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0809A -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0809A
KR20060020809A KR1020040069492A KR20040069492A KR20060020809A KR 20060020809 A KR20060020809 A KR 20060020809A KR 1020040069492 A KR1020040069492 A KR 1020040069492A KR 20040069492 A KR20040069492 A KR 20040069492A KR 20060020809 A KR20060020809 A KR 20060020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sensor
ring
etching apparatus
manufacturing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9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0809A/ko
Publication of KR2006002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623Mechanical discharge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6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 H01L21/67069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drying 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웨이퍼가 안착되는 웨이퍼 척(wafer chuck), RF(Radio Frequency)전력이 공급되어 그 웨이퍼상에 플라즈마 영역을 형성시키는 전극부, 그 웨이퍼 척상에 설치되어 그 플라즈마 영역을 한정하는 제한 링(confinement ring) 및 그 제한 링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한링 이동부를 구비한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장치에 있어서, 그 제한 링에 설치되는 센서바(sensor bar)와, 그 센서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센서바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그 감지센서로부터 제1신호를 입력받아 그 제한링 이동부로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웨이퍼에 대한 제한 링의 높이가 자동 조절될 수 있어 웨이퍼의 식각량 제어가 가능하므로 반도체 제조시 수율이 향상된다.
식각, 웨이퍼, 플라즈마, 제한링, confinement, 센서

Description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 장치{Etching apparatus of semiconductor fabrication process}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장치로서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식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장치로서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식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2의 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상부 챔버 26: 하부 챔버
12: 전극부 13: 제한 링
23: 센서바 14: 제한링 이동부
17: 웨이퍼 척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소자의 특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 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공정은 확산공정, 사진공정, 식각공정 및 박막공정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중에서 식각공정은 건식식각(dry etch)공정과 습식식각(wet etch)공정으로 나뉜다. 이러한 건식식각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반응가스를 활성화시켜 플라즈마 상태로 변환토록 하여 플라즈마 상태의 반응가스의 양이온 또는 라디칼이 반도체기판의 소정영역을 식각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식각장치가 많이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장치로서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식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장치(10)는 상부 챔버(11) 및 하부 챔버(16)를 구비한다.
상부 챔버(11)는 전극부(電極部)(12), 제한 링(confinement ring)(13) 및 제한링 이동부(14)를 포함한다. 전극부(12)는 RF전원(S1)으로부터 RF전력을 공급받아 식각장치(10)내의 웨이퍼 식각용 반응가스(미도시)를 활성화시켜 플라즈마 상태로 상 전환(相 轉換)시킨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영역(P)이 형성된다. 제한 링(13)은 웨이퍼(W)상의 플라즈마 영역(P)을 한정하는데, 통상 판상(板狀)의 링 형태를 가진 쿼츠(quartz)로 이루어진다. 제한링 이동부(14)는 제한링 지지대(13a)에 연결된 제한 링(13)을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제한 링(13)이 A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플라즈마 영역(P)이 한정되나 확장되므로 웨이퍼(W)에 대한 식각 정도(程道)가 조절될 수 있다.
하부 챔버(16)는 웨이퍼 척(wafer chuck)(17)을 구비한다. 웨이퍼 척(17)상 에는 웨이퍼(W)가 안착된다. 웨이퍼 척(17)은 외부와 접지되어 있는데, 이와 달리 웨이퍼 척(17)에 전술한 RF전력이 공급될 수도 있다. 하부 챔버(16)는 상부 챔버(11)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격리·밀폐시킨다. 하부 챔버(16)와 상부 챔버(11)가 결합하여 마련된 내부 공간에는 웨이퍼를 식각하기 위한 반응가스가 채워진다.
그러나, 종래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 장치는 웨이퍼에 대한 제한 링의 높이를 정확히 알 수 없어 그 웨이퍼의 식각량이 정확히 조절되지 못하므로 반도체 제조시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웨이퍼에 대하여 제한 링이 식각에 필요한 적절한 높이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개선된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 장치는, 웨이퍼가 안착되는 웨이퍼 척(wafer chuck), RF(Radio Frequency)전력이 공급되어 그 웨이퍼상에 플라즈마 영역을 형성시키는 전극부, 그 웨이퍼 척상에 설치되어 그 플라즈마 영역을 한정하는 제한 링(confinement ring) 및 그 제한 링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한링 이동부를 구비한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장치에 있어서, 그 제한 링에 설치되는 센서바(sensor bar)와, 그 센서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센서바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그 감지센서로부터 제1신호를 입력받아 그 제한링 이동부로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센서바의 그 제한 링에 대한 좌우방향으로의 돌출량은 4~18cm 사이이고, 그 센서바의 돌출방향에 대해 수직인 폭방향으로의 너비는 3~6c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감지센서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그 복수의 감지센서는 서로 인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 장치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1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장치로서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식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장치(20)는 상부 챔버(21), 하부 챔버(26) 및 제어부(CTR)를 구비한다.
상부 챔버(21)는 전극부(電極部)(12), 제한 링(confinement ring)(13), 센서바(sensor bar)(23) 및 제한링 이동부(14)를 포함한다. 전극부(12)는 RF전원(S1)으로부터 RF전력을 공급받아 식각장치(20)내의 웨이퍼 식각용 반응가스(미도시)를 활성화시켜 플라즈마 상태로 상 전환(相 轉換)시킨다. 이에 따라 웨이퍼(W)상에 플라즈마 영역(P)이 형성된다. 제한 링(13)은 웨이퍼(W)상의 플라즈마 영역(P)을 한정하는데, 통상 판상(板狀)의 링 형태를 가진 쿼츠(quartz)로 이루어진다. 센서바(23)는 제한 링(13)의 저면(底面)에 설치되어 제한 링(13)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다.
도 3은 도2의 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바 (23)는 제한 링(13)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있는데, 센서바(23)가 감지센서(22)에 의해 충분히 감지될 수 있도록, 센서바(23)의 제한 링(13)에 대한 좌우방향으로의 돌출량(L1)은 4~18c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센서바(23)의 돌출방향에 대해 수직인 폭방향으로의 너비(W1)는 3~6c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바가 제한 링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센서바는 제한 링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후술될 감지센서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제한링 이동부(14)는, 도 2에서와 같이, 제한링 지지대(13a)에 연결된 제한 링(13)을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제한 링(13)이 A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플라즈마 영역(P)이 한정되나 확장되므로 웨이퍼(W)에 대한 식각 정도(程道)가 조절될 수 있다. 제한링 이동부(14)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이에 부착된 센서바(23)도 같이 상하로 이동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챔버(16)는 웨이퍼 척(wafer chuck)(17)을 구비한다. 웨이퍼 척(17)상에는 웨이퍼(W)가 안착된다. 하부 챔버(16)에는 감지센서(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22)는 센서빔(B)을 발산하는 발광센서와 센서바(23)에 의해 반사된 센서빔(B)을 수광하는 수광센서로 구성된다. 이러한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는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감지센서(22)는 하부 챔버(16)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센서바(23)의 높이에 따라서 반사된 센서빔(B)의 광세기가 달라지므로 이러한 차이로 센서바(23)의 높이가 어느 정도 되는지 인식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웨이퍼(W)에 대한 제한 링(13)의 적절한 높이가 제어 가능하게 된다. 본 실 시예에서는 감지센서가 하부 챔버에 설치되지만, 감지센서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는 경우라면 상부챔버 또는 웨이퍼 척 등에서도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22)는 센서바(23)에 센서빔이 조사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센서바(23)가 감지센서(22)에 의해 충분히 감지될 수 있도록, 감지능력 향상을 위한 복수의 감지센서(32)가 설치될 수도 있다(여기서 센서빔(도 2의 B)은 도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입사된다). 이러한 복수의 감지센서(32)는 서로 인접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CTR)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22)로부터 제1신호(C1)를 입력받아 제한링 이동부(14)로 제2신호(C2)를 출력한다. 따라서 웨이퍼(W)에 대한 제한 링(13)의 적절한 높이가 자동 조절된다.
웨이퍼 척(17)은 외부와 접지되어 있는데, 이와 달리 웨이퍼 척(17)에 전술한 RF전력이 공급될 수도 있다. 하부 챔버(36)는 상부 챔버(31)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격리·밀폐시킨다. 하부 챔버(36)와 상부 챔버(31)가 결합하여 마련된 내부 공간에는 웨이퍼를 식각하기 위한 반응가스가 채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 장치는 웨이퍼에 대한 제한 링의 높이가 자동 조절될 수 있어 웨이퍼의 식각량 제어가 가능하므로 반도체 제조시 수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웨이퍼가 안착되는 웨이퍼 척(wafer chuck), RF(Radio Frequency)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웨이퍼상에 플라즈마 영역을 형성시키는 전극부, 상기 웨이퍼 척상에 설치되어 상기 플라즈마 영역을 한정하는 제한 링(confinement ring) 및 상기 제한 링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한링 이동부를 구비한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한 링에 설치되는 센서바(sensor bar)와,
    상기 센서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센서바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제1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한링 이동부로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바의 상기 제한 링에 대한 좌우방향으로의 돌출량은 4~18cm 사이이고,
    상기 센서바의 돌출방향에 대해 수직인 폭방향으로의 너비는 3~6c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는 서로 인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장치.
KR1020040069492A 2004-09-01 2004-09-01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 장치 KR20060020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492A KR20060020809A (ko) 2004-09-01 2004-09-01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492A KR20060020809A (ko) 2004-09-01 2004-09-01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809A true KR20060020809A (ko) 2006-03-07

Family

ID=3712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492A KR20060020809A (ko) 2004-09-01 2004-09-01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080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077B1 (ko) * 2008-12-26 2011-07-19 주식회사 테스 기판 처리장치
KR20120073220A (ko) * 2009-09-01 2012-07-04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한정 링 위치결정을 제어하기 위한 직접 구동 장치 및 한정 링 위치결정을 제어하는 방법
KR101507937B1 (ko) * 2008-02-05 2015-04-03 참엔지니어링(주) 플라즈마 식각장치
US20170032943A1 (en) * 2015-07-27 2017-02-02 Lam Research Corporation Time varying segmented pressure control
KR20200050647A (ko) * 2018-11-02 2020-05-12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세정 장치
CN111383893A (zh) * 2018-12-29 2020-07-07 中微半导体设备(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等离子体处理器及等离子体控制方法
CN114121583A (zh) * 2021-11-17 2022-03-01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边缘刻蚀装置及晶圆处理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937B1 (ko) * 2008-02-05 2015-04-03 참엔지니어링(주) 플라즈마 식각장치
KR101050077B1 (ko) * 2008-12-26 2011-07-19 주식회사 테스 기판 처리장치
KR20120073220A (ko) * 2009-09-01 2012-07-04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한정 링 위치결정을 제어하기 위한 직접 구동 장치 및 한정 링 위치결정을 제어하는 방법
US20170032943A1 (en) * 2015-07-27 2017-02-02 Lam Research Corporation Time varying segmented pressure control
US9793097B2 (en) * 2015-07-27 2017-10-17 Lam Research Corporation Time varying segmented pressure control
KR20200050647A (ko) * 2018-11-02 2020-05-12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세정 장치
CN111383893A (zh) * 2018-12-29 2020-07-07 中微半导体设备(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等离子体处理器及等离子体控制方法
CN111383893B (zh) * 2018-12-29 2023-03-24 中微半导体设备(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等离子体处理器及等离子体控制方法
CN114121583A (zh) * 2021-11-17 2022-03-01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边缘刻蚀装置及晶圆处理方法
CN114121583B (zh) * 2021-11-17 2024-03-29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边缘刻蚀装置及晶圆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4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cessing of a substrate
EP19189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mask plasma etching
US6306246B1 (en) Dual window optical port for improved end point detection
JP2009253263A (ja) プラズマ処理装置
KR101611941B1 (ko) 플라즈마 비한정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95434B1 (ko) 프로세스 레이트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KR20050106457A (ko) 국부적인 웨이퍼 온도 제어에 의한 웨이퍼 상의 임계 치수변동 보상
JPH0435591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KR20060020809A (ko) 반도체 제조공정의 식각 장치
JP2008112167A5 (ko)
KR102244575B1 (ko) 반도체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TWI605517B (zh)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equipment
JP4181764B2 (ja) 半導体装置のアッシング設備のチャックプレ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チャック組立体
KR102554542B1 (ko) 가스 배기 부산물 측정 시스템
KR20060060997A (ko) 웨이퍼 에지 식각 장치
KR20210002111A (ko) 프로세스 레이트를 결정하기 위한 광학 캐비티를 갖는 장치
TWI752523B (zh) 光譜檢測設備、終點檢測系統和方法
KR200145300Y1 (ko) 종말점 검출이 용이한 플라스마식각장비
KR100731124B1 (ko) 증착 챔버의 세정 방법
KR20070036215A (ko) 반도체소자 제조용 건식식각장치
KR20060016563A (ko) 반도체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웨이퍼 상의 폴리머제거방법
KR20070081643A (ko) 종점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식 식각 장비
KR100555475B1 (ko) 웨이퍼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건식 식각장치
JP2006196578A (ja) 終点検出装置及びドライエッチング装置
KR20060008374A (ko) 반도체 제조 설비의 식각종말점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