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805A -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805A
KR20060011805A KR1020050120777A KR20050120777A KR20060011805A KR 20060011805 A KR20060011805 A KR 20060011805A KR 1020050120777 A KR1020050120777 A KR 1020050120777A KR 20050120777 A KR20050120777 A KR 20050120777A KR 20060011805 A KR20060011805 A KR 20060011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oil
oil filter
crushing
rotating
empt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3606B1 (ko
Inventor
권석근
Original Assignee
(주)클린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1217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01180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린랜드 filed Critical (주)클린랜드
Priority to KR1020050120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6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hinged to the rotor; Hammer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타격 해머의 조립구조 개선을 통해 파쇄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수리 및 교체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동력수단과, 파쇄기 케이스 내부에, 그 회전동력수단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축결합되어 회전원심력에 의해 투입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를 스크랩상태로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소망크기의 스크랩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스크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폐 오일필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에 있어서, 회전축의 중앙부에, 간격 스페이서에 의해 일정 등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다수의 회전원판이 키이 결합되고; 상기 각 회전원판의 사이 공간에, 그 회전원판으로 관통되어 끼워지는 지지봉에 격간되게 타격 해머가 습동 결합되며; 회전원판의 첫 단 및 끝단과 각각 마주하여 축 결합되어, 다수 구비된 회전원판으로 밀착력을 제공하되, 위치각도에 따라 회전원판에 끼움 결합된 지지봉의 결합과 분리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지지봉의 설치위치와 대향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밀착 고정원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폐 오일필터, 회전축, 타격 해머, 파쇄장치

Description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Crusher of the waste oil vessel treatment apparatus}
도 1은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 처리시스템의 개념도.
도 2의 (가)(나)는 종래의 파쇄장치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쇄장치에서 파쇄를 위한 회전축장치의 요부 확대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쇄장치에서 파쇄를 위한 회전축장치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부, 20: 파쇄수단,
21: 회전축, 21a: 키이,
21b: 나사결합부, 22: 간격 스페이서,
23: 회전원판, 23a: 끼움구멍,
24: 타격 해머, 24a: 부싱,
25: 지지봉, 26: 밀착 고정원판,
26a: 관통구멍, 27a: 스프링 와셔,
27b: 로크너트, 28: 리테이너 링,
29a, 29b: 로크너트, B: 베어링,
P: 풀리, W: 플라이휠,
W1: 지지봉 조립구멍,
본 발명은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타격 해머의 조립구조 개선을 통해 파쇄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수리 및 교체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어유와 윤활유 등의 오일을 사용하는 차량은 오일을 깨끗이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원하는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 오일필터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오일필터는 적정기간이 지나면 새것으로 바꾸어야 하는데, 사용이 끝난 폐 오일필터에는 제거되지 못한 상당량의 폐 오일이 머금고 있다. 참고적으로 오일필터는 금속성분의 케이스와 상기 금속성분의 케이스 내부에 삽지되어 있는 여과지로 이루어져 있다. 즉 사용이 끝난 폐 오일필터에는 그 여과지에 폐 오일이 머금은 상태로 되어 있다.
종래에는 폐 오일이 함유되어 있는 폐 오일필터는 일정 장소에서 일시 보관하였다가 한번에 압축처리 내지는 소각처리하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이용되어져 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폐기과정에서 케이스 내부의 여과지에 함유되어 있는 폐 오일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공해가 심각하였을 뿐만 아니라 폐 오일의 일부는 지면으로 누유되면서 토양을 오염시키는 환경오염 문제가 크게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윤활유를 쓰고 난 용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최근 들어 이러한 공해 및 토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를 처리하는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의 처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를 파쇄하는 파쇄기(100)와, 상기 파쇄기(100)에서 파쇄된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의 파쇄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20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금속성분의 스크랩을 선별하는 자기 선별기(300)와, 상기 자기 선별기(300)에 선별되는 금속성분의 스크랩에 잔류하는 유분을 분리하는 유분 세척기(40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500)를 따라 이송된 여과지에 잔류하는 유분을 분리하는 유분 분리기(600)로 이루 어져 있고, 파쇄된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와 폐 오일을 수거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저장탱크(700)가 포함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의 처리시스템에 적용되는 종래의 파쇄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다단의 절곡부를 갖는 투입구(110)가 고정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배출구(120)가 형성된 일정 용적부를 갖는 파쇄기 케이스(130)에, 모터(도시안됨)를 회전동력으로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를 잘게 파쇄하기 위해 다수의 회전원판(140)과 그 회전원판(140) 사이 가장자리에 타격 해머(150)가 설치된 회전축(160)이 회전자재되게 구성되며, 배출구(120)의 상부에는 소망하는 크기로 파쇄된 폐 오일필터의 스크랩을 다음 과정으로 보내기 위한 스크린(180)이 설치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 투입구(110)의 내부에는 폐 오일필터를 투입하기 위한 입구의 폭을 좁혀 파쇄중인 스크랩이 외부로 튀어나오지 못하도록 고무판(170)이 내설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파쇄장치는 특히 회전축(160)에 설치되는 파쇄수단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회전판(140)과 회전판(140) 사이의 타격 해머(150)는 장방향의 볼트(150a)와 이와 체결되는 너트(150b)에 의해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각 회전판(140)의 밀착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 너트(150b)는 타격 해머(150)가 설치되는 부분마다 필요하기 때문에 파쇄 작동 중 그 중 하나가 진동에 의해 풀어지게 되면 서로 간의 밀착상태도 와해되어 파쇄충격에 의해 장방향의 볼트 (150a)가 쉽게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원판(140) 사이 공간에서 볼트(150a)에 의해 지지되는 타격 해머(150)는 타격작용시 서로 간의 마찰 마모에 의해 회전원판이나 볼트 둘 중 강성이 작은 하나는 소모성 재료로 교체해야 하는데, 둘 다 비용이 만만하지 않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 타격 해머(150)의 작동에 의해 마모되는 볼트(150a)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어느 정도의 여유공간이 필요하지만 종래에는 파쇄장치를 구성하는 파쇄기 케이스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케이스를 뜯지 않고서는 실질적으로 교체작업이 불가능하다.
또한 파쇄과정에서 폐 오일필터나 윤활유 빈용기에서 나오는 폐 오일이 방향성없이 파쇄기 케이스 내부에서 비산되는데, 이러한 비산유는 특히 회전축(160)과 파쇄기 케이스(130) 간의 틈새에서 누유가 두드러지게 발생되어 작업장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회전원판 상에 4방향에서 설치되는 타격 해머를 개별적인 지지(너트)방식을 벗어나 통합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진동이나 충격이 전해진다 하더라도 그 결합상태가 풀리거나 결합력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에 있다.
둘째, 타격 해머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봉 사이에 마찰 마모에 의해 교환되는 소모성 재료를 덧 구성하여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도록 함에 있다.
셋째, 상기 타격 해머를 포함한 파쇄수단의 수리 및 교환 등 A/S를 보다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넷째, 파쇄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산유가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동력수단과, 파쇄기 케이스 내부에, 그 회전동력수단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축결합되어 회전원심력에 의해 투입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를 스크랩상태로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소망크기의 스크랩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스크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폐 오일필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에 있어서,
회전축의 중앙부에, 간격 스페이서에 의해 일정 등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다수의 회전원판이 키이 결합되고;
상기 각 회전원판의 사이 공간에, 그 회전원판으로 관통되어 끼워지는 지지봉에 격간되게 타격 해머가 습동 결합되며;
회전원판의 첫 단 및 끝단과 각각 마주하여 축 결합되어, 다수 구비된 회전원판으로 밀착력을 제공하되, 위치각도에 따라 회전판에 끼움 결합된 지지봉의 결합과 분리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지지봉의 설치위치와 대향하는 관통구멍이 형 성된 밀착 고정원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봉과 타격 해머 사이에 습동마찰을 담당하여 마모되는 소모재의 부싱이 더 구비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축의 일단에는 회전동력수단과 벨트 연결되는 풀리가 축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회전속도를 고르게 하기 위한 플라이휠이 구성되되, 상기 플라이휠에는 지지봉의 분해 및 조립시 간섭되지 않도록 지지봉 조립구멍이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과 파쇄기 케이스 사이의 틈새 부분을 밀봉시켜 비산유의 누유를 방지하는 리테이너 링을 더 구비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파쇄장치의 파쇄기 케이스는,
회전동력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축 상에 고정 설치되는 파쇄수단, 및 최하부의 스크린수단을 갖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파쇄수단에 의해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를 스크랩상태로 파쇄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투입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의 투입 안내흐름을 제공하는 투입부;로 이루어진 3분할 구성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파쇄장치에서 파쇄를 위한 회전축장치의 요부 확대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파쇄장치에서 파쇄를 위한 회전축장치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쇄장치는 3부분의 파쇄기 케이스로 분할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동력수단(모터(도시안됨))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풀리(P)와 회전관성력을 증대하기 위한 플라이 휠(W)이 축설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의 양단에 구성되어 축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 결합체(B)와, 상기 축 상에 고정 설치되고 회전축(21) 작동에 따른 강한 회전원심력으로 투입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를 타격하여 파쇄하는 해머(24)를 포함하는 파쇄수단(20)이 설치되며, 최하부에 적정크기로 파쇄된 스크랩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강봉을 포함하고 그 강봉의 임의 나열간격을 통해 스크랩의 배출을 결정하는 스크린수단(12)을 갖는 제 1파쇄기 케이스의 베이스부(10)가 구성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베이스부(10)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핵심인 회전축(21)과 이에 축 결합하는 파쇄수단(2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회전축(21)은 중앙부에 후술되는 회전원판(23)의 축 결합을 위한 키이(21a)가 형성되고, 나사결합부(21b)가 가공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다단으로 형성된다.
그 회전축(21)의 키이(21a)로 키이홈을 갖는 다수의 회전원판(23)과 다수의 간격 스페이서(22)가 하나씩 끼워지면서 회전원판(23)의 임의 등간격이 유지되는 구성을 취한다.
상기 회전원판(23)에는 4방향으로 끼움구멍(23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끼움구멍(23a)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봉(25)이 가로질러 끼워지는데, 상기 각 회전원판(23)의 사이 공간에, 타격 해머(24)가 격간되게 위치되도록 함께 끼워진다. 상기 타격 해머(24)의 격간배치는 파쇄작동시 인접하는 타격 해머(24)끼리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회전축(21)에 다수가 끼워지는 회전원판(23)의 첫 단 및 끝단과 각각 마주하여 축 결합되어, 다수 구비된 회전원판(23)으로 밀착력을 제공하되, 위치각도에 따라 회전원판(23)에 끼움 결합된 지지봉(25)의 결합과 분리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지지봉(25)의 설치위치와 대향하는 관통구멍(26a)이 형성된 밀착 고정원판(26)이 구비 위치된다.
즉, 지지봉(25)을 분리하거나 조립하는 경우 양 단의 밀착 고정원판(26)을 돌려 그 관통구멍(26a)과 지지봉(25)이 서로 마주하도록 한 다음 상기 지지봉(25)을 관통구멍(26a)을 통해 이탈 또는 조립할 수 있고, 조립 후 지지봉(25)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시 관통구멍(26a)과 지지봉(25)이 서로 마주하지 않는 위치로 돌려 밀착하게 되면 간단히 지지봉(25)의 안정적인 취부구조가 이 루어진다.
한편, 상기 밀착 고정원판(26)의 밀착구조는 회전축(21)에 끼워져 두 개의 밀착 고정원판(26)의 외측부에 접촉하는 스프링와셔(27a)와 상기 회전축(21)의 나사결합부(21b)에 위치되어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는 로크너트(27b)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로크너트(27b)는 나사산의 형성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짐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어도 쉽게 풀리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지지봉(25)과 타격 해머(24) 사이에 습동마찰을 담당하여 마모되는 소모재의 부싱(24a)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싱(24a)의 구성에 의해 고비용의 타격 해머(24)와 지지봉(25)의 마찰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1)의 일단에는 회전동력수단과 벨트 연결되는 풀리(P)가 축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회전속도를 고르게 하기 위한 플라이휠(W)이 구성되되, 상기 플라이휠(W)에는 지지봉(25)의 분해 및 조립시 간섭되지 않도록 지지봉 조립구멍(W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1)과 파쇄기 케이스 사이의 틈새 부분을 밀봉시켜 비산유의 누유를 방지하는 리테이너 링(28)을 더 구성함으로써 작업장의 환경오염을 간단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풀리(P)와 플라이휠(W)은 회전축 끝단에 형성된 별도의 나사결합부에 의해 로크너트(29a)(29b)의 체결에 의해 완전히 고정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파쇄수단(20)에 의해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를 스크랩상태로 파쇄하기 위 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제 2파쇄기 케이스의 파쇄부(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쇄부(3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투입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의 투입 안내흐름을 제공하는 제 3파쇄기 케이스의 투입부(40)로 분할 구성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 케이스의 베이스부(10) 및 파쇄부(30)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에 의한 파쇄 충격에너지가 가장 크게 분포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케이스 외벽(12)(32)의 내측으로는 파쇄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키기 위해 일정 두께의 고무판(13)(33)을 덧 구성하고, 그 외측으로는 충격소음을 차폐하기 위해 모래(14)(34)를 충진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15)(35)가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 케이스의 베이스부(10) 및 파쇄부(30)는 상기 고무판(13)(33)의 내측으로 파쇄효율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해 파쇄수단(20)에 의해 1차 파쇄된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의 스크랩을 재차 파쇄하는 톱니형의 2차 파쇄커터(16)(36)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이의 체결은 상기 2차 파쇄커터(36), 고무판(33), 케이스 외벽(32), 커버(35)를 모두 관통하여 끼워지는 체결볼트(37)의 외측으로 스프링 와셔(37a), 고정너트(37b) 및 상기 고정너트(37b)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너트(37c)를 순차적으로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의 체결구조는 베이스부(10)에서도 동일 적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한 상기 파쇄부(30)의 케이스 외벽(32)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파쇄수 단(20)에 의해 역배출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의 스크랩을 1차로 차단하는 1차 역배출 차단판(37)과, 상기 투입부(40)의 케이스 외벽(42)에,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의 투입흐름이 방해되지 않는 반면 1차 역배출 차단판(37)으로 제지 못한 폐 오일필터의 스크랩을 차단하는 2차 역배출 차단판(43)과, 상기 투입부(40)의 폐유용기 투입구(41)에, 역배출 차단판(37)(43)으로 제지 못한 스크랩을 재차 차단하는 쇠사슬 커튼(44)을 더 구성함으로써, 파쇄작동으로 역배출되는 스크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와 파쇄부(30)의 케이스 결합 일측편에 파쇄부(30)의 회전 개폐를 위해 힌지부(도시안됨)가 더 구성되고, 그 힌지부 쪽에 파쇄부(30)와 장치의 하부 고정단에 각각 설치되어 힌지부를 회전점으로 하는 파쇄부(30)의 회전 개폐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50)를 포함하는 유압장치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50)의 설치에 따른 파쇄부(30)의 회전 개폐력은 베이스부(10)에 설치되는 파쇄수단(20)의 수리 보수 및 부품교체와 상기 베이스부(10) 및 파쇄부(30)의 내부 세척을 위한 것으로, 각 부분 체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다수의 체결볼트를 해제한 다음 구동시키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을 본질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아닌 한, 서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임을 밝힌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잇점이 있다.
첫째, 밀착 고정원판에 의해 타격 해머를 통합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지지봉을 지지하기 위해 개별적인 너트가 필요 없기 때문에 파쇄상태의 스크랩에 의해 파쇄수단 자체가 풀리거나 너트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타격 해머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봉 사이에 마찰 마모에 의해 교환되는 소모성 재료, 즉 부싱을 덧 구성함으로서, 상대적으로 고가인 타격 해머 및 지지봉의 마모를 방지하여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파쇄기 케이스의 3분할 구성과, 밀착 고정원판의 구성 및 플라이휠의 조립구멍 등에 의해 상기 타격 해머를 포함한 파쇄수단의 수리 및 교환 등 A/S를 보다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넷째, 회전축과 파쇄기 케이스 사이에 리테이너 링을 구비함으로서 파쇄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산유가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차단하여 작업장의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동력수단과, 파쇄기 케이스 내부에, 그 회전동력수단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축결합되어 회전원심력에 의해 투입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를 스크랩상태로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소망크기의 스크랩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스크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폐 오일필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에 있어서,
    회전축의 중앙부에, 간격 스페이서에 의해 일정 등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다수의 회전원판이 키이 결합되고;
    상기 각 회전원판의 사이 공간에, 그 회전원판으로 관통되어 끼워지는 지지봉에 격간되게 타격 해머가 습동 결합되며;
    회전원판의 첫 단 및 끝단과 각각 마주하여 축 결합되어, 다수 구비된 회전원판으로 밀착력을 제공하되, 위치각도에 따라 회전원판에 끼움 결합된 지지봉의 결합과 분리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지지봉의 설치위치와 대향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밀착 고정원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과 타격 해머 사이에 습동마찰을 담당하여 마모되는 소모재의 부 싱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축의 일단에는 회전동력수단과 벨트 연결되는 풀리가 축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회전속도를 고르게 하기 위한 플라이휠이 구성되되, 상기 플라이휠에는 지지봉의 분해 및 조립시 간섭되지 않도록 지지봉 조립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파쇄기 케이스 사이의 틈새 부분을 밀봉시켜 비산유의 누유를 방지하는 리테이너 링을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5. 제 1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 케이스는,
    회전동력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축 상에 고정 설치되는 파쇄수단, 및 최하부의 스크린수단을 갖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파쇄수단에 의해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를 스크랩상태로 파쇄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투입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의 투입 안내흐름을 제공하는 투입부;로 3분할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KR1020050120777A 2005-12-09 2005-12-09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KR100723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777A KR100723606B1 (ko) 2005-12-09 2005-12-09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777A KR100723606B1 (ko) 2005-12-09 2005-12-09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805A true KR20060011805A (ko) 2006-02-03
KR100723606B1 KR100723606B1 (ko) 2007-06-04

Family

ID=3712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777A KR100723606B1 (ko) 2005-12-09 2005-12-09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6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5507A (zh) * 2012-11-01 2014-05-14 常州翔宇资源再生科技有限公司 一种废电路板干式回收生产线用的锤式粉碎机
CN103831148A (zh) * 2014-02-24 2014-06-04 常熟中材装备重型机械有限公司 转子机构改进的可逆式无篦子锤式破碎机
KR102294780B1 (ko) * 2020-12-02 2021-08-26 나민수 유기성 폐기물 분쇄기
CN114618642A (zh) * 2022-03-15 2022-06-14 蔡伟广 一种节能高效的化妆品回收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766B1 (ko) * 2019-01-16 2021-03-04 정상균 식품잔반 폐기물 파쇄기
KR102440935B1 (ko) * 2020-09-04 2022-09-08 옥명자 폐기물 파쇄장치
KR102533293B1 (ko) * 2022-03-04 2023-05-17 주식회사 에스제이천하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193A (ko) * 2000-06-23 2002-01-05 최승락 레이저와 에이치씨엘 어닐링을 이용한 전자부품 및 기판류세정 방법
KR20030000714A (ko) * 2001-06-26 2003-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향성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5507A (zh) * 2012-11-01 2014-05-14 常州翔宇资源再生科技有限公司 一种废电路板干式回收生产线用的锤式粉碎机
CN103831148A (zh) * 2014-02-24 2014-06-04 常熟中材装备重型机械有限公司 转子机构改进的可逆式无篦子锤式破碎机
KR102294780B1 (ko) * 2020-12-02 2021-08-26 나민수 유기성 폐기물 분쇄기
CN114618642A (zh) * 2022-03-15 2022-06-14 蔡伟广 一种节能高效的化妆品回收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606B1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606B1 (ko)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KR100672019B1 (ko) 폐 오일용기 처리시스템
KR100717248B1 (ko)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US2509242A (en) Hammer mill type garbage grinder
KR20200133777A (ko) 이축 파쇄기
JP5614927B2 (ja) 粉砕機
KR20045496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EA019911B1 (ru) Кольцо для ударной дробилки с вертикальным валом
KR101530509B1 (ko) 폐비닐 파쇄장치
KR10137990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JP4803793B2 (ja) 一軸型破砕機
KR100599459B1 (ko) 파쇄기
KR200383029Y1 (ko) 폐 오일필터 파쇄 분리장치
CN111432932B (zh) 适应性结构固体分流器和粉碎器
KR20090081932A (ko)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
WO2021053378A1 (en) Waste treatment device and related mounting method
US2122965A (en) Apparatus for disintegrating large solids contained in sewage
KR200351072Y1 (ko) 파쇄기
KR200377514Y1 (ko)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 통 파쇄 분리장치
JP4592321B2 (ja) 破砕装置
KR19990025318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JP4829058B2 (ja) せん断式破砕機及びこれに用いる破砕装置
KR200482572Y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장치
CN211436478U (zh) 一种厨余垃圾处理粉碎机
JP7141582B2 (ja) バケ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513

Effective date: 200810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1030

Effective date: 2009032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513

Effective date: 200904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527

Effective date: 20100114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209

Effective date: 2010052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817

Effective date: 201112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120

Effective date: 20120608

EXTG Extinguishm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629

Effective date: 2012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