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2901A - 긴급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제공하는 지능형 긴급재난통합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긴급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제공하는 지능형 긴급재난통합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2901A
KR20060012901A KR1020040061614A KR20040061614A KR20060012901A KR 20060012901 A KR20060012901 A KR 20060012901A KR 1020040061614 A KR1020040061614 A KR 1020040061614A KR 20040061614 A KR20040061614 A KR 20040061614A KR 20060012901 A KR20060012901 A KR 20060012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ata
home network
disaster
emergency dis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1380B1 (ko
Inventor
김신일
이현
임종수
유정호
이정우
Original Assignee
김신일
이현
임종수
유정호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일, 이현, 임종수, 유정호, 이정우 filed Critical 김신일
Priority to KR102004006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3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1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16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for emergenc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방범과 같은 긴급재난에 대하여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은 긴급재난 데이터의 생성과 긴급대피 데이터의 출력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들에 연결되고,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수신하고,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긴급재난이 발생한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계된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긴급대피 데이터를 전달하는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 및 긴급재난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재난구조 시스템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a) 홈서버와, 복수의 단말과, 상기 복수의 단말을 홈서버에 연결시켜주는 무선 또는 유선홈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 여기서, 상기 홈서버는 긴급재난발생 데이터 생성유닛과 긴급대피 데이터 처리 유닛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은 긴급재난을 센싱하는 제어 단말과 긴급대피 데이터를 음성 또는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말을 적어도 포함함 -, b) 상기 복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되고,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긴급대피 데이터를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는 생성 모듈, 긴급대피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송모듈 및 룩업 테이블을 구비한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 및 c) 긴급재난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재난구조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어 단말에 의해 긴급재난이 발생하였음이 확인되면,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긴급재난발생 데이터 생성 유닛을 이용하여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상기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으로 전달되고, 상기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은 수신된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토대로 긴급재난이 발생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긴급대피 데이터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연계된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결정하고, 결정된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긴급대피 데이터를 메시징하고, 상기 긴급대피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긴급대피 데이터 처리유닛을 사용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단말로 출력하여 재난발생을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들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은 홈네트워크 시스템간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황변화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긴급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제공하는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WHICH PROVIDES PROMPT ACTION TO URGENT CONDITIONS}
도 1은 종래의 긴급재난 관리시스템의 일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에 의해 유지관리되는 룩업 테이블의 바람직한 일예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에 의해 유지관리되는 룩업 테이블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예를 보여주는 표이다.
본 발명은 긴급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제공하는 홈네트워크의 구축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긴급재난이 발생한 지점 과의 밀접도에 따라 긴급신호의 발생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긴급재난 통합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홈네트워크란 일반적으로 가정내 디지털 정보가전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 인터넷 망과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지능화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킹 방식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지능형 홈네트워크는 가정 및 외부의 모든 기기들이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로 서로 연결되어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기기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고, 거주자의 생활 패턴 및 거주자의 요구사항을 거주 환경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정보를 파악하여 자동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홈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한 댁외부망 기술로는 xDSL, 캐이블 모뎀, 이더넷, 위성 등이 있으며, 댁내망 기술로는 Home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이더넷, IEEE1394,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 등이 있다.
현재 홈네트워크 기술개발은 네트워크 기능의 구현을 위한 기술적 제휴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비즈니스 제휴 등 업체간 다양한 제휴와 함께 경쟁이 상호 공존하는 구도를 보이고 있으며, 유무선 인프라 사업자간의 서비스 제휴나 부가서비스(보안, 위성방송 등) 개발을 위한 업무 제휴, 컨텐츠나 애플리케이션의 공동 개발을 전개하는 등 다각적인 형태의 사업제휴가 일어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50)은 홈서버(501)와, 각종 단말(503)과, 상기 각종 단말(503)을 홈서버(501)에 연결시켜주는 무선 또는 유선홈네트워크(502)로 구성된다. 각종 단말(503)로는, 인터넷 접속 및 데이터 교환을 주목적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단말(503a), 정보교환 등을 주목적으로 하는 휴대 단말(503b), TV, 비디오, 게임 등의 오락을 주목적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단말(503c) 및 홈오토메이션/방범/보안을 주목적으로 하는 제어 단말(504c)로 분류된다. 이들 각종 단말(503)은 무선 또는 유선홈네트워크(502)에 의해 홈서버(501)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50)은 제어 디바이스(504c)에 속하는 동작센서 및 온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방범/화재예방 기능 등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온도센서에 의해 온도의 급격한 상승이 감지되면,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홈서버(501)에 전달되며, 상기 홈서버(501)는 화재경보신호를 인터넷(60)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단말(80)에 알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가장 가까운 소방서의 화재진압시스템(70)(예를 들면 소방서에 구비된 시스템)에도 상기 경보신호를 전달한다.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이것은 이웃의 안전을 위협하게 된다. 특히, 아파트, 오피스텔과 같이 제한된 거주지역내에 다수인이 거주하는 밀집된 생활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화재경보신호는 이웃에게도 전달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홈네트워크 시스템(50)은 소방서와 주인에 대한 안내 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웃주민에 대한 통지는 별도로 구비된 화재경보기에 의해 행해진다. 예를 들면, 602동 1006호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경보기는 "삐삐삐"하는 경보음을 생성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이웃한 주민에게 알린다. 종래의 화재경보기에 의한 경보음은 단순히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통지할 뿐이며, 몇동 몇호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주지 못한다. 이것은 때때로 잘못된 대피를 유발하고, 이웃주민의 생명을 위협한다. 화재에 대한 자세한 소식은 각 호실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관리인의 육성 안내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602동 1006호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으니, 주민들께서는 신속히 대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멘트가 관리인에 의해 상기 스피커를 통해 방송된다. 이러한 방식의 통지는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으며, 때때로 잘못된 정보의 전달에 의해 인명피해를 야기하곤 한다. 한편, 화재경보와 달리, 방범 시스템의 경우 사설 방법업체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웃주민에 대한 자동통지 서비스가 전혀 갖추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재, 방범과 같은 긴급재난에 대하여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파트와 오피스텔과 같은 밀집된 생활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긴급재난에 대하여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능형 긴 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기능이 별도로 할당되어 긴급재난에 대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첫 번째 관점에 따르면,
a) 홈서버와, 복수의 단말과, 상기 복수의 단말을 홈서버에 연결시켜주는 무선 또는 유선홈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 여기서, 상기 홈서버는 긴급재난발생 데이터 생성유닛과 긴급대피 데이터 처리 유닛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은 긴급재난을 센싱하는 제어 단말과 긴급대피 데이터를 음성 또는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말을 적어도 포함함 -
b) 상기 복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되고,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긴급대피 데이터를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는 생성 모듈, 긴급대피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송모듈 및 룩업 테이블을 구비한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 및
c) 긴급재난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재난구조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어 단말에 의해 긴급재난이 발생하였음이 확인되면,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긴급재난발생 데이터 생성 유닛을 이용하여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상기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으로 전달되고, 상기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은 수신된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토대로 긴급재난이 발생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긴 급대피 데이터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연계된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결정하고, 결정된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긴급대피 데이터를 메시징하고, 상기 긴급대피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긴급대피 데이터 처리유닛을 사용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단말로 출력하여 재난발생을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들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관점에 따르면, 상기 긴급대피 데이터 처리 유닛은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입력포트, 입력포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프로세서, 및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신호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관점에 따르면, 상기 긴급대피 데이터 처리 유닛은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입력포트, 입력포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프로세서,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긴급대피 데이터일 경우 지역코드를 확인한 후 저장된 지역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데이터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지역코드 선택기 및 데이터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1)은 각 가정에 위치한 복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10a 내지 10n, 통합하여 "10")과,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10)으로부터 긴급재난발생 데이터의 수신 및 긴급대피 데이터의 생성·전달을 담당하는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20)과, 긴급재난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재난구조 시스템(3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10a 내지 10n, 통합하여 "10")은 홈서버(101)와, 복수의 단말(103a 내지 103n, 통합하여 "103")과, 상기 복수의 단말(103)을 홈서버(101)에 연결시켜주는 무선 또는 유선홈네트워크(102)를 포함한다. 상기 홈서버(101)는 긴급재난발생 데이터 생성유닛(1011)과 긴급대피 데이터 처리 유닛(1012)을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단말(103)은, 긴급재난을 센싱하는 제어 단말(103a)과 긴급대피 데이터를 음성 또는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말(103b)을 적어도 포함한다는 조건 하에, 인터넷 접속 및 데이터 교환을 주목적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단말(미도시), 정보교환 등을 주목적으로 하는 휴대 단말(미도시), TV, 비디오, 게임 등의 오락을 주목적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단말(미도시) 및 기타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추가적 제어 단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20)은 상기 복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10)에 연결되어 있으며,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201), 긴급대 피 데이터를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는 생성 모듈(202), 긴급대피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송모듈(203)을 포함한다. 아울러, 긴급재난이 발생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예를 들면, 10a)과 이에 이웃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예를 들면, 10b, 10c)을 유지관리하는 룩업 테이블(204)을 구비한다.
상기 재난구조 시스템(30)은 긴급재난발생 데이터의 수신시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재난구조 시스템(30)의 예로는,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서의 화재진압 시스템, 도둑 또는 강도에 대처하기 위한 경찰서 또는 사설경비업체의 방범 시스템을 들 수 있다.
특정 홈네트워크 시스템(10a)의 내부로 외부인이 침입하였다고 가정하자.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10a)에 구비된 긴급재난을 센싱하는 제어 단말(103a)은 상기 외부인이 정상적이 루트(예: 현관문)가 아니라 비정상적인 루트(예를 들면, 창문을 통한 침입 등)를 통해 진입하였음을 센싱하게 된다. 이를 경우, 상기 제어 단말(103a)은 비정상적인 루트를 통해 외부인이 침입하였음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홈서버(101)에 알리게 되고, 상기 홈서버(101)는 긴급재난발생 데이터 생성유닛(1011)을 이용하여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는 개인휴대단말(미도시) 및/또는 재난구조 시스템(30) 뿐만 아니라 상기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20)에 전달된다. 상기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는 긴급재난발생 데이터임을 알려주는 정보영역, 긴급재난이 발생된 홈네트워크 시스템 식별정보를 알 려주는 정보영역, 긴급재난에 대한 상세내용을 알려주는 정보영역을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는 상기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20)의 수신모듈(201)로 전달된다. 이 곳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여, 긴급재난이 발생한 홈네트워크 시스템(10a)을 식별하게 된다. 그 후, 상기 통합관리서버 시스템(20)은 긴급대피 데이터 생성모듈(202)을 이용하여 긴급대피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 후, 룩업 테이블(204)을 참조하여, 긴급대피 데이터 전송모듈(203)을 이용하여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10b, 10c)으로 전달한다. 도 3a 및 도 3b는 룩업 테이블(204)의 구체적 예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3a 및 도 3b에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룩업 테이블(204)은 긴급대피 긴급재난이 발생된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이에 이웃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서로 연계하여 유지관리한다. 만약, 홈네트워크 시스템 10a에 외부인의 침입이 발생한 경우, 외부인의 침입을 알려주는 긴급대피 데이터가 상기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20)으로부터,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10a에 연계된 홈네트워크 시스템 10b 및 10c에 전달된다. 홈네트워크 시스템 10b에 외부인의 침입이 발생한 경우, 이에 연계된 홈네트워크 시스템 10a, 10c 및 10d에 동일하게 상기 긴급대피 데이터가 전달된다. 한편, 상기 룩업 데이터(204)는 긴급재난의 종류에 의존하여 작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네트워크 시스템 10a에 화재 발생이 확인되면, 홈네트워크 시스템 10b, 10c, 10d, 10e 등에 상기 긴급대피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도 3b 참조).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 (20)으로부터 홈네트워크 시스템(10)으로 전달되는 긴급대피 데이터는 적어도 긴급재난의 종류(화재, 방범 등)와 긴급재난이 발생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긴급대피 데이터는 "602동 1006호에서 화재발생"의 형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긴급대피 데이터는 대피처 및 대피방법 등을 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긴급대피 데이터를 수신한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10b, 10c)은 긴급대피 데이터 처리유닛(1012)을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단말(103b)로 출력하여 재난발생을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들에게 알린다. 이 때, 상기 출력은 음성 또는 비디오 등으로 행해질 수 있다. 오디오의 스피커 기능, 또는 아파트 등의 각호실에 배치된 스피커 등을 통해 상기 긴급대피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를 경우, 수신된 디지털 신호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경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에 의해 행해질 것이다. 만약, 텔레비전이 온되어 있을 경우 상기 긴급대피 신호는 비디오의 형태로 전달되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조합에 의해, 상기 긴급대피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긴급대피 데이터 처리 유닛(1012)은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입력포트, 입력포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프로세서, 및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포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 에 따르면, 수신된 데이터가 긴급대피 데이터일 경우 긴급재난의 발생위치에 대한 지역코드를 확인한 후 저장된 지역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데이터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지역코드 선택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 이것은 전국적 재난방송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10)으로 경북지역에 국지적 호우가 예상되는 경우, 긴급재난 신호가 전국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경우, 상기 지역코드 선택기에 의한 선별적 출력은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정보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고 지역코드의 적절한 설정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정보의 제어를 가능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은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에 의해 상기 룩업 테이블을 유지관리하고, 이것에 의해 긴급대피 데이터가 전달될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1) 홈네트워크 시스템간의 보안이 유지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재난이 발생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내에 상기와 같은 룩업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홈네트워크 시스템 사이에 보안이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정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다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하여 무단으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이것은 타인의 사생활을 침범하게 된다.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은 긴급재난의 발생시에만 룩업테이 블을 참조하여 자동으로 긴급대피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노출시키지 아니한다.
(2) 룩업 데이터의 유지 및 보수가 쉽다. 각 가정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저장될 경우, 특정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식별정보 등의 변동은 이에 연계된 홈네트워크 시스템들 전체의 변경을 요한다. 즉, 식별정보가 변경된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이에 연계된 전체 홈네트워크 시스템 사이의 정보가 공유되어야 하고, 룩업 테이블의 갱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은 현저히 번거럽고 때때로 힘든 상황을 야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은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에 의해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결정된다. 따라서, 식별정보가 변경된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긴급재난 통합관리서버 시스템 사이의 정보 공유만으로 룩업 테이블이 갱신될 수 있다. 다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정보의 갱신은 불필요하다.
(3) 상황 변경에 신속히 대응한다. 건물의 신축 등에 의해 룩업 테이블에 대한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에 대한 정보의 수정만으로 이들에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은 새로운 상황변화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고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에 의한 정보의 관리에 의해 긴급재난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은 또한 지역코드 선택기에 의한 사용자가 수신되는 정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

  1. a) 홈서버와, 복수의 단말과, 상기 복수의 단말을 홈서버에 연결시켜주는 무선 또는 유선홈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 여기서, 상기 홈서버는 긴급재난발생 데이터 생성유닛과 긴급대피 데이터 처리 유닛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은 긴급재난을 센싱하는 제어 단말과 긴급대피 데이터를 음성 또는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말을 적어도 포함함 -
    b) 상기 복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되고,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긴급대피 데이터를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는 생성 모듈, 긴급대피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송모듈 및 룩업 테이블을 구비한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 및
    c) 긴급재난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재난구조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어 단말에 의해 긴급재난이 발생하였음이 확인되면,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긴급재난발생 데이터 생성 유닛을 이용하여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상기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시스템으로 전달되고, 상기 긴급재난 통합 관리서버 시스템은 수신된 긴급재난발생 데이터를 토대로 긴급재난이 발생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긴급대피 데이터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연계된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결정하고, 결정된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긴급대피 데이터를 메시징하고, 상기 긴급대피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긴급대피 데이터 처리유닛을 사용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단말로 출력하여 재난발생을 목적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들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대피 데이터 처리 유닛은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입력포트, 입력포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프로세서,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긴급대피 데이터일 경우 지역코드를 확인한 후 저장된 지역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데이터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지역코드 선택기 및 데이터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긴급재난 통합 관리시스템.
KR1020040061614A 2004-08-05 2004-08-05 긴급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제공하는 지능형 긴급재난통합 관리시스템 KR100591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614A KR100591380B1 (ko) 2004-08-05 2004-08-05 긴급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제공하는 지능형 긴급재난통합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614A KR100591380B1 (ko) 2004-08-05 2004-08-05 긴급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제공하는 지능형 긴급재난통합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901A true KR20060012901A (ko) 2006-02-09
KR100591380B1 KR100591380B1 (ko) 2006-06-19

Family

ID=3712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614A KR100591380B1 (ko) 2004-08-05 2004-08-05 긴급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제공하는 지능형 긴급재난통합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3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977B1 (ko) * 2006-07-31 2008-05-30 주식회사 유비알에프 재난구조요원 위치/상황 추적/관리 시스템
KR100952682B1 (ko) * 2009-07-16 2010-04-13 박용규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KR101294618B1 (ko) * 2011-12-21 2013-08-07 전자부품연구원 이기종 예/경보 시스템을 위한 통합 예/경보 게이트웨이 및 그의 통합 예/경보 전달 방법
CN103415005A (zh) * 2013-08-22 2013-11-27 南京莱斯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的应急信息支撑方法及其系统
KR101583184B1 (ko) * 2015-03-17 2016-01-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466A (ko) 2015-02-05 2016-08-16 김대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대피 안내 시스템
KR102012681B1 (ko) 2018-05-23 2019-08-21 최성은 긴급재난 발생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362295B1 (ko) 2021-07-07 2022-02-14 황순규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977B1 (ko) * 2006-07-31 2008-05-30 주식회사 유비알에프 재난구조요원 위치/상황 추적/관리 시스템
KR100952682B1 (ko) * 2009-07-16 2010-04-13 박용규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WO2011007917A1 (ko) * 2009-07-16 2011-01-20 Park Yong Gyu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KR101294618B1 (ko) * 2011-12-21 2013-08-07 전자부품연구원 이기종 예/경보 시스템을 위한 통합 예/경보 게이트웨이 및 그의 통합 예/경보 전달 방법
CN103415005A (zh) * 2013-08-22 2013-11-27 南京莱斯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的应急信息支撑方法及其系统
KR101583184B1 (ko) * 2015-03-17 2016-01-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1380B1 (ko) 200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593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경비시스템, 무인경비서비스의 제공방법 및 무인경비시스템의 설정방법
US10453316B2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security services
US10262523B2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security services
US8396446B2 (en) Two way voice communication through GSM with alarm communication
US8378808B1 (en) Dual intercom-interfaced smoke/fire dete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100301674B1 (ko)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US20050146430A1 (en) Security messaging system
CA2704244A1 (en) Security system
KR100591380B1 (ko) 긴급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제공하는 지능형 긴급재난통합 관리시스템
JP2003067866A (ja) 地震報知機能付き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JP2002319084A (ja) 近隣相互扶助のための連絡通報システム
JP5297783B2 (ja) 緊急地震通報システム
JP4620218B2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3187355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9260837A (ja)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5208878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200094315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경비시스템 및 무인경비시스템의 설정방법
KR100582144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이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JP2005184190A (ja) 監視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2216271A (ja) 地域自衛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9259116A (ja) 車両異常警報システム
JP2009278265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5149692B2 (ja) 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JP2012015945A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5242980A (ja) 通信システム、複合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