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682B1 -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682B1
KR100952682B1 KR1020090064831A KR20090064831A KR100952682B1 KR 100952682 B1 KR100952682 B1 KR 100952682B1 KR 1020090064831 A KR1020090064831 A KR 1020090064831A KR 20090064831 A KR20090064831 A KR 20090064831A KR 100952682 B1 KR100952682 B1 KR 100952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mergency
home network
light emitting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규
Original Assignee
박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규 filed Critical 박용규
Priority to KR102009006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682B1/ko
Priority to PCT/KR2009/004376 priority patent/WO201100791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 정전 및 가스누출 등으로 인한 건물의 비상사태 발생시 선형 발광체인 이엘와이어를 통해 대피자를 유도하여 건물 외부로 안전하게 탈출하게 하는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에 있어서, 중앙 방재 시스템의 건물 전체에 대한 경보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센서(110)와 비상문의 일측에 설치되어 비상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120)와 건물의 계단 및 비상구 근처에 설치되어 열, 연기 및 가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3센서(130)를 구비한 감지부(100)와, 상기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대피자의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을 연산, 결정하는 중앙제어부(200)와 상기의 중앙제어부에 의해 연산된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장상황에 따른 최적의 대피경로 및 대피방향을 표시하는 발광부(300)를 포함하며, 건물내 다른 시스템들과 네트워크를 형성시켜 유기적으로 각종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내의 비상 상황 발생 시 수시로 변화하는 현장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대피자에게 최적의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을 신속 정확하게 표시해줌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건물의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홈 네트워크, 비상유도라인, USN, 선형발광, EL Wire

Description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Intelligent emergency guide line system based on home network using the EL wire}
본 발명은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내의 정전, 화재 및 가스누출 등의 비상사태 발생 시 대피자를 안전하게 건물 외부로 대피시킬 수 있는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소방안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많이 증가하여 건물을 비롯한 사회 전반에 걸쳐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여러모로 모색되고 있으며, 특히 정전이나 화재 발생시 짙은 연기나 어둠 속에서 사람들을 안전한 비상 탈출구로 신속 정확하게 유도, 대피시킬 수 있는 지능형 비상유도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현재 소방법상 의무적으로 설치 운영되고 있는 비상유도장치로는 점발광(點發光) 특성을 갖는 램프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비상유도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과 병행으로 발광(發光) 특성이 없는 각종 유도 표지들이 사용되고 있 다. 이와 같은 것은 건물 내 다른 시스템들과는 상관없이 단독으로 동작하며, 상황에 따른 표시 방향의 전환 기능이 없어 수시로 변하는 현장 상황과는 전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방향만을 표시하는 동작만을 수행하는 수동 소자로서, 화재 또는 정전 발생시 유도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비발광체(非發光體)로 만들어지는 유도 표지 등은 평상시에는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화재, 정전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에는 짙은 연기나 농염 속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아 유도 기능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현재 모든 건물에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비상 유도등은 형광등과 같은 램프를 사용한 점발광(點發光) 특성만을 가지고 있는 제품으로 화재시 짙은 연기나 농염 속에서는 식별(識別)이 거의 되지 않고 발광 부분이 매우 작아 임의의 물체에 가려지기 쉽고 빛의 밝기가 약해 본연의 유도 기능을 거의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발광 부분이 매우 작아서 비상유도등 전면에 물건을 쌓아 놓거나 짙은 연기 및 농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잘 보이지 않고, 소방법상 정해진 간격으로만 설치되어 중간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황의 변화에 따른 유도 방향 전환 기능이 전혀 갖춰져 있지 않아 항상 일정한 방향만을 표시하고 있어 어느 한쪽 비상구 쪽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비상문이 잠겨 있는 경우, 다른 안전한 비상구 쪽으로 유도 방향을 바꿔 유도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비상시 수시로 변하는 현장 상황에 따른 지능적 비상유도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인명 피해가 더욱 많이 발생하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별다른 대안이 없어 소방법상, 법 규정에 따라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비상유도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도라인 형태로 축광(築光) 제품이 일부 도입되어 설치되었으나, 주위의 빛을 받아 축적(蓄積)하고 있다가 주위의 빛이 없어지면 발광하게 되는 축광의 특성상 빛이 매우 약해 화재시 발생하는 짙은 연기와 농염 속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광 시간이 매우 짧고 주위에 조명이 없는 경우에 뚜렷하게 유도 방향을 표시해 주어야 함에도 주위에 조명이 없으면 거의 제대로 보이지 않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축광재 또한 방향 전환 기능이 없어 항상 일정한 방향만을 표시하고 있어 현장상황 변화에 따른 지능적 비상유도를 전혀 할 수 없어 근본적인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점발광체로 제작되어 화재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짙은 연기나 농염 속에서 비상유도 기능을 거의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비상유도등 대신에 짙은 연기나 매연 속에서 빛의 투과성이 높고 넓은 지역에 걸쳐 설치됨으로써 뛰어난 가시 효과가 있어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형 발광체 개발의 필요성과 사각지대 없이 광범위한 지역에 설치 운용될 수 있고 현장 상황변화에 따라 유도 방향을 지능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의 설치 운용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1901호(2006년 02월 06알 등록) 의 '비연속적 선형발광특성을 갖는 이엘와이어와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발명은 일반적인 전선형태로 만들어져 연속(連續)적 선형발광(線形發光)특성을 갖도록 제조된 기존의 이엘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의 이엘와이어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 가공하여 재구성함으로써 비연속적 선형발광특성을 갖고 방향 표시 및 전환 기능을 갖도록 하는 비연속(非連續)적 선형발광(線形發光)특성을 갖는 이엘와이어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건물 내의 비상 상황 발생 시 수시로 변하는 현장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대피자에게 최적의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을 표시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하는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방향 표시 및 전환 기능을 갖는 선형발광체를 개발하여 기존의 비상유도등과 같은 비상유도시설의 단점을 보완하고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비상유도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홈 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건물 내에 설치된 각종의 센서와 시스템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네트워크화되어 지능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화재, 가스누출 및 정전으로 인한 건물의 비상사태 발생시 선형 발광체인 이엘와이어를 통해 대피자를 유도하여 건물 외부로 안전하게 탈출하게 하는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에 있어서, 중앙방재시스템의 건물 전체에 대한 경보신호를 수신하는 제1센서와, 건물의 비상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와, 건물의 계단 및 비상구 근처에 설치되어 열, 연기 및 가스 발생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3센서를 구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대피자의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이 연산되는 중앙제어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에 의해 연산된 대피 경로 및 대피 방향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어 안전한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이 표시되는 비연속적 선형발광체로 이루어진 발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유무선 방식으로 수신하기 위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 기반의 센서 인터페이스부,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피자의 대피경로 및 대피방향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이 상기 발광부에 표시되게 제어신호를 상기 발광부에 송신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TCP/IP등 각종 통신프로토콜 지원으로 건물 내 홈 네트워크 시스템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동작하게 하는 네트워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은 건물내 비상구 주변에 비상구 단위로 설치 운영됨으로써 독립적인 비상구 단위의 분산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는 방향 표시 및 전환 기능을 갖고 비연속적으로 선형발광하는 이엘와이어(EL Wir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엘와이어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 및 가공되어 설치 및 취급이 용이하게 제조된 모듈형 발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엘와이어는 이엘시트(EL Sheet) 및 이엘스트립(EL Strip)등과 같은 연속된 발광체를 일정 길이로 절단 및 가공하여 모듈형으로 제조하고 이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의 이엘와이어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선형 발광과 방향 표시 및 방향 전환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발광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 내의 화재, 정전 및 가스누출 등의 비상 상황 발생 시 대피자에게 현장 상황의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응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을 신속, 정확하게 표시해줌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기술과 USN 기술을 기반으로 건물 내에 설치된 각종의 센서와 시스템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네트워크화되어 지능적으로 동작하여 건물의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은 감지부(100), 중앙제어부(200) 및 발광부(30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은 정전, 화재 및 가스누출과 같은 건물 내의 비상사태 발생시 선형 발광체를 통해 대피자를 유도하여 건물 외부로 안전하게 탈출하게 하는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을 지칭한다.
상기 감지부(100)는 중앙방재시스템의 경보신호를 수신하는 제1센서(110)와, 건물의 비상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120)와, 건물의 계단 및 비상구 근처에 설치되어 열, 연기 및 가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3센서(1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100)와 중앙제어부(200)의 센서인터페이스부(230)는 서로 간의 유무선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부(200)는 상기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 분석하여 상기 대피자의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을 연산, 결정하며 건물내 네트워크 상의 다른 시스템들과 상호 유기적인 동작을 하게 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부(200)는 네트워크 제어부(210), 연산부(220), 센서 인터페이스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산부(220)는 상기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분석 하여 상기 대피자의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을 연산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연산부(220)를 통해 연산된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이 상기 발광부(300)에 표시되게 제어신호를 상기 발광부(300)에 송신하여 상기 발광부(300)를 제어한다.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210)는 TCP/IP등 각종 통신프로토콜 지원으로 건물 내 홈 네트워크 시스템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동작한다.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부(230)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기술이 적용된다.
USN이란 RFID 및 각종 센서나 GPS, 기타 인식 및 센싱 기술을 혼용하여 사람들이 컴퓨터가 있다는 사실을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특정 정보의 수집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하도록 한다.
각종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로서,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ad-hoc network 등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이 매우 활성화되고 있다. 현재 상기의 기술이 적용된 센서의 종류로는 온도, 가속도, 위치 정보, 압력, 지문, 가스센서 등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최근에는 물류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사물에 태그(tag)를 부착하여 각종 물류정보의 흐름을 파악하는 기술도 등장하고 있다.
한편, 상기 연산부(220)는 중앙 방재 시스템의 건물 전체에 대한 경보 신호 를 수신하는 제1센서(110)의 데이터와 비상문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제2센서(120)의 데이터와 상기 건물의 계단 및 비상구 근처에 설치되어 열, 연기 및 가스 발생 등을 감지하는 제3센서(130)의 데이터를 수신, 분석하여 최단 대피 경로 및 최적의 대피방향을 연산한다.
예를 들어,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본 발명의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은 중앙방재시스템의 건물 전체에 걸쳐 화재 경보를 수신하여 시뮬레이션에 의해 미리 결정된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으로 유도라인을 표시하며 동작을 개시하고 실시간으로 현장 상황 변화를 감지, 분석하여 가장 안전한 대피 경로 및 대피 방향을 표시하게 한다.
즉, 본 발명의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의 구성인 중앙제어부(200)는 중앙방재 시스템의 전체 경보 신호를 상기 제1센서(110)을 통해 수신하여 미리 정해진 소정의 초기 조건으로 동작을 개시하게 되며, 동시에 건물 내의 설치된 상기 제2센서(120) 및 제3센서(130)에서 감지된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 분석하여 해당 비상구의 사용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이렇게 분석된 결과는 상기 중앙제어부(200)의 제어부(240)에 의해 상기 발광부(300)를 구동시켜 발광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광부(300)는 제어부(240)에서 전달되는 전원 및 제어 신호에 의해 선형발광을 하게 되며, 빛의 흐름으로 최적의 유도 방향을 표시하여 신속 정확하게 해당 비상구 쪽으로 안전한 탈출을 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을 시작한 본 발명의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상기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해당 비상구의 사용 여부를 수시로 판별하게 되고, 해당 비상구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300)가 해당 출입구 쪽으로 빛의 흐름을 만들어 대피를 유도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해당 비상구가 어떤 이유에 의해 닫혀 있거나 해당 비상구 주변에 화재 및 연기가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해당 비상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해당 비상구로 유도하던 빛의 흐름을 다른 안전한 비상구 쪽으로 바꿔 유도를 하게 된다.
즉, 비상구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제2센서(120)와 제3센서(130)의 감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 분석하여 해당 비상구의 사용 여부를 판별하게 되며, 이렇게 분석된 결과는 상기의 제어부(240)에 전달되고 이 제어부는 비상유도라인용 발광체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발생시키고 동시에 빛의 흐름으로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의 발광부(30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의 발광부를 구성하고 있는 발광체가 발광을 하게 된다.
발광체에 전원이 공급되고 제어 신호가 전달되면 발광체는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선형 발광을 하게 되며, 빛의 흐름으로 최적의 유도 방향을 표시하여 신속 정확하게 해당 비상구 쪽으로 탈출을 할 수 있게 한다.
작동을 시작한 본 발명의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센서 및 각종 현장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해당 비상구의 사용 여부를 수시로 판별하게 되고, 해당 비상구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발광체가 해당 출입구 쪽으로 빛의 흐름을 만들어 대피를 유도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라도 빛의 흐름을 따라가게 되고 본 발명의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은 그 빛의 흐름을 가장 안전한 방향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신속 정확한 탈출을 할 수 있게 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물 내 중앙 방재 시스템이 건물 전체에 대한 비상경보신호를 발생시키면 본 발명의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은 상기의 비상경보신호를 받아 미리 계획된 대피 경로 및 대피 방향으로 최초의 비상유도라인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상유도라인을 표시함과 거의 동시에 우선적으로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비상문이 열려 있으면 상기의 비상문 쪽으로 유도를 하게 되고, 비상문이 닫혀 있으면 빛의 흐름을 바꿔 다른 안전한 비상문 쪽으로 유도를 하게 된다.
또한, 비상문이 열려 있는 경우, 다시 비상문 주위의 화재 발생 유무, 연기 및 가스발생 유무 등을 감지하여 상기의 해당 비상문 쪽으로 유도를 해선 안될 상황이 발생하면 마찬가지로 다른 비상문을 이용할 수 있도록 빛의 흐름 방향을 바꿔 다른 비상문 쪽으로 유도를 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들은 본 발명의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이 작동되는 동안 계속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은 현장 상황에 따른 최적의 비상유도라인 및 유도 방향을 형성할 수 있어 최상의 비상유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은 수시로 현장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구성되어 현장 상황의 변화에 따라 최적의 대피 경로 및 대피 방향을 표시할 수 제작됨으로써 가장 안전하고 정확한 곳으로 가장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피를 할 수 있게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A지역"에 화재 발생시 최초로 감지되는 중앙 방재 시스템의 비상경보신호에 따라 미리 계획된 대피 경로 및 각 출입구(비상문)쪽으로 대피로를 형성시키고, 도 3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빛의 흐름을 만들어 대피 방향을 표시하게 된다.
그러다가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D 출입구"쪽에 화재가 발생하여 "D 출입구"쪽으로 대피를 할 수 없는 경우 "1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유도라인의 빛의 흐름을 반대 방향(도 4에서의 빨간색 화살표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유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바꾸어 표시함으로써 "D 출입구"를 제외한 다른 출입구쪽으로 대피를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임의의 출입구(비상구)쪽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문이 잠겨 있어 그 곳으로 대피를 할 수 없는 경우, 이를 지능적으로 감지, 판단하여 다른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게 시스템을 제작함으로써 가장 안전하고 신속 정확한, 그러면서도 가장 효과적인 본 발명의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300)는 방향 표시 및 전환 기능을 갖고 비연속적으로 선형발광하는 이엘와이어(Electroluminescent Wire ; EL wir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엘와이어는 전자의 전계 효과에 의해 발광하는 EL 소자를 전선제조 기술에 접목시킨 첨단기술로서, 전선모양의 EL Wire에 교류 전원을 가하면, 전자이동에 따른 에너지 변화가 빛으로 나타나는 초절전 자기 발광선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엘와이어(EL Wire)란 전계(電界)방식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반도체인 EL (electroluminesent)소자를 중심의 동선(銅線)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도포된 EL 소자 외부에 전극으로 사용될 전선을 두어 상기의 동선(銅線)과 상기의 전선(電線)에 교류전원을 인가하면 위상변화에 따라 전자이동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에너지 변환이 발생하여 발광을 하는 동축선 구조의 연속(連續)적 선형발광(線形發光)특성을 갖는 초절전 자기 발광선이다.
상기 이엘와이어는 짙은 연기나 농염 속에서도 투과성이 매우 뛰어난 단파장 의 선형 발광체로서 시인성이 매우 좋고, 자체 발열이 거의 없어 화재 위험이 없으며 높은 난연성, 내열성, 내화학성이 있고 안전하며 유도라인의 중간 부분이 끊어지더라도 전원이 공급되는 그 이전 부분까지는 유도 기능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매우 높은 안전성이 확보체로 비상유도라인용 발광체로는 최적의 성능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의 발광부에서 설치 및 취급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듈형으로 구성된 이엘와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모듈형 발광체를 이용하여 선형 발광체를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부(300)는 기존의 연속적 선형 발광 특성을 갖는 이엘와이어를 일정 길이로 절단, 가공되어 제조된 모듈형 발광체가 서로 연결되어 방향 표시 및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비연속적 선형 발광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모듈형 발광체는 기존의 연속적 발광 특성을 갖는 이엘와이어를 일정 단위 길이로 절단하여 전원 공급 및 제어를 위한 전선에 연결하고, 복수의 모듈형 발광체를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를 양 끝단에 두고 이를 케이스로 감싸는 구조이다.
상기 이엘와이어는 이엘시트(EL Sheet) 및 이엘스트립(EL Strip)등과 같은 연속된 발광체를 일정 길이로 절단, 가공하고 서로 연결하여 상기의 이엘와이어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선형 발광 및 빛의 흐름에 의한 방향 표시 및 방향 전환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발광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의 발광부에서 모듈형 이엘와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기 도 5의 모듈형 발광체를 이용하여 선형 발광체를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감지부 110: 제1센서
120: 제2센서 130: 제3센서
200: 중앙제어부 210: 네트워크 제어부
220: 연산부 230: 센서인터페이스부
240: 제어부 300: 발광부

Claims (6)

  1. 화재, 가스누출 및 정전으로 인한 건물의 비상사태 발생시 선형 발광체인 이엘와이어를 통해 대피자를 유도하여 건물 외부로 안전하게 탈출하게 하는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에 있어서,
    중앙방재시스템의 경보신호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건물의 비상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와, 건물의 비상계단 및 해당 비상구에 근접한 천정이나 벽면에 설치되어 열, 연기 및 가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3센서를 구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대피자의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이 연산되는 중앙제어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에 의해 연산된 데이터가 수신되어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이 표시되는 비연속적 선형발광체로 이루어진 발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은 개별 비상구 단위로 설치 운영됨으로써 독립적인 비상구 단위의 분산제어가 이루어지며, 동시에 홈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건물 내 네트워크상의 다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들과 연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유무선 방식으로 수신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대피자의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대피 경로 및 대피방향이 상기 발광부에 표시되게 제어신호를 상기 발광부에 송신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TCP/IP를 포함한 다중통신프로토콜 지원으로 건물 내 홈 네트워크 시스템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동작하는 네트워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선형발광하는 이엘와이어(EL Wi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엘와이어는,
    방향 표시 및 전환기능을 갖기 위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 가공되고, 서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나열되어 선형 발광체를 구성할 수 있는 모듈형 발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 유도라인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엘와이어는 이엘시트(EL Sheet) 및 이엘스트립(EL Strip)을 일정 길이로 절단, 가공하여 서로 연결하여 상기의 이엘와이어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선형 발광 및 방향 표시, 방향 전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발광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KR1020090064831A 2009-07-16 2009-07-16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KR100952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831A KR100952682B1 (ko) 2009-07-16 2009-07-16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PCT/KR2009/004376 WO2011007917A1 (ko) 2009-07-16 2009-08-08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831A KR100952682B1 (ko) 2009-07-16 2009-07-16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682B1 true KR100952682B1 (ko) 2010-04-13

Family

ID=4221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831A KR100952682B1 (ko) 2009-07-16 2009-07-16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2682B1 (ko)
WO (1) WO20110079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056B1 (ko) * 2010-05-12 2011-03-15 박용규 연속적인 선형 발광 특성을 갖는 발광 피난 유도선 및 그 제조방법
KR102217555B1 (ko) * 2020-04-16 2021-02-19 (주)대경기술단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8607A (ko) * 2005-03-30 2005-04-27 박용규 비연속적 선형발광특성을 갖는 이엘와이어와 그 제조 방법
KR20060012901A (ko) * 2004-08-05 2006-02-09 김신일 긴급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제공하는 지능형 긴급재난통합 관리시스템
KR20070012756A (ko) * 2007-01-08 2007-01-26 박용규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KR20070098109A (ko) * 2006-03-31 2007-10-05 이영식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365B1 (ko) * 2006-12-01 2008-01-07 한국과학기술원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두 노드 사이의 안전한 최단 경로산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2901A (ko) * 2004-08-05 2006-02-09 김신일 긴급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제공하는 지능형 긴급재난통합 관리시스템
KR20050038607A (ko) * 2005-03-30 2005-04-27 박용규 비연속적 선형발광특성을 갖는 이엘와이어와 그 제조 방법
KR20070098109A (ko) * 2006-03-31 2007-10-05 이영식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KR20070012756A (ko) * 2007-01-08 2007-01-26 박용규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056B1 (ko) * 2010-05-12 2011-03-15 박용규 연속적인 선형 발광 특성을 갖는 발광 피난 유도선 및 그 제조방법
KR102217555B1 (ko) * 2020-04-16 2021-02-19 (주)대경기술단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07917A1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0415B2 (en) Evacuation system and escape route indicator therefore
KR101485167B1 (ko)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
US8786189B2 (en) Integrated exit signs and monitoring system
KR100653604B1 (ko)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1354772B1 (ko)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재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0985507B1 (ko)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079735B1 (ko) 지능형 방향유도 제어 시스템
KR101902888B1 (ko)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875039A (zh) 一种基于Portal接入的路线指引系统及其逃生方法
CN109785550B (zh) 逃生指示方法、装置、控制系统和存储介质
CN105225375A (zh) 实时提示的消防疏散系统和方法
CN111028745A (zh) 一种多功能智能消防应急系统
KR20170079124A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100547919B1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KR100952682B1 (ko) 이엘와이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30034077A (ko) Led조명을 이용한 대피 유도 시스템
KR20070012756A (ko)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KR20070098109A (ko)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KR20100025308A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피 경로 안내 방법
CN109741563B (zh) 一种灾情监控方法及灾情监控装置
KR101468056B1 (ko)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KR20190134543A (ko) 양방향 비콘의 위치 기반을 이용한 스마트 방향 지시 유도등을 구비하는 대피 경로 유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105825A1 (en) Escape guidance apparatus
KR20110008331U (ko) 피난구 유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