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0706A -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그리고 그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그리고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0706A
KR20060020706A KR1020060012310A KR20060012310A KR20060020706A KR 20060020706 A KR20060020706 A KR 20060020706A KR 1020060012310 A KR1020060012310 A KR 1020060012310A KR 20060012310 A KR20060012310 A KR 20060012310A KR 20060020706 A KR20060020706 A KR 20060020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rror
internet
line
mo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왕수
윤상근
이명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스카이유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스카이유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스카이유엠에스
Priority to KR1020060012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0706A/ko
Publication of KR20060020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4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7/0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7/8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on articulated supports or subst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접속 장애를 검출하고 자동으로 신고를 접수해줄 수 있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인터넷 모뎀의 각 회선신호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고 그에 따른 오류신호를 검출하여 인터넷 접속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장애신고를 접수하거나 사용자에게 대처방법을 통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장애신고가 필요한 경우에만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장애신고를 접수함으로써 사업자의 사후서비스 제공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다.
인터넷, 장애, 신고, xDSL, 케이블, 모뎀

Description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SYSTEM FOR RECOGNIZING AND AUTOMATIC REPORTING INTERNET ACCESS OBSTACLE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 1 점검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 2 점검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 3 점검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 4 점검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신고 방법의 구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방법의 상세 구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인터넷 모뎀 200: 인터넷 장애 인식 장치
210: 제 1 점검부 212, 214: 제 1,2 OP앰프
216, 218: 제 1,2버퍼 220: AND 게이트
230: 제 2 점검부 250: 제 3 점검부
270: 제 4 점검부 235, 255, 275: 버퍼
290: 오류신호 출력부 300: 컴퓨터
400: 전화모뎀 410: 데이터베이스부
본 발명은 인터넷 접속 장애 대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 접속 장애를 검출하고 자동으로 신고를 접수해줄 수 있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서비스에는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이나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등의 xDSL(각종 디지털 가입자 회선)이나 광케이블통신 등 통신방식이나 사업자에 따라 다른 다양한 서비스 상품이 존재하여 가입자들은 인터넷 속도나 요금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자신에게 맞는 상품에 가입하고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의 가입자는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화와 인터넷 기 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현재 한국에서만 800만명 이상으로 확대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도 인터넷 서비스 가입 증가 추세는 폭발적인 성장세에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의 빠른 가입 증가 및 컴퓨터의 보급화에 따라 망 사정이나 각 가정의 컴퓨터 문제로 인해 인터넷 접속 장애가 발생하는 일이 잦아졌는데 이런 인터넷 접속 장애 발생 시 가입자들은 대부분 장애 원인을 알 수 없어서 사업자가 제공하는 사후 서비스(A/S)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사업자들의 사후 서비스 제공에도 한계가 있어서, 인터넷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 가입자들이 전화를 통해 장애신고를 접수하는데에도 통화량 폭주 등으로 인해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많고, 서비스를 받는데에도 2,3일씩 걸리는 경우가 많아 가입자들이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입자들이 사업자가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망 사정과 같은 문제가 아닌 가입자들의 컴퓨터 고장이나 잘못된 설정으로 인한 경우에도 장애신고를 접수하는 경우가 많아 불필요하게 사업자들의 사후 서비스에 드는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접속 장애 시 그 장애 원인을 검출하고 자동으로 신고를 접수해줄 수 있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접속 장애 인 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은, 망과 신호를 주고받는 인터넷 모뎀과; 상기 인터넷 모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넷 모뎀의 각 회선신호를 점검한 후 오류가 발생한 지점의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장치와; 상기 오류 신호를 데이터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컴퓨터와; 상기 오류 신호를 받고 오류 신호의 종류에 따라 해당 사업자의 서버로 전화회선 등의 통지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전화모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방법은, 인터넷 모뎀의 각 회선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이 있는 지점의 오류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오류신호에 따라 오류 지점이 가입자 측인 경우 가입자에게 인터넷 접속 장애 원인과 대처방법을 알리는 과정과; 오류 지점이 사업자 측인 경우, 데이터단자를 통해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오류 신호에 따른 오류 메시지를 전화회선 연결을 통해 사업자에게 자동으로 통지하여 장애신고를 접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 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1000)은, 망과 신호를 주고받는 인터넷 모뎀(100)과; 상기 인터넷 모뎀(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넷 모뎀(100)의 각 회선신호를 점검한 후 오류가 발생한 지점의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장치(200)와; 상기 오류 신호를 받아 데이터 단자(port)를 통해 출력하는 컴퓨터(300)와; 상기 오류 신호를 받고 오류 신호의 종류에 따라 해당 사업자의 서버로 통지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전화모뎀(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터넷 모뎀(100)은 ADSL이나 VDSL과 같은 xDSL 모뎀, 혹은 광케이블 모뎀과 같은 케이블 모뎀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장치(200)는 상기 인터넷 모뎀(100)의 각 회선신호를 점검하는 국선회선신호를 점검하는 제 1 점검부(210)와; 상기 인터넷 모뎀(100)의 전원회선신호를 점검하는 제 2 점검부(230)와; 상기 인터넷 모뎀(100)의 인터넷회선신호를 점검하는 제 3 점검부(250)와; 상기 인터넷 모뎀(100)의 PC회선신호를 점검하는 제 4 점검부(270)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점검부(210~27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해당 회선의 오류를 검출하고 그에 따른 오류신호를 출력하는 오류신호 출력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선신호는 국선회선신호, 전원회선신호, 인터넷회선신호, PC회선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점검부(210)는 상기 인터넷 모뎀(100)의 국선회선의 단선 및 합선 의 유무상태를 비교분석하는데, 상기 국선회선의 신호의 정격출력 전압이 오차범위를 허용한 기준전압 이하일 때 합선으로 판단하고 0V인 경우에는 단선상태로 판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점검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OP앰프(Operational Amplifier)(212)와 제 2 OP앰프(214), 제 1 버퍼(216)와 제 2 버퍼(218), 하나의 AND 게이트(22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의 논리 상태는 상기 제 1 OP 앰프(212)에 기준전압 이하의 전압, 예를 들어 +15V가 인가되면 제 1 OP앰프(212)는 논리상태 0을 출력하고, 이 신호가 잡음을 제거하는 제 1 버퍼(216)를 통하여 상기 AND 게이트(220)에 가해진다. 또한 상기 제 2 OP앰프(214)에 기준전압 이하의 전압, 예를 들어 -15V가 인가되면 제 2 OP앰프(214)는 논리상태 0을 출력하고 이 신호는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제 2 버퍼(218)를 통하여 상기 AND 게이트(220)에 가해진다. 즉, 어느 한 쪽의 OP앰프(212 혹은 214)에라도 기준전압 이하의 불안정한 값이 인가되면 상기 AND 게이트(220)에서 출력되는 논리상태도 0이 되어, 상기 AND 게이트(2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은 오류신호 출력부(290)에서 국선회선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해당 오류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 2 점검부(230)는 상기 인터넷 모뎀(100)의 전원회선의 신호 유무를 판단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2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235)는 입력신호(전원회선신호)의 잡음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3 점검부(250)는 상기 인터넷 모뎀(100)의 인터넷회선의 신호 유무를 판단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2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255)는 입력신호(인터넷회선신호)의 잡음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 다.
상기 제 4 점검부(270)는 상기 인터넷 모뎀(100)의 PC회선의 신호 유무를 판단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2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275)는 입력신호(PC회선신호)의 잡음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점검부(210~270)는 하나의 점검부로 통합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류신호 출력부(290)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점검부(210~27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국선회선신호, 전원회선신호, 인터넷회선신호, PC회선신호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에 따라 이상이 있는 신호가 있는 경우, 그에 따른 오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컴퓨터(300)는 상기 오류 신호가 인가되면 모니터에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알림음을 울리는 등의 알림을 수행하고, 오류 신호에 따라 장애신고를 접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화접속 프로그램 등의 전화회선 연결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오류 신호를 전화선을 통해 상기 전화모뎀(400)으로 송출하는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화모뎀(400)은 문자메시지 생성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접속서버(Remote Access Server: RAS)일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300)로부터 인가받은 오류신호에 따른 오류메시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오류신호에 따른 오류메시지를 해당 사업자의 서버로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와 같은 통지수단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오류메시지는 해당 가입자를 식별 할 수 있는 가입자 식별자와 오류원인을 나타내는 오류 식별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에 문제가 있는 경우, 그 장애 원인에 따라 사용자 혹은 망측에 적절한 통지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즉, 예를 들어, PC회선 신호에 이상이 검출되어 그에 따른 오류신호가 상기 오류신호 출력부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컴퓨터는 단지 PC회선에 문제가 있으므로 PC회선의 연결상태 등을 점검할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모니터에 표시하기만 하지만, 인터넷회선 신호에 이상이 검출되면 이는 사업자(망) 측의 문제이므로 인터넷회선 신호에 이상이 있다는 오류 신호를 상기 컴퓨터(300)로 출력할 것이고, 이 오류 신호를 인가받은 전화모뎀(400)은 그에 따른 오류메시지를 해당 사업자의 서버로 전송하여 가입자에게 적절한 사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장애신고를 접수하여 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방법의 구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신고 방법은, 인터넷 모뎀의 각 회선의 신호를 점검하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S610, S620)과;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이 있는 지점의 오류신호를 출력하는 과정(S630)과; 상기 오류신호에 따라 오류 지점을 판단하고(S640), 오류 지점이 가입자 측인 경우 가입자에게 인터넷 접속 장애 원인과 대처방법을 알리는 과정(S650)과; 오류 지점이 사업자 측인 경우, 데이터단자를 통해 오류 신호를 출력하 는 과정(S660)과; 상기 오류 신호에 따른 오류 메시지를 통지하여 장애신고를 접수하는 과정(S670, S6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예를 들어 상기 과정들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 인터넷 모뎀의 전원회선 신호를 점검하고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이상이 있으면 전원이 켜져있는가를 사용자가 점검하도록하여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 전원을 켜도록 한다.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라면 전원회선 혹은 인터넷 모뎀의 장애이므로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장애신고를 접수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하여 장애신고를 접수하는 경우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장애 신고를 접수한다.
전원회선 신호에 이상이 없으면. 인터넷회선신호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인터넷회선에 장애가 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장애신고를 접수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하여 장애신고를 접수하는 경우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장애 신고를 접수한다.
또한 국선회선신호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국선회선에 장애가 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장애신고를 접수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하여 장애신고를 접수하는 경우 다른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장애 신고를 접수한다.
또한 PC회선신호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PC회선에 장애가 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PC회선의 점검을 확인하도록 한 후, 장애신고를 접수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하여 장애신고를 접수하는 경우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장애 신고를 접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신고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은, 인터넷 모뎀의 각 회선신호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고 그에 따른 오류신호를 출력하여 인터넷 접속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장애신고를 접수하거나 사용자에게 대처방법을 통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신고가 필요한 경우에만 문자메시지와 같은 통지수단을 이용하여 장애신고를 접수함으로써 사업자의 사후서비스 제공에 드는 비용을 절감시켜주는 산업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망과 신호를 주고받는 인터넷 모뎀과;
    상기 인터넷 모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넷 모뎀의 각 회선신호를 점검한 후 오류가 발생한 지점의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장치와;
    상기 오류 신호를 데이터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컴퓨터와;
    상기 오류 신호를 받고 오류 신호의 종류에 따라 해당 사업자의 서버로 통지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전화모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모뎀은
    xDSL 모뎀, 케이블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장치는
    상기 인터넷 모뎀의 각 회선신호를 점검하는 국선회선신호를 점검하는 제 1 점검부와;
    상기 인터넷 모뎀의 전원회선신호를 점검하는 제 2 점검부와;
    상기 인터넷 모뎀의 인터넷회선신호를 점검하는 제 3 점검부와;
    상기 인터넷 모뎀의 PC회선신호를 점검하는 제 4 점검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점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해당 회선의 오류를 검출하고 그에 따른 오류신호를 출력하는 오류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신호는
    국선회선신호, 전원회선신호, 인터넷회선신호, PC회선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검부는
    상기 인터넷 모뎀의 국선회선의 단선 및 합선의 유무상태를 비교분석하는데, 상기 국선회선의 신호의 정격출력 전압이 오차범위를 허용한 기준전압 이하일 때 합선으로 판단하고 0V인 경우에는 단선상태로 판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검부는
    두 개의 OP앰프와 두 개의 버퍼, 하나의 AND 게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검부는
    어느 한 쪽의 OP앰프에라도 기준전압 이하의 불안정한 값이 인가되면 상기 AND 게이트에서 출력되는 논리상태도 0이 되어, 상기 AND 게이트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는 상기 오류신호 출력부에서 오류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점검부는
    입력신호의 잡음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버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인터넷 모뎀의 전원회선의 신호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점검부는
    입력신호의 잡음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버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인터넷 모뎀의 인터넷회선의 신호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점검부는
    입력신호의 잡음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버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인터넷 모뎀의 PC회선의 신호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점검부는
    하나의 점검부로 통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점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국선회선신호, 전원회선신호, 인터넷회선신호, PC회선신호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에 따라 이상이 있는 신호가 있는 경우, 그에 따른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오류 신호가 인가되면 알림을 수행하고, 오류 신호에 따라 장애신고를 접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화접속 프로그램 등의 전화회선 연결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오류 신호를 전화선을 통해 상기 전화모뎀으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모뎀은
    상기 컴퓨터로부터 인가받은 오류신호에 따른 오류메시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오류신호에 따른 오류메시지를 해당 사업자의 서버로 통지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 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모뎀은
    원격접속서버(Remote Access Server: R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메시지는
    해당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가입자 식별자와 오류원인을 나타내는 오류 식별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문자메시지, 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18. 인터넷 모뎀의 각 회선의 신호를 점검하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이 있는 지점의 오류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신호에 따라 오류 지점이 가입자 측인 경우 가입자에게 인터넷 접속 장애 원인과 대처방법을 알리는 단계와;
    오류 지점이 사업자 측인 경우, 데이터단자를 통해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 신호에 따른 오류 메시지를 통지하여 장애신고를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의 신호는
    국선회선신호, 전원회선신호, 인터넷회선신호, PC회선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메시지는
    해당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가입자 식별자와 오류원인을 나타내는 오류 식별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메일을 포함하는 통지수단을 통해 장애신고 접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방법.
KR1020060012310A 2006-02-09 2006-02-09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그리고 그방법 KR20060020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310A KR20060020706A (ko) 2006-02-09 2006-02-09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그리고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310A KR20060020706A (ko) 2006-02-09 2006-02-09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그리고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706A true KR20060020706A (ko) 2006-03-06

Family

ID=3712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310A KR20060020706A (ko) 2006-02-09 2006-02-09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그리고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07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67215A1 (en)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a location associated with a source of a data communication problem
US7505567B1 (en) Method for providing detection of fault location for defect calls in a VoIP network
US82280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cable length
CN1245010C (zh) 传真设备自诊断方法和用于执行此方法的传真设备
US6828906B2 (en) Device for responding to state request on an open phone line
US8494120B2 (en) Detecting foreign voltage faults in telephone customer premise equipment
KR20060020706A (ko) 인터넷 접속 장애 인식 및 자동 신고 시스템 그리고 그방법
SK9842000A3 (en) Passive telecommunication monitor system
CN113009246A (zh) Pse设备检测装置及pse设备检测方法
US20050250351A1 (en) Test method for line equipment including a hybrid circuit and line equipment for its implementation
KR100735394B1 (ko) 대칭/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라인 시스템의 장애 진단방법
JP2012129918A (ja) 端末側網制御装置
JP3682403B2 (ja) 情報伝送システム
KR20070080182A (ko)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그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댁내 장치
JP2011150500A (ja) 故障対応システム
KR100986977B1 (ko) 포트 오연결 방지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
US202401468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oice services
JP5948441B2 (ja) デジタル加入者線のpotsスプリッタの欠如を検出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3013017B2 (ja) 加入者線の回線試験回路
US20070268893A1 (en) Internet telephony gateway and method for detecting connection error thereof
JPH05342027A (ja) ディジタル入力回路の監視装置
JPH07184244A (ja) 発呼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被呼者固定接続サービス装置
JP2000341443A (ja) Isdnにおける電力供給装置
WO2020226594A1 (en) A fraud detection system
KR100298196B1 (ko) 전화망가입자의발신및착신호감시를통한자율적인가입자회선시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