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584A -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584A
KR20060022584A KR1020040071456A KR20040071456A KR20060022584A KR 20060022584 A KR20060022584 A KR 20060022584A KR 1020040071456 A KR1020040071456 A KR 1020040071456A KR 20040071456 A KR20040071456 A KR 20040071456A KR 20060022584 A KR20060022584 A KR 20060022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voltage source
voltage
panel capacito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1211B1 (ko
Inventor
조장환
강성호
권봉환
도현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211B1/ko
Publication of KR2006002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09G3/2965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using inductors for energy recov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7/5387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digital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03K17/161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H03K17/162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163Soft switching
    • H03K17/164Soft switching using parallel switch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 G09G2330/024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with inductors, other than in the electrode driving circuitry of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는 a) 제1 노드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1 전압원, b) 제2 노드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2 전압원과, c) 제1 노드와 제3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1 인덕터, d) 제2 노드와 제4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 인덕터, e) 제3 노드와 상기 제4 노드 사이에 접속된 패널 캐패시터, f)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3 전압원, g) 제3 노드와 제4 노드를 포함하여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이 영전압일 때 패널 캐패시터의 충방전 전류패스를 절환하는 브릿지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a)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 제1 인덕터 및 제1 전압원을 경유하는 제1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에 정극성 전압을 충전시키는 단계, b)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와 제3 전압원 사이의 제2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정극성 전압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 c)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와 기저전압원 사이의 제4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를 방전시키는 단계, d)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 제2 인덕터 및 제2 전압원 사이의 제5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에 부극성 전압을 충전시키는 단계, e)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와 제3 전압원 사이의 제6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부극성 전압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 f)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와 기저전압원 사이의 제7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를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Device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일반적인 교류형 PDP를 구성하는 하나의 방전셀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을 위한 에너지 회수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에너지 회수 회로에 의한 서스테인 펄스의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에너지 회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스위칭 구동에 따른 전류 파형 및 패널 양단의 전압(Vp)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교류형 PDP를 구성하는 하나의 방전셀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방전셀(30)은 상부 기판(10)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서스테 인 전극쌍(12A, 12B), 상부 유전체층(14) 및 보호막(16)을 갖는 상판과, 하부 기판(18)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데이터 전극(20), 하부 유전체층(22), 격벽(24) 및 형광체층(26)을 갖는 하판을 구비한다.
서스테인 전극쌍(12A, 12B) 각각은 투명 전극과, 그 투명 전극의 높은 저항을 보상하기 위한 금속 전극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서스테인 전극쌍(12A, 12B)은 스캔 전극(12A)과 서스테인 전극(12B)으로 분리된다. 스캔 전극(12A)은 어드레스 방전을 위한 스캔 신호와 서스테인 방전을 위한 서스테인 신호를, 서스테인 전극(12B)은 서스테인 신호를 주로 공급한다. 데이터 전극(20)은 상기 서스테인 전극쌍(12A, 12B)과 교차하여 형성된다. 이 데이터 전극(20)은 어드레스 방전을 위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상부 유전체층(14)과 하부 유전체층(22)에는 방전으로 생성된 전하들이 축적된다. 보호막(16)은 방전시 스퍼터링으로 인한 상부 유전체층(14)의 손상을 방지하고 2차 전자의 방출 효율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유전체층(14, 22)과 보호막(16)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방전전압을 낮출 수 있게 한다.
격벽(24)은 상하부 기판(10, 18)과 함께 방전 공간을 마련한다. 그리고, 격벽(24)은 데이터 전극(20)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가스 방전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이 인접한 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형광체층(26)은 하부 유전체층(22) 및 격벽(24)의 표면에 도포되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 가시광을 발생한다. 방전 공간에는 가스방전을 위한 He, Ne, Ar, Xe, Kr 등의 불활성 가스, 이들이 조합된 방전 가스, 또는 방전에 의해 자외선을 발생 시킬 수 있는 엑시머(Excimer) 가스가 충진된다.
이러한 구조의 방전셀(30)은 데이터 전극(20)과 스캔 전극(12A)에 의한 대향 방전으로 선택된 후 서스테인 전극쌍(12A, 12B)에 의한 면방전으로 방전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방전셀(30)에서는 서스테인 방전시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26)가 발광함으로써 가시광이 방출된다.
이 경우, 방전셀(30)은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서스테인 방전 기간, 즉 서스테인 방전 횟수를 조절하여 영상 표시에 필요한 계조(Gray Scale)를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적색, 녹색, 청색 형광체(26)가 각각 도포된 3개의 방전셀들의 조합으로 한 화소의 칼러를 구현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 수백 kHz의 AC 서스테인 전압(sustain voltage)이 인가되어야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큰 편이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용량성 부하인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 저장된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는 에너지 회수 회로를 포함한다.
도 2는 종래의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을 위한 에너지 회수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에너지 회수 회로는 주회로부(100)와 제1 보조회로부(200) 및 제2 보조 회로부(300)를 포함한다.
플라즈마 표시 패널과 연결된 주회로부(100)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커패시턴스(Cp)에 서스테인 전압(Vs)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주회로부(100)는 제1 내지는 제4 스위치(S1, S2, S3 및 S4)로 이루어지는 풀브릿지 (full bridge) 회로이다.
제1 보조회로부(200) 및 제2 보조회로부(300)는 코일의 공진을 이용하여 에너지 회수한다.
이러한 종래의 에너지 회수 회로는 크게 4단계의 동작순서에 따라 작동한다.
제1 단계에서는 제1 보조 회로부(200)의 제1 보조 스위치(SS1)와 주회로부(100)의 제2 스위치(S2)가 턴온되고, 주회로부(200)의 제1 스위치(S1), 제3 스위치(S3) 및 제1 보조 회로부(200)의 제2 보조 스위치(SS2)가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캐패시터(CS 1)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패널 캐패시터(Cp)에 공급되면서 Y전극에 인가되는 서스테인 펄스 전압(이하, VPY)이 상승한다.
다음으로 제2 단계에서는 주회로부(100)의 제1 스위치(S1)가 턴온하고, 제1 보조회로부(200)의 제1 보조 스위치(SS1) 및 제2 보조 스위치(SS2) 및 주회로부(100)의 제3 스위치(S3)가 턴오프한다. 이 때, 주회로부(100)의 제2 스위치(S2)는 턴온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VPY는 서스테인 전압(VS)을 유지한다.
이 후, 제3 단계에서는 제1 보조 회로부(200)의 제2 보조 스위치(SS2)가 턴온하고 제1 보조 회로부(200)의 제1 보조 스위치(SS1), 주회로부(100)의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가 턴오프한다.
이에 따라 패널 캐패시터(Cp)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캐패시터(CS 1)로 방전되면서 에너지가 회수되고 VPY는 강하한다.
마지막으로 제4 단계에서는 주회로부(100)의 제3 스위치(S3)가 턴온하고, 주회로부(100)의 제1 스위치(S1), 제1 보조 회로부(200)의 제1 보조 스위치(SS1) 및 제2 보조 스위치(SS2)가 턴오프한다. 이에 따라 VPY은 그라운드 레벨이 된다.
이와 같은 주회로부(100)과 제1 보조 회로부(200)의 동작에 의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전극에 인가되는 서스테인 펄스가 형성된다.
또한, Z전극에 인가되는 서스테인 펄스 또한 앞서의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전극에 인가되는 서스테인 펄스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종래의 에너지 회수 회로는 제1 보조 스위치 내지는 제4 보조 스위치(SS1, SS2, SS3, SS4)와 4개의 다이오드 그리고 두 개의 캐패시터(CS 1, CS2)을 포함하는 제1 보조 회로부(200)와 제2 보조 회로부(300)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회로의 구성이 복잡하고 복잡한 회로 구성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과 비용이 적게 드는 에너지 회수 회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는 a) 제1 노드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1 전압원, b) 제2 노드와 기저전 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2 전압원과, c) 제1 노드와 제3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1 인덕터, d) 제2 노드와 제4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 인덕터, e) 제3 노드와 상기 제4 노드 사이에 접속된 패널 캐패시터, f)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3 전압원, g) 제3 노드와 제4 노드를 포함하여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이 영전압일 때 패널 캐패시터의 충방전 전류패스를 절환하는 브릿지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a)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 제1 인덕터 및 제1 전압원을 경유하는 제1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에 정극성 전압을 충전시키는 단계, b)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와 제3 전압원 사이의 제2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정극성 전압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 c)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와 기저전압원 사이의 제4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를 방전시키는 단계, d)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 제2 인덕터 및 제2 전압원 사이의 제5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에 부극성 전압을 충전시키는 단계, e)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와 제3 전압원 사이의 제6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부극성 전압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 f)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와 기저전압원 사이의 제7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를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회수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회수 회로는 패널 캐패시터(Cp)에 서스테인 전압인 제3 전압원(Vs)을 유지하는 풀브릿지 (full bridge) 회로로 구성된 주회로부(100), 제1 인덕터(L1) 및 제1 전압원(V1)을 포함하는 제1 보조 회로부(200') 및 제2 인덕터(L2)와 제2 전압원(V2)을 포함하는 제2 보조 회로부(3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회수 회로의 제1 보조 회로부(200')와 제2 보조 회로부(300')의 구성은 종래의 에너지 회수 회로부의 제1 보조 회로부(200)와 제2 보조 회로부(300)에 비하여 그 구성이 간단하므로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회수 회로는 다음과 같은 연결 관계를 갖는다. 제1 전압원(V1)은 제1 노드(N1)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다. 제2 전압원(V2)은 제2 노드(N2)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다. 제1 인덕터(L1)는 제1 노드(N1)와 제3 노드(N3) 사이에 접속된다. 제2 인덕터(L2)는 제2 노드(N2)와 제4 노드(N4) 사이에 접속된다. 패널 캐패시터(Cp)는 제3 노드(N3)와 제4 노드(N4) 사이에 접속된다. 제3 전압원(Vs)은 패널 캐패시터(Cp)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제3 노드(N3)와 제4 노드(N4)를 포함하여 패널 캐패시터(Cp)의 전압이 영전압일 때 패널 캐패시터(Cp)의 충방전 전류패스를 절환하는 브릿지 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브릿지 회로는 제3 노드(N3)와 제3 전압원(Vs) 사이에 접속된 제1 스위치소자(S1)와, 제4 노드(N4)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2 스위치소자(S2)와, 제3 노드(N3)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3 스위치소자(S3)와, 제4 노드(N4)와 제3 전압원(Vs) 사이에 접속된 제4 스위치소자(S4)를 구비한다.
이 때, 제1 보조 회로부(200')와 제2 보조 회로부(300')에 각각 포함된 제1 전압원(V1)과 제2 전압원(V2)은 주어진 제3 전압원(Vs)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전압분배 캐패시터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제1 전압원(V1)은 제1 캐패시터(C1)와 제2 캐패시터(C2)를 구비한다. 제1 캐패시터(C1)는 제3 전압원(Vs)과 제1 노드(N1) 사이에 접속된다. 제2 캐패시터(C2)는 기저전압원과 제1 노드(N1) 사이에 접속된다. 이 때, 제1 및 제2 캐패시터(C1, C2)는 각각 Vs/2 전압을 충전한다.
또한, 제2 전압원(V2)은 제3 캐패시터(C3)와 제4 캐패시터(C4)를 구비한다. 제3 캐패시터(C3)는 제3 전압원(Vs)과 제2 노드(N2) 사이에 접속된다. 제4 캐패시터(C4)는 기저전압원과 제2 노드(N2) 사이에 접속된다. 이 때, 제3 및 제4 캐패시터(C3, C4)는 각각 Vs/2 전압을 충전한다.
제1 및 제2 전압원(V1, V2)은 단일 전압원으로 일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나의 단일 전압원은 하나의 캐패시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3 전압원(Vs) 이외의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전압원에 의해서도 구현가능하다.
또한, 노드 1(N1)과 노드 2(N2)를 하나로 묶어 하나의 전압원으로도 구현가능하고 하나의 전압원 역시 두 개의 전압분배 캐패시터로 분할하거나 하나의 캐패시터로도 구현이 가능하고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전압원으로도 구현가능하다.
제1 보조회로부(200')와 제2 보조회로부(300')는 주회로부(100)와 함께 서스테인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역할과 함께 주회로부(100)의 제1 내지는 제4 스위 치(S1, S2, S3 및 S4)가 영전압 스위칭을 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에너지 회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스위칭 구동에 따른 전류 파형 및 패널 캐패시터(Cp) 양단의 전압(Vp)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이후의 기술에서 T0는 t0와 t1사이의 기간, T1은 t2와 t3 사이의 기간, T2는 t4와 t5 사이의 기간, T3은 t6과 t7사이의 기간, T4는 t7과 t8 사이의 기간, T01은 t1과 t2 사이의 기간, T12는 t3과 t4 사이의 기간, T23은 t5와 t6 사이의 기간을 나타낸다.
먼저, 제1 인덕터(L1)의 전류가 부극성 정점에 도달한 T0 시점에 제2 스위치소자(S2)만 온 상태로 유지시켜 패널 캐패시터(Cp)의 방전을 유도한다.
제2 인덕터(L2)의 전류가 정극성 정점에 도달한 T1 시점에 제3 스위치소자(S3)만 온 상태로 유지시켜 패널 캐패시터(Cp)의 부극성 충전을 유도한다.
제1 인덕터(L1)의 전류가 정극성 정점에 도달한 T2 시점에 제4 스위치소자(S4)만 온 상태로 유지시켜 패널 캐패시터(Cp)의 방전을 유도한다.
제2 인덕터(L2)의 전류가 부극성 정점에 도달한 T3 시점에 제1 스위치소자(S1)만 온 상태로 유지시켜 패널 캐패시터(Cp)의 정극성 충전을 유도한다.
T01 시점에서 제2 스위치소자(S2)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제3 스위치소자(S3)를 턴-온시킴과 동시에 제1 및 제4 스위치소자(S1,S4)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패널 캐패시터(Cp)의 전압을 영전압으로 유지한다.
T12 시점에서 제3 스위치소자(S3)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제4 스위치소자(S4)를 턴-온시킴과 동시에 제1 및 제2 스위치소자(S1,S2)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패 널 캐패시터(Cp)의 전압을 일정한 부극성 전압으로 유지한다.
T23 시점에서 제4 스위치소자(S4)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제1 스위치소자(S1)를 턴-온시킴과 동시에 제2 및 제3 스위치소자(S2,S3)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패널 캐패시터(Cp)의 전압을 영전압으로 유지한다.
T4 시점에서 제1 스위치소자(S1)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제2 스위치소자(S2)를 턴-온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소자(S3, S4)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일정한 정극성 전압으로 유지한다.
이 때, 스위치소자의 턴-온시점에서 턴-온되는 스위치소자의 양단 전압차는 최소로 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에 따른 구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Cp), 제1 인덕터(L1) 및 제1 전압원(V1)을 경유하는 제1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Cp)에 정극성 전압을 충전시킨다.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Cp)와 제3 전압원(Vs) 사이의 제2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Cp)의 전압을 정극성 전압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Cp)와 기저전압원 사이의 제4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Cp)를 방전시킨다.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Cp), 제2 인덕터(L2) 및 제2 전압원(V2) 사이의 제5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Cp)에 부극성 전압을 충전시 킨다.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Cp)와 제3 전압원(Vs) 사이의 제6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Cp)의 전압을 부극성 전압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패널 캐패시터(Cp)와 기저전압원 사이의 제7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패널 캐패시터(Cp)를 방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에 포함된 에너지 회수 회로는 그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

Claims (10)

  1. 제1 노드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1 전압원과;
    제2 노드와 상기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2 전압원과;
    상기 제1 노드와 제3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1 인덕터와;
    상기 제2 노드와 제4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 인덕터와;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4 노드 사이에 접속된 패널 캐패시터와;
    상기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3 전압원과;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4 노드를 포함하여 상기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이 영전압일 때 상기 패널 캐패시터의 충방전 전류패스를 절환하는 브릿지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회로는,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3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1 스위치소자와,
    상기 제4 노드와 상기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2 스위치소자와,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3 스위치소자와,
    상기 제4 노드와 상기 제3 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4 스위치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노드는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압원은 단일 전압원으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원은,
    상기 제3 전압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1 캐패시터와,
    상기 기저전압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 캐패시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압원의 전압을 V라 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캐패시터는 각각 V/2 전압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원은,
    상기 제3 전압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3 캐패시터와,
    상기 기저전압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4 캐패시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전압원의 전압을 V라 할 때 상기 제3 및 제4 캐패시터는 각각 V/2 전압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는 각각 지속적으로 전류를 충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덕터의 전류가 부극성 정점에 도달한 T0 시점에 상기 제2 스위치소자만 온 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패널 캐패시터의 방전을 유도하고,
    상기 제2 인덕터의 전류가 정극성 정점에 도달한 T1 시점에 상기 제3 스위치소자만 온 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패널 캐패시터의 부극성 충전을 유도하고,
    상기 제1 인덕터의 전류가 정극성 정점에 도달한 T2 시점에 상기 제4 스위치소자만 온 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패널 캐패시터의 방전을 유도하며,
    상기 제2 인덕터의 전류가 부극성 정점에 도달한 T3 시점에 상기 제1 스위치소자만 온 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패널 캐패시터의 정극성 충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T01 시점에서 제2 스위치소자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3 스위치소자를 턴-온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4 스위치소자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영전압으로 유지하고;
    T12 시점에서 제3 스위치소자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4 스위치소자를 턴-온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소자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패 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일정한 부극성 전압으로 유지하고;
    T23 시점에서 제4 스위치소자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1 스위치소자를 턴-온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소자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영전압으로 유지하며;
    T4 시점에서 제1 스위치소자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2 스위치소자를 턴-온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소자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일정한 정극성 전압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소자의 턴-온시점에서 상기 턴-온되는 스위치소자의 양단 전압차는 최소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10. 제1 노드와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1 전압원, 제2 노드와 상기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제2 전압원, 상기 제1 노드와 제3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1 인덕터, 상기 제2 노드와 제4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 인덕터,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4 노드 사이에 접속된 패널 캐패시터, 상기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3 전압원,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4 노드를 포함한 브릿지회로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를 이용한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패널 캐패시터,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1 전압원을 경유하는 제1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상기 패널 캐패시터에 정극성 전압을 충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패널 캐패시터와 상기 제3 전압원 사이의 제2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상기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정극성 전압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패널 캐패시터와 상기 기저전압원 사이의 제4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상기 패널 캐패시터를 방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패널 캐패시터, 상기 제2 인덕터 및 상기 제2 전압원 사이의 제5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상기 패널 캐패시터에 부극성 전압을 충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패널 캐패시터와 상기 제3 전압원 사이의 제6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상기 패널 캐패시터의 전압을 부극성 전압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브릿지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패널 캐패시터와 상기 기저전압원 사이의 제7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상기 패널 캐패시터를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0040071456A 2004-09-07 2004-09-07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KR100571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456A KR100571211B1 (ko) 2004-09-07 2004-09-07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456A KR100571211B1 (ko) 2004-09-07 2004-09-07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584A true KR20060022584A (ko) 2006-03-10
KR100571211B1 KR100571211B1 (ko) 2006-04-17

Family

ID=37129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456A KR100571211B1 (ko) 2004-09-07 2004-09-07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331B1 (ko) * 2007-01-26 2008-11-2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331B1 (ko) * 2007-01-26 2008-11-2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1211B1 (ko) 200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7908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7221334B2 (en) Energy recovery circuit of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energy recovery circuit
KR100811536B1 (ko) 향상된 효율의 서스테인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KR10042619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US7692608B2 (en) Energy recovery circuit and energy recove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48927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KR100571211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KR1005082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KR1005743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 및 방법
KR10036367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력 회수장치 및 방법
KR1003669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력 회수장치 및 그구동방법
KR1008782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552625B1 (ko) 에너지 회수 회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장치
KR10047515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1179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0539006B1 (ko) 에너지 회수장치 및 방법
KR100508244B1 (ko) 에너지 회수장치
KR10045269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40087420A (ko) 전력회수장치 및 전력회수방법
KR100553936B1 (ko) 에너지 회수장치 및 방법
KR10037353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력 회수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40092618A (ko) 에너지 회수장치 및 방법
KR2004010591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70120081A (ko) 향상된 효율의 서스테인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KR20040100211A (ko) 에너지 회수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