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939A - 레인지용 후드 - Google Patents

레인지용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939A
KR20060022939A KR1020040071740A KR20040071740A KR20060022939A KR 20060022939 A KR20060022939 A KR 20060022939A KR 1020040071740 A KR1020040071740 A KR 1020040071740A KR 20040071740 A KR20040071740 A KR 20040071740A KR 20060022939 A KR20060022939 A KR 20060022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air
range
suction port
can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5568B1 (ko
Inventor
백승조
송성배
손상범
이제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568B1/ko
Priority to DE602004031608T priority patent/DE602004031608D1/de
Priority to EP04106845A priority patent/EP1635121B1/en
Publication of KR2006002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64Removing cooking fumes illumination for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인지용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후드의 흡입구 근방에서 흡입구로 흡입되지 못하고 확산되는 오염공기가 후드로 재흡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리과정시 발생되는 오염공기의 포집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레인지용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레인지 상부에 설치되는 후드에 있어서, 내부에 송풍기가 수용되어 있는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하부에 일체로 확장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캐노피부와; 상기 캐노피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에 흡입되지 못하고 상기 캐노피부의 저면 주연부 측으로 확산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재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 방향으로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확산공기재흡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용 후드를 제공한다.
레인지, 후드, 확산공기재흡입수단, 벽면제트유로, 부압형성부

Description

레인지용 후드{HOOD FOR RANGE}
도 1은 종래 레인지용 후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레인지용 후드의 설치구조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용 후드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용 후드로서, 확산공기재흡입수단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용 후드의 성능을 CFD(전산유체역학)를 통해 해석한 그래프로서,
도 5는 본 발명의 확산공기재흡입수단을 통한 기류의 속도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확산공기재흡입수단을 통한 기류의 압력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확산공기재흡입수단에 의한 공기의 유동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용 후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후드 120 : 덕트부
121 : 송풍기 122 : 흡입공
123 : 송풍팬 130 : 캐노피부
131 : 흡입구 132 : 필터
140 : 레인지 150 : 벽면제트유로
151 : 유로형성부재 152 : 부압형성부
153 : 중공부재 154 : 연결유로
161 : 투광창 162 : 조명장치
본 발명은 레인지용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드의 흡입구 근방에서 흡입구로 흡입되지 못하고 확산되는 오염공기가 후드로 재흡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리과정시 발생되는 오염공기의 포집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레인지용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레인지(range) 상부에는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포함한 각종 냄새 및 수증기와 레인지(예를 들어 가스레인지) 사용시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일산화탄소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후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후드는 나쁜 가스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고 신선한 외부 공기의 흡입을 도울 뿐만 아니라 부수적으로 악취방지 및 온도조절의 효과가 있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레인지용 후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 래 레인지용 후드의 설치구조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레인지용 후드(10)는 내부에 모터와 팬으로 구성되는 송풍기(21)가 수용되는 덕트부(20)와, 내부에 소정의 포집공간이 형성되도록 덕트부의 하부에 연통되게 일체로 확장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흡입구(31)가 형성되어 있는 캐노피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레인지(40)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 상기 캐노피부(30)에는 흡입구(3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냄새와 먼지 및 기름 등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필터(3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덕트부(20)에는 흡입구(3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덕트(도시하지 않음)가 연통되게 설치되거나, 흡입된 공기가 실내로 재순환 될 수 있도록 재순환덕트(도시하지 않음)가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조리과정시 발생되는 열기와 오염공기는 흡입구(31) 및 필터(32)를 거쳐 캐노피부(30)에 포집되어 덕트부(2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거나 실내로 재순환된다.
그러나, 종래 레인지용 후드에 있어서는, 후드(10)가 적정 흡입풍량보다 적은 흡입풍량으로 운전될 경우 오염공기의 포집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후드(10)가 적정 흡입풍량 이상으로 운전될 경우에도 후드(10)로 포집되는 오염공기가 필터(32)와의 저항에 의해 흡입속도가 저감되어 완전히 흡입되지 못하고 캐노피부(30)의 저면 주연부측을 따라 전방 사용자 측으로 확산되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이 후드(10)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열기와 오염공기 등이 실내에 잔류됨에 따라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조리과정시 발생되는 오염공기의 포집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레인지용 후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인지 상부에 설치되는 후드에 있어서, 내부에 송풍기가 수용되어 있는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하부에 일체로 확장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캐노피부와; 상기 캐노피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에 흡입되지 못하고 상기 캐노피부의 저면 주연부 측으로 확산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재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 방향으로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확산공기재흡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산공기재흡입수단은, 상기 캐노피부의 저면 주연부 측에서 상기 흡입구 측으로 기류가 분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부에 형성되는 벽면제트유로와; 상기 벽면제트유로에 연속되며 상기 흡입구측 방향을 향하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벽면제트유로를 통해 분출되는 기류를 안내하며 코안다 효과를 통해 상기 흡입구 측으로 부압을 형성하는 부압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면제트유로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분출될 수 있도록 송 풍팬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면제트유로는, 일단은 상기 송풍기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벽면제트유로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송풍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송풍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벽면제트유로는 상기 캐노피부의 저면 주연부를 따라 전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면제트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의 풍속은 2~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압형성부에 투광창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용 후드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용 후드로서, 확산공기재흡입수단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용 후드의 성능을 CFD(전산유체역학)를 통해 해석한 그래프로서, 도 5는 본 발명의 확산공기재흡입수단을 통한 기류의 속도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확산공기재흡입수단을 통한 기류의 압력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확산공기재흡입수단에 의한 공기의 유동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용 후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용 후드(110)는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열기와 오염공기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주방의 레인지(140)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바, 내부에 송풍기(121)가 수용되어 있는 덕트부(120)와, 내부에 소정의 포집공간이 형성되도록 덕트부(120)의 하부에 연통되게 일체로 확장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흡입구(131)가 형성되어 있는 캐노피부(130)와, 상기 캐노피부(130)에 설치되어 흡입구(131)에 흡입되지 못하고 캐노피부(130)의 저면 주연부 측으로 확산되는 오염공기가 흡입구(131)로 재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31) 방향으로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확산공기재흡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부(120)는 사각 단면을 갖는 통 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모터와 팬으로 구성되는 송풍기(121)가 수용되어 있는 바, 이때 상기 송풍기(121)의 팬으로서는 통상의 양흡입 시로코팬(sirocco fan)이 사용된다.
상기 캐노피부(130)는 내부에 소정의 포집공간이 형성되도록 덕트부(120)의 하부에 연통되게 레인지(140) 상부의 판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확장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두께 방향을 따라 흡입구(131)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캐노피부(130)에는 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냄새와 먼지 및 기름 등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필터(13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덕트부(120)에는 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덕트(도시하지 않음)가 연통되게 설치되거나, 흡입된 공기가 실내로 재순환 될 수 있도록 재순환덕트(도시하지 않음)가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확산공기재흡입수단은,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열기와 오염공기 등이 후드의 흡입구(131) 측으로 상승된 후 흡입구(131)로 흡입되지 못하고 캐노피부(130)의 저면 주연부 측으로 확산될시 이 확산공기가 흡입구(131)로 재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31) 방향으로의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바,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확산공기재흡입수단은 캐노피부(130)의 저면 주연부 측에서 흡입구(131) 측으로 기류가 분출될 수 있도록 캐노피부(130)에 형성되는 벽면제트(Walljet)유로(150)와, 상기 벽면제트유로(150)에 연속되며 흡입구(131)측 방향을 향하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벽면제트유로(150)를 통해 분출되는 기류를 안내하며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통해 흡입구(131) 측으로 부압(負壓)을 형성하는 부압형성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벽면제트유로(150)는 캐노피부(130)의 내벽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유로형성부재(151)에 의해 캐노피부(130)의 내부에 그 내벽면을 따 라 형성된다.
상기 부압형성부(152)는 벽면제트유로(150)의 저부 출구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원형의 중공부재(153)에 의해 형성되는 바, 상기 중공부재(153)는 그 외주면의 일부가 캐노피부(130)의 저면에 대해 하방향으로 소정 구간 돌출됨과 아울러 벽면제트유로(150)에 연속되며 흡입구(131)측 방향을 향하는 원호 형상의 만곡부를 이루도록 유로형성부재(151)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또 상기와 같이 중공부재(153)에 의해 형성되는 부압형성부(152)에 투광창(161)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램프와 같은 조명장치(162)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벽면제트유로(150)는 캐노피부(130)의 외벽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유로형성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캐노피부(130)의 외부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벽면제트유로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와 같은 벽면제트유로(150)는 캐노피부(130)의 저면 주연부를 따라 전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벽면제트유로(150)에는 덕트부(120)에 관통 형성된 흡입공(12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캐노피부(130)의 저면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송풍팬(123)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벽면제트유로(150)를 통해 유동되며 캐노피부(130) 저면으로 분출되는 공기의 풍속은 2~4㎧가 적합한 바, 이 풍속이 2㎧ 미만이면 코안다 효과로 부압형성부(152)에서 형성되는 부압을 안정적으로 생성하기에는 약한 문제점이 있고, 풍속이 4㎧를 초과하게 되면 박리가 발생되며 부압형성부(152)에 부압이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게 때문에 그 범위를 2~4㎧로 한정하였다.
이하, 첨부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용 후드의 성능을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전산유체역학)를 통해 해석한 결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제트유로(150)를 통해 분출되는 기류가 부압형성부(152)에 의해 안내되며 유동됨에 따라 부압형성부(152)의 후방영역에는 코안다 효과를 통해 흡입구(131) 측으로의 부압이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압형성부(152) 후방영역에 흡입구(131) 측으로의 부압이 형성됨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캐노피부(130)의 저면 주연부 측으로 확산되는 오염공기가 흡입구(131)로 재흡입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리과정시 발생되는 오염공기중 필터(132)와의 저항 등의 이유로 캐노피부(130)의 저면 주연부 측으로 확산되는 오염공기가 부압형성부(152)에 생성되는 부압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후드의 흡입구(131)로 재흡입될 수 있게 한다.
또 이와 같은 구조는 후드(110)가 적정 흡입풍량보다 적은 흡입풍량으로 운전될 경우에도 오염공기의 포집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용 후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전술한 벽면제트유로(150)의 송풍원으로서 별도의 송풍팬(123)을 사용하지 않고 덕트부(120) 내부에 수용된 송풍기(12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송풍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벽면제트유로(150)는, 일단은 송풍기(121)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벽면제트유로(150)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연결유로(154)를 통해 송풍기(121)와 연결되어 송풍기(12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송풍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유로(154)를 제외한 여타 구성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용 후드에 의하면, 인위적인 부압형성으로 인한 압력차에 의해 후드의 흡입구 근방에서 흡입구로 흡입되지 못하고 확산되는 오염공기가 후드로 재흡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리과정시 발생되는 오염공기의 포집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후드가 적정 흡입풍량보다 적은 흡입풍량으로 운전될 경우에도 오염공기의 포집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압형성부에 조명장치를 설치함 으로써 미관을 향상 시킴은 물론 설계자유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레인지 상부에 설치되는 후드에 있어서,
    내부에 송풍기가 수용되어 있는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하부에 일체로 확장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캐노피부와;
    상기 캐노피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에 흡입되지 못하고 상기 캐노피부의 저면 주연부 측으로 확산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재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 방향으로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확산공기재흡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용 후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공기재흡입수단은, 상기 캐노피부의 저면 주연부 측에서 상기 흡입구 측으로 기류가 분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부에 형성되는 벽면제트유로와;
    상기 벽면제트유로에 연속되며 상기 흡입구측 방향을 향하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벽면제트유로를 통해 분출되는 기류를 안내하며 코안다 효과를 통해 상기 흡입구 측으로 부압을 형성하는 부압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용 후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제트유로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분출될 수 있도록 송풍팬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용 후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제트유로는, 일단은 상기 송풍기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벽면제트유로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송풍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송풍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용 후드.
  5. 제 2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제트유로는 상기 캐노피부의 저면 주연부를 따라 전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용 후드.
  6. 제 2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제트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의 풍속은 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용 후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형성부에 투광창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용 후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용 후드.
KR1020040071740A 2004-09-08 2004-09-08 레인지용 후드 KR100595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740A KR100595568B1 (ko) 2004-09-08 2004-09-08 레인지용 후드
DE602004031608T DE602004031608D1 (de) 2004-09-08 2004-12-22 Dunstabzugshaube
EP04106845A EP1635121B1 (en) 2004-09-08 2004-12-22 Hood ventil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740A KR100595568B1 (ko) 2004-09-08 2004-09-08 레인지용 후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939A true KR20060022939A (ko) 2006-03-13
KR100595568B1 KR100595568B1 (ko) 2006-07-03

Family

ID=3538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740A KR100595568B1 (ko) 2004-09-08 2004-09-08 레인지용 후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635121B1 (ko)
KR (1) KR100595568B1 (ko)
DE (1) DE60200403160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5001A1 (de) * 2006-11-17 2008-05-21 Bohner Produktions Gmbh Dunstabsaugeinrichtung
CN103383116A (zh) * 2013-05-19 2013-11-06 关云龙 装设喷射风屏装置防护面板的洁烟机
CN104329707B (zh) * 2014-05-11 2016-08-24 姚洪亮 安全易清洗抽油烟机
CN106594831B (zh) * 2016-12-16 2019-04-30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射流拢烟装置及排烟装置
CN106949513A (zh) * 2017-04-11 2017-07-14 广东美的智美科技有限公司 用于形成射流的喷嘴装置及排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4329A1 (de) * 1991-05-02 1992-11-05 Standard Elektrik Lorenz Ag Dunstabzugshaube mit luftschleier
DE19911850B4 (de) * 1999-03-17 2010-04-08 Röhl-Hager, Hannelor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grenzen, Erfassen und Absaugen von Schadstoffen, insbesondere bei Dunstabzugshauben
KR100347959B1 (en) * 2001-12-28 2002-08-21 Ecta Co Ltd Ventilation hood for kit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5568B1 (ko) 2006-07-03
EP1635121B1 (en) 2011-03-02
EP1635121A1 (en) 2006-03-15
DE602004031608D1 (de)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252B1 (ko) 욕실용 환풍기
EP1672285B1 (en) Hood ventilation apparatus
KR100519857B1 (ko) 슬라이드타입 레인지후드
KR100595568B1 (ko) 레인지용 후드
KR200429243Y1 (ko) 주방용 후드 구조
KR20100133103A (ko) 배기 후드
JP4656866B2 (ja) レンジフード
JPH04292735A (ja) レンジフード
KR200382865Y1 (ko) 기류형성 루버가 구비된 배기장치
JP3953012B2 (ja) レンジフード
KR200253287Y1 (ko) 렌지후드용 환풍기
KR20110040454A (ko) 주방 배기시스템
KR20050031721A (ko)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기 증대 장치
KR100636342B1 (ko) 기류형성 루버가 구비된 배기장치
KR100619734B1 (ko) 주방용 배기후드
JP3524953B2 (ja) 給排気式レンジフードファン
KR200484199Y1 (ko) 정풍량 유로 가이드를 갖는 환기용 후드팬
KR200380150Y1 (ko) 주방용 후드 장치
JP2005274037A (ja) 風向ルーバ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換気装置
JP4792990B2 (ja) 換気システム
KR100711594B1 (ko) 주방용 후드 구조
JP2022062586A (ja) 換気フード
JP2006112717A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2007093131A (ja) レンジフ−ド
JPH02282640A (ja) 調理用排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