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014A - 세탁기의 밸런서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밸런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014A
KR20060023014A KR1020040071823A KR20040071823A KR20060023014A KR 20060023014 A KR20060023014 A KR 20060023014A KR 1020040071823 A KR1020040071823 A KR 1020040071823A KR 20040071823 A KR20040071823 A KR 20040071823A KR 20060023014 A KR20060023014 A KR 20060023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r
baffles
washing machine
baffl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0866B1 (ko
Inventor
장재원
전시문
김경환
서현석
임희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866B1/ko
Priority to EP05255403A priority patent/EP1634986B1/en
Priority to DE602005018867T priority patent/DE602005018867D1/de
Priority to US11/219,695 priority patent/US7617705B2/en
Priority to JP2005260710A priority patent/JP2006075605A/ja
Priority to CNA2005100999280A priority patent/CN1746397A/zh
Publication of KR20060023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밸런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조의 일측에 원주 방향으로 부착되고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링형의 밸런서링과; 상기 밸런서링 내부의 바깥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 1 배플(baffle)과; 상기 제 1 배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플의 높이보다 낮은 복수개의 제 2 배플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탈수 행정에서 상기 복수의 배플이 상기 밸런서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신속하게 반경방향으로 쏠리도록 유도하여 세탁물에 의한 불균형 질량을 보정하고, 아울러 탈수 시에 세탁기에 이상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제 1 배플 사이에 높이가 낮은 제 2 배플이 배치되어 상기 밸런서 내부의 액체로 인한 추가적인 진동 및 소음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세탁기, 터브, 밸런서, 격벽, 배플

Description

세탁기의 밸런서{Balancer of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의 전개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가 탈수행정에서 고속 회전될 때 A-A'선으로 절단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의 전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가 탈수행정에서 저속 회전될 때 B-B'선으로 절단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가 탈수행정에서 고속 회전될 때 B-B'선으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5 : 밸런서 38 : 터브
39 : 리프터 40 : 모터부
41 : 밸런서링 43 : 격벽
45 : 제 1 배플 46 : 제 2 배플
47 : 측면 틈새 49 : 상부 틈새
본 발명은 세탁기의 밸런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밸런서 내부에 높이가 다른 복수개의 배플이 각각 교차되도록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세탁기의 탈수 행정 시에 밸런서로 인한 추가적인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세탁기의 밸런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 작용 및 세탁 날개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 작용 및 세탁 날개가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에 묻은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의 전개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가 탈수행정에서 고속 회전될 때 A-A'선으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완충가능하게 장착되는 터브(14)와, 상기 터브(14)의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18)과, 상기 터브(14)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18)을 회전시키는 모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0)의 도어(12)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12)가 형성된 케이싱(10)의 전면과 상기 터브(18)의 전면 사이에는 세탁수의 유출을 방지하는 개스킷(17)이 설치되어 상기 캐이싱(10)의 내측면과 터브(18)의 전면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공간을 밀폐시킨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드럼(18)이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매달리듯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와 드럼(18)에 연결된 스프링(11)과, 상기 드럼(18)이 상기 케이싱(10)의 저면에 완충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18)과 케이싱(10)의 저면에 연결된 댐퍼(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탁기는 밸런서(15)를 포함하하는데, 상기 밸런서(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18)의 전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링형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너비를 갖는 내부에 소금물이 충진되고 열융착으로 완전 밀폐된 밸런서링(21)과, 상기 밸런서링(21)을 반경 방향으로 독립된 링 구조로 분리하는 3개의 격벽(23)과, 상기 밸런서링(21) 및 격벽(23) 내부의 바깥 둘레 방향으로 각각 약 1~2 밀리미터의 측면 틈새(27)를 유지하며 방사형으로 부착되고 내부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배플(baffle)(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플(25)은 모두 동일한 높이이고, 상기 배플(25)은 이웃하는 격벽(23)과 소정의 상부 틈새(29)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먼저, 상기 드럼(18)의 내부에 도어(12)를 통하여 세탁물이 투입된 후, 세제 및 세탁수가 상기 드럼(18)의 내부로 공급되면, 상기 모터부(20)가 구동되면 상기 드럼이 회전된다.
상기 드럼(18)이 회전되게 되면, 세탁물은 상기 드럼(18)내부에 장착된 리프터(19)에 의해 올려졌다가 낙하되면서 세탁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세탁 행정이 종료된 후, 상기 세탁물에 남은 거품을 헹궈내기 위한 헹굼 행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세탁 및 헹굼행정이 수행된 후 세탁물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탈수행정이 이루어진다.
탈수 행정에서 상기 드럼(18)이 고속으로 회전되면, 세탁물의 물기는 원심 탈수되면서 상기 드럼(18)의 통공을 통해 배수되어 외부로 배수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18)의 회전 속도는 정지상태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데, 상기 드럼(18)의 저속 회전에 따라 상기 배플(25)과 상기 밸런서링(21)과의 측면 틈새(27) 및 상부 틈새(29)를 통하여 소금물이 이동하면서, 전체적으로 상기 소금물은 중력에 의하여 상기 밸런서의 하단부에 고여 있게 된다.
그러다 회전 속도가 증가하여 소금물의 중력을 이기는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배플(25)은 회전에 의하여 소금물을 계속하여 상부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므로 도 2의 A-A'의 절단면을 도시한 도 3와 같이, 결국 소금물은 원주 방향으로 쏠리게 된다.
즉, 상기 각 격벽(23)의 독립된 공간마다 상기 배플(25)의 높이보다 낮은 높 이로 소금물이 위치되는 정상 탈수가 이루어진다.
이 때에 상기 드럼(18) 내부에서는 세탁물이 한 쪽으로 치우침으로 인하여 불균형 질량이 발생하는데, 상기 밸런서 내부의 소금물은 불균형 질량의 하중만큼 치우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이러한 불균형 질량을 보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플(25)의 높이는 소금물의 중력보다 상기 드럼(18)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더 큰 경우에 소금물이 원주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정상 탈수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에 상기 정상 탈수에서 상기 드럼(18)의 회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드럼(18)의 진동수와 터브(14)의 진동수가 일치하는 순간에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공진 현상 또는 기타 이상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밸런서 내부의 배플(15)로 인하여 소금물의 유동이 저항 받아 오히려 추가적인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밸런서 내부에 높이가 다른 복수개의 배플을 구비하여 탈수 행정시 밸런서로 인한 추가적인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밸런서는 내조의 일측에 원주 방향으로 부착되고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링형의 밸런서링과; 상기 밸런서링 내부의 바깥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 1 배플(baffle)과; 상기 제 1 배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플의 높이보다 낮은 복수개의 제 2 배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밸런서는 상기 밸런서링 내부에 상기 액체가 수용되는 복수의 공간을 갖도록 반경 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런서는 상기 격벽 사이의 바깥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제 1 배플 및 제 2 배플이 각각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세탁기가 일정 RPM 이상으로 고속 회전하는 정상 탈수 시 상기 밸런서 내부의 액체의 높이는 상기 제 1 배플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제 2 배플보다는 같거나 높게 분포한다.
또한, 상기 제 2 배플의 높이는 상기 제 1 배플의 높이의 1/2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의 전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가 탈수행정에서 저속 회전될 때 B-B'선으로 절단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가 탈수행정에서 고속 회전될 때 B-B'선으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밸런서(3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38)의 도어측에 원주 방향으로 부착되고, 상기 밸런서(35)가 부착된 반대측에는 상기 드럼(18)을 회전시키는 모터부(20)가 구비된다.
상기 밸런서(35)는 상기 드럼(38)의 도어측 이외에도 상기 모터부(20) 측에 부착되거나, 양 측에 모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밸런서(35)는 상기 드럼(38)의 원주방향으로 링형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너비를 갖는 내부에 소금물이 충진되고 열융착으로 완전 밀폐된 밸런서링(41)과, 상기 밸런서링(41)의 내부 공간을 반경 방향으로 독립된 공간으로 분리 구획하는 3개의 격벽(43)과, 상기 밸런서링(41) 및 격벽(43) 내부의 바깥 둘레에 각각 약 1~2 밀리미터의 측면 틈새(47)를 유지하며 방사형으로 부착되고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배플(baffle)(45, 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배플(45, 46)은 상기 밸런서링(41)의 너비의 약 60 내지 70 퍼센트의 길이의 높이를 갖는 제 1 배플(45)과, 상기 제 1 배플(45)의 높이의 1/2의 높이를 갖는 제 2 배플(46)로 구비되는데, 상기 배플(45, 46)이 부착된 밸런서링(41) 및 격벽(43)과 이웃하는 밸런서링(41) 및 격벽(43)과 소정의 상부 틈새(49)를 유지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제 1 배플(45)과 제 2 배플(46)이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며 각각 교차되며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배플(45)의 상부 틈새(49)는 G2의 간격을 갖으며, 상기 제 2 배플(46)의 상부 틈새(49)는 G2의 간격보다 넓은 G1 의 간격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럼(38)의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된 후, 세제 및 세탁수가 상기 드럼(38)의 내부로 공급되면, 상기 모터부(40)가 구동되면 상기 드럼(38)이 회전된다.
상기 드럼(38)이 회전되게 되면, 세탁물은 상기 드럼(38)내부에 장착된 리프터(39)에 의해 올려졌다가 낙하되면서 세탁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세탁 행정이 종료된 후, 상기 세탁물에 남은 거품을 헹궈내기 위한 헹굼 행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세탁 및 헹굼행정이 수행된 후 세탁물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탈수행정이 이루어진다.
탈수 행정에서 상기 드럼(38)이 고속으로 회전되면, 세탁물의 물기는 원심 탈수되면서 상기 드럼(38)의 통공을 통해 배수되어 외부로 배수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38)의 회전 속도는 정지상태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데, 상기 드럼(38)이 저속 회전되는 때에는 도 4의 B-B'의 절단면을 도시한 도 5와 같이, 상기 배플(45, 46)과 상기 밸런서링(41)과의 측면 틈새(47) 및 상부 틈새(49)를 통하여 소금물이 이동하면서 상기 소금물은 중력에 의하여 전체적으로는 상기 밸런서의 하단부에 모여 있게 된다.
그러다 회전 속도가 증가하여 소금물의 중력을 이기는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 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플(45, 46)은 회전에 의하여 소금물이 계속하여 상부로 끌어올려지도록 유도하므로 도 4의 B-B'의 절단면을 도시한 도 6과 같이, 결국 소금물은 상기 각 격벽(43)에 의한 독립된 공간마다 원주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쏠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밸런서(35) 내부에 충진되는 소금물의 양은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바깥 방향으로 쏠린 소금물의 높이가 상기 제 1 배플(45)의 높이보다는 낮고, 상기 제 2 배플(46)의 높이보다는 높도록 설정된다.
즉, 상기 측면틈새(47)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배플(46)의 상측 틈새(G1)를 통과하여 소금물이 제 2 배플 사이 통과할 수 있지만, 상기 제 1 배플(45)의 경우에는 소금물이 상측 틈새(G2)를 통해서는 이동할 수 없어 상기 측면틈새(47)를 통해서만 상기 제 1 배플(45)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드럼(38)의 회전에 의하여 내부에서는 세탁물이 한 쪽으로 치우침으로 인하여 불균형 질량이 발생하는데, 상기 밸런서(35) 내부의 소금물은 불균형 질량에 해당하는 하중만큼 치우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이러한 불균형 질량을 보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배플(45)의 높이는 소금물의 중력보다 상기 드럼(38)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더 큰 경우에 소금물이 원주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정상 탈수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밸런서링(41)의 너비의 약 60 내지 70 퍼센트의 길이의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정상 탈수에서 상기 드럼(38)의 회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드럼(38)의 진동수와 터브(34)의 진동수가 일치하는 순간에 공진 현상 등 기타 이상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배플(45) 사이에 있는 소금물이 유동되면서 드럼을 가진시킬 수 있는데, 상기 제 2 배플(46)이 이러한 소금물의 출렁거림을 억제하여 드럼의 2차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밸런서는 세탁기의 탈수 행정에서 제 1 배플 및 제 2 배플을 구비하여 밸런서링 내부의 소금물이 밸런서링의 외벽에 쏠릴 수 있도록 신속하게 유도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동시에 상기 제 1 배플의 높이보다 낮은 제 2 배플을 이웃하는 제 1 배플 사이에 구비하여 드럼의 진동수와 터브의 진동수가 일치하는 순간에 발생되는 공진 현상 또는 기타 이상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밸런서 내부의 소금물이 저항됨으로 인한 추가적인 소음 및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내조의 일측에 원주 방향으로 부착되고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링형의 밸런서링과; 상기 밸런서링 내부의 바깥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 1 배플(baffle)과; 상기 제 1 배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플의 높이보다 낮은 복수개의 제 2 배플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밸런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서는 상기 밸런서링 내부에 상기 액체가 수용되는 복수의 공간을 갖도록 반경 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밸런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서는 상기 격벽 사이의 바깥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제 1 배플 및 제 2 배플이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밸런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가 일정 RPM 이상으로 고속 회전하는 정상 탈수 시 상기 밸런서 내부의 액체의 높이는 상기 제 1 배플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제 2 배플보다는 같거나 높게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밸런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플의 높이는 상기 제 1 배플의 높이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밸런서.
KR1020040071823A 2004-09-08 2004-09-08 세탁기의 밸런서 KR100640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823A KR100640866B1 (ko) 2004-09-08 2004-09-08 세탁기의 밸런서
EP05255403A EP1634986B1 (en) 2004-09-08 2005-09-02 Balancer for a washing machine
DE602005018867T DE602005018867D1 (de) 2004-09-08 2005-09-02 Auswuchtvorrichtung für eine Waschmaschine
US11/219,695 US7617705B2 (en) 2004-09-08 2005-09-07 Washing machine
JP2005260710A JP2006075605A (ja) 2004-09-08 2005-09-08 洗濯機
CNA2005100999280A CN1746397A (zh) 2004-09-08 2005-09-08 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823A KR100640866B1 (ko) 2004-09-08 2004-09-08 세탁기의 밸런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014A true KR20060023014A (ko) 2006-03-13
KR100640866B1 KR100640866B1 (ko) 2006-11-02

Family

ID=3615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823A KR100640866B1 (ko) 2004-09-08 2004-09-08 세탁기의 밸런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17705B2 (ko)
EP (1) EP1634986B1 (ko)
JP (1) JP2006075605A (ko)
KR (1) KR100640866B1 (ko)
CN (1) CN1746397A (ko)
DE (1) DE602005018867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4302A (zh) * 2018-07-13 2020-01-2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及其平衡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89862T3 (es) 2006-06-01 2012-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vadora de tipo tambor
EP2436825B1 (en) 2006-06-01 2021-0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having balancer
KR101424559B1 (ko) * 2007-10-31 2014-07-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밸런서 제조금형
US8701451B2 (en) 2010-12-08 2014-04-22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alancing system
US8991223B2 (en) 2010-12-08 2015-03-3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alancing system
US8713977B2 (en) 2010-12-08 2014-05-06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alancing system
US9003838B2 (en) 2010-12-08 2015-04-14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alancing system
US8695383B2 (en) 2010-12-08 2014-04-1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alancing system
JP5269917B2 (ja) * 2011-01-07 2013-08-21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JP5469102B2 (ja) * 2011-01-07 2014-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US20120272690A1 (en) * 2011-04-26 2012-11-01 General Electric Company Motor-mounted balance ring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US9518352B2 (en) * 2015-01-07 2016-12-1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Unitary balance ring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FR3032766B1 (fr) 2015-02-13 2017-02-10 Amnc Innovations Dispositif d’equilibrage pour une machine a tambour rotatif et machine comprenant un tambour rotatif equipe d’un tel dispositif
CN108138887B (zh) * 2015-10-07 2019-11-22 日本Tmt机械株式会社 液体减振器系统
JP6742133B2 (ja) * 2016-04-18 2020-08-19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機
JP7335149B2 (ja) * 2019-12-03 2023-08-29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流体バランサ、及び、当該流体バランサを用いるドラム式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20431A (en) * 1964-08-04 1968-07-17 Leo Marcus Kah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alancing arrangements for centrifugal hydro-extractors, particularly in 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achines
JPS537981A (en) 1976-07-08 1978-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watering washing machine
JPS5347167A (en) 1976-10-13 1978-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sher-dryer
JP3106511B2 (ja) * 1991-01-24 2000-1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H0679087A (ja) 1992-08-31 1994-03-22 Sharp Corp 脱水機のバランサー装置
KR200151035Y1 (ko) * 1994-12-07 1999-07-15 윤종용 드럼형 세탁기의 진동 및 소음 감소장치
JPH09234295A (ja) * 1995-12-26 1997-09-09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JPH09313766A (ja) * 1996-01-31 1997-12-09 Sharp Corp ドラム式乾燥洗濯機、ドラム式乾燥機およびドラム式乾燥洗濯機の動作方法
JPH1057671A (ja) 1996-08-23 1998-03-03 Toshiba Corp 洗濯機
KR19990066050A (ko) 1998-01-21 1999-08-16 구자홍 세탁기의 원심균형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4302A (zh) * 2018-07-13 2020-01-2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及其平衡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4986A1 (en) 2006-03-15
DE602005018867D1 (de) 2010-03-04
US7617705B2 (en) 2009-11-17
KR100640866B1 (ko) 2006-11-02
CN1746397A (zh) 2006-03-15
EP1634986B1 (en) 2010-01-13
US20060053843A1 (en) 2006-03-16
JP2006075605A (ja)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4986B1 (en) Balancer for a washing machine
EP0607678B1 (en) Balancer for an automatic washer
KR100513033B1 (ko) 하부 발란서가 구비된 세탁기
JP2755567B2 (ja) ドラム型洗濯機の洗濯槽
KR20130080222A (ko) 세탁기
EP0808934A2 (en) Washing machine
KR20100018241A (ko) 볼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한 세탁장치
KR20150052454A (ko) 밸런서 및 이를 갖는 세탁기
JP2012130474A (ja) ドラム式洗濯機
JP6569092B2 (ja) 洗濯機
JP2008157339A (ja) バランシン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洗濯機
KR20130116633A (ko) 뎀핑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
JP6742133B2 (ja) 洗濯機
JP2014004002A (ja) ドラム式洗濯機
JPH07241398A (ja) 脱水洗濯機
JP7002292B2 (ja) 洗濯機
JPH04187192A (ja) 洗濯機
KR20050110072A (ko) 밸런서가 구비된 드럼세탁기 및 모터
TWI710684B (zh) 洗衣機
JP2022174789A (ja) ドラム式洗濯機
KR0117668Y1 (ko) 세탁기의 액체 평형장치
KR100474247B1 (ko) 세탁기의 액체 발란서
KR100686145B1 (ko)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JP2014054385A (ja) 洗濯機
KR20140035796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