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6007A -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6007A
KR20060016007A KR1020040064427A KR20040064427A KR20060016007A KR 20060016007 A KR20060016007 A KR 20060016007A KR 1020040064427 A KR1020040064427 A KR 1020040064427A KR 20040064427 A KR20040064427 A KR 20040064427A KR 20060016007 A KR20060016007 A KR 20060016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conditioner
air
uni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상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6007A/ko
Priority to EP04808325A priority patent/EP1778385B1/en
Priority to AT04808325T priority patent/ATE438456T1/de
Priority to ES04808325T priority patent/ES2329248T3/es
Priority to PCT/KR2004/003194 priority patent/WO2006019207A1/en
Priority to DE602004022467T priority patent/DE602004022467D1/de
Priority to AU2004322350A priority patent/AU2004322350B2/en
Priority to CNB2005100530117A priority patent/CN100376846C/zh
Priority to US11/079,202 priority patent/US7670414B2/en
Publication of KR2006001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필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필터 출입홀이 개폐되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의 전면에 프론트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와 필터 케이스에는 필터를 착탈시키기 위한 필터 착탈 수단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필터가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간편하게 착탈되고, 상기 필터의 교체와 청소가 간편하게 실시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공기 흡입구, 필터 유닛, 필터, 필터 출입홀, 필터 착탈 수단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작동 중 일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작동 정지 중 일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작동 중 일 때의 실내기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이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에 있어서 필터의 착탈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이 도시 된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필터 착탈 수단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필터 착탈 수단에 의해 필터가 탈거되는 상태가 도시된 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이 도시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에 필터가 착탈되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에 필터가 착탈되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 실내기 52: 섀시
53: 배면 공기 흡입구 54: 프론트 프레임
55: 전면 공기 흡입구 56: 상면 공기 흡입구
57: 공기 토출구 58: 배출홀
59: 디스플레이 60: 프론트 패널
61: 디스플레이 62: 전기 집진기
63: 프리 필터 64: 링크 수단
65: 제 1 링크 66: 제 2 링크
67: 피니언 68: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
69: 랙 70,70',70'',70''': 필터 유닛
71,71',71'',71''': 필터 케이스 71a,71a',71a'',71a''': 흡입홀
71b,71b',71b'',71b''': 연통홀 71c,71c',71c'',71c''': 필터 출입홀
72: 필터 72a: 프리 필터
72b: 나노 구리 필터 72c: 나노 은 필터
72d: 전기 집진기 73,73',73'',73''': 가이드
74: 프론트 커버 74'',74''': 어퍼 커버
75,75'',75''': 루버 76: 루버 회동용 모터
77: 전원 공급판 78: 전원 인가판
80,80': 필터 착탈 수단 81: 손잡이
82: 걸림턱 83: 조작 버튼부, 원터치 버튼
84: 탄성부재 84a: 슬라이더
84b: 스프링 85: 작동기구
85a: 후크 85b: 연동링크
86: 걸림홈부 90: 실내 송풍기
92: 실내 송풍용 모터 94: 실내 송풍팬
96: 실내 열교환기 97: 수직부
98: 제 1 경사부 99: 제 2 경사부
102: 응축수 받이부 104: 루버
106: 베인 108: 토출 그릴
110: 컨트롤 박스 111: 제어부
112: 상부 장식 패널 114: 하부 장식 패널
120: 실외기 122: 냉매배관
124: 산소 발생기 130: 안내호스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에 필터 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필터 유닛의 필터를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공기 정화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하며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나누어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또는 split type)이 있다.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중 분리형은 크게 냉각기능을 수행하도록 실내 열교환기가 내장된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와 팽창기구가 내장된 실외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으로 구성된다.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2)와, 상기 섀시(2)의 전면에 결합되고 전면 공기 흡입구(4) 및 상면 흡입 그릴(6)이 형성되며 전면 하측 또는 저면에 공기 토출구(8)가 형성된 프 론트 프레임(10)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흡입 그릴(12)과, 상기 섀시(2)에 장착되는 모터(14)와, 상기 모터(14)에 연결된 송풍팬(16)과, 상기 송풍팬(16)과 상기 공기 흡입구(4) 및 흡입그릴(6)의 사이에 배치된 열교환기(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은 전면에 전면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상면 흡입 그릴(6)이 일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5)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5)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름되는 프리 필터이다.
상기 전면 흡입 그릴(12)은 상부가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열교환기(1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받이부(19)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 토출구(8)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변경시키는 루버(20)와 상하 풍향을 변경시키는 베인(22)을 포함하는 토출 그릴(24)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16)이 회전되면,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전방의 실내 공기가 상기 전면 흡입 그릴(12)을 통과한 후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5)에 의해 이물질이 걸름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10)과 섀시(2)의 사이공간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상측의 실내 공기가 상기 상면 흡입 그릴(6)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 프레임(10)과 섀시(2)의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8)를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송풍팬(16)을 통과한 후 상기 루버(20) 및 베인(22)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8)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만이 상기 프리 필터(5)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후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면 흡입 그릴(6)을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공기 정화 없이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공기 정화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따르며, 실내를 정화시키기 위해 별도의 공기 정화기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면 흡입 그릴(6)을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정화되도록 상기 실내기 내에 별도의 필터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필터 및 상기 필터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의 설치로 인해 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의 착탈 작업이 복잡하고 난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필터의 착탈이 어렵게 되면, 상기 필터의 교체 및 청소가 어려워져 사용자의 불만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에 공기 정화 성능이 우수한 필터 유닛을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정화 성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필터 유닛에 필터를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은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에 연통되게 장착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형성된 필터 출입홀을 통해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 출입홀을 통해 상기 필터 케이스로부터 상기 필터를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필터와 필터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필터 착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 착탈 수단은 상기 필터에 형성된 손잡이이다.
또는, 상기 필터 착탈 수단은 상기 필터 케이스의 일측에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버튼부와, 상기 필터와 필터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필터가 상기 필터 출입홀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조작 버튼부와 탄성부재 사이에 설치된 작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기구는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 또는 인장된 상태로 구속하는 후크와, 상기 후크와 조작 버튼부 사이에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작 버튼부에 의해 탄성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후크를 작동시키는 연동링크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의 슬라이딩 착탈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에는 상기 필터 출입홀을 개폐시키도록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은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에 연통되게 장착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필터 출입홀을 통해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필터 출입홀이 개폐되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필터 출입홀이 좌우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면 좌측과 상면 우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커버는 상기 필터 출입홀이 전후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면 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홀에는 루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작동 중 일 때 및 작동 정지 중 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작동 중 일 때의 실내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51)에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기(51)는 섀시(52)와, 상기 섀시(52)의 전방에 장착된 프론트 프레임(54)을 포함한다.
상기 섀시(52)는 상부에 배면 공기 흡입구(53)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은 상기 섀시(52)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섀시(52)와의 사이에 후술하는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 송풍기 등이 수용되도록 소정의 내측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부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전면 공기 흡입구(55)가 형성되고, 상면부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상면 공기 흡입구(5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은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하측 또는 저면부에 공기 토출구(57)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은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좌우 중 일측에 산소가 배출되거나 습공기가 배출되거나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58)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좌우 중 타측에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강제 운전 등의 각종 운전을 누름 조작되는 디스플레이(59)가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59)는 인쇄회로 기판과,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된 복수개의 엘이디와, 상기 엘이디의 불빛이 확산되도록 상기 엘이디의 전방에 배치되고 누름 동작되는 확산판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59)의 후방에는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의해 눌림되고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강제 운전 등의 각종 운전을 스위칭하는 탯 스위치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에는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1)의 작동시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전방을 열고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작동 정지시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전방을 막는 프론트 패널(6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60)의 전면에는 거울이 부착되거나 특정 색상의 색상 패널이 부착되거나 액자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론트 패널(60)의 일측에는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61)가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61)는 LED나 LCD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61)는 운전 정보가 문자 등이 스크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도록 LCD 등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측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62)가 장착되고, 상기 전기 집진기(62)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되는 프리 필터(63)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60)이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프리 필터(63)의 착탈시 상기 프론트 패널(60)이 상기 실내기(51)의 전방 하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60)을 지지하는 링크수단(64)이 장착된다.
상기 링크수단(64)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하부에 연결된 제 1 링크(65)와, 상기 제 1 링크(65)에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0)의 배면 하부에 연결된 제 2 링크(66)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링크(65)는 일단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에 구속/해제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 2 링크(65)는 일단이 상기 프론트 패널(6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링크(65)의 타단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부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60)을 회동시키기 위해 피니언(67)이 축설된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가 장착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0)의 배면 상부에는 상기 피니언(67)에 치합되는 랙(69)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와 전면 공기 흡입구(55)와 상면 공기 흡입구(56)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프론트 프레임(54)과 섀시(52)의 사이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기 토출구(57)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시키는 실내 송풍기(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내 송풍기(90)는 상기 섀시(52)의 전면에 장착되고 회전축(91)이 돌출된 실내 송풍용 모터(92)와, 상기 실내 송풍용 모터(92)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91)이 연결된 실내 송풍팬(94)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 송풍팬(94)은 횡류팬으로서, 상기 섀시(52)의 전방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54)과 섀시(52)의 사이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 또는 가열되도록 하는 실내 열교환기(9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96)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 후방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부(97)와, 상기 수직부(97)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 1 경사부(98)와, 상기 제 1 경사부(98)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 2 경사부(99)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받이부(10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 토출구(57)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변경시키는 루버(104)와 상하 풍향을 변경시키는 베인(106)을 포함하는 토출 그릴(108)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은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를 통과하는 공기가 정화될 수 있도록,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에 필터 유닛(70)이 착탈 가능 토록 설치된다.
참조 부호 110은 상기 송풍기(90)의 송풍용 모터(94)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전장부품이 장착된 컨트롤 박스이다.
참조 부호 112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상단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 상부 장식 패널이다.
참조 부호 114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하단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 하부 장식 패널이다.
참조 부호 120은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가 장착된 실외기이다.
참조부호 122는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1)와 실외기(120)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이다.
참조 부호 124는 상기 실외기(120)에 설치되어 산소가 발생하거나 습공기가 발생하거나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실내기로 송풍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 발생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참조 부호 130은 상기 산소 발생기(124)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 발생기(124)에서 발생된 산소를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배출홀(58)로 안내하는 안내호스이다.
한편,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1)와 실외기(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팽창기구(미도시)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이 도시 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이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에 있어서 필터의 착탈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유닛(70)은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71a)과 상기 실내기의 내부와 통하는 연통홀(71b)이 형성된 필터 케이스(71)와,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필터(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71)는 상면에 상기 흡입홀(71a)이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연통홀(71b)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71)에는 상기 필터(72)의 출입을 위한 필터 출입홀(71c)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71)는 전면에 상기 필터 출입홀(71c)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71)에는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통해 상기 필터(72)가 슬라이딩 끼움되도록 상기 필터(7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7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73)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좌우 내측면에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 유닛(70)은 상기 필터(72)의 장착시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막는 프론트 커버(7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74)는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커버(74)의 양측단에는 회전축(74a,74b)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필터 유닛(70)은 상기 흡입홀(65a)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루버(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루버(75)는 상기 흡입홀(71a)을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흡입홀(71a)을 향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좌우 양측에 회전축(75a,75b)이 돌출된다.
상기 필터 유닛(70)은 상기 루버(75)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설치된 루버 회동용 모터(7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72)는 프리 필터와, 전기 집진기와, 헤파 필터와, 나노 카본 필터와, 나노 구리 필터와, 나노 은 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리 필터(72a)와 나노 구리 필터(72b)와 나노 은 필터(72c)와 전기 집진기(72d)가 장착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필터(72a,72b,73c,74d)는 적어도 하나(72a)가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의 전방 부위가 절곡된다.
한편,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통해 상기 필터(72)가 간편하게 착탈되도록 상기 필터(72)의 전면부에는 필터 착탈 수단(80)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 착탈 수단(80)은 상기 필터(72)에 형성된 손잡이이다.
상기 손잡이(81)의 일측에는 필터(72)의 장착시 상기 가이드(73)에 걸림되어 상기 필터(72)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는 걸림턱(8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참조 부호 77은 상기 전기 집진기(72d) 또는 루버 회동용 모터(76)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에 설치된 전원 공급판이다.
참조 부호 78은 상기 필터 유닛(70)의 장착시 상기 전원 공급판(77)에 접촉되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설치되어 공급된 전원을 상기 전기 집진기(72d) 또는 루버 회동용 모터(76)로 인가시키는 전원 인가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에 대한 작동과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면 공기 흡입구(56)에 필터 유닛(70)이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기능 및 공기청정 기능이 함께 작동되는 경우,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와 실외 송풍기는 구동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와 루버 회동용 모터(76)는 개방 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실내기(51)의 실내 송풍기(90)도 정방향으로 구동된다.
즉,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와 실외 송풍기가 구동되면, 상기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에는 냉매가 순환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96)는 주변의 열을 빼앗거나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여 주변의 공기를 냉각/가열시키게 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피니언(67)이 회전되어 상기 랙(69)은 전진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0)은 상기 제 1 링크(65)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과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기(51)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통한 실내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루버(75)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흡입홀(71a)을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실내 송풍기(90)의 실내 송풍용 모터(92)가 구동되면, 상기 실내 송풍팬(94)이 회전되어 상기 실내기(51) 전방과 상측 및 후방의 실내 공기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와 상면 공기 흡입구(56)와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흡입된 후 공기 토출구(57)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측에 장착된 프리 필터(63)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프리 필터(63)에 걸름된다.
상기 프리 필터(63)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름된 실내 공기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측에 장착된 상기 전기 집진기(62)를 통과하면서 상기 프리 필터(63)에서 걸름되지 못한 작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이온화하여 포집한다.
상기와 같이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의 수직부(97) 또는 제 1 경사부(98)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 유닛(70)을 통과하면서 필터(72)에 의해 정화된 후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의 제 1 경사부(98) 또는 제 2 경사부(99)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가열된다.
상기 필터 유닛(70)의 정화 작용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흡입홀(71a)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프리 필터(72a)와 나노 구리 필터(72b)와 나노 은 필터(72c)와 전기 집진기(72d)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걸름되고, 항균 또는 살균되며, 작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이온화되어 포집되고, 상기 연통홀(71b)을 통과하여 상기 새시(52)와 프론트 프레임(54)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72a,72b,73c,74d) 중에서,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의 전방으로 연장 절곡된 필터(72a)에 의해 정화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의 제 2 경사부(99)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가열된다.
상기와 같이 냉각/가열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송풍팬(94)을 통과한 후 상기 토출 그릴(108)의 루버(104) 및 베인(106)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5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면 공기 흡입구(56)에 필터 유닛(7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기능은 정지되고 공기청정 기능만 작동되는 경우,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와 실외 송풍기는 정지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는 밀폐 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는 개방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실내기(51)의 실내 송풍기(90)는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즉,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와 실외 송풍기가 정지되면, 상기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에는 냉매가 순환되지 않아,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에 의한 실내 공기의 냉각/가열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가 밀폐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피니언(67)이 회전되어 상기 랙(69)은 후진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0)은 상기 제 1 링크(65)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밀폐시키게 되며, 상기 실내기(51)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통한 정화된 공기의 토출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루버(75)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흡입홀(71a)을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실내 송풍기(90)의 실내 송풍용 모터(92)는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작동시와는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는 바, 상기와 같이 실내 송풍용 모터(92)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실내 송풍팬(94)이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서 상기 실내기(51) 하측의 실내 공기는 상기 공기 토출구(57)로 흡입된 후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와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토출된다.
상기 공기 토출구(57)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공기 토출구(57)에 설치된 토출그릴(108)의 루버(104) 및 베인(106)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실내기(51)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실내기(51)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송풍팬(94)과 실내 열교환기(96)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와 실내 공기 사이에는 열교환 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실내 공기는 냉각/가열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와 배 면 공기 흡입구(53)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로 토출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 유닛(70)을 통과하면서 필터(72)에 의해 정화된 후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토출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72a,72b,73c,74d) 중에서,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의 전방으로 연장 절곡된 필터(72a)에 의해 정화되고, 상기 필터(72)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가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를 통해 실내기(51) 후방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 열교환기에 의한 실내 공기의 냉/난방은 불가능하나, 상기 필터 유닛(70)의 필터(72)에 의한 공기 정화는 가능하여 상기 공기조화기는 공기 정화기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실내 송풍기(9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공기조화기에 의해 실내 공기가 정화되는 경우, 상기 실내기(51)의 하부로 실내 공기가 흡입된 후 상기 실내기(51)의 상부로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므로, 실내에 거주자에게 정화된 공기가 직접 토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불쾌감이 저하된다.
예를 들어, 겨울철에는 정화된 공기가 사람에게 직접 토출됨으로서, 토출되는 공기로 인한 추위를 방지하게 된다.
반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이 정지되어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기능과 공기청정 기능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와 실외 송풍기는 정지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와 루버 회동용 모터(76)는 밀폐 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실내기(51)의 실 내 송풍기(90)는 구동이 정지된다.
즉,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가 밀폐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피니언(67)은 역회전되어 상기 랙(69)을 후진시키고, 상기 프론트 패널(60)은 상기 제 1 링크(65)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막게 된다.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가 밀폐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루버(75)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흡입홀(71a)을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 기능이 장시간 수행되면, 상기 필터 유닛(70)의 필터(72)에는 실내 공기로부터 걸름된 각종 이물질이 축적되어 상기 필터(72)의 성능이 저하되고, 아울러 상기 필터(72)의 유동 저항에 의해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로 흡입되는 공기량이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유닛(70)은 정기적으로 상기 필터(72)의 청소가 실시되며, 아울러 상기 필터(72a,72b,72c,72d) 중 공기 정화 성능이 저하된 필터는 새로운 필터로 교체된다.
상기 필터 유닛(70)의 필터 착탈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전면에 장착된 프론트 커버(74)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필터 출입홀(71c)을 개방시키게 되고,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통해 상기 필터(72)의 손잡이(81)를 파지한 후 상기 필터(72)를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72)는 가이드(73)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필터(72)의 청소가 실시되어 상기 필터(72)의 표면에 적층된 각종 이물질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필터(72)의 청소가 완료되면, 상기 필터(72)의 손잡이(81)를 파지한 다음 상기 가이드(73)에 슬라이딩 끼움되도록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통해 필터 케이스(71)의 내부로 상기 필터(72)를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 필터(72)가 가이드(73)를 따라 슬라이딩 끼움됨에 따라 상기 손잡이(81)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82)이 상기 가이드(73)에 걸림되어 상기 필터(72)는 정확한 설치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72)가 필터 케이스(71)의 내부에 설치되면 상기 프론트 커버(74)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막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81)로 인해 상기 필터(72)의 취급이 간편하게 되어 상기 필터(72)의 장착과 탈거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물론, 상기 필터(72)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 순서로 필터(72)의 착탈이 진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필터 착탈 수단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필터 착탈 수단에 의해 필터가 탈거되는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70')은 상기 필터 착탈 수단(80')이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일측에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버튼부(83)와, 상기 필터(72)와 필터 케이스(71)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84)와, 상기 탄성부재(84)에 의해 필터(72)가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조작 버튼부(83)와 탄성부재(84) 사이에 설치된 작동기구(8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이외의 구성과 작동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된다.
상기 조작 버튼부(83)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전면 일측에 누름 가능하게 형성된 원터치 버튼(83)이다.
상기 원터치 버튼(83)은 상기 프론트 커버(74)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74)가 개방될 때만 외부로 드러나게 되며, 후단부는 상기 작동기구(85)의 일단과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84)는 상기 원터치 버튼(83)의 누름시 상기 필터 출입홀(71c)로 필터(72)가 튀어나오도록 상기 필터(72)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작동기구(85)는 상기 원터치 버튼(83)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84)가 작동되도록, 상기 탄성부재(84)와 원터치 버튼(83) 사이에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필터 착탈 수단(80')은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구성되는 바, 도 9와 도 10에는 상기 필터 착탈 수단(80')에 대한 구체 적인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84)는 상기 필터(72)와 필터 케이스(7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72)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84a)과, 상기 스프링(84a)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72)의 후면부에 밀착된 슬라이더(8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84a)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73')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 리브(73a')에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더(84b)는 상기 가이드(73')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좌우 내측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작동기구(85)는 상기 탄성부재(84)를 압축 또는 인장된 상태로 구속하는 후크(85a)와, 상기 원터치 버튼(83)의 조작에 의해 상기 후크(85a)가 연동되어 상기 탄성부재(84)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상기 후크(85a)와 원터치 버튼(83) 사이에 설치된 연동링크(85b)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85a)는 가이드(73')의 일측에 형성된 후크홀(73b')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84b)의 걸림홈부(86)에 걸림된다.
상기 연동링크(85b)는 일단이 상기 원터치 버튼(83)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타단이 상기 후크(85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원터치 버튼(82)의 누름시 상기 후크(85a)는 슬라이더(84b)의 걸림홈부(86)로부터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착탈 수단(80')은 상기 필터(72)의 인출시 프론트 커버(74)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필터 출입홀(71c)을 개방시 킨 후 상기 원터치 버튼(83)을 누름으로서, 상기 필터(72)는 상기 탄성부재(84)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필터 착탈 수단(80')은 복수개의 필터(72a,72b,72c,72d)가 동시에 인출되도록 단수개의 원터치 버튼(83)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필터(72a,72b,72c,72d) 중 원하는 필터만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필터(72a,72b,72c,72d)에 대응되게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복수개의 원터치 버튼(83)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이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에 필터가 착탈되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70'')은 필터 케이스(71'')의 상면에 필터 출입홀(71c'')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출입홀(71c'')이 좌우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상면에는 어퍼 커버(74'')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이외의 구성과 작동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71'')는 저면에 상기 실내기(51)의 상면 공기 흡입구(56)와 연통되는 연통홀(71b'')가 형성되고, 좌우 내측면에는 상기 필터(72)가 상하방 향으로 상기 필터 케이스(71'') 내부에 설치되도록 가이드(73'')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 커버(74'')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상면 좌측에 좌측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좌측 어퍼 커버(74a'')와,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상면 우측에 우측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우측 어퍼 커버(74b'')로 구성되어, 상기 좌측 어퍼 커버(74a'')와 우측 어퍼 커버(74b'')가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어퍼 커버(74'')에는 실내 공기가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홀(71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좌측 어퍼 커버(74a'')와 우측 어퍼 커버(74b'')에는 흡입홀(71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흡입홀(71a'')에는 각각 루버(7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루버(75'')는 상기 흡입홀(71a'')을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흡입홀(71a'')을 향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좌우 양측에 회전축(미도시)이 돌출되고, 상기 루버(75'')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71'')에는 루버 회동용 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어퍼 커버(74'')는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동되어 상기 필터 출입홀(71c)이 개폐되도록, 단수개의 커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 터유닛에 필터가 착탈되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70''')는 필터 케이스(71''')의 상면에 필터 출입홀(71c''')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출입홀(71c''')이 전후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상면에는 어퍼 커버(74''')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이외의 구성과 작동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71''')는 저면에 상기 실내기(51)의 상면 공기 흡입구(56)와 연통되는 연통홀(71b''')가 형성되고, 좌우 내측면에는 상기 필터(72)가 상하방향으로 상기 필터 케이스(71''') 내부에 설치되도록 가이드(73''')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 커버(74''')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상면 후부에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어퍼 커버(74''')에는 실내 공기가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홀(71a''')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홀(71a''')에는 루버(7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상기 어퍼 커버(74''')는 필터 케이스(71''')의 상면 전부에 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개폐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은 필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필터 출입홀이 개폐되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의 전면에 프론트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와 필터 케이스에는 필터를 착탈시키기 위한 필터 착탈 수단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필터가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간편하게 착탈되고, 상기 필터의 교체와 청소가 간편하게 실시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유닛은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에 연통되게 장착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게 되므로, 공기조화기의 정화 성능이 향상되고, 실내 공기의 정화로 인해 실내가 보다 쾌적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착탈 수단은 필터의 전면부에 형성된 손잡이로서, 상기 필터는 손잡이로 인해 취급이 간편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착탈 수단은 필터 케이스에 형성된 원터치 버튼과, 상기 필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원터치 버튼 사이에 설치된 작동링크로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원터치 버튼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기 필터 출입홀을 통해 상기 필터가 자동적으로 인출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의 슬라이딩 착탈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필터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간편하게 착탈되고, 상기 필터가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은 필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필터 출입홀이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면에 어퍼 커버가 설치됨으로서,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필터 출입홀을 통해 상기 필터가 상하방향으로 간편하게 착탈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프리 필터와, 전기 집진 필터와, 헤파 필터와, 나노 카본 필터와, 나노 구리 필터와, 나노 은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필터 유닛에 의해 실내 공기의 정화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에 연통되게 장착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형성된 필터 출입홀을 통해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 출입홀을 통해 상기 필터 케이스로부터 상기 필터를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필터와 필터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필터 착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착탈 수단은 상기 필터에 형성된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착탈 수단은 상기 필터 케이스의 일측에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버튼부와, 상기 필터와 필터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필터가 상기 필터 출입홀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조작 버튼부와 탄성부재 사이에 설치된 작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기의 필터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구는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 또는 인장된 상태로 구속하는 후크와, 상기 후크와 조작 버튼부 사이에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작 버튼부에 의해 탄성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후크를 작동시키는 연동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의 슬라이딩 착탈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에는 상기 필터 출입홀을 개폐시키도록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7.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에 연통되게 장착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필터 출입홀을 통해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필터 출입홀이 개폐되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필터 출입홀이 좌우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면 좌측과 상면 우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필터 출입홀이 전후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면 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홀에는 루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KR1020040064427A 2004-08-16 2004-08-16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KR20060016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427A KR20060016007A (ko) 2004-08-16 2004-08-16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EP04808325A EP1778385B1 (en) 2004-08-16 2004-12-07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AT04808325T ATE438456T1 (de) 2004-08-16 2004-12-07 Filtereinheit einer klimaanlage
ES04808325T ES2329248T3 (es) 2004-08-16 2004-12-07 Unidad de filtro para aire acondicionado.
PCT/KR2004/003194 WO2006019207A1 (en) 2004-08-16 2004-12-07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DE602004022467T DE602004022467D1 (de) 2004-08-16 2004-12-07 Filtereinheit einer klimaanlage
AU2004322350A AU2004322350B2 (en) 2004-08-16 2004-12-07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CNB2005100530117A CN100376846C (zh) 2004-08-16 2005-03-04 空调机的滤清装置
US11/079,202 US7670414B2 (en) 2004-08-16 2005-03-15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427A KR20060016007A (ko) 2004-08-16 2004-08-16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007A true KR20060016007A (ko) 2006-02-21

Family

ID=3608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427A KR20060016007A (ko) 2004-08-16 2004-08-16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16007A (ko)
CN (1) CN10037684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62423C (zh) * 2006-09-19 2009-02-18 鲁希诺 复合催化无铅醇醚汽油及其配制方法
KR101172682B1 (ko) * 2006-10-19 201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5007112B2 (ja) * 2006-12-14 2012-08-2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11118791B2 (en) * 2017-03-03 2021-09-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169B2 (ja) * 1986-10-07 1996-02-07 松下電工株式会社 空気清浄器
US5772738A (en) * 1993-11-30 1998-06-30 Purex Co., Ltd. Multifunctional air filter and air-circulating clean unit with the same incorporated therein
DE4404465B4 (de) * 1994-02-11 2007-09-27 Fa. Andreas Stihl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mit einem Filterkasten
KR19990084486A (ko) * 1998-05-07 1999-12-06 윤종용 공기 청정기의 필터 교체시기 판단방법
JP2001330308A (ja) * 2000-05-25 2001-11-30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76846C (zh) 2008-03-26
CN1737451A (zh)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316B1 (ko) 공기조화기
US7670414B2 (en)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733296B1 (ko) 공기조화기
KR100624793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1339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16007A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KR20060010086A (ko) 실내기의 프론트패널 개폐구조
KR10112331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80374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16008A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KR2006001600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KR20060010085A (ko) 실내기의 프론트패널 개폐구조
KR101162164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461A (ko) 공기조화기
KR100745582B1 (ko) 공기조화기
KR100753448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16009A (ko) 공기조화기
KR20060016010A (ko) 실내기 프리필터의 탈/장착 구조
KR20080055012A (ko) 공기조화기
KR100688186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014A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010A (ko) 공기조화기
KR2006002244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55011A (ko) 공기조화기
KR100758952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213

Effective date: 2012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