니면 안 되고, 이 농도차가 유지되고 있는 한, 각 세포는 바른 정보전달 하에서 각각의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혈액중의 칼슘농도가 저하하면, 심장이나 뇌도 활동이 정지되어 버리기 때문에, 생명유지를 위하여 부갑상선 호르몬이 활동하여 뼈로부터 칼슘을 용해하여 혈액 중에 보충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뼈에는 인체의 칼슘의 99%가 저장되어 있으나, 그 뼈로부터의 칼슘 용출이 계속되면, 뼈가 다공질이 되는 골조송증을 야기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더욱 중대한 폐해를 인체에 가져온다. 즉, 혈액 안에 칼슘이 보충됨으로써 심장은 멈추지 않고 생명이 유지되나, 부갑상선 호르몬이 나오면 세포 중에 과잉의 칼슘을 넣기 때문에 상기 세포안팎의 칼슘농도의 균형이 크게 무너져버려 세포 간의 정보전달이 혼란하여 세포는 정상으로 기능하지 않게 된다. 이 현상을 칼슘 파라독스라 일컫고 있다.
이와 같이, 칼슘부족에 기인하여, 혈액중의 칼슘농도가 저하하고, 그 결과 부갑상선 호르몬이 분비되고 세포 내에 칼슘이 증가하는 것이 원인으로 야기되는 질병을 칼슘 파라독스라 일컫고, 증상으로는 두통, 치매증, 백내장, 빈혈, 고혈압/뇌졸증, 난청, 저혈압, 어깨걸림, 면역이상, 골조송증, 스트레스, 동맥경화/심근경색, 위궤양/십이지장궤양, 감염증/감기, 패열등, 암, 알레르기/아토피, 신장결석, 전립선비대, 손톱발톱의 약화, 간염/간경련, 신경통/만성관절류마티스, 통풍 등으로 나타난다.
칼슘은 튼튼한 뼈를 지탱할 뿐 아니라 심장, 뇌를 비롯하여 모든 신체활동을 지탱하고 있는 중요한 영양소이고, 부족하지 않도록 밖에서 항상 보급하지 않으면 안되는 중요한 영양성분이다. 이와 같이 중요한 영양성분이면서 우리의 식생활은 근년 갑자기 가공식품 등의 횡행으로 칼슘 섭취율은 충분한 것이라 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식사에서 섭취하는 칼슘이 부족하면 단순히 신체 중의 칼슘이 적어질 뿐 아니라, 세포내, 혈액, 뼈에 일정 비율로 비축하고 있는 칼슘의 균형이 무너지고, 상기와 같이 인체에 있어서 심각한 상황을 야기하게 된다.
세포내에는 혈액 비례 뼈에 존재하는 칼슘량의 바람직한 비율은 대략 1:10,000 : 100,000,000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이 비율로 존재함으로써, 세포내, 혈액, 뼈에 있어서 칼슘은 각각의 활동을 행하고 있다. 이 중, 세포내의 칼슘의 활동은, 세포내의 모든 활동을 지탱하는 정보를 수취한다. 세포의 분열, 증가, 운동, 분비, 흥분, 대사의 기본이 된다. 혈액에는 세포의 1만 배의 칼슘이 존재하고, 이에 따라, 심장이나 뇌를 움직이고, 세포활동을 조절하고, 정보를 전한다. 칼슘을 체내 각소에 운반한다. 혈액중의 칼슘농도가 저하되면, 부갑상선 호르몬이 나와 뼈로부터 칼슘을 용해하여 부족분을 보충하여 혈액중의 칼슘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들 사실로 이해할 수 있듯이, 혈액중의 칼슘농도가 일정량으로부터 저하하지 않을 만큼의 칼슘을 항상 밖에서 보급하고 있으면, 부갑상선 호르몬이 분비되는 일이 없으므로 세포내에 칼슘이 증가하지 않고 인체의 모든 기능이 정상으로 활동하게 된다.
골다공증이 생기느냐 마느냐는 조골세포와 파골세포 간의 작용 여하에 달려있다. 조골세포는 칼슘을 혈액에서 뼈로 이동시켜 뼈를 만드는 기능을 하는데 반해 파골세포는 뼈에서 칼슘을 빼내 골량을 감소시킨다. 혈액내 칼슘이 일정 농도 이하로 떨어지면 부족분만큼의 칼슘이 뼈에서 혈액으로 빠져 나온다. 반대로 혈액 속에 칼슘이 많으면 뼈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노령 만성병 운동부족일 경우에는 후자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다. 즉 혈액 안의 칼슘이 뼈로 잘 이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일소하기 위하여 인체에 안전하고, 면역저하와 같은 부작용이 없는 천연 산물이면서 뚜렷한 증세의 개선 효과로 탁월한 치료 효과를 보이는 조성물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양한 부작용을 보이는 화학약품 유래제제의 투여를 배제할 수 있고 투여 시,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산에 의해 용해되어 체외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투여되는 칼슘과 마그네슘을 주요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저하, 혈액의 산성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 단가가 낮고, 예방 또는 근원적인 치료 효과가 우수하며 인체에 유용한 생리 활성 물질을 더욱 포함하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에 의해 용해되어 체외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투여되는 칼슘과 마그네슘을 주요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로서의 효능뿐만 아니라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에 우수한 치료 및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의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유사한 형태의 또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산에 의해 용해되어 체외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투여되는 칼슘과 마그네슘으로 주요 유효성분으로 하는 혼합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얻고, 이를 복용하게 함으로써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에 우수한 치료 및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에 우수한 치료 효과 및 예방 효과를 갖는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산에 의해 용해되어 체외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투여되는 칼슘과 마그네슘을 주요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특징 지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 이온화된 칼슘은 본 조성물의 모든 양태에서 필수적인 함유성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화된 용해성 칼슘은 고체상태의 칼슘공급원과 산을 반응시킨 생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고체상태의 칼슘 공급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난각, 새우, 게, 굴껍질, 유청칼슘, 산호칼슘, 해조칼슘, 우골분, 생선뼈, 유제품, 해조류, 두류, 화본과류, 참깨, 차, 탄화식물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칼슘의 종류에는 탄산칼슘, 황산칼슘, 인산칼슘,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염화칼슘, 질산칼슘, 젖산칼슘, 구연산칼슘, 글루콘산칼슘, 칼슘석회수, 석회(비료용) 등이 있다.
탄산칼슘에는 물에 난용성, 석회석(방해석), 난각칼슘(계란껍질), 패각칼슘(굴, 조개껍질),해조칼슘(불가사리, 산호), 진주칼슘(진주)등의 형태가 있다. 종이, 페인트, 고무, 플라스틱, 치약, 화장품, 사료, 식품에 사용된다.
황산칼슘은 물에 난용성, 석고라고 하며, 석탄, 중유, 등유를 사용시 발생하는 아황산 가스과 탄산칼슘을 반응시켜 부산물로 제조한다. 유산칼슘이라 한다.
인산칼슘중에 일인산칼슘은 물에 0.18% 정도 녹으며, 이인산칼슘, 삼인산칼슘물에 난용성으로 인회석이라 하며, 탄산칼슘과 인산을 반응시켜 제조한다. 치아, 손톱, 뼈의 주성분이다.
산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칼슘이 된다. 생석회라 하며, 탄산칼슘을 900℃에서 소성하면 만들어진다.
수산화칼슘은 물에 0.18%, 산화칼슘에 물을 반응시켜 만들고, 소석회라고 말하며, 용해도가 작고, 강알카리성 물질(pH 13)이다.
영화칼슘은 수용성, 탄산칼슘을 염산과 반응하여 제조하거나, 소다회 생산 시, 부산물로 생산된다. 제설용, 두부제조용, 주사용으로 사용한다.
질산칼슘은 수용성이며, 탄산칼슘을 질산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액상석회 비료에 많이 사용한다. 일본식 표기는 초산칼슘이라 한다.
젖산칼슘은 수용성, 탄산칼슘을 젖산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요구르트, 김치, 우유에도 사용된다.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며, 발효성 유기산칼슘이다.
사탕무우로 얻은 당질의 원료를 유산균 발효시켜 칼슘과 결합 (야채칼슘), L형 젖산칼슘은 흡수성이 매우 좋고 안전하며 다른 칼슘과는 달리 생체 친화성이 좋을뿐만 아니라 섭취량의 제한이 없으며 음료, 과자, 스넥, 시리얼 등에 칼슘보충제로 사용된다.
구연산칼슘은 수용성, 탄산칼슘과 구연산을 반응시켜 제조한다. 기능성음료, 된장에 많이 있다. 식품첨가물로 사용된다.
글루콘산칼슘은 수용성, 글루콘산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젖산칼슘과 혼용시 생체흡수에 유리하다. 식품첨가물로 사용초산칼슘: 수용성, 아세트산(초산)과 반응하여 제조한다. 액상석회로 개발이 가능하나 보관방법에 단점이 있다.
기타칼슘으로는 중탄산칼슘, 제일인산칼슘, 아질산칼슘, 초태산칼슘, 유청칼슘, 밀크칼슘, 펜토텐산칼슘, 펩타이드칼슘, 키토산이 있다.
칼슘석회수은 소량의 수산화칼슘과 미량의 탄산칼슘이 녹아있는 물이고, 석회(비료용)는 일반적으로 수산화칼슘(소석회)가 40%이상이며, 나머지는 탄산칼슘(석회)로 되어있다.
산성도는 pH 2.0~6.0이 바람직하고, pH 2.5~5.0이 더욱 바람직하다. pH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임의의 산 또는 알칼리를 배합하여 목적으로 하는 pH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산으로서는 무기산과 유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 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황산, 염산, 질산, 술파민산, 인산, 인산이수소칼슘, 인산이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칼륨,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칼륨, 산성헥사메타인산나트륨, 산성헥사메타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나트륨, 산성피로인산칼륨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혼합도 가능하다.
유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개미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타르산, 길초산 등의 직쇄지방산, 옥살산, 말론산, 호박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아디핀산, 피메린산(pimelic: acid), 푸말산, 말레인산, 푸탈산, 이소푸탈산, 테레푸탈산, 등의 디카르복산,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 글리콜산,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 젖산, 히드록시아크릴산, α-옥시부티르산, 글리세린산, 타르트론산(tartron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갈릭산(gallic acid), 트로픽산(tropic acid), 아스코르빈산, 글루콘산 등의 옥시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2종이상의 혼합도 가능하다.
한편, 칼슘은 용해상태의 것이라야 체내에 흡수되기 쉽고 완전하게 동화될 수 있다. 불용성 칼슘은 체내에 들어와도 많은 양이 흡수되지 못하며 체외로 방출되지 못할 때에는 많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무기 수산은 불용성의 칼슘과 결합하여 결석을 만들며 담석, 신장결석, 동맥경화, 백내장, 신경통, 류머티스의 원인이 된다. 혈액 속에 칼슘이 부족한 것은 불용성의 칼슘이 수산석회로서 침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경전달물질 등의 칼슘 이온의 필수적인 기능을 위한 보충을 위해 뼈 분해를 일으키는 과정에 이르게 된 다. 불용성 칼슘은 체내에 축적되는 대로 내버려 두면 혈관 내에 퇴적하고, 정맥류와 동맥경화처럼 혈관 벽을 경화하거나 혈액을 농축시켜 고혈압과 다른 신장 장애를 초래한다. 담낭과 신장에 결석과 결사를 만드는 것은 설탕이나 소다음료, 육류 등의 성분에 의하여 불용성칼슘이 체내에 퇴적되고 그것을 배설하는 기능이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가열된 야채나 살균한 우유, 설탕 대사에서 초래된 칼슘은 체내에 흡수되지 못하며 체내에 축적된다. 이러한 경우 거치게 되는 경로 중 하나가 담관이며 담관은 불용성 칼슘을 담으로 운반해 온다. 그 다음은 신장에서 걸러지게 된다. 점차 칼슘 축적이 불어나서 기관 내에 담석이나 결석을 만들게 된다. 혈액은 무기원소를 혈관으로 방출시키고 혈관의 맹단에 침착된다. 또한 무기 원소가 침착하기 좋은 혈관은 직장에 있기에 항문에서는 치핵으로 생성된다.
관절염의 원인은 관절 연골에 불용성 칼슘이 축적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침범당한 연골은 무기칼슘 원자에 대해 인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장소에는 쌓이지 않고 관절 연골에만 불용성칼슘이 축적되게 된다. 관절염의 경우에는 칼슘 원자가 연골과 인대를 경화시키지만 치질의 경우에는 어혈 섬유소를 만들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나 불용성 칼슘을 함유한 음식물을 섭취하면 위와 같은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관절염의 칼슘 피복이 생기면 축적이 가중되어 결국에는 골만곡(뼈가 휘어짐)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불용성 칼슘의 용해에 권장되는 것이 이온화된 칼슘(Ca2+)이다.
류머티즘은 과잉의 요소를 생성하는 육류제품의 최종 산물이 다량의 요소를 생성함으로써 발생한다. 신장이 요소를 모두 배설하지 못해 신장에 부담을 주게 된 다. 단백질 섭취로 생성되는 요산의 대부분이 근육 속으로 흡수되며 결정화된 것이 류머티스이다. 한편 이온화된 칼슘(Ca2+)은 이러한 수산석회를 용해시킨다. 용해성칼슘은 불용성칼슘이 다른 조직에 부착됨을 억제하고 침착된 수산칼슘 성분을 용해하여 퇴적장소로부터 떨어져 나와 체외로 배출한다.
즉, 칼슘의 효능애 있어서 체내 흡수율이 제안된 이온화된 칼슘과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온화된 칼슘이 100%의 흡수율을 보이는 반면, 의약품으로 나오는 칼슘제는 합성한 무기칼슘과 유청칼슘, 난각칼슘, 탄산칼슘, 굴껍질(모려) 등을 분말화시킨 불용성 칼슘이기 때문에 체내 흡수가 잘되지 않는다. 칼슘제 대부분은 5~20%만 흡수되고 나머지는 대변으로 배출된다. 동물성 식품 가운데 우유와 유제품, 생선 등에 칼슘이 들어있고 흡수율은 약 25 ~ 40% 정도이다. 이 밖에 우골분과 뼈째 먹는 생선, 난각칼슘, 산호칼슘, 야채칼슘, 해조칼슘 등이 있으나 흡수율은 50%를 넘지 못한다. 또한 불용성 칼슘은 경구 투여되어도 상기와 같은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우유 속의 칼슘의 경우, 가공의 거치기 전의 생우유는 수용성으로 섭취량의 50% 정도가 체내에 흡수된다. 그러나 이러한 생우유 속의 칼슘도 멸균을 위해 고온 단시간의 살균방법(가열처리)으로 인해 불용성 칼슘으로 변화된다. 우유 속의 카제인은 칼슘과 결합 칼슘포스페이트의 형태로 존재한다. 즉 일종의 「칼슘카제이네이트」를 이루고 있다. 이와같이 칼슘-카제인 결합물은 가열에 의하여 카제인분자에서 칼슘이 분리되어 우유 중에 녹아있는 CO2와 결합해서 CaCO3가 형성되거나 또는 카제인과 칼슘의 결합의 중간체인 인산과 결합해서 Ca3(PO4)2를 형성하게 된다. 이 CaCO3나 Ca3(PO4)2등은 장내에서 흡수율이 칼슘-카제인 결합물의 칼슘보다 떨어진다. 흔히 우리가 일상 먹는 식품중에서 우유를 칼슘의 보고라고 하는데, 이러한 고온 살균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천연의 소화되기 쉬운 칼슘의 유기염이 소화흡수가 되지않는 CaCO3나 Ca3(PO4)2의 형태로 바뀌어 칼슘의 흡수가 어렵게 된다. 즉 우유 속의 칼슘도 가열에 의하여 흡수가 되지 않는 형태로 변화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온화된 용해성 칼슘으로서는 특히 초산칼슘이 바람직하며, 초산칼슘은 바람직하게는 초란 중에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초에 의한 난각(계란껍데기)의 초반응회수법에 의한 초란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00% 흡수되는 이온화칼슘 1,000mg을 만들기 위해서는 달걀 1개의 껍데기만을 부순 다음 산, 예를 들면 일반식초를 계란껍데기가 흠뻑 젖을 정도로 붓는다. 껍질은 식초 성분인 아세트산과 반응하면서 없어진다. 달걀껍질은 탄산칼슘이라는 성분인데, 이 물질은 아세트산과 반응하면 이산화탄소를 발생하면서 녹는다. 달걀에서 생기는 거품이 바로 이산화탄소이다.
탄산칼슘 + 아세트산 → 아세트산칼슘 + 이산화탄소 +물
CaCO3 + 2 CH3COOH → Ca(CH3COO)2 + CO2↑ + H2O
부글부글 끓는 것처럼 20~30분간 거품이 일다가 가라앉은 후에 달걀껍데기를 버리고 식초물만 걸러낸다. 계란껍데기 한 개속에서 식초에 흘러나온 칼슘량은 1,000mg으로 하루에 필요한 칼슘량이다. 이러한 난각칼슘은 이온화 칼슘(Ca2+)으로 변화되어 있기 때문에 100% 체내에 흡수된다.
칼슘은 미네랄 중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영양소이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칼슘 섭취를 권장량의 절반 정도도 섭취하지 못하고 있다. 칼슘의 하루 권장량은 700mg이다.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에는 여기서 400mg정도는 더 요구된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은 이보다는 더 많이 복용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갱년기 전 후에는 최소한 1000mg은 복용해야 하고 필요에 따라 1500mg이라도 복용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인들이 섭취하는 칼슘의 양은 이 보다 훨씬 적다. 칼슘이 부족하면 근육통, 생리불순, 고혈압, 불면증, 신경불안, 면역기능 저하가 오게 된다. 이 밖에도 혈액응고에도 칼슘이 있어야 하고 여러 가지 효소가 작용할 수 있다. 생명유지에 가장 중요한 부분인 세포막도 칼슘이 있어야 그 기능과 모습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세포막의 삼투작용에 반드시 필요한 광물질이다. 칼슘이 몸 속에 충분히 없을 때, 해를 끼치는 다른 광물질들이 더 잘 흡수되는 경향이 있다. 이 밖에도 칼슘 부족이 오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나 질환을 앓을 수 있게 된다. 관절통, 습진, 잘 부서지는 손톱, 고 콜레스테롤, 심계항진, 간질, 우울증, 정신집중력 장애 및 과격한 행동 등이다. 칼슘의 흡수는 아니지만 칼슘의 혈중 농도를 낮추는 경우도 있다. 현대 생활의 특징중의 하나인 각종 소다 음료수에는 인산 제품이 들어 있다. 본래 인산과 칼슘은 아주 섬세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인산이 들어오면 칼슘이 나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소다 음료수를 많이 마시는 현대인들의 칼슘이 낮은 것은 하나의 특징적인 현상이라 볼 수 있다. 여기에 설탕을 포함한 음식, 고단백질 음식도 칼슘의 혈중 농도를 낮추는 작용을 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칼슘 부족은 선진국형 식생활과 운동부족으로 올 수 있는 대표적인 생활습관 병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자연스러운 칼슘의 배출을 제외한 육류나 인산, 설탕, 나트륨 등에 의한 칼슘 손실로 인해 하루 1000mg 정도는 섭취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대인에 있어서 칼슘을 보충해줘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더우기 이온화된 용해성 칼슘의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등에 우수한 치료 및 예방효과를 새로이 발견하여 제안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온화된 용해성 칼슘을 포함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등에 우수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은 고체상태의 칼슘공급원과 산 반응시 난황을 추가하여 반응시킨 생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침전을 방지하는 물질로서 난황을 추가한다. 포스비틴은 난생 척추동물의 알에서 발견되는 인단백질(phisohiprotein)로서, 아미노산인 세린 함량이 예외적으로 높고 거의 모든 세린 잔기가 인산과 에스테르 결함하고 있다는 특성을 가진다. 계란에서 발견되는 포스비틴은 분자량이 35kDa 정도이고 10% 정도의 인을 포함하여 자연계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중 인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이며 인 외에도 6.5% 정도의 당쇄를 포함하고 있는데, 계란 중 과립상 단백질의 주요 성분으로서 난황 단백질 중 약 7%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포그비틴의 특징으로는 무기이온 결합능, 항산화능 및 유화능이 있다. 즉 포스비틴은 인산기의 존재에 따라 칼슘이나 철분 등의 무기이온과 킬레이트(chelate) 형성능이 높고 포스비틴 펩타이드도 칼슘 결합능을 향상시키며 불용성인 칼슘 포스페이트의 형성을 저해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항산화능은 무기이온 결합능과 관련된 것으로서, 지질산화를 촉진하는 금속이온을 킬레이트하여 작용을 봉쇄함으로써 산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난황을 고체상태의 칼슘공급원, 예를 들면 난각에 대한 산반응으로 획득하는 조성물에 추가하여 획득함으로써 조성물에서 이온화된 칼슘 성분이 고체 상태로 침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에 의해 용해되어 체외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투여되는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등에 우수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과 함께 투여된다. 마그네슘은 비타민 B6와 함께 칼슘이 다른 조직에 부착됨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신장요석 및 담낭석이 발생함을 막아주기도 한다. 또한 칼슘 뿐만 아니라 마그네슘도 뼈를 튼튼하게 하는데 절대로 필요한 광물질이다. 이 두 광물질은 같이 섭취해도 서로 간에 별 문제가 없으며, 칼슘 섭취만 많을 때에는 마그네슘의 부족이 오기 쉽다. 함께 투여될 때 마그네슘의 투여량은 칼슘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내지 10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 정은 수산화 마그네슘(magnesium hydroxide)을 원료로 하며 한 알에 500mg의 마그네슘을 공급한다. 또한 호도, 아몬드, 땅콩, 캐슈넛 등의 견과류에서 충분히 섭취할 수 있고 생 양상추 등의 야채에서 이온화된 상태의 마그네슘을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온화된 용해성 칼슘을 포함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등 에 우수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D와 함께 투여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상적으로 투여시 대부분의 경우 경구의 방법으로 투여된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에 적합한 조성물을 포함하나, 임의의 주어진 경우에 있어서 가장 적당한 경로는 부분적으로는 치료 받을 증상의 성질 및 심각성과 활성성분의 성질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편리하게는 단위 투여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제약 업계에 널리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활성화합물의 용액 또는 현탁액은 계면활성제 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와 적당히 혼합된 물에서 제조될 수 있다. 분산액은 또한 글리세롤, 애상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오일 중 혼합물에서 제조될 수도 있다. 통상의 저장 및 사용 조건하에서, 이러한 제제는 미생물의 성장을 방지하는 보존제를 함유한다.
실제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종래의 약학적 화합 기법에 따라서 약학적 암체와의 인접 혼합물에 활성성분으로서 배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투여, 예컨대, 경구 투여에 바람직한 제제 형태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경구 투여함에 있어서의 조성물 제조 시, 경구 액상 제제, 예를 들어, 현탁액, 엘릭시르 및 용액의 경우에는 통상의 약학 배지 중 임의의 것, 예를 들어 물, 글리콜, 오일, 알코올, 향미제, 보존제, 착색제, 등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경구 고상제제 예컨대, 분말, 경질 및 연질 캡슐과 정제의 경우에는 담체, 예컨대 전분, 당, 미소결정질 셀룰로즈, 희석제, 과립화제, 윤활제, 결합제, 붕괴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상의 경구 투여 제제보다는 액상 투여 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온화된 칼슘 조성물은 그대로 피부 등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 는데, 로션, 유액, 젤, 크림, 연고, 스프레이, 첨부제 등으로서 제형으로는 외용제이라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그 자체가 피부 등에의 침투성이 강하지만, 상기 조성물을 다른 외용제에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외용 의약품, 화장료 등의 외용제에 배합하여 피부 등에의 외용제로 사용하더라도 조성물의 효능을 살릴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다른 원료를 첨가함으로써, 육모제나 화장료로서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적으로 외용제에 사용되는 원료, 예를 들면 알코올류, 보습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방부제, 유분, 향료, 색소, 자외선 흡수, 산란제, 생리활성 물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생리 활성 물질 등이라 함은, 의약으로서 질환의 치료나 예방에 사용하는 물질과 함께, 미백이나 기미개선, 색소침착 개선, 주름 펴짐 등의 미용효과를 갖는 물질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캡슐, 환제, 정제, 과립제, 액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료형태를 포함한 액제형태는 물론 분말형태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원료는 남녀 노소에 따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내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약제 제제화 방법으로 추출물 제조만을 언급하였으나, 통상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약학적제제. 예를 들어 주사제, 액제, 시럽제, 정제, 캡슐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비만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당한 제제는 (a) 액상용액 예컨대 희석제, 예를 들어 물, 염수, 또는 PEA 400에 현탁된 유효량의 패킹된 핵산 : (b) 각 각 소정량의 활성 성분을 액체, 고체, 과립 또는 젤라틴을 함유하는 캡슐, 향분(sachet) 또는 정제; (c) 적당한 액체중의 현탁액 ; 및 (d) 적당한 유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입 용액 및 현탁액은 전술한 유형의 멸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 의약조성물은, 적당한 의약용의 담체 혹은 희석제와 조합시켜서 의약으로 할 수 있고, 경구 또는 비경구를 투여하기 위한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의 제형으로,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보통의 방법에 의하여 처방할 수 있다. 처방에 맞게는,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 의약조성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든지 혹은 다른 의약활성분과의 배합제로 하여도 좋다.
경구투여용 제제로서 제제화하는 데는, 그대로 혹은 적당한 첨가제, 예컨대 유당, 만니트,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구연산칼슘 등의 관용의 부형제와 아울러, 결정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유도체, 아라비아고무, 옥수수전분, 젤라틴 등의 결합제,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등의 붕괴제, 탤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활택제, 기타 증량제, 습윤화제, 안정화제, 완충제, 보존제, 향료 등을 적당히 조합시켜서 정제, 산제, 과립제 혹은 캅셀제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 의약조성물은 증류수 등으로 사용시 용해하여 사용하는 경구용 액제로서 제제화하여도 좋고, 히스타민 가면역 글로불린 용액을 바이알병 등에 충전한 후에 동결건조 등을 실시하여 제조할 수 있고, 제제화시에 필요에 따라서 상기한 각종의 첨가제를 가해도 좋다. 환자의 상태나 환자의 종 류에 따라서, 그 치료에 최적한 상기 이외의 제형, 예컨대 흡입제, 에어졸제, 연고, 점안제, 좌제 등으로 적당히 제제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에 의해 용해되어 체외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투여되는 칼슘과 마그네슘을 주요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용량은 환자의 연령, 증상, 투여제형, 또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정한 상태에서 바람직한 투여량을 결정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광범위한 투여량 범위에 대하여 유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에 있어서 투여량은 약 300~약 1500m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약 10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00~약 900mg이 필요할 수 있다. 정확한 투여량은 투여방식, 목적 치료법, 투여형, 치료받을 개체 및 치료받을 개체의 체중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며, 치료를 책임지고 있는 내과의사 또는 수의사의 선택 및 경험에 따라서도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단위 투여형 당 활성성분 약 300~약 500mg과 약학적 허용담체를 포함하는 단위투여형으로 분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구, 비강, 폐 또는 경피 투여에 적당한 투여형은 약학적 허용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조성물 약 300~약 5000mg, 바람직하게는 약 400~약 500mg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캡슐, 환제, 정제, 과립제, 액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료형 태를 포함한 액제형태는 물론 분말형태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원료는 남녀 노소에 따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내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60kg 이상, 60세 미만인 성인 남녀가 앰플 형태의 액제를 1회에 900mg씩 1일 2회, 바람직하게는 식후, 1시간 후 1~2개월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소아 및 노인도 섭취가 가능하여 용량은 체질량 지수 및 제중에 따라 성인의 2/3(600mg), 1/3(300mg) 수준으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섭취한다.
후보 화합물의 적당량 또는 적당 투여량은 당 업계에 공지된 실험을 통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예방 또는 치료용에 필요한 정도로 자주 예를 들어, 4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 또는 18시간마다 투여되거나 매일 또는 격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다른 화합물과 혼합되거나 또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등에 우수한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할 수도 있는 다른 약물과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약물들은 임의의 투여 경로 및 이러한 투여 경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 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다른 약물과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다른 약물 및 화합물을 함유하는 단위 투여형의 약학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성분과 함께 사용될 때,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다른 활성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보다 낮은 투여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과 전술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성분을 포함한다.
실시예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등에 우수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은 함량 범위 내에서 식품 형태(제형)의 선택 및 조성비의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에 의해 이온화된 칼슘 및 마그네슘 조제용 식품 조성물 중 조류 및 갑각류의 껍질 성분은 비슷한 조건의 다른 성분으로 대체 또는 가감이 가능하고, 이들의 배분비율도 또한 가감이 가능하다.
제조예 1. Ca2+ 수득 방법(난각으로부터 초 반응 회수법)
본 발명의 Ca2+용액 추출 방법은
① 난각을 마른 천으로 깨끗이 닦고, 물기를 제거 한다.
② 난각과 침전 방지를 위한 난황을 함께 넣고 병속에 식초를 붇는다.
③ 뚜껑을 꼭 닫아 상온(20~25℃)의 약간 어두운 곳에 방치한다.
④ 난각이 용해된다.
⑤ 용액 만을 회수하여 냉장 보관한다.
제조예 2. 위의 난각으로부터 산 반응 회수법에 의한 조성물의 이온화된 칼슘 400mg의 경피 피하투여에 대하여 마그네슘 200mg과 1정의 비타민 D제제와 함께 복용하도록 하였다.
제조예 3. 위의 난각으로부터 산 반응 회수법에 의한 조성물의 경구투여에 대하여 이온화된 칼슘 800mg에 대하여 마그네슘 400mg과 1정의 비타민 D제제를 가루로 분쇄하여 혼합물을 만들어 복용하도록 하였다.
제조예 4. Ca2+ 수득 방법(우유로부터 회수법)
난각 대신, 우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의 이온화된 용해성 유기칼슘을 얻었다.
제조예 5. Ca2+ 수득 방법(난황 추가 반응)
난황을 추가하여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의 침전이 방지되는 이온화된 용해성 유기칼슘을 얻었다.
제조예 6. 위의 난각으로부터 산 반응 회수법에 의한 조성물의 이온화된 칼슘에 대하여 온풍건조 방법으로 분말화하여 가루형태의 이온화된 칼슘분말을 얻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산에 의해 용해되어 체외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투여되는 칼슘과 마그네슘을 주요 유효성분으로 하여 적정한 비율로 구성되어진 조성물을 얻고 이를 복용하게 함으로써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 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에 우수한 치료 효과 및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현행 고혈압 치료제에서 흔히 나타나는 심장계, 신장계, 및 뇌혈관계에 미치는 부작용이 없고, 혈압도 완만하게 정상으로 조절-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그 외에도 정상범위 이하로의 혈압이 강하되지 않는 특징을 보였고, 조성물의 적용에 의한 자각적, 타각적 이상 증세도 나타나지 않았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상 진료에서 부작용이 없는 고혈압에 대한 치료제로서 장기간 사용가능한 천연물 혈압조절 물질인 동시에 혈장 콜레스테롤의 양을 낮춤으로서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천연 유래의 조성물이다.

Claims (14)

  1. 유효성분으로서 산에 의해 용해되어 체외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투여되는 칼슘과 마그네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된 용해성 칼슘이 고체상태의 칼슘공급원과 산을 반응시킨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상태의 칼슘공급원이 난각, 새우, 게, 굴껍질, 산호칼슘, 해조칼슘, 우골분, 생선뼈, 유제품, 해조류, 두류, 화본과류, 참깨, 차, 식물류, 해조류, 심층수, 온천수, 황토, 탄화식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저하, 힐액의 산성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된 용해성 칼슘이 탄산칼슘, 황산칼슘, 제 1 인산칼슘, 제 2 인산칼슘, 제 1 인산칼슘,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염화칼슘, 질산칼 슘, 젖산칼슘, 구연산칼슘, 글루콘산칼슘, 중탄산칼슘, 아질산칼슘, 초태산칼슘, 초산칼슘, 유청칼슘, 밀크칼슘, 펜토텐산칼슘, 또는 펩타이드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용해성 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된 용해성 유기칼슘이 해조류, 어패류, 갑각류로부터 유래된 탄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된 용해성 유기칼슘이 초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초산칼슘의 공급원이 식초, 식용목초에 의한 난각의 초반응회수법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8. 제2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된 용해성 유기칼슘이 고체상태의 칼슘공급원과 산 반응시 침전을 방지하는 물질로서 난황을 추가하여 반응시킨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추가되는 난황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이 포스비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D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마그네슘을 칼슘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내지 10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제제형태가 외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 의 산성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제제형태가 경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공급원이 건과류, 식물류, 간수, 해조류, 심층수, 황토, 온천수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갑상선 기능 저하, 혈액의 산성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040073596A 2004-09-09 2004-09-09 심장 및 혈관질환, 혈액의 산성화의 예방 또는 치료를위한 조성물 KR20060023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596A KR20060023503A (ko) 2004-09-09 2004-09-09 심장 및 혈관질환, 혈액의 산성화의 예방 또는 치료를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596A KR20060023503A (ko) 2004-09-09 2004-09-09 심장 및 혈관질환, 혈액의 산성화의 예방 또는 치료를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503A true KR20060023503A (ko) 2006-03-14

Family

ID=37129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596A KR20060023503A (ko) 2004-09-09 2004-09-09 심장 및 혈관질환, 혈액의 산성화의 예방 또는 치료를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35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8827A1 (en) * 2009-01-08 2011-11-03 Beong Ou Lim Eyesight-protecting composition containing functional components having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icacy in diabetes or diabetes complications
KR101224685B1 (ko) * 2010-11-23 2013-01-2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8827A1 (en) * 2009-01-08 2011-11-03 Beong Ou Lim Eyesight-protecting composition containing functional components having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icacy in diabetes or diabetes complications
US8455018B2 (en) * 2009-01-08 2013-06-04 Konkuk University Industrial Cooperation Vision-protecting composition with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activity against diabetes or diabetic complications
KR101224685B1 (ko) * 2010-11-23 2013-01-2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ora Marine fish-derived bioactive peptides and proteins for human therapeutics
US6447809B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healthy bone structure
CN104839718A (zh) 一种粉剂型全营养配方食品及其生产工艺
US20110223282A1 (en) Nutritional composition with anti-regurgitation properties
TW200848064A (en) Process for producing osteocalcin-containing extract
CN106723087A (zh) 一种含海带膳食纤维的片剂及其制备方法
KR20020006114A (ko) 체내에 흡수되기 용이한 단백화-아연의 제조방법
JP4596513B2 (ja) 栄養組成物
KR101342648B1 (ko) D-알로오스의 고혈압, 심장 비대발증 억제 효과에의 이용
CN101279089B (zh) 阿胶钙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147527B (zh) 一种能使鸭蛋具有软化血管和降压作用的饲料及制备方法
JP4914594B2 (ja) 関節痛改善用食品組成物
JP2003335698A (ja) 高尿酸血症治療又は予防用組成物
KR20060023503A (ko) 심장 및 혈관질환, 혈액의 산성화의 예방 또는 치료를위한 조성물
CN115211517A (zh) 一种具有降尿酸功效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1224005B (zh) 一种具有全营养补充功效的营养片剂及其生产方法
CN114947138A (zh) 一种预防与改善钙缺乏病的乳钙组合物、其制法及应用
CN104839709A (zh) 胃肠道吸收障碍非全营养配方食品
KR100734944B1 (ko) 젖산칼슘 및 미강을 주재로 한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JP2002526414A (ja) 高い骨吸収の治療用植物抽出物
CN1211492C (zh) 用酶制备易于体内吸收的蛋白化-钙的方法及利用该种蛋白化-钙生产的保健食品
KR100624071B1 (ko) 골다공증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CN110089751A (zh) 肠排保健品
KR100475628B1 (ko) 해삼을 주재로한 보건 식품의 제조방법
CN110089754A (zh) 肝胆保健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