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4822A -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4822A
KR20060014822A KR1020040063535A KR20040063535A KR20060014822A KR 20060014822 A KR20060014822 A KR 20060014822A KR 1020040063535 A KR1020040063535 A KR 1020040063535A KR 20040063535 A KR20040063535 A KR 20040063535A KR 20060014822 A KR20060014822 A KR 20060014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amplifier
battery
transmitter
w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장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3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4822A/ko
Publication of KR2006001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전원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모드에서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전류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은, 사용전원이 배터리 모드일 때, 배터리 잔량에 기초해서 송신부 내부에 포함된 파워증폭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한다. 즉, 배터리 잔량이 중간정도 일 경우에는 송신부 파워증폭기의 송신출력을 중출력으로 조절한다. 또한 배터리 잔량이 매우 낮을 경우에는 송신부 파워증폭기의 송신출력을 저출력으로 조절한다. 그리고 배터리 잔량이 높을 경우에서는 송신부 파워증폭기의 송신출력을 고출력으로 조절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전력소비 규모가 큰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에서 소비되는 전류량을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서 줄임으로써, 무선랜의 전력소비량을 종래와 비교해서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무선랜, 배터리, 파워 증폭기

Description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Power saving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wireless la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 제어를 위한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안테나 103 : 밴드패스필터
105 : 스위칭회로 113 : 파워 증폭기
107,115 : 믹서 109,117 : 중간주파필터
119 : 전원부 121 : 수신부
123 : 송신부 130 : 파워제어부
111 : 변복조부
본 발명은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전원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모드에서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전류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은 무선랜 안테나(1)에 양방향으로 일정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밴드패스필터(3)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밴드패스필터(3)는 수신과 송신을 스위칭해서 송신신호 또는 수신신호를 전송하는 스위칭회로(5)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회로(5)에는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1)와 송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23)가 연결되고 있다. 상기 수신부(21)와 송신부(23)는 대역통과된 중간주파신호를 복조하여 수신신호를 출력하고,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복조부(11)에 연결된다.
상기 송신부(23)는, 송신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증폭기(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23)는, 상기 변조된 신호를 대역통과시키는 중간주파필터(17)와, 상기 중간주파필터(17)의 출력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발진신호와 믹싱시켜 고주파신호를 출력하는 믹서(15)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 증폭기(13)는 상기 고주파신호에 대한 파워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수신부(21)는,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6)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6)에서 증폭된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발진신호와 믹싱하여 중간주파신호를 출력하는 믹서(7)와, 상기 중간주파신호를 대역통과시키는 중간주파필터(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종래 무선랜 파워증폭기는, 도시하지는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때, 무선랜 송신부(23)의 파워증폭기는, 항시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고 있다. 즉, 전원부는 송신부(23)의 파워증폭기(13)에 항시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상기 파워 증폭기(13)에 항상 일정크기의 전원의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송신부의 파워증폭기(13)는, 송신출력파워를 항상 일정하게 증폭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무선랜 파워증폭기는 항시 공급되는 전원으로 인하여 전원 소비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무선랜 파워증폭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파워 증폭기에 항시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문제 때문에 배터리 사용시간이 급격히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 무선랜 파워 증폭기에서 전원부는 상기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에 항상 일정한 크기의 구동전압을 인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서 송신부의 파워증폭기는 항상 일정한 송신출력파워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파워 증폭기에서 소비되는 전류량이 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상기 무선랜 파워 증폭기를 휴대용기기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 배터리 사용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모드에서 배터리 잔량에 기초해서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구동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는, 무선랜의 송신부에 포함된 파워증폭기와; 상기 파워증폭기에 일정크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검출되는 배터리 잔량에 기초해서 상기 파워증폭기의 송신파워를 조절하는 파워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파워제어수단은,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높을 때,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의 송신파워를 고출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파워제어수단은,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의 범위일 때,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의 송신파워를 중출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파워제어수단은,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낮을 때,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의 송신파워를 저출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파워제어수단은,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배터리잔량검출수단과; 상기 배터리잔량검출수단의 검출값과 기준값을 비교해서 상기 파워증폭기의 송신파워레벨을 제어하는 비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제어방법은, 무선랜의 송신 부에 포함된 파워증폭기의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에 있어서, 현재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일 때,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의 송신출력을 중출력으로 제어하는 단계와;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때,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의 송신출력을 고출력으로 제어하는 단계와;배터리 잔량이 기준치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때,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의 송신출력을 저출력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에 대해서 자세하세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는,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안테나(101)에 무선랜신호를 양방향으로 일정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밴드패스필터(103)를 연결해서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밴드패스필터(103)는 스위칭회로(105)에 연결된다.
상기 스위칭회로(105)는, 무선랜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회로(105)가 송신방향으로 제어되면, 상기 안테나(101)를 통해서 무선랜신호가 송신되고, 상기 스위칭회로(105)가 수신방향을 제어되면, 상기 안테나(101)를 통해서 무선랜신호가 수신되어진다.
상기 스위칭회로(105)에는 수신된 무선랜신호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수신부(121)가 연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스위칭회로(105)에는 송신할 무선랜신호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송신부(123)가 연결되어진다. 상기 수신부(121)와 송신부(123)는 대역통과된 중간주파신호를 복조하여 수신신호를 출력하고,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복조부(111)에 연결된다.
상기 송신부(123)는, 송신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증폭기(1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123)는, 상기 변조된 신호를 대역통과시키는 중간주파필터(117)와, 상기 중간주파필터(117)의 출력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발진신호와 믹싱시켜 고주파신호를 출력하는 믹서(115)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 증폭기(113)는 상기 고주파신호에 대한 파워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송신부의 파워 증폭기(113)는 후술되는 전원부로부터 항상 일정한 전압(예를 들면 5볼트)을 공급받으며, 파워 제어부에서 파워 증폭기(113)의 파워제어단자로 인가하는 하이레벨, 중간레벨, 로우레벨에 의해서 상기 파워 증폭기의 송신파워가 조절되어진다.
상기 수신부(121)는,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106)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106)에서 증폭된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발진신호와 믹싱하여 중간주파신호를 출력하는 믹서(107)와, 상기 중간주파신호를 대역통과시키는 중간주파필터(1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는, 상기 송신부(123)의 파워증폭기(113)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119)는, 배터리 전원일 수도 있고 어뎁터 전원일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는, 상기 송신부(123)의 파워증폭기(113)의 구동전압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파워제어부(130)를 포함하고 있 다. 상기 파워제어부(130)는, 상기 전원부(119)의 사용전원을 감시하고, 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때, 배터리 잔량에 기초해서 상기 송신부(123)의 파워증폭기(113)의 구동전압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파워제어부(130)는,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와 비교해서 높을 때, 상기 송신부(123)의 파워증폭기(113)의 파워출력을 하이레벨로 제어한다. 상기 파워제어부(130)는, 배터리 잔량이 기준 범위에 포함될 때, 상기 송신부(123)의 파워증폭기(113)의 파워출력을 중간레벨로 제어한다. 상기 파워제어부(130)는,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송신부(123)의 파워증폭기(113)의 파워출력을 로우레벨로 제어한다. 상기 동작 제어는 상기 파워제어부(130)에서 파워 증폭기(113)의 파워제어단자로 하이레벨, 중간레벨, 로우레벨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파워제어부(130)는, 상기 전원부(119)의 사용전원을 감시하는 구성, 상기 전원부(119)가 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때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구성, 그리고 상기 배터리 잔량을 기준치와 비교하는 구성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상기 전원부(119)의 사용전원을 감시하는 구성,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구성, 기준치와 비교하는 구성들은 일반적인 공지 구성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배터에 내부에는 배터리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의 구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할 때, 상기 배터리 내부의 제어부와 통신에 의해서 배터리 정보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사용전원의 검출 및 배터리 잔량 정보 등은 상기 제어부와의 통신에 의해서 검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파워제어부(130)는 배터리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함에 의해서 배터리잔량정보를 검출하는 배터리잔량검출부를 포 함한다. 상기 배터리잔량검출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제어부와 통신에 의해서 배터리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잔량을 기준치와 비교하는 구성은, 배터리의 잔량이 만충전상태(100%)에 대해서 중간범위일 때(50%~90%)의 배터리 전압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값과 배터리로부터 검출되는 전압값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비교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검출되는 전압값이 기준값보다 높을 때는 배터리 잔량이 90% 이상, 하이레벨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검출되는 전압값이 기준값보다 낮을 때는 배터리 잔량이 50% 이하라고 판단하여, 로우레벨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배터리로부터 검출되는 전압값이 기준값의 범위 내에 포함될 때는 중간레벨로 판단한다. 만약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내에 전압값을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면, 상기 비교기 없이 상기 파워 제어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무선랜신호의 수신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안테나(101)를 통해서 수신된 무선랜신호는 밴드패스필터(103)에서 대역제한이 이루어지고, 스위칭회로(105)에 인가되어진다. 상기 스위칭회로(105)는 상기 밴드패스필터(103)에서 대역제한된 무선랜신호가 수신부(107) 측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전송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회로(105)를 통과한 무선랜신호는 수신부(107)에 입력된다. 상기 수신부(107)는 수신된 무선랜신호를 저잡음증폭기 (106)를 통해서 증폭한 후 수신신호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저잡음증폭기(106)에서 증폭된 수신신호는 믹서(107)에 입력되고, 도시하지 않은 발진신호와 믹싱하여 중간주파수를 출력한다. 상기 믹서(107)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신호는 중간주파필터(109)에서 대역통과된 후, 변복조부(111)에 입력되어서 중간주파신호를 복조하여 수신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은 무선랜신호가 송신될 때의 과정을 설명한다.
변복조부(111)에서 송신할 신호를 변조시켜서 출력하고, 상기 출력신호는 송신부(123) 내부의 중간주파필터(117)에서 대역통과된 후, 믹서(115)에서 고주파신호로 주파수변환된다. 그리고 송신부(123)의 파워 증폭기(113)에 입력된다.
송신부(123)에서 파워증폭기(113)에 의해서 증폭된 무선랜신호는 스위칭회로(105)에 인가되고, 상기 스위칭회로(105)를 통해서 밴드패스필터(103)에 전송된다. 상기 밴드패스필터(103)는 인가된 무선랜신호에서 일정대역을 통과시킨다. 상기 밴드패스필터(103)를 통과한 무선랜신호는 안테나(101)를 통해서 송출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이루어질 때, 전원부(119)는 송신부(123)의 파워증폭기(113)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파워증폭기(113)로의 전원공급은, 전원부(119)의 사용전원이 배터리 전원인지 또는 어뎁터 전원인지에 따라서 제어가 다르게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전원 제어를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파워 제어부(130)는, 상기 전원부(119)의 사용전원이 배터리 전원인지 어뎁 터 전원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사용전원의 확인은 파워 제어부(130)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전원부로부터 전원정보(배터리정보)를 제공받음에 의해서 얻어진다.
따라서 상기 파워 제어부(130)는 현재 사용전원이 배터리 모드인지 또는 어뎁터 모드인지를 감시하고, 배터리 모드일 때 이하 설명될 과정과 같은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전압 크기를 제어하게 된다(제 200 단계).
즉, 상기 제 200 단계는, 현재 사용전원이 배터리 모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 200 단계에서 현재 사용전원이 배터리 모드가 아닐 때, 파워 제어부(130)는 정상적으로 송신부(123)의 파워 증폭기(113)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때, 파워 제어부(130)는 송신부(123)의 파워 증폭기(113)의 파워 레벨을 하이레벨로 제어한다(제 210 단계).
그러나 상기 제 200 단계에서 현재 사용전원이 배터리 모드로 판단되면, 파워 제어부(130)는 상기 전원부(119)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한다(제 215 단계). 상기 제 215 단계의 배터리 잔량 검출은 일반적인 배터리 잔량 검출 과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15 단계에서 검출된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최대 충전량(100%)과 비교해서 90% 이상인 경우에는 파워 제어부(130)는 상기 파워 증폭기(113)의 파워 레벨을 하이레벨(고출력) 상태로 제어한다(제 220 단계, 제 230 단계). 즉, 상기 제 220 단계는, 배터리 잔량이 높은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때, 파워 제어부(130)에서 파워 증폭기(113)의 파워제어단자로 하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제 215 단계에서 검출된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최대 충전량(100%)과 비교해서 50% 보다 크고 90% 미만인 경우에는 파워 증폭기(130)는 송신부(123)의 파워증폭기(113)의 파워레벨을 중간레벨(중출력) 상태로 제어한다(제 240 단계, 제 250 단계). 상기 제 240 단계는 배터리 잔량이 중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250 단계는, 파워제어부(130)에서 파워 증폭기(113)의 파워제어단자에 중간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상기 제 240 단계의 비교치(50%<잔량<90%)를 기준치로 설정하고, 상기 제 220 단계는 기준치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량, 제 260 단계는 기준치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량으로 판단되어진다.
상기 제 215 단계에서 검출된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최대 충전량(100%)과 비교해서 50% 이하인 경우에는 파워 제어부(130)는, 상기 송신부(123)의 파워 증폭기(113)의 파워 출력을 로우레벨(저출력)로 제어한다(제 260 단계, 제 270 단계). 상기 제 260 단계는 배터리 잔량이 낮은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270 단계는, 파워 제어부(130)에서 파워 증폭기(113)의 파워제어단자에 로우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서 상기 파워증폭기(113)에 인가되는 파워제어신호가 각기 달라지면, 상기 파워증폭기(113)의 송신출력 레벨에 변화가 발생한다. 즉, 상기 파워증폭기(113)는, 상기 전원부(119)로부터 항상 일정한 구동전압(약 5볼트)을 공급받으며, 상기 구동전압과 상기 파워 제어부(130)에서 인가하는 로직신호(예를 들어서 하이레벨은 0볼트, 중간레벨은 2볼트, 로우레벨은 4볼트가 인 가되도록 정의된 경우)의 차전압에 의해서 상기 파워증폭기가 구동된다.
따라서 배터리 잔량이 충분한 경우(90% 이상), 상기 파워제어부(130)에서 파워 증폭기(113)의 파워제어단자로 하이레벨이 인가되면, 상기 파워증폭기는 구동전원과 상기 파워제어단자의 차전압, 즉 +5볼트와 0볼트의 차전압인 +5볼트에 의해서 구동되므로 상기 파워 증폭기(113)는 종래와 동일하게 증폭동작한다.
또한, 배터리 잔량이 중간 정도 남아 있는 경우(50%~90%), 상기 파워제어부(130)에서 파워 증폭기(113)의 파워제어단자로 중간레벨을 인가하고, 상기 파워증폭기는 구동전원과 상기 파워제어단자의 차전압, 즉 +5볼트와 2볼트의 차전압인 +3볼트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때 파워 증폭기(113)에서 소비되는 전류량은 종래와 비교해서 거의 절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또한, 배터리 잔량이 소량 남아 있는 경우, 상기 파워제어부(130)에서 파워 증폭기(113)의 파워제어단자로 로우레벨을 인가하고, 상기 파워증폭기는 구동전원과 상기 파워제어단자의 차전압, 즉 +5볼트와 4볼트의 차전압인 +1볼트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때 파워 증폭기(113)에서 소비되는 전류량은 종래와 비교해서 매우 작게 소비되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서 파워 증폭기의 송신파워 출력레벨을 가변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파워 증폭기의 파워제어단자에 인가되는 하이, 로우, 중간 레벨의 전압값은 시스템의 상태와 기기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전압값들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시하고 있는 일 예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은, 배터리 모드에서 배터리 잔량에 기초해서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의 파워출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서 몇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파워증폭기의 파워출력량을 설정한다. 그리고 검출된 배터리 잔량에 기초해서 파워증폭기의 파워출력을 제어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은, 사용전원이 배터리 모드일 때, 배터리 잔량에 기초해서 송신부 내부에 포함된 파워증폭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한다. 즉, 배터리 잔량이 중간정도 일 경우에는 송신부 파워증폭기의 송신출력을 중출력으로 조절한다. 또한 배터리 잔량이 매우 낮을 경우에는 송신부 파워증폭기의 송신출력을 저출력으로 조절한다. 그리고 배터리 잔량이 높을 경우에서는 송신부 파워증폭기의 송신출력을 고출력으로 조절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전력소비 규모가 큰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에서 소비되는 전류량을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서 줄임으로써, 무선랜의 전력소비량을 종래와 비교해서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와 같이 한정된 전원을 사용하는 휴대기기에서 전원사용시간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6)

  1. 무선랜의 송신부에 포함된 파워증폭기와;
    상기 파워증폭기에 일정크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검출되는 배터리 잔량에 기초해서 상기 파워증폭기의 송신파워를 조절하는 파워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제어수단은,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높을 때,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의 송신파워를 고출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제어수단은,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의 범위일 때,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의 송신파워를 중출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제어수단은,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낮을 때 ,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의 송신파워를 저출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제어수단은,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배터리잔량검출수단과; 상기 배터리잔량검출수단의 검출값과 기준값을 비교해서 상기 파워증폭기의 송신파워레벨을 제어하는 비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6. 무선랜의 송신부에 포함된 파워증폭기의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에 있어서,
    현재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일 때,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의 송신출력을 중출력으로 제어하는 단계와;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때,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의 송신출력을 고출력으로 제어하는 단계와;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때, 송신부의 파워증폭기의 송신출력을 저출력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제어방법.
KR1020040063535A 2004-08-12 2004-08-12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 KR20060014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535A KR20060014822A (ko) 2004-08-12 2004-08-12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535A KR20060014822A (ko) 2004-08-12 2004-08-12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822A true KR20060014822A (ko) 2006-02-16

Family

ID=3712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535A KR20060014822A (ko) 2004-08-12 2004-08-12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48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389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7529528B2 (en) Power consump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high frequency amplifier
KR100241780B1 (ko)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장치
KR101231075B1 (ko)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US6034990A (en) Digital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pplying a direct modulation and demodulation method
KR101976576B1 (ko) 무선랜에서 절전 방법 및 장치
KR20060014822A (ko)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절전회로 및 제어방법
EP0388895A2 (en) Variable transmission power type transmitter
EP1708358A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driving volta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6634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JPH0695651B2 (ja) 無線通信装置
JP3783684B2 (ja) 無線通信装置
JPH07336291A (ja) 移動通信における送信出力制御装置
JPH02280420A (ja) 無線通信機の通信方法
JP462708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9990000083A (ko) 무선랜의 절전회로
KR20060014821A (ko) 무선랜 파워증폭기의 전원스위칭회로 및 제어방법
KR10052654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 장치
JPH06216788A (ja) 送信電力制御方式の通信装置
US20230013248A1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frequency band or channel
KR100701621B1 (ko) 다이버시티의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5015103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並びに方法
JP2002033673A (ja) 移動無線通信機の受信装置
JPH11168395A (ja) 送信電力制御回路
KR20220067216A (ko) 무선 시스템을 위한 전원 공급기 및 그 무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