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4138A -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4138A
KR20060014138A KR1020040062724A KR20040062724A KR20060014138A KR 20060014138 A KR20060014138 A KR 20060014138A KR 1020040062724 A KR1020040062724 A KR 1020040062724A KR 20040062724 A KR20040062724 A KR 20040062724A KR 20060014138 A KR20060014138 A KR 20060014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refrigerator
air
housing
heat insulating
insul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승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2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4138A/ko
Publication of KR2006001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김치냉장고의 저장고를 덮어 막도록 된 도어의 내측면 단열판에 이 단열판의 전면 중앙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고 이 정화된 공기를 상기 단열판의 외곽부로 토출시키도록 된 청정기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저장고에서 유출되는 냄새를 상기 청정기가 제어하도록 됨은 물론, 상기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청정기가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저장고 내의 냄새를 정화시켜 저장고 내의 냄새를 제거하도록 되며,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김치냉장고 주변의 공기를 정화시킴은 물론, 상기 저장고 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저장고 각 지점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된 것이다.
김치냉장고, 공기청정기

Description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REFRIGERATOR EQUIPMENT AIR CLEANER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리·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김치냉장고 11 - 도어
12 - 단열판 13 - 단열재
20 - 청정기 30 - 하우징
40 - 집진필터 41 - 항균필터
42 - 탈취필터 43 - 슬롯
50 - 흡입구 51 - 집진망
52 - 토출구 53 - 그릴
60 - 송풍기 61 - 격벽
62 - 덕트 70 - 이온발생기
80 - 스위치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치냉장고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김치 등의 발효식품이나, 야채 등의 식품을 발효 및 보관하도록 된 김치냉장고의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여기서, 상기 김치냉장고는 그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이루는 저장고와, 이 저장고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막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된 도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저장고의 외주부는 외부와의 열교환을 차단하도록 단열재가 덧대어지고,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상기 저장고의 상면 개구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밀봉을 이루면서 외부와의 열교환을 차단하도록 그 내부에 단열재가 삽입된 단열판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김치냉장고는 상기 저장고 내의 김치 등 식품이 발효되면서 독특한 냄새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 냄새가 상기 저장고의 상면을 덮고 있는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외부로 분출되어 상기 김치냉장고의 주위 및 주방 등의 공간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김치냉 장고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제거함과 더불어 김치냉장고 주위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된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김치냉장고 도어에서 작동하여 상기 김치냉장고의 저장고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함유한 방향성가스를 정화하도록 된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김치냉장고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작동되어 상기 김치냉장고의 저장고 내 공기 순환을 돕도록 된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단열판의 내부에 설치되어 김치냉장고의 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의 도어 내측면에 체결된 단열판의 내부에 상기 김치냉장고의 저장고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제거하도록 된 공기 청정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단열판의 중앙부에 공기를 흡수하도록 된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판의 외곽부에 공기를 배출하도록 된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는 상기 단열판의 내부에 형성된 덕트로써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청정기는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설치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와, 이 필터의 내측에 설치된 송풍기와, 이 송풍기에서 상기 토출구에 이르도록 연결된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토출구가 단열판의 외곽부에 다수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에서 상기 다수의 토출구에 이르도록 다수의 덕트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김치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만 청정기가 작동되도록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청정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청정기가 도어의 개방과 관계없이 작동되어 상기 김치냉장고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10)의 일측 도어(11)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정기(20)의 구성품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정기(2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단열판(12)과, 흡입구(50)와, 토출구(52)와, 하우징(30)과, 필터와, 송풍기(60)와, 덕트(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열판(12)은 상기 김치냉장고(10)의 도어(11) 내측면에서 소정폭 돌출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11)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단열판(12)의 전면이 상기 김치냉장고(10)의 저장고 상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저장고의 상부 내측으로 그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도어(11)의 내측면에서 박스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단열판(12)은 그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되며, 이 중공된 내부에 열교환을 차단시키도록 된 단열재(13)가 충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구(50)는 상기 단열판(12)의 전면 중앙부에 개구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송풍기(60)의 흡입작용이 원활하도록 원형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흡입구(50)의 전면에는 상기 흡입구(5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서 비교적 큰 크기의 먼지 등 이물질을 거르도록 그물망 형상을 이룬 집진망(51)이 체결된다.
상기 토출구(52)는 상기 단열판(12)의 전면 외곽부에 다수가 형성되며, 그 전면에 다수의 슬릿이 개구된 그릴(53)이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52)는 상기 흡입구(50)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을 이룸과 더불어 상호 등 간격을 이루도록 다수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단열판(12)의 전면 상/하/좌/우측 외곽부와, 상기 단열판(12)의 각 모서리 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김치냉장고(10)의 저장고 내부 공기순환을 위해 상기 단열판(12)의 전면 상/하/좌/우측 외곽부 및 단열판(12)의 각 모서리 부 모두에 8 개의 토출구(52)가 각각 형성된 것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흡입구(5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통로가 단열판(12)의 내부와 구획되도록 상기 흡입구(50)의 내측 외주에서 상기 단열판(12)의 내측으로 통로 형상을 이루고 뻗어 형성된다.
또, 상기 하우징(30)은 후술하는 필터의 형상에 따라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는 상기 하우징(30)의 일측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장공형상으로 개구된 다수의 슬롯(43)을 통해 상기 하우징(30)의 내부로 삽입되고, 이 하우징(30)의 내부로 삽입된 슬롯(43)이 상기 하우징(30)이 이루는 통로 전면에 걸쳐 설치되도록 상기 하우징(3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구(5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그물망형상으로 형성된 집진필터(40)와, 상기 공기 중의 세균류를 포집하거나 살균하도록 살균제가 함유된 항균필터(41) 및 상기 공기 중의 방향성 가스와 화학 작용하여 상기 가스를 다른 물질로 변화시키거나 포집하도록 된 탈취필터(42)가 상기 흡입구(50)에서 부터 등간격을 이루고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0)의 내측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5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이 흡입된 공기를 송풍 작용하여 후술하는 덕트(62)를 통해 상기 토출구(52)로 토출시키도록 된 통상의 송풍기(60)로 구성된다.
또, 상기 송풍기(60)는 상기 흡입구(50)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흡입구(50)를 통해 하우징(30)의 내 부로 유동된 공기를 상기 송풍기(60)의 내측으로 송풍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기(60)는 회전 작용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송풍기(60)와 상기 하우징(30)의 내주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막도록 상기 송풍기(60)의 외주에서 상기 하우징(30)의 내주 사이에 그 중앙부가 상기 송풍기(60)가 이루는 원형으로 개구된 판형상의 격벽(61)으로 차단된다.
상기 덕트(62)는 상기 하우징(30)의 내측 끝단에서 통형상을 이루고 연장되고, 상기 토출구(52)의 내측 외주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토출구(52)가 다수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덕트(62)가 다수 형성됨에 따라 상기 덕트(6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의 내측 끝단에서 방사형으로 뻗어 형성되며 그 끝단 통로가 상기 토출구(52)의 내측 외주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의 내측 끝단 송풍기(60)의 내측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발생기(70)가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60)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이온화시켜 상기 덕트(62)를 통해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단열판(12)의 내부에 청정기(20)가 설치되고 남은 공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13)가 충진되어 상기 단열판(12)의 단열작용을 돕도록 된다.
또한, 상기 청정기(20)의 제어는 상기 청정기(20)의 송풍기(60)와 이온발생기(7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풍기(60)의 모터와 이온발생기(70)로 전달되는 전원의 단속을 통해 상기 청정기(20)의 작동제어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60)와 이온발생기(70)는 김치냉장고(10)의 전원공급기와 연결됨과 더불어 김치냉장고(10)의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김치냉장고(10)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며, 상기 김치냉장고(10)의 도어(11) 힌지에 설치된 2개 단자로 이루어진 스위치(80)의 단속으로 상기 청정기(20)로 통전되는 전원의 단속을 이루도록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김치냉장고(10)의 작동 및 제어장치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 및 김치냉장고(10)의 전원공급기에 연결된 청정기(20)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청정기(20)의 송풍기(60) 및 이온발생기(70)가 작동된다.
상기 송풍기(6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송풍기(60)와 흡입구(50) 사이 공간에 위치된 공기가 상기 송풍기(60)의 내측으로 송풍되고, 상기 하우징(30) 내의 공기가 흡입 및 송풍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30) 내의 기압이 저하되면서 상기 하우징(30)의 내부로 흡입구(50)를 통해 외기가 흡입된다.
이때, 상기 외기는 상기 흡입구(50)의 전면에 체결된 집진망(51)을 통과하면서 포함된 먼지 등이 걸러지면서 상기 흡입구(50)로 흡입되고, 이 흡입구(5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구(50)의 내측에 설치된 집진필터(40)를 통과하면서 상기 집진기에서 거르지 못한 보다 미세한 먼지 등이 제거되면서 유통된다.
상기 집진필터(40)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상기 집진필터(40)의 내측에 설치된 항균필터(41)에서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류가 제거되 고, 상기 항균필터(4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항균필터(41)의 내측에 설치된 탈취필터(42)를 통과하면서 방향성 가스 등이 다른 물질로 변화되어 제거된다.
상기 필터에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송풍기(60)의 지속적인 작용에 의해 상기 송풍기(60)의 내측으로 송풍되고, 이 송풍기(60)에서 송풍기(60)의 내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송풍기(60)의 내측에 설치된 이온발생기(70)의 이온화작용에 의해 음의 전하를 띄도록 되면서 송풍된다.
상기 송풍기(60)에서 송풍기(60)의 내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송풍기(60)의 내측 즉 하우징(30)의 내측 끝단에 연통된 다수의 덕트(62)로 송풍되고, 이 덕트(62)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덕트(62)의 형상을 따라 단열판(12)의 외곽부로 송풍됨과 더불어 상기 덕트(62)의 선단이 결합된 토출구(52)를 통해 상기 단열판(12)의 외부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청정기(20)가 김치냉장고(10)의 도어(11) 개방 시에만 작동되도록 된 경우, 상기 김치냉장고(10)의 도어(11)를 힌지를 측으로 회동시켜 개방하면, 상기 힌지의 상/하측에 설치된 2개의 단자가 상호 단락되면서 상기 청정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청정기(20)를 작동시키게 된다.
또, 상기 도어(11) 개방 시의 청정기(20) 작동은 상기 도어(11) 또는 김치냉장고(10) 저장고에 설치된 센서의 도어(11) 개방 감지 신호를 받은 김치냉장고(10) 제어장치가 상기 청정기(20)로의 전원인가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어(11)가 개방되고 청정기(2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개방된 저장고의 내부에 충진된 냄새가 상기 저장고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저장고의 상부로 유동되고, 이 저장고의 상부로 유동된 냄새는 상기 도어(11)의 내측면 단열판(12) 중앙부에 개구된 흡입구(50)를 통해 상기 청정기(20)의 하우징(30) 내부로 흡입되어 정화된다.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서 정화되고 송풍기(60)의 송풍작용에 의해 송풍되는 정화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30)의 내측 끝단에 연통된 다수의 덕트(62)를 통해 상기 단열판(12)의 외곽부에 개구된 토출구(52)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김치냉장고(10)의 도어(11) 개방과 더불어 유출되는 방향성 가스가 상기 단열판(12)에 설치된 청정기(20)에 의해 정화되고, 상기 도어(1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음이온이 함유된 신선한 공기가 지속적으로 토출되어 쾌적감을 향상시킨다.
또, 상기 청정기(20)가 항상 작동되도록 되는 경우, 상기 김치냉장고(10)의 작동 및 상기 김치냉장고(10)의 제어장치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청정기(20)로 전원이 인가되고, 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청정기(20)의 송풍기(60)가 작동되면서 상기 흡입구(50)를 통해 외기를 흡입한다.
이때, 상기 도어(11)가 저장고의 상면에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기(60)의 송풍작용이 이루어지면, 상기 저장고의 중앙부에 위치된 공기가 단열판(12)의 중앙부에 개구된 흡입구(50)를 통해 흡입되고, 이 흡입구(5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구(50)의 내측에 설치된 하우징(30)의 내부에서 필터에 의해 정화되며, 이 정화된 공기가 상기 송풍기(60)의 지속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송풍기(60)의 내측으로 송풍되고, 이 송풍기(60)의 내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30)의 내측 끝 단에 연통된 다수의 덕트(62)를 통해 상기 덕트(62)의 끝단에 결합된 토출구(52)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52)는 상기 단열판(12)의 외곽부 즉 상기 저장소의 외곽부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청정기(20)에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저장소의 외곽부로 토출되고 이 저장소의 외곽부에 위치된 공기는 상기 송풍기(60)의 송풍작용에 의해 기압이 낮아진 상기 저장소의 중심부로 재차 유동되면서 상기 저장소 내의 공기가 순환된다.
상기 저장소 내의 공기가 순환됨과 더불어 정화됨에 따라, 상기 저장소 내의 모든 위치에서 항상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또, 상기 청정기(20)는 항상 작동되면서 저장소 내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저장소의 도어(11)를 개방하여도 상기 저장소 내의 방향성가스가 존재하지 않아 외부로 냄새가 발생되는 것이 저감되며, 상기 도어(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소에 미세하게 상존한 냄새가 저장소의 상부로 유동됨과 더불어 상기 단열판(12)에 설치된 청정기(20)에서 정화되어 상기 냄새의 유출이 방지되고, 상기 도어(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청정기(20)가 지속적으로 작동되면서 상기 김치냉장고(10) 주변의 공기를 정화시킴은 물론, 음이온을 첨가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을 생성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김치냉장고의 저장소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제거하도록 되어 상기 김치냉장고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김치냉장고의 저장소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저장소내 각 지점이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김치냉장고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김치냉장고의 저장고 내 공기를 항상 정화하여 상기 저장고의 개방과 더불어 냄새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김치냉장고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김치냉장고 도어의 개방과 더불어 상기 김치냉장고 주변의 공기가 정화되고, 이온화되어 보다 쾌적한 환경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김치냉장고 도어의 내측면에 체결된 단열판에 공기를 흡입, 정화, 배출하는 청정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의 중앙부에 개구된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단열판의 외곽부에 개구된 토출구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서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상을 이루고 돌출된 단열판;
    상기 단열판의 전면 중앙부에 개구된 흡입구;
    상기 단열판의 전면 외곽부에 개구된 토출구;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결합된 통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하우징의 내측 끝단에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송풍 작 용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내측부에서 상기 토출구에 이르도록 연통된 관형상의 덕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의 외곽부에 다수 개구된 토출구;
    상기 송풍기의 내측에서 상기 각 토출구에 이르도록 단열판의 내부를 통해 연통된 다수의 덕트;
    상기 도어의 단열을 이루도록 단열판의 내부에 충진됨과 더불어 상기 덕트가 매설된 단열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공형상으로 개구된 다수의 슬롯;
    상기 흡입구와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슬롯으로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필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내측에 공기를 이온화시키도록 된 이온발생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KR1020040062724A 2004-08-10 2004-08-10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KR20060014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724A KR20060014138A (ko) 2004-08-10 2004-08-10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724A KR20060014138A (ko) 2004-08-10 2004-08-10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138A true KR20060014138A (ko) 2006-02-15

Family

ID=3712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724A KR20060014138A (ko) 2004-08-10 2004-08-10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41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1185A (zh) * 2016-05-30 2016-11-09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可持续保鲜并净化空气的冰箱
KR102310763B1 (ko) 2021-06-03 2021-10-08 램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초고순도 불화수소의 정제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1185A (zh) * 2016-05-30 2016-11-09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可持续保鲜并净化空气的冰箱
CN106091185B (zh) * 2016-05-30 2019-02-1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可持续保鲜并净化空气的冰箱
KR102310763B1 (ko) 2021-06-03 2021-10-08 램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초고순도 불화수소의 정제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875B1 (ko) 실내외 공기를 혼합하여 열교환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장치
KR101250062B1 (ko) 환기장치
EP1788327A2 (en) Refrigerator having independent sterilization duct
WO2002053994A1 (fr) Unite de stockage et refrigerateur
KR101783624B1 (ko) 청정운전이 가능한 공기순환장치
JP2002333265A (ja) 貯蔵庫及び冷蔵庫
KR20170082084A (ko) 냉장고
KR20070052506A (ko) 냉장고
KR100941413B1 (ko)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JP2002372365A (ja) 冷蔵庫
KR20060014138A (ko) 김치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CN100549597C (zh) 泡菜冰箱空气净化器
CN110411107B (zh) 冰箱
KR20050069321A (ko) 냉장고
KR101500923B1 (ko) 필터식 겸용 환기식 시약장
JP4080801B2 (ja) 冷蔵庫
JP2002204824A (ja) 消臭装置及び消臭装置付き下駄箱
CN212376904U (zh) 一种万向吹风风扇
KR20060014144A (ko) 공기조화기 겸용 냉장고의 토출구조
KR20060019662A (ko) 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CN111238117B (zh) 一种除异味冰箱
KR0117180Y1 (ko) 냉장고의 살균 및 탈취장치
KR20060019655A (ko) 김치냉장고 설치용 공기청정기
KR20060019660A (ko) 냉장고용 공기청정기
KR20060019656A (ko) 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