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2112A -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2112A
KR20060012112A KR1020040060841A KR20040060841A KR20060012112A KR 20060012112 A KR20060012112 A KR 20060012112A KR 1020040060841 A KR1020040060841 A KR 1020040060841A KR 20040060841 A KR20040060841 A KR 20040060841A KR 20060012112 A KR20060012112 A KR 20060012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ff
suction pipe
lint
molding
inl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778B1 (ko
Inventor
김병안
Original Assignee
(주)덕계텍스타일
김병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계텍스타일, 김병안 filed Critical (주)덕계텍스타일
Priority to KR102004006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778B1/ko
Publication of KR20060012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7/00Cleaning, e.g. removing dust, loose fibres, charred en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4Yarns or threads having slubs, knops, spirals, loops, tufts, or other irregular or decorative effects, i.e. effect yar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GMECHANICAL OR PRESSURE CLEANING OF CARPETS, RUGS, SACKS, HIDES, OR OTHER SKIN OR TEXTILE ARTICLES OR FABRICS; TURNING INSIDE-OUT FLEXIBLE TUBULAR OR OTHER HOLLOW ARTICLES
    • D06G1/00Beating, brushing, or otherwise mechanically cleaning or pressure cleaning carpets, rugs, sacks, hides, or other skin or textile articles or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풀성형구에 의해 인위적인 보풀이 만들어지게 한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에 있어서, 보풀성형구의 일측에 흡기구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흡기구는 배기관을 갖는 흡입관의 일측에 형성하되, 상기 흡입관의 일측에는 래크기어를 형성하여 이에 피니언을 갖는 구동모터를 장착하고, 그 흡입관은 별도의 지지롤러에 의해 좌우 유동가능케 형성함으로서,
상기 흡기구에 의해 보풀성형구에 발생되는 보풀단선을 신속하게 흡입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래크와 피니언에 의해 상기 흡입관이 좌우로 유동하면서 복수개의 보풀성형구를 담당케 하므로 매우 효율적이며, 보풀단선의 발생시 신속하게 흡입 제거하므로 작업장내 비산하는 섬유분진이 거의 없어 작업자의 건강에 이로우면서도 보다 청결한 작업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풀성형구, 흡입관, 정역모터, 흡기구, 보풀성형사

Description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 {Nap remover of nappy-yarn-produc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보풀성형사 제조장치를 보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보풀제거장치를 보인 요부 전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보풀제거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보풀제거장치를 보인 요부확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보풀제거장치를 보인 요부확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보풀제거장치의 흡기구 타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보풀제거장치의 흡기구 또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흡기구 2 : 흡입관
3 : 배기관 4 : 흡기팬
5,5' : 가이드레일 6,6' : 지지롤러
7 : 래크기어 8 : 정역모터
9 : 피니언 10,10' : 전환스위치
11 : 센싱블럭 12 : 돌출구
13 : 절곡관 14 : 와이어
20 : 보풀성형구 30 : 프레임
본 발명은 보풀성형구에 의해 인위적인 보풀이 만들어지게 한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에 있어서, 그 보풀성형구로부터 발생되는 단락보풀을 별도의 흡입 제거수단에 의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흡입 배출시켜, 그 보풀성형구에 단락보풀이 침적되거나 누적되어 부풀형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하면서도 작업장 내부에서 비산되는 보풀에 의한 섬유분진을 방지하므로 작업자의 건강에도 이로운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다수의 원사를 꼬아 만든 성형사에 인위적인 보풀이 형성되게 한 보풀모사가 제안되어 각종 직물지의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으로 모사를 제조공정으로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심사(100)와 부사(100')가 각기 공급되어, 밸트(101)에 의해 회전되는 중공상의 스핀들(102)에 의해 나선상으로 꼬임 형태를 갖게 한 다음, 꼬임 상태의 심사 및 부사는 가이드관(103)에 이르러 별도의 보빈(104)에 권취된 바인딩사(105)와 함께 중공스 핀들(106)을 지나 또다른 밸트(107)에 의해 회전되는 플라이어(108)에 의해 재차 꼬임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며,
상기 플라이어(108)의 하부에는, 거친 마찰면을 갖는 별도의 보풀성형구(110)가 위치하고 있어 플라이어(108)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 꼬임작용을 하는 원사의 표면에 인위적인 보풀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보풀이 형성된 성형사는 별도의 롤러에 의해 보빈(109)에 최종적으로 권취되어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보풀모사의 제조과정 중 상기한 보풀성형구에는 원사의 단선으로 인한 다량의 보풀단선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보풀단선은 보풀성형구에 침적되면서 마찰면을 매끄럽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되어 효과적인 보풀 형성작업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작업자는 주기적으로 상기한 보풀단선을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풀단선의 제거작업은 작업자가 기타의 소제구를 사용하여 그 보풀성형구로부터 제거하거나 에어 토출건에 의한 고압의 공기를 토출시켜 그 보풀단선을 제거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보풀단선의 제거작업에 의해 작업 지연을 초래하게 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보풀단선의 제거작업 중 대량의 미세 섬유분진이 발생하게 되므로 밀폐된 작업공간 내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건강에 매우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한 보풀성형구의 일측에 흡기구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흡기구는 배기관을 갖는 흡입관의 일측에 형성하되, 상기 흡입관의 일측에는 래크기어를 형성하여 이에 피니언을 갖는 구동모터를 장착하고, 그 흡입관은 별도의 지지롤러에 의해 좌우 유동가능케 형성함으로서,
상기 흡기구에 의해 보풀성형구에 발생되는 보풀단선을 신속하게 흡입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래크와 피니언에 의해 상기 흡입관이 좌우로 유동하면서 복수개의 보풀성형구를 담당케 하므로 매우 효율적이며, 보풀단선의 발생시 신속하게 흡입 제거하므로 작업장내 비산하는 섬유분진이 거의 없어 작업자의 건강에 이로우면서도 보다 청결한 작업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보풀제거장치를 보인 요부 전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보풀제거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일측에 복수개의 흡기구(1)(1')가 형성된 흡입관(2)은, 연질 탄력상 배기관(3)에 의해 별도의 흡기팬(4)과 연결되게 하고,
상기 흡입관(2)의 양단에는 가이드레일(5)(5')을 각각 형성하여,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의 프레임(30) 상에 고정된 지지롤러(6)(6') 상측에 거치되게 하며,
상기 흡입관(2)의 일측에는 래크기어(7)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이에 정역모터(8)의 피니언(9)을 치합하여 상기 정역모터(8)의 작동에 의해 흡입관(2)이 좌,우 유동되게 하고,
상기 흡입관(2)의 일측 상부에는 저면에 전환스위치(10)(10')가 이격 형성된 센싱블럭(11)을 이격 형성하여, 흡입관(2)의 일측 선단에 형성된 돌출구(12)에 의해 상기 전환스위치(10)(10')가 작동되게 하되,
상기한 각각의 흡기구(1)(1')는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의 프레임(30)에 고정된 보풀성형구(20)의 상부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위치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흡기구(1)(1')를 절곡 가능한 주름관 또는 플렉시블관에 의해 형성함으로서, 목적하는 정확한 위치에 그 단부가 위치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한 흡기구(1)(1')의 외주면에 연질의 절곡관(13)을 씌워 이에 의해 목적하는 방향으로의 절곡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그 흡기구(1)(1')의 외주면에 절곡 가능한 복수개의 금속재 와이어(14)를 밀착 고정하여 이에 의해 목적하는 방향으로의 절곡이 가능케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제부와 같이 보풀성형사는 다수의 원사가 꼬임 형태로 만들어져 플라이어 를 통과한 꼬임사가 보풀성형구(20)를 거치면서 그 외주면에 다양한 형태의 보풀이 인위적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인데,
이러한 작업과정 중에 발생하는 보풀단선은 상기한 보풀성형구(20)의 거친면을 매끄럽게 하거나 작업방해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신속하게 제거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보풀단선을 신속하게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인데, 보풀성형구(2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흡입구(1)(1')는 별도의 흡기팬(4)으로부터 강력한 흡입력을 부여받아 단선보풀을 빠르게 흡입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흡기구(1)(1')를 각각의 보풀성형구(20) 마다 모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흡기팬(4)의 용량이 지나치게 커야하고 이에 따른 전력 소모도 매우 커지므로 적량의 흡기팬을 사용하되, 3개의 보풀성형구(20)마다 하나의 흡기구(1)(1')가 위치되게 하여 보다 강력한 흡입력으로 그 보풀단선을 흡입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3개의 보풀성형구(20)를 따라 그 흡기구(1)(1')가 좌,우측으로 유동되게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유동작용은 그 흡기구(1)(1')가 결합된 흡입관(2) 전체가 좌,우로 유동되게 하는 것으로,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흡입관(2)은 정역모터(8)와 래크기어(7) 및 피니언(9)에 의해 서로 치합되어 있으므로, 고정상태의 정역모터(8)가 작동하게 되면 그 피니언(9)의 회전에 따라 이와 치합된 래크기어(7)가 좌,우로 유동하게 되어 그 흡입관(2)이 동시에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흡입관(2)은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의 프레임(30) 상에 형성된 지지롤러(6)(6') 상에 거치되는 것인데, 그 흡입관(2)의 양단에는 상기 지지롤러(6)(6')와 대응되는 가이드레일(5)(5')이 형성되어 있어, 그 흡입관(2)의 용이한 좌,우 유동을 가능케 하는 것이며,
상기한 흡입관(2)과 흡입팬(4)을 연결하는 배기관(3)은 연질 절곡 가능한 신축관으로 형성하여, 좌우 유동하는 흡입관(2)을 따라 상기한 배기관(3)도 자유절곡되며 그 흡입팬(4)의 흡입력이 지속적으로 흡입관(2)에 미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흡입관(2)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흡입관(2)의 좌,우 유동폭의 제어가 필요한 것인데, 이때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흡입관(2)의 일측 선단에 형성된 센싱블럭(11)의 전환스위치(10)(10')를 그 흡입관(2)의 일측 선단에 형성된 돌출구(12)가 작동시켜 이에 의해 정역모터(8)의 회전방향이 전환되게 하는 것으로서,
정역모터(8)의 작동에 따라 그 흡입관(2)이 일측으로 이동하면 센싱블럭(11)의 일측 전환스위치(10)(10')가 돌출구(12)에 의해 접지되며 그 신호를 정역모터(8)에 전달하여 정역모터(8)의 회전 방향이 전환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정역모터(8)의 회전 방향 및 그 흡입관(2)의 좌,우 유동폭에 의해 다수의 보풀성형구(20)를 하나의 흡기구(1)(1')만으로 담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비교적 소형의 흡기팬(4)을 사용하더라도 효율적인 보풀단선을 제거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또한,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흡기구(1)(1')를 연질 탄력상의 관체로 형성하되, 그 흡기구(1)(1')의 외주면에 별도의 절곡관(13)을 씌워 이에 의해 목적하는 방향으로 그 흡입구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보풀단선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인데, 이때 상기한 절곡관(13)은 연질 금속관체로서 작업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절곡 가능하면서도 탄력성은 거의 없어 목적하는 방향으로 고정 절곡된 상태를 갖는 소재를 택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흡기구(1)(1')의 외주면에 절곡 가능한 금속재 와이어(14)를 복수 밴딩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14)에 의해 연질 탄력상의 흡기구(1)(1')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시켜 그 흡입 효율이 증대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각종 절곡관이나 플렉시블관 등을 이용하여 상기한 흡기구(1)(1')로 대체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는, 흡기구에 의해 보풀성형구에 발생되는 보풀단선을 신속하게 흡입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래크와 피니언에 의해 상기 흡입관이 좌우로 유동하면서 복수개의 보풀성형구를 담당케 하므로 매우 효율적이며, 보풀단선의 발생시 신속하게 흡입 제거하므로 작업장내 비산하는 섬유분진이 거의 없어 작업자의 건강에 이로우면서도 보다 청결한 작업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일측에 복수개의 흡기구(1)(1')가 형성된 흡입관(2)은, 연질 탄력상 배기관(3)에 의해 별도의 흡기팬(4)과 연결되게 하고,
    상기 흡입관(2)의 양단에는 가이드레일(5)(5')을 각각 형성하여,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의 프레임(30) 상에 고정된 지지롤러(6)(6') 상측에 거치되게 하며,
    상기 흡입관(2)의 일측에는 래크기어(7)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이에 정역모터(8)의 피니언(9)을 치합하여 상기 정역모터(8)의 작동에 의해 흡입관(2)이 좌,우 유동되게 하고,
    상기 흡입관(2)의 일측 상부에는 저면에 전환스위치(10)(10')가 이격 형성된 센싱블럭(11)을 이격 형성하여, 흡입관(2)의 일측 선단에 형성된 돌출구(12)에 의해 상기 전환스위치(10)(10')가 작동되게 하되,
    상기한 각각의 흡기구(1)(1')는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의 프레임(30)에 고정된 보풀성형구(20)의 상부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위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흡기구(1)(1')를 절곡 가능한 플렉시블관에 의해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흡기구(1)(1')의 외주면에 연질의 절곡관(13)을 씌워 이에 의해 목적하는 방향으로의 절곡이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흡기구(1)(1')의 외주면에 절곡 가능한 복수개의 금속재 와이어(14)를 밴딩 고정하여 이에 의해 목적하는 방향으로의 절곡이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
KR1020040060841A 2004-08-02 2004-08-02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 KR100555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841A KR100555778B1 (ko) 2004-08-02 2004-08-02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841A KR100555778B1 (ko) 2004-08-02 2004-08-02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057U Division KR200367131Y1 (ko) 2004-08-02 2004-08-02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112A true KR20060012112A (ko) 2006-02-07
KR100555778B1 KR100555778B1 (ko) 2006-03-07

Family

ID=37121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841A KR100555778B1 (ko) 2004-08-02 2004-08-02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7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993B1 (ko) * 2005-11-14 2006-12-15 (주)덕계텍스타일 화학 성형사의 보풀 형성장치
KR101908386B1 (ko) * 2018-03-06 2018-10-16 에이치에스티 (주) 의료용 매선실 제조설비에 있어서의 매선실 성형유닛
CN109853102A (zh) * 2019-04-15 2019-06-07 江苏凯普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地毯丝加捻机
CN112323450A (zh) * 2020-11-03 2021-02-05 温州邑品鞋业有限公司 全自动送料服装裁剪机
CN114737292A (zh) * 2022-04-24 2022-07-12 徐州华发纺织股份有限公司 一种棉纱生产制造用除杂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993B1 (ko) * 2005-11-14 2006-12-15 (주)덕계텍스타일 화학 성형사의 보풀 형성장치
KR101908386B1 (ko) * 2018-03-06 2018-10-16 에이치에스티 (주) 의료용 매선실 제조설비에 있어서의 매선실 성형유닛
CN109853102A (zh) * 2019-04-15 2019-06-07 江苏凯普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地毯丝加捻机
CN112323450A (zh) * 2020-11-03 2021-02-05 温州邑品鞋业有限公司 全自动送料服装裁剪机
CN114737292A (zh) * 2022-04-24 2022-07-12 徐州华发纺织股份有限公司 一种棉纱生产制造用除杂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778B1 (ko)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778B1 (ko)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
JPWO2006043430A1 (ja) 空気調和機
KR200367131Y1 (ko) 보풀성형사 제조장치용 보풀제거장치
JP5240020B2 (ja) 空気調和機
CN208866026U (zh) 一种镜片自动擦拭烘干一体装置
JP3918805B2 (ja) 空気調和機
CN209379506U (zh) 一种碳纤维表面毡成品表面除尘设备
WO2014192203A1 (ja) プリント配線板用の清掃ブラシ、及びこれを使用した清掃機
JP2015157660A (ja) 清掃装置、及び当該清掃装置を備えた繊維機械
JP2007292397A (ja)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4014619B2 (ja) 空気調和機
KR20130034835A (ko) 롤 표면 이물 제거 장치
KR100944686B1 (ko) 화학 성형사의 보풀 성형장치용 절단보풀 흡입장치
JP4645059B2 (ja) フィルター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5304343B2 (ja)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4946452B2 (ja)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
JP2007271171A5 (ko)
CN219709900U (zh) 一种具有清理功能的查布机
CN220276185U (zh) 一种消防水带清洁装置
JP2007271171A (ja) 空気調和機の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06188786A (ja) 紡績機におけるドラフトローラのクリーニング装置
CN219003840U (zh) 清洁装置及空调机组
CN218065832U (zh) 一种pu手套生产用烘干装置
CN210497611U (zh) 一种焊丝清洗装置
JP2008039390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