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480A -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 Google Patents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480A
KR20060011480A KR1020040060342A KR20040060342A KR20060011480A KR 20060011480 A KR20060011480 A KR 20060011480A KR 1020040060342 A KR1020040060342 A KR 1020040060342A KR 20040060342 A KR20040060342 A KR 20040060342A KR 20060011480 A KR20060011480 A KR 20060011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ball
belt winding
belt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0620B1 (ko
Inventor
이경상
송택림
Original Assignee
이경상
강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상, 강연태 filed Critical 이경상
Priority to KR1020040060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620B1/ko
Priority to CNB2005100886742A priority patent/CN100372710C/zh
Publication of KR20060011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2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Return motion lock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가 개시되어 있다. 본 리트렉터는 볼 안내부재가 설치되는 하우징부재,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볼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클러치부재, 클러치부재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부재, 피니언부재에 일체화된 캠부와 벨트 감김부재 사이에 끼게 되어 피니언부재와 벨트 감김부재를 일체화시키는 로울러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본 리트렉터에 의하면, 폭발부재의 폭발력을 전달하는 볼부재와 이를 전달받는 클러치부재가 항시 안정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클러치부재와 피니언부재가 항시 정확하게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차량으로부터 전기적신호를 받아 폭발부재가 작동할 때 접촉부위가 안정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폭발력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폭발력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벨트 감김부재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벨트를 되감아 신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시트, 벨트, 리트렉터

Description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PRETENSIONER OF RETRACTOR FOR A SEAT BEL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후크가 걸림홈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a,5b,5c는 도 1에 도시된 프리텐셔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6b은 피니언부재와 로울러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도.
도 7a,7b는 종래기술에 의한 프리텐셔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벨트 20 : 하우징부재
22 : 수용부 24 : 회전 지지축
26 : 걸림홈 30 : 볼 안내부재
32 : 이동부재 34 : 폭발부재
40 : 볼부재 50 : 클러치부재
52 : 내측 기어이 54 : 걸림돌기
60 : 피니언부재 62 : 외측 기어이
64 : 경사면 66 : 캠부
70 : 클립부재 72 : 삽입부
74 : 후크 76 : 회전 지지부
78 : 설치부 80 : 로울러부재
82 : 미끄럼 방지돌기 90 : 벨트 감김부재
본 발명은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폭발부재의 폭발력 발생시 각 연결부분의 어긋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폭발부재의 폭발력이 벨트 감김부재에 손실없이 전달되어 벨트의 되감김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좌석에는 좌석벨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좌석벨트는 차량의 사고발생시 운전자 또는 승객을 좌석에 고정시켜 상해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좌석벨트는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에 의해 차량의 충돌시 벨트를 되감아 운전자나 승객을 좌석에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즉,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리트렉터에 설치된 폭발부재가 작동하여 폭발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 폭발부재의 폭발력으로 볼부재가 벨트 감김부재를 역회전시켜 벨트가 되감기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의 충돌시 벨트를 순간적으로 되감아 승객 또는 운전자를 좌석에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운전자나 승객의 관성에 의한 이동거리를 최소화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차량의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운전자 또는 승객의 상해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리트렉터는 폭발부재의 폭발작동시 폭발력이 벨트 감김부재에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리트렉터는 벨트 감김부재(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작동휠(1)의 톱니(1-1)와 볼부재(2)의 위치가 7a와 같이 위치할 경우에 폭발력이 정확하게 작동휠(1)에 전달되지 못할 경우가 발생될 수 있었고, 이로 인하여, 충돌과 거의 동시에 벨트 감김부재가 역회전하여 벨트를 되감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었다.
다시 설명하면, 폭발부재의 폭발력 발생시 각각의 볼부재(2)가 각 톱니(1-1) 사이에 순간적으로 안착되어 작동휠(1)을 역회전시켜야만 도시되지 않은 벨트 감김부재가 역회전하여 벨트를 되감게 되는 것이나,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리트렉터는 차량의 충돌 발생시 볼부재(2)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휠(1)의 톱니(1-1)와 접촉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어 폭발력이 손실되는 현상을 유발하였고, 이로 인하여 볼부재(2)가 작동휠(1)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회전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 점이 발생될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도 7b에 도시된 구조의 리트렉터는 링기어(4)의 내측에 위치하는 피니언기어(5)가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시 폭발력에 의해 볼부재(2)가 링기어(4)를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회전시키게 되면 링기어(4)의 내부에서 피니언기어(5)가 링기어(4)의 내측 기어이에 맞물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피니언기어(5)와 연결된 벨트 감김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역회전하여 벨트를 되감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리트렉터는 링기어(4)의 내측 기어이와 피니언기어(5)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시 볼부재(2)에 의해 링기어(4)가 회전되면서 피니언기어(5)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5)와 링기어(4)가 정확하게 맞물리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폭발력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폭발력의 손실은 벨트 감김부재가 차량의 충돌과 거의 동시에 벨트를 되감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폭발부재의 폭발력을 전달하는 볼부재와 이를 전달받는 클러치부재가 항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클러치부재와 피니언부재가 항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폭발력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각 부품의 접촉부위가 어긋나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충돌 및 추돌시 벨트 감김부재가 정 확하고 신속하게 벨트를 되감아 신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평상시에는 피니언부재와 벨트 감김부재가 결합되지 않아 각각 별도로 작동되고, 차량의 충/추돌시에만 피니언부재와 벨트 감김부재가 일체화되어 폭발력에 의해 벨트 감김부재가 역회전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수용부에는 원통형의 회전 지지축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회전 지지축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이동부재를 강제 이동시키기 위한 폭발부재가 입구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볼부재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볼 안내부재가 수용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부재;
내주연에 내측 기어이가 형성되고, 외주연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볼 안내부재의 끝단에 위치한 볼부재와 항상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부재;
일측 외주연에 상기 내측 기어이와 맞물리는 외측 기어이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측에서 가장자리 측으로 점차 만곡진 다수개의 경사면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캠부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 기어이와 내측 기어이가 항상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축에 결합되는 피니언부재;
일측에 원통형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이 삽입부의 끝단 외측에는 후크가 형성되며, 삽입부의 타측에는 상기 경사면의 수와 대응되는 갯수의 회전 지지부를 갖 는 설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각 회전 지지부가 각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후크가 걸림홈에 고정 결합되는 클립부재; 및
상기 각 회전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폭발부재의 폭발력으로 피니언부재가 회전할 때 경사면과 벨트 감김부재의 내주연 사이로 이동하여 피니언부재와 벨트 감김부재를 일체화시켜 피니언부재의 되감김 회전력을 벨트 감김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로울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클러치부재의 외주연에는 각 볼부재가 안착되기 위한 다수개의 안착홈이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부재의 회전 지지부는 로울러부재의 이동시 외측으로 변형되도록 설치부의 내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지지단: 및 상기 지지단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로울러 지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로울러부재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폭발력을 전달하는 볼부재와 클러치부재가 항상 안정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클러치부재와 피니언부재가 항상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충돌과 같은 충격 발생시 폭발부재의 폭발력이 볼부재를 이동시게 되면, 볼부재와 안정되게 접촉된 클러치부재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부재의 회전은 이 클러치부재의 내측 기어이에 항시 맞물린 상태 의 피니언부재를 회전시켜 피니언부재의 캠부와 벨트 감김부재 사이에 로울러부재가 끼어 피니언부재와 벨트 감김부재를 일체화시킨다.
따라서, 피니언부재와 벨트 감김부재가 일체화됨으로써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된 폭발력은 벨트 감김부재로 전달되어 벨트 감김부재를 역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벨트 감김부재가 역회전 됨으로써 벨트가 일정한 길이만큼 되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볼부재와 클러치부재가 항시 안정되게 접촉되어 있고, 클러치부재와 피니언부재가 항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폭발력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피니언부재가 회전하게 되어 벨트 감김부재를 역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시 폭발부재의 폭발력이 손실없이 피니언부재를 통하여 벨트 감김부재로 전달되므로, 충돌과 동시에 벨트가 신속하게 되감기게 되어 신체를 좌석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각각의 로울러부재가 평상시에는 벨트 감김부재의 내주연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벨트 감김부재가 피니언부재와 간섭없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즉, 평상시에는 벨트 감김부재가 자유롭게 작동되고, 차량의 충돌시에만 피니언부재의 캠부와 벨트 감김부재가 다수개의 로울러부재에 의해 일체화되어 폭발력이 벨트 감김부재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로울러부재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되므로 캠부와 벨트 감김부재의 내주연 사이에서 미끄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후크가 걸림홈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트렉터는 폭발부재(34)와 볼부재(40)가 설치되는 하우징부재(20), 볼부재(40)와 항시 안정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클러치부재(50), 상기 클러치부재(50)와 항시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는 피니언부재(60), 벨트가 감기도록 된 벨트 감김부재(90), 상기 피니언부재(60)와 벨트 감김부재(9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로울러부재(80) 및 상기 로울러부재(80)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클림부재(7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부재(20)는 각 부품이 내설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수용부(22)의 바닥에 원통형의 회전 지지축(24)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 지지축(24)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걸림홈(2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26)은 하우징부재(20) 타측의 회전 지지축(24) 내경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2)에는 원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볼 안내부재(30)가 가장자리 측으로 치우쳐 설치되고, 상기 볼 안내부재(30)의 입구에는 폭발부재(34)가 설 치된다. 또한, 그 내부에는 폭발부재(34)의 폭발력 발생시 가스압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재(32)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32)에 의해 이동되는 다수개의 볼부재(40)가 연이어 설치된다.
상기 클러치부재(50)는 볼부재(40)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어 그 회전력을 피니언부재(6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내주연에 내측 기어이(52)가 형성되고, 외주연 일측에 걸림돌기(54)가 형성되며, 일부 외주연에는 각 볼부재(40)가 안정되게 안착되기 위한 다수개의 안착홈(56)이 연이어 형성된다. 이 안착홈(56)은 기어이와 같이 각 볼부재(40)와 맞물리게 되어 각 볼부재(40)의 이동력이 손실없이 정확하게 클러치부재(50)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한 클러치부재(50)는 상기 걸림돌기(54)가 볼 안내부재(40)의 끝단에 위치한 볼부재(40)와 항상 안정되게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재(20)의 수용부(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피니언부재(60)는 클러치부재(50)의 회전력을 벨트 감김부재(9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외주연에 상기 내측 기어이(52)와 맞물리는 외측 기어이(6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측에서 가장자리 측으로 점차 만곡진 다수개의 경사면(64)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캠부(66)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경사면(64)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만곡진 캠곡선(나선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로울러부재(80)는 경사면(64)을 따라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할 수록 피니언부재(60)의 중심점과 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피니언부재(60)는 상기 외측 기어이(52)와 내측 기어이(62)가 항 상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축(24)에 결합 설치된다.
한편, 상기 클러치부재(50)와 피니언부재(60)의 치형비(기어비)는 2:1 - 3:1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피니언부재(60)에 비하여 클러치부재(50)의 기어비를 크게 하는 것은 클러치부재(50)의 작은 회전으로 피니언부재(60)의 높은 회전수를 얻기 위한 것이다. 예를들면, 클러치부재(50)가 1/2회전을 하게 되면 피니언(60)는 1회전을 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피니언부재(60)의 큰 역회전량을 얻을 수 있고, 따라서 안정적인 역회전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립부재(70)는 로울러부재(80)가 캠부(66)의 경사면64)의 작동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일측에 원통형의 삽입부(72)가 형성되고, 이 삽입부(72)의 끝단 외측에는 후크(74)가 형성되며, 삽입부(72)의 타측에는 상기 경사면(64)의 수와 대응되는 갯수의 회전 지지부(76)를 갖는 설치부(78)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74)는 회전 지지축(24)의 내부로 삽입부(72)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홈(26)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72)는 상기 후크(74)가 파손되거나 걸림홈(26)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회전 지지축(24)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 지지부(76)는 로울러부재(80)의 이동시 설정된 범위내에서 이를 허용하도록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 지지부(76)는 로울러부재(80)의 이동시 외측으로 변형되도록 설치부(78)의 내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지지단(78A)과, 상기 지지단(78A)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로울러 지지축(78B)으로 이루어지 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로울러부재(80)가 경사면(64)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할 때 지지단(78A)이 변형되면서 이를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로울러 지지축(78B)은 회전 지지부(76)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회전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로울러부재(80)는 피니언부재(60)로 전달된 회전력을 벨트 감김부재(9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로울러 지지축(78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이와 같은 로울러부재(80)의 외주연에는 미끄럼 방지돌기(8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돌기(82)는 로울러부재(80)가 미끄럼에 의해 경사면(64)과 벨트 감김부재(90)의 내주연 사이에 끼지 않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클러치부재(50)와 피니언부재(60) 및 클립부재(70), 로울러부재(80) 등이 설치된 하우징부재(20)의 수용부(22)는 클러치커버 및 하우징커버 등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벨트 감김부재(90)의 축 일단은 리턴 스프링과 결합되고, 그 몸체는 리트렉터의 프리임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축의 타단은 래치와 결합되어 휠커버에 의해 폐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 또는 추돌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동부재(32)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볼부재(40)가 최초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각 로울러부재(80)는 경사면(64)의 내측(캠부(66)의 중심부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즉, 도 6a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울러부재 (80)가 피니언부재(60)의 중심부와 근접한 위치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울러부재(80)는 밸트 감김부재(9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벨트 감김부재(90)는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때, 상기 클립부재(70)의 후크(74)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재(20)의 걸림홈(26)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클립부재(70)는 하우징부재(20)와 일체화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폭발부재(34)가 작동되어 가스압에 의해 이동부재(32)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안내부재(30)에 안내되어 그 끝단으로 이동하면서 각 볼부재(40)를 강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32)에 의해 이동되는 볼부재(40)은 클러치부재(50)의 걸림돌기(54)를 밀어 클러치부재(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클러치부재(5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내측 기어이(52)와 맞물린 피니언부재(60)가 회전하게 되어 캠부(6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도 6b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부재(7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 상태의 각 로울러부재(80)는 경사면(64)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실제 각 로울러부재(80)가 이동되는 것은 아니고 캠부(66)가 회전되어 각 로울러부재(80)와 경사면(64)의 접촉위치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면서 각 경사면(64)은 각 로울러부재(80)를 외측(캠부(66)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으로 이동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각 로울러부재(80)는 각 경사면(64)의 외측과 벨트 감김부재(90)의 내주연 사이에 끼게 되어 피니언부재(60)와 벨트 감김부재(90)는 일체화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부재(40)의 이동에 의해 클러치부재(50)가 회전하면서 이와 맞물린 피니언부재(60)를 회전시키게 되면, 피니언부재(60)의 캠부(66) 위치가 변경되어 각 경사면(64)의 외측부위와 벨트 감김부재(90)의 내주연 사이에 각 로울러부재(80)가 끼게 되어 피니언부재(60)와 벨트 감김부재(90)가 일체화되고, 이로 인하여 피니언부재(60)의 회전력이 벨트 감김부재(90)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니언부재(60)의 회전으로 각 로울러부재(80)의 위치가 변경될 때 각 지지단(78A)은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각 로울러부재(80)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각 로울러부재(80)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8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면(64)과 벨트 감김부재(90)의 사이에 위치하더라도 그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피니언부재(60)와 벨트 감김부재(90)가 각 로울러부재(80)에 의해 일체화 되면, 피니언부재(60), 로우러부재(80) 및 벨트 감김부재(90)는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26)에 걸려 고정 결합되어 있던 후크(74)가 파손되면서 클립부재(70)와 각 로울러부재(80)가 피니언부재(60) 및 벨트 감김부재(90)과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한 벨트의 되감김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54)가 수용부(22)의 일측에 형성된 스톱퍼에 의해 정지되는 시점까지 이루어지고, 이후 벨트는 록킹된다.
이와 같이 볼부재(40)와 클러치부재(50)가 안정된 상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클러치부재(50)와 피니언부재(60)가 정확하게 맞물린 상태에서 폭발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폭발부재(34)의 폭발력은 손실없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벨트 감김부재(90)에 정확하게 전달되어 벨트를 되감고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는 폭발부재의 폭발력을 전달하는 볼부재와 이를 전달받는 클러치부재가 항시 안정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클러치부재와 피니언부재가 항시 정확하게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각 부품의 접촉부위가 안정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폭발력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폭발력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벨트 감김부재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벨트를 되감아 신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는 평상시에 각 로울러부재가 벨트 감김부재의 내주연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벨트 감김부재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차량의 충/추돌시에만 피니언부재와 벨트 감김부재가 로울러부재에 의해 일체화되어 폭발력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벨트 감김부재가 역회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클러치부재와 피니언부재의 치형비를 크게 하게 되면, 클러치부재의 작은 회전으로도 피니언부재의 높은 회전수를 얻을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작은 힘으로 큰 역회전량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인 역회전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일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수용부(22)에는 원통형의 회전 지지축(24)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회전 지지축(24)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걸림홈(26)이 형성되며, 이동부재(32)를 강제 이동시키기 위한 폭발부재(34)가 입구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볼부재(40)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볼 안내부재(30)가 수용부(22)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부재(20);
    내주연에 내측 기어이(52)가 형성되고, 외주연 일측에 걸림돌기(54)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54)가 볼 안내부재(40)의 끝단에 위치한 볼부재(40)와 항상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부재(20)의 수용부(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부재(50);
    일측 외주연에 상기 내측 기어이(52)와 맞물리는 외측 기어이(6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측에서 가장자리 측으로 점차 만곡진 다수개의 경사면(64)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캠부(66)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 기어이(52)와 내측 기어이(62)가 항상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축(24)에 결합되는 피니언부재(60);
    일측에 원통형의 삽입부(72)가 형성되고, 이 삽입부(72)의 끝단 외측에는 후크(74)가 형성되며, 삽입부(72)의 타측에는 상기 경사면(64)의 수와 대응되는 갯수의 회전 지지부(76)를 갖는 설치부(78)가 형성되어 상기 각 회전 지지부(76)가 각 경사면(64)에 대응되도록 상기 후크(74)가 걸림홈(26)에 고정 결합되는 클립부재(70); 및
    상기 각 회전 지지부(76)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폭발부재(30)의 폭발력으로 피니언부재(60)가 회전할 때 경사면(64)과 벨트 감김부재(90)의 내주연 사이로 이동하여 피니언부재(60)와 벨트 감김부재(90)를 일체화시켜 피니언부재(60)의 되감김 회전력을 벨트 감김부재(90)에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로울러부재(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재(50)의 외주연에는 각 볼부재(40)가 안착되기 위한 다수개의 안착홈(56)이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70)의 회전 지지부(76)는 로울러부재(80)의 이동시 외측으로 변형되도록 설치부(78)의 내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지지단(78A): 및
    상기 지지단(78A)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로울러 지지축(78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재(50)와 피니언부재(60)의 치형비는 2:1 - 3: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부재(80)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8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KR1020040060342A 2004-07-30 2004-07-30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KR10062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342A KR100620620B1 (ko) 2004-07-30 2004-07-30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CNB2005100886742A CN100372710C (zh) 2004-07-30 2005-08-01 机动车安全带收缩器的预紧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342A KR100620620B1 (ko) 2004-07-30 2004-07-30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874U Division KR200366953Y1 (ko) 2004-07-30 2004-07-30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480A true KR20060011480A (ko) 2006-02-03
KR100620620B1 KR100620620B1 (ko) 2006-09-19

Family

ID=3607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342A KR100620620B1 (ko) 2004-07-30 2004-07-30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0620B1 (ko)
CN (1) CN100372710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603B1 (ko) * 2007-05-16 2008-02-11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
WO2015167168A1 (ko) * 2014-04-29 2015-11-05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파단 결합형 랙기어를 포함하는 프리텐셔너
KR20160114836A (ko) * 2015-03-25 2016-10-06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회전지지부재가 구비된 프리텐셔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6693B2 (ja) * 2008-04-18 2011-11-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US8770506B2 (en) 2010-07-06 2014-07-08 Autoliv Asp, Inc. High seal retractor pretensioner piston
KR20140038218A (ko) 2012-09-20 2014-03-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DE112013005816T5 (de) * 2012-12-04 2015-09-24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Gurtbandaufnahmevorrichtung
CN103832388B (zh) * 2014-02-27 2016-04-27 上海和励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预紧式安全装置的驱动单元卡固件及预紧式安全装置
CN115107693B (zh) * 2022-06-30 2023-06-02 长沙理工大学 一种车用安全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1009A1 (de) * 1992-04-02 1993-10-07 Trw Repa Gmbh Gurtstraffer für Fahrzeug-Sicherheitsgurtsysteme
DE29513942U1 (de) * 1995-08-30 1997-01-09 Trw Repa Gmbh Kraftbegrenzer an einem Gurtaufroller für Sicherheitsgurte
JP3943295B2 (ja) 1999-08-25 2007-07-11 タカタ株式会社 プリテンショナ及びそれを有する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348163B1 (ko) * 2000-06-22 2002-08-09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동력전달장치 일체형 프리텐셔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603B1 (ko) * 2007-05-16 2008-02-11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
WO2015167168A1 (ko) * 2014-04-29 2015-11-05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파단 결합형 랙기어를 포함하는 프리텐셔너
KR20160114836A (ko) * 2015-03-25 2016-10-06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회전지지부재가 구비된 프리텐셔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72710C (zh) 2008-03-05
KR100620620B1 (ko) 2006-09-19
CN1736774A (zh)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9653B2 (en) Seat belt device
US7681824B2 (en) Webbing retracting device
US8118249B2 (en) Webbing winder
US7571873B2 (en) Webbing retractor
JP491739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20080210802A1 (en) Webbing retractor
US8469301B2 (en) Seat belt retractor
US20060208475A1 (en) Pretensioner device
US10654443B2 (en) Webbing take-up device
US9701278B2 (en) Seat belt retractor
US20080203808A1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11338764B2 (en) Restraining system for a seat belt buckle
US20080116309A1 (en) Webbing Retractor
KR100620620B1 (ko)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US20080203807A1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H08133011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200366953Y1 (ko) 좌석 벨트용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JPH10230817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US20040251364A1 (en) Pretensioner of a seatbelt retractor
JP3032687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4310129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emergency locking mechanism
US20100013292A1 (en) Seat belt retractor
EP1433675A1 (en) A pretensioner of a seatbelt retractor
JP2006088780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WO2009028296A1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