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037A - 발광 표시 장치 및 발광 표시 패널 - Google Patents

발광 표시 장치 및 발광 표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037A
KR20060011037A KR1020040059691A KR20040059691A KR20060011037A KR 20060011037 A KR20060011037 A KR 20060011037A KR 1020040059691 A KR1020040059691 A KR 1020040059691A KR 20040059691 A KR20040059691 A KR 20040059691A KR 20060011037 A KR20060011037 A KR 20060011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ixel
electrically connected
transisto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0138B1 (ko
Inventor
곽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9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138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65Improved aperture ratio, e.g. by size reduction of the pixel circuit, e.g. for improving the pixel density or the maximum displayable luminance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화소 구동 소자에 복수의 발광소자를 공통으로 연결함으로써 배선 및 소자의 수를 감소시켜 개구율과 수율을 증가시키고 설계 시 패널공간의 활용이 용이한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화소는, 애노드로 인가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각각 발광하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고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하는 화소구동부, 및 소스가 화소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턴온되어 화소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달하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복수의 화소 중에서 제1 화소가 아닌 다른 화소에 형성된 발광소자의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애노드, 유기EL, 발광표시장치

Description

발광 표시 장치 및 발광 표시 패널{Light emitting display and light emitting panel}
도 1은 종래의 발광 표시 패널의 화소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EL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EL 표시장치의 화소(110a, 110b, 110c)를 보여주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EL 표시장치의 신호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화소(110a, 110b, 110c)의 배치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배치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제4 도전층인 애노드층을 제외한 배치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배치평면도에서 애노드(R1, R2, G1, G2, B1, B2) 및 애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전극(564a, 565a, 564b, 565b, 564c, 565c)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 물질의 전계 발광(이하, "유기EL"이라 함)을 이용한 유기EL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물질의 전계발광을 이용한 유기EL(Organic Electro Luminescence) 표시장치로서, 행렬 형태로 배열된 N×M 개의 유기 발광셀들을 전압 구동 혹은 전류 구동하여 영상을 표현한다.
이러한 유기 발광셀은 다이오드 특성을 가져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ssion Diode; OLED)로도 불리며, 애노드(ITO), 유기 박막, 캐소드 전극층(금속)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기 박막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좋게 하여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광층(emitting layer, 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을 포함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또한 별도의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EIL)과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HIL)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셀들이 N×M 개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유기 EL 표시패널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셀을 구동하는 방식에는 단순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과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또는 MOSFET를 이용한 능동 구동(active matrix) 방식이 있다. 단순 매트릭스 방식은 양극과 음극을 직교하도록 형성하고 라인을 선택하여 구동하는데 비해, 능동 구동 방식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각 ITO(indium tin oxide) 화소 전극에 연결하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커패시터 용량에 의해 유지된 전압에 따라 구동하는 방식이다.
이하에서, 일반적인 능동 구동 유기EL 표시장치의 화소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화소 회로로서 N×M개의 화소 중 하나, 즉 첫 번째 행과 첫 번째 열에 위치하는 화소를 등가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화소(10)는 세 개의 부화소(10r, 10g, 10b)로 형성되어 있으며, 부화소(10r, 10g, 10b)에는 각각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EL 소자(OLEDr, OLEDg, OLED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화소가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된 구조에서는, 부화소(10r, 10g, 10b)는 각각 별개의 데이터선(D1r, D1g, D1b)과 공통의 주사선(S1)에 연결되어 있다.
적색의 부화소(10r)는 유기EL 소자(OLEDr)를 구동하기 위한 2개의 트랜지스터(M1r, M2r)와 커패시터(C1r)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녹색의 부화소(10g)는 2개의 트랜지스터(M1g, M2g)와 커패시터(C1g)를 포함하며, 청색의 부화소(10b)도 2개의 트랜지스터(M1b, M2b)와 커패시터(C1b)를 포함한다. 이들 부화소(10r, 10g, 10b)의 동작은 모두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하나의 부화소(10r)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원 전압(VDD)과 유기EL 소자(OLEDr)의 애노드 사이에 구동 트랜지스터(M1r)가 연결되어 발광을 위한 전류를 유기EL 소자(OLEDr)에 전달하며, 유기EL 소자(OELDr)의 캐소드는 전원 전압(VDD)보다 낮은 전압(Vss)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M1r)의 전류량은 스위칭 트랜지스터(M2r)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 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커패시터(C1r)가 트랜지스터(M1r)의 소스와 게이트 사이에 연결되어 인가된 전압을 일정 기간 유지한다. 트랜지스터(M2r)의 게이트에는 온/오프 형태의 선택 신호를 전달하는 주사선(S1)이 연결되어 있으며, 소스 측에는 적색 부화소(10r)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선(D1r)이 연결되어 있다.
동작을 살펴보면, 스위칭 트랜지스터(M2r)가 게이트에 인가되는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면, 데이터선(D1r)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VDATA)이 트랜지스터(M1r)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그러면 커패시터(C1r)에 의해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충전된 전압(VGS)에 대응하여 트랜지스터(M1r)에 전류(IOLED)가 흐르고, 이 전류(IOLED )에 대응하여 유기EL 소자(OLEDr)가 발광한다. 이때, 유기EL 소자(OLEDr)에 흐르는 전류(IOLED)는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4033968535-PAT00001
도 1에 도시한 화소 회로에서는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유기EL 소자(OLEDr)에 공급되고, 공급된 전류에 대응하는 휘도로 유기EL 소자(OLEDr)가 발광하게 된다. 이때,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은 소정의 명암 계조를 표현하기 위하여 일정 범위에서 다단계의 값을 갖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기EL 표시 장치는 하나의 화소(10)가 세 개의 부 화소(10r, 10g, 10b)로 이루어지고, 부화소별로 유기EL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가 형성된다. 또한, 부화소별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선 및 전원 전압(VDD)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선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화소를 구동하기 위하여 많은 배선들이 필요하게 되어, 화소 영역 내에 이들 모두를 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화소 영역에서 발광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개구율도 감소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배선들의 수 및 소자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화소회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화소구동부에 복수의 발광소자를 공통으로 연결함으로써 배선 및 소자의 수를 감소시켜 개구율과 수율을 증가시키고 설계 시 패널공간의 활용이 용이한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선택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 및 상기 주사선과 상기 데이터선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화소는, 제1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각각 발광하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 상기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상기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하는 화소구동부; 및 소스가 상기 화소구 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턴온되어 상기 화소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전류를 전달하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복수의 화소 중에서 상기 제1 화소가 아닌 다른 화소에 형성된 발광소자의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발광소자의 제1 전극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각각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연장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의 제1 전극의 연장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2 발광소자의 제1 전극의 연장영역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선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상의 화상을 표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화소구동부는, 제1 내지 제3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간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제3 전극으로 출력하는 제3 트랜지스터;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패시터; 및 상기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상기 커패시터로 전달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선택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 및 상기 주사선과 상기 데이터선 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및 제2 화소 각각은, 제1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 상기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상기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하는 화소구동부; 및 소스가 상기 화소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턴온되어 상기 화소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전류를 전달하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의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제1 화소의 제1 및 제2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의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화소의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제2 화소의 제1 및 제2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의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전극은 적어도 어느 일부가 길게 연장되어 상기 드레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의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제1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제1 화소의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제1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의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제1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제1 화소의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제1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 사이 영역에는 발광소자가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발광 표시 패널은,
제1 전류를 출력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전류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 제1 및 제2 색으로 각각 발광하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제1 화소;
제2 전류를 출력하는 제2 구동부, 상기 제2 전류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3및 제4 트랜지스터, 제3 및 제1 색으로 각각 발광하는 제3 및 제4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제2 화소;
제3 전류를 출력하는 제3 구동부, 상기 제3 전류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 제2 및 제3 색으로 각각 발광하는 제5 및 제6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제3 화소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제1 및 제4 발광소자의 애노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제2 및 제5 발광소자의 애노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제3 및 제6 발광소자의 애노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제2, 제3 화소는 나란히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6 발광소자는 제1, 제2 및 제3 전류 중 어느 하나가 인가되는 제1 내지 제6 애노드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6 애노드는 상기 제1 내지 제6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의 드레인에 접촉되기 위하여 길게 연장되는 연장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4 애노드는 연장영역의 길이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5 애노드는 연장영역의 길이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제2 및 제5 애노드는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6 애노드는 연장영역의 길이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제3 및 제6 애노드의 연장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1, 제2, 제4, 제5 애노드의 연장영역의 길이보다 길 수 있으며, 상기 제3 색은 청색일 수 있다.
상기 발광 표시 패널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선택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주사선;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제2 및 제3 데이터신호를 각각 인가하는 제1, 제2 및 제3 데이터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하고, 제1, 제2 및 제3 구동부는 하나의 주사선에 각각 연결되며, 제1, 제2 및 제3 데이터선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또 다른 발광 표시 패널은,
발광층이 형성될 발광영역 및 상기 발광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길게 연장된 연장영역으로 이루어진 애노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각각 상기 발광층이 발광하는 서로 인접하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 및 제1 및 제2 발광소자의 발광영역과 쌍을 이루어 특정 간격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발광소자의 애노드에 인가될 전류가 출력되는 제1 및 제2 출력전극을 포함하고, 제1 발광소자의 연장영역은 상기 제2 출력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발광소자의 발광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발광영역과 연장영역으로 이루어진 애노드를 포함하는 제3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발광소자의 연장영역은 상기 제1 출력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소자의 연장영역은, 상기 제1 출력전극을 둘러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소자의 연장영역은 상기 제2 발광소자의 발광영역과 상기 제2 출력전극 사이 영역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에 앞서, 주사선에 관한 용어를 정의하면, 현재 선택 신호를 전달하려고 하는 주사선을 “현재 주사선”이라 하고, 현재 선택 신호가 전달되기 전에 선택 신호를 전달한 주사선을 “직전 주사선”이라고 한다. 또한, 현재 주사선의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발광하는 화소을 "현재 화소"이라 하고, 직전 주사선의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발광하는 화소를 "직전 화소"라고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EL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EL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선택 주사구동부(200) 및 발광 주사구동부(300) 및 데이터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선택 주사구동부(200)는 해당 라인의 화소에 데이터 신호가 인가될 수 있도록 해당 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선택주사선(S[1]∼ S[n])으로 전달한다. 발광 주사구동부(300)는 유기EL 소자(OLED1, OLED2)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신호를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발광주사선(E1[i], E2[i])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데이터 구동부(400)는 선택신호가 인가될 때마다 선택신호가 인가된 라인의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데이터선(D[1]∼D[m])은 동일한 색의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다. 예컨대, 선택신호가 인가될 때마다 데이터선(D[1])에는 적색(R)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선(D[2])에는 녹색(G) 데이터가, 데이터선(D[3])에는 청색(B)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다.
표시 패널(100)은 행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선택주사선(S[i]), 복수의 발광주사선(E1[i], E2[i]), 열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선(D[j]), 복수의 전원선(VDD) 및 복수의 화소(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i'는 1부터 n 사이의 임의의 자연수이고, 'j'는 1부터 m 사이의 임의의 자연수이다. 화소(110)는 이웃하는 임의의 두 선택주사선(S[i-1], S[i])과 이웃하는 임의의 두 데이터선(D[j-1], D[j])에 의해 정해지는 화소 영역에 형성되며, 적색(R) 유기EL 소자, 녹색(G) 유기EL 소자 및 청색(B) 유기EL 소자 중 어느 2개의 유기EL 소자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소(110)는 현재 선택주사선(S[i]), 발광주사선(E1[i], E2[i]) 및 데이터선(D[j])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하나의 데이터선(D[j])으로부터 인가된 데이터신호에 기초하여 2개의 유기EL 소자가 시분할적으로 발광하도록 구동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EL 표시 장치는 하나의 화소(110)에서 2개의 유기EL 소자를 시분할적으로 발광시키기 위하여, 2개의 발광주사선(E1[i], E2[i])이 마련되며 각 발광주사선(E1[i], E2[i])에 인가되는 발광신호는 하나의 화소에 포함된 2개의 유기EL 소자가 선택적으로 발광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소(110)는 3 종류의 화소(110a, 110b, 110c)를 포함한다. 화소(110a)는 적색 데이터선(D[1]), 주사선(S[1]), 발광주사선(E1[1], E2[1])에 연결되고 적색 유기EL 소자(OLED_R1) 및 녹색 유기EL 소자(OLED_G1)를 포함한다. 화소(110b)는 녹색 데이터선(D[2]), 주사선(S[1]), 발광주사선(E1[1], E2[1])에 연결되고 청색 유기EL 소자(OLED_B1) 및 적색 유기EL 소자(OLED_R2)를 포함한다. 화소(110c)는 청색 데이터선(D[3]), 주사선(S[1]), 발광주사선(E1[1], E2[1])에 연결되고 녹색 유기EL 소자(OLED_G2) 및 청색 유기EL 소자(OLED_B2)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선택 주사구동부(200), 발광 주사구동부(300)와 데이터 구동부(400)가 각각 표시 패널(100)이 형성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는 달리, 선택 주사구동부(200), 발광 주사구동부(300) 및/또는 데이터 구동부(400)를 표시 패널(100)의 유리 기판 위에 직접 장착할 수도 있으며, 표시 패널(100)의 기판에 선택주사선, 발광주사선, 데이터선 및 트랜지스터와 동일한 층들로 형성되어 있는 구동 회로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는 선택 주사구동부(200), 발광 주사구동부(300) 및/또는 데이터 구동부(400)를 표시 패널(100)의 기판에 접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TCP(tape carrier package),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TAB(tape automatic bonding)에 칩 등의 형태로 장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화소에 포함된 2개의 유기EL 소자 (OLED1, OLED2)를 각각 시분할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프레임이 두 개의 필드로 시분할되어 구동된다. 각 필드마다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데이터가 해당 데이터선을 통하여 기입되어 발광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선택 주사구동부(200)는 필드마다 선택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주사선(S[i])으로 전달하며 발광 주사구동부(300)는 하나의 화소에 포함된 2개의 유기EL 소자 중 어느 하나가 해당 필드 동안에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발광신호를 해당 발광주사선(E1[i], E2[i])에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그리고 데이터 구동부(400)는 필드마다 R, G, B 데이터 신호를 해당 데이터선(D[j])에 각각 인가한다.
아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소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EL 표시장치의 화소(110a, 110b, 110c)를 보여주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행의 주사선(S[1])과 제1, 2, 3 열의 데이터선(D[1], D[2], D[3])에 형성되는 화소 영역의 화소(110a, 110b, 110c)를 대표로 도시하였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광주사선(E1[1], E2[1])에 인가되는 발광신호의 부호도 발광주사선과 동일하게 'E1[1], E2[1]'라고 표시하며 선택주사선(S[1])에 인가되는 선택신호의 부호도 동일하게 'S[1]'라고 표시한다. 또한 화소(110a, 110b, 110c)의 모든 트랜지스터들은 p채널 트랜지스터로 도시하였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화소(110a)는 적색(R)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 (IOLED_R)를 생성하는 화소구동부(111a), 적색 및 녹색의 유기EL 소자(OLED_R1, OLED_G1) 및 화소구동부(111a)에서 생성된 전류(IOLED_R)가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트랜지스터(M3a, M4a)를 포함한다.
유기EL 소자(OLED_R1, OLED_G1)는 애노드에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류가 인가되고 캐소드에는 전원전압(VDD)보다 낮은 기준전압(Vss)이 인가된다. 이러한 전원 전압(Vss)으로는 음의 전압 또는 접지 전압이 사용될 수 있다.
화소구동부(111a)는 선택주사선(S[1]) 및 적색(R)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D[1])에 연결되며 데이터선(D[1])을 통하여 전달되는 적색(R)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류(IOLED_R)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구동부(111a)는 2개의 트랜지스터 및 1개의 커패시터, 즉 트랜지스터(M1a), 트랜지스터(M2a) 및 커패시터(C1a)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트랜지스터(M2a)는 소스가 데이터선(D[1])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선택주사선(S[1])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M1a)는 전원전압(VDD)에 소스가 연결되고 게이트는 트랜지스터(M2a)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커패시터(C1a)가 연결된다.
트랜지스터(M3a)는 소스가 트랜지스터(M1a)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발광주사선(E1[1])에 연결되며 드레인은 적색 유기EL 소자(OLED_R1)의 애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M4a)는 소스가 트랜지스터(M1a)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발광주사선(E2[1])에 연결되며 드레인은 화소(110b) 영역에 배치된 적색 유기EL 소자(OLED_R2)의 애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발광신 호(E1[1])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M3a)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M1a)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즉 적색(R)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류(IOLED_R)는 적색 유기EL 소자(OLED_R1)에 전달된다. 또한 발광신호(E2[1])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M4a)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M1a)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즉 적색(R)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류(IOLED_R)는 화소(110b) 영역에 배치된 적색 유기EL 소자(OLED_R2)에 전달된다.
다음, 화소(110b)는 녹색(G)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IOLED_G)를 생성하는 화소구동부(111b), 청색 및 적색의 유기EL 소자(OLED_B1, OLED_R2) 및 화소구동부(111b)에서 생성된 전류(IOLED_G)가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트랜지스터(M3b, M4b)를 포함한다. 화소(110c)는 청색(B)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IOLED_B)를 생성하는 화소구동부(111c), 녹색 및 청색의 유기EL 소자(OLED_G2, OLED_B2) 및 화소구동부(111c)에서 생성된 전류(IOLED_B)가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트랜지스터(M3c, M4c)를 포함한다. 화소(110b, 110c)의 화소구동부(111b, 111c)는 각각 녹색 및 청색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D[2], D[3])에 각각 연결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화소구동부(111a)와 각각 동일한 연결구조를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트랜지스터(M3b, M4b, M3c, M4c)의 드레인과 유기EL 소자(OLED_G1, OLED_G2, OLED_B1, OLED_B2)의 연결관계에 대하여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트랜지스터(M3b)는 소스가 트랜지스터(M1b)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발광주사선(E1[1])에 연결되며 드레인이 화소(110a) 영역에 배치된 녹색 유기EL 소 자(OLED_G1)의 애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트랜지스터(M4b)는 소스가 트랜지스터(M1b)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발광주사선(E2[1])에 연결되며 드레인은 화소(110c) 영역에 배치된 녹색 유기EL 소자(OLED_G2)의 애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발광신호(E1[1])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M3b)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M1b)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즉 데이터선(D[2])을 통하여 전달되는 녹색(G)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류(IOLED_G)는 화소(110a) 영역에 배치된 녹색 유기EL 소자(OLED_G1)에 전달된다. 발광신호(E2[1])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M4b)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M1b)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즉 녹색(G)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류(IOLED_G)는 화소(110c) 영역에 배치된 녹색 유기EL 소자(OLED_G2)에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M3c)는 소스가 트랜지스터(M1c)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발광주사선(E1[1])에 연결되며 드레인이 화소(110b) 영역에 배치된 청색 유기EL 소자(OLED_B1)의 애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트랜지스터(M4c)는 소스가 트랜지스터(M1c)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발광주사선(E2[1])에 연결되며 드레인이 청색 유기EL 소자(OLED_B2)의 애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발광신호(E1[1])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M3c)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M1c)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즉 데이터선(D[3])을 통하여 전달되는 청색(B)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류(IOLED_B)는 화소(110b) 영역에 배치된 청색 유기EL 소자(OLED_B1)에 전달된다. 발광신호(E2[1])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M4c)는 턴온되어 트랜지스터(M1c)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즉 청색(B)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류(IOLED_B)는 청색 유기EL 소자(OLED_B2)에 전달된다.
아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EL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EL 표시장치의 신호 타이밍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EL 표시장치는 한 프레임이 두 개의 필드(1F, 2F)로 분할되어 구동되며, 각 필드(1F, 2F)에서 선택신호(S[1]∼S[n])가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그리고 필드(1F, 2F)는 행 별로 독립적으로 정의되며, 도 4에서는 첫 번째 행의 선택 주사선(S[1])을 기준으로 두 필드(1F, 2F)를 도시하였으며 첫 번째 행의 선택 주사선(S[1])을 중심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화소(110b, 110c)의 동작은 화소(110a)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화소(110a)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필드(1F)에서, 현재 선택주사선(S[1])에 로우 레벨의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트랜지스터(M2a)가 턴온되어 데이터선(D[1])으로부터 인가된 적색(R) 데이터 전압(Vdata)이 트랜지스터(M1a)의 게이트, 즉 커패시터(C1a)의 일단에 인가된다. 따라서 커패시터(C1a)는 전원전압(VDD)과 데이터 전압(Vdata)의 차에 대응되는 전압, 즉 트랜지스터(M1a)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충전된 전압(VGS)이 충전되고, 트랜지스터(M1a)는 충전된 전압(VGS)에 대응되는 전류(IOLED_R)가 드레인으로 흐른다. 그 다음, 발광신호(E1[1])가 로우레벨이 되면 트랜지스터(M3a)가 턴온되어 트랜지스터(M1a)의 드레인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IOLED_R)가 유기EL 소자(OLED_R1)의 애노드 로 전달되고 이 전류(IOLED_R)에 대응하여 유기EL 소자(OLED_R1)가 발광한다. 이때, 유기EL 소자(OLED_R1)에 흐르는 전류(IOLED_R)는 앞서 설명한 수학식 1과 같다. 한편 제1 필드(1F)에서 발광신호(E1[1])가 로우레벨이 되어 유기EL 소자(OLED_R1)가 발광하는 동안 발광신호(E2[1])는 하이레벨이 유지되어 트랜지스터(M4a)는 턴오프되어 유기EL 소자(OLED_R2)에는 전류(IOLED)가 전달되지 않는다.
제2 필드(2F)에서, 현재 선택주사선(S[1])에 로우 레벨의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제1 필드(1F)와 동일하게 트랜지스터(M2a)가 턴온되어 데이터선(D[1])으로부터 인가된 적색(R) 데이터 전압(Vdata)이 트랜지스터(M1a)의 게이트, 즉 커패시터(C1a)의 일단에 인가된다. 따라서 커패시터(C1a)는 전원전압(VDD)과 데이터 전압(Vdata)의 차에 대응되는 전압, 즉 트랜지스터(M1a)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충전된 전압(VGS)이 충전되고, 트랜지스터(M1a)는 충전된 전압(VGS)에 대응되는 전류(IOLED_R)가 드레인으로 흐른다. 그 다음, 발광신호(E2[1])가 로우레벨이 되면 트랜지스터(M4a)가 턴온되어 트랜지스터(M1a)의 드레인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IOLED_R)가 유기EL 소자(OLED_R2)의 애노드로 전달되고 이 전류(IOLED)에 대응하여 유기EL 소자(OLED_R2)가 발광한다. 한편 제2 필드(2F)에서 발광신호(E2[1])가 로우레벨이 되어 유기EL 소자(OLED_R2)에 전류(IOLED_R)가 전달되는 동안 발광신호(E1[1])는 하이레벨이 유지되어 트랜지스터(M3a)는 턴오프되어 유기EL 소자(OLED_R1)에는 전류(IOLED_R) 가 전달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화소(110b)는 데이터선(D[2])을 통하여 녹색(G) 데이터 전압(Vdata)이 전달되어 전류(IOLED_G)를 생성한다. 제1 필드 동안에, 전류(IOLED_G)는 트랜지스터(M3b)를 통하여 유기EL 소자(OLED_G1)의 애노드에 전달되고 유기EL 소자(OLED_G1)는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제2 필드 동안에, 전류(IOLED_G)는 트랜지스터(M4b)를 통하여 유기EL 소자(OLED_G2)의 애노드에 전달되고 유기EL 소자(OLED_G2)는 발광하게 된다. 화소(110c)는 데이터선(D[3])을 통하여 청색(B) 데이터 전압(Vdata)이 전달되어 전류(IOLED_B)를 생성한다. 제1 필드 동안에, 전류(IOLED_B)는 트랜지스터(M3c)를 통하여 유기EL 소자(OLED_B1)의 애노드에 전달되고 유기EL 소자(OLED_B1)가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제2 필드 동안에, 전류(IOLED_B)는 트랜지스터(M4c)를 통하여 유기EL 소자(OLED_B2)의 애노드에 전달되고 유기EL 소자(OLED_B2)가 발광하게 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화소(110a, 110b, 110c)의 배치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배치평면도이다. 도 5에는 수직적으로 모두 4개의 도전층이 도시되며 도전층과 도전층 사이에는 절연층이 형성된다. 제1 도전층은 반도체층이고, 제2 도전층은 주로 게이트전극을 형성하는 게이트전극층이며, 제3 도전층은 전원선 및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의 연결전극이 형성되는 소스드레인층이고, 제4 도전층은 유기EL 소자의 애노드를 형성하는 애노드층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도체층으로서 다결정 규소층(poly silicon layer)을 사용하며 다결정 규소층의 도핑영역을 특별히 도시 하지는 않았다. 도 5에서, 반도체층은 가장 얇은 두께의 사선으로 내부가 채워지도록 표시되고, 게이트층, 소스드레인층 및 애노드층 순으로 표시된 선의 두께를 두껍게 표시하였다.
도 6은 도 5에서 제4 도전층인 애노드층을 제외한 배치평면도, 즉 다결정 규소층, 게이트층 및 소스드레인층을 도시한 배치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화소(110a. 110b, 110c)가 모두 도시되어 있으나 세 화소는 모두 동일한 배치구조를 가지므로 화소(110a)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다른 두 화소(110b, 110c)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와 같이, 절연 기판(500) 위에 산화 규소 등으로 이루어진 버퍼층(510)이 형성되고, 버퍼층(510) 위에 반도체층인 다결정 규소층(521a, 522a, 523a, 524a, 525a)이 형성된다.
도 6에서와 같이, 다결정 규소층(521a)은 대략 'U' 모양으로 형성되고, 화소(110a)의 스위칭 트랜지스터(M2a)의 소스, 드레인, 채널영역을 형성한다. 다결정 규소층(522a)은 발광영역(OLED_R1)의 제3면을 둘러싸는 'n' 모양으로 형성되고, 커패시터(C1a)의 일전극을 형성한다. 다결정 규소층(523a)은 다결정 규소층(522a)과 일체로 연결되어 길게 연장되어 트랜지스터(M1a)의 소스, 드레인, 채널영역을 형성한다. 다결정 규소층(524a)은 다결정 규소층(523a)으로부터 연장되어 '┏'모양으로 형성되어 트랜지스터(M3a)의 소스, 드레인, 채널영역을 형성한다. 다결정 규소층(525a)은 다결정 규소층(523a)으로부터 연장되어 '┓'모양으로 형성되어 트랜지스 터(M4a)의 소스, 드레인, 채널영역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다결정 규소층(521a, 522a, 523a, 524a, 525a) 위에는 도 7에서와 같이 게이트절연막(530)이 형성된다. 게이트절연막(530) 상에는 선택주사선(S[1], 543), 발광주사선(E1[1], 542), 발광주사선(E2[1], 541) 및 게이트전극(544a)을 포함하는 게이트층이 형성된다.
발광주사선(541)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다결정 규소층(525a)의 채널영역과 교차되어 트랜지스터(M4a)의 게이트전극을 형성한다. 발광주사선(542)은 발광주사선(541)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다결정 규소층(524a)의 채널영역과 교차하여 트랜지스터(M3a)의 게이트전극을 형성한다. 선택주사선(543)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다결정 규소층(521a)의 채널영역과 교차하여 트랜지스터(M2a)의 게이트전극을 형성한다. 게이트전극(544a)은 다결정 규소층(522a)과 중첩되게 형성되어 커패시터(C1a)의 타전극을 형성한다.
도 7에서와 같이, 게이트층(541, 542, 543, 544a) 위에 층간절연막(550)이 형성된다. 층간절연막(550) 위에는 데이터선(561a), 전원전극선(562a) 및 연결전극선(563a, 564a, 565a)을 포함하는 소스메탈층이 형성된다. 데이터선(561a), 전원전극선(562a) 및 연결전극선(563a, 564a, 565a)은 접촉구(551a, 552a, 553a, 554a, 555a, 556a)를 통하여 해당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 표시된 접촉구(551a, 552a, 554a, 555a, 556a)는 층간절연막(550) 및 게이트절연막(530)을 관통하여 다결정 규소층에 닿는 접촉홀이고, '□' 표시가 되어 있는 접촉구(553a)는 층간절연막(550)을 관통하여 게이트층에 닿는 접 촉구이다.
데이터선(561a)은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고 접촉구(551a)를 통하여 다결정 규소층(521a)의 소스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전극선(562a)은 데이터선(561a)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접촉구(554a)를 통하여 다결정 규소층(52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패시터(C1a)의 일단에 전원(VDD)을 공급한다. 연결전극선(563a)은 접촉구(552a)를 통하여 다결정 규소층(521a)의 드레인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촉구(553a)를 통하여 게이트전극(54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전극(563a)를 토하여 트랜지스터(M2a)의 드레인과 커패시터(C1a)의 타단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전극(564a)은 접촉구(555a)를 통하여 다결정 규소층(524a)의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전극(565a)은 접촉구(556a)를 통하여 다결정 규소층(525a)의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7에서와 같이, 데이터선(561a), 전원전극선(562a), 연결전극선(563a, 564a, 565a) 위에는 평탄화막(57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7에는 도시되는 않았지만 평탄화막(570) 상에는 애노드(R1, R2, G1, G2, B1, B2)를 포함하는 애노드층이 형성된다. 즉, 도 6에서 연결전극(564a, 565a)은 평탄화막(570)을 관통하는 접촉구(571a, 572a)를 통하여 유기EL 소자(OLED_R1, OLED_R2)의 애노드(R1, R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화소(110b) 영역에 형성되는 연결전극(564b, 565b)은 평탄화막(570)을 관통하는 접촉구(571b, 572b)를 통하여 유기EL 소자(OLED_G1, OLED_G2)의 애노드(G1, G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 화소(110c) 영역에 형성되는 연결전극(564c, 565c)은 평탄화막 (570)을 관통하는 접촉구(571c, 572c)를 통하여 유기EL 소자(OLED_B1, OLED_B2)의 애노드(B1, B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은 도 5의 배치평면도에서 애노드(R1, R2, G1, G2, B1, B2) 및 애노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전극(564a, 565a, 564b, 565b, 564c, 565c)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110a)에는 적색 유기EL 소자(OLED_R1)의 애노드(R1)와 녹색 유기EL 소자(OLED_G1)의 애노드(G1)가 배치되고, 화소(110b)에는 청색 유기EL 소자(OLED_B1)의 애노드(B1)와 적색 유기EL 소자(OLED_R2)의 애노드(R2)가 배치되며, 화소(110c)에는 녹색 유기EL 소자(OLED_G2)의 애노드(G2)와 청색 유기EL 소자(OLED_B2)의 애노드(B2)가 배치된다.
화소(110a)에 배치되는 적색 유기EL 소자(OLED_R1)의 애노드(R1)는 적색 유기EL 소자(OLED_R1)의 발광층이 형성되는 발광영역(R11)과, 접촉구(571a)를 통하여 트랜지스터(M3a)의 드레인에 연결된 연결전극(564a)과 연결되는 연결영역(R12)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화소(110b)에 배치되는 적색 유기EL 소자(OLED_R2)의 애노드(R2)는 적색 유기EL 소자(OLED_R2)의 발광층이 형성되는 발광영역(R21)과, 접촉구(572a)를 통하여 트랜지스터(M4a)의 드레인에 연결된 연결전극(565a)과 연결되는 연결영역(R22)을 포함한다. 연결영역(R12)의 연장길이(L_R12)는 연결영역(R22)의 연장길이(L_R22)와 동일하다.
다음, 화소(110a)에 배치되는 녹색 유기EL 소자(OLED_G1)의 애노드(G1)는 녹색 유기EL 소자(OLED_G1)의 발광층이 형성되는 발광영역(G11)과, 접촉구(571b)를 통하여 트랜지스터(M3b)의 드레인에 연결된 연결전극(564b)과 연결되는 연결영역(G12)을 포함한다. 연결영역(G12)은 연결전극(565a)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화소(110c)에 배치되는 녹색 유기EL 소자(OLED_G2)의 애노드(G2)는 녹색 유기EL 소자(OLED_G2)의 발광층이 형성되는 발광영역(G21)과, 접촉구(572b)를 통하여 트랜지스터(M4b)의 드레인에 연결된 연결전극(565b)과 연결되는 연결영역(G22)을 포함한다. 연결영역(G12)의 연장길이(L_G12)는 연결영역(G22)의 연장길이(L_G22)와 동일하다.
또 화소(110b)에 배치되는 청색 유기EL 소자(OLED_B1)의 애노드(B1)는 청색 유기EL 소자(OLED_B1)의 발광층이 형성되는 발광영역(B11)과, 접촉구(571c)를 통하여 트랜지스터(M3c)의 드레인에 연결된 연결전극(564c)과 연결되는 연결영역(B12)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화소(110c)에 배치되는 청색 유기EL 소자(OLED_B2)의 애노드(B2)는 청색 유기EL 소자(OLED_B2)의 발광층이 형성되는 발광영역(B21)과, 접촉구(572c)를 통하여 트랜지스터(M4c)의 드레인에 연결된 연결전극(565c)과 연결되는 연결영역(B22)을 포함한다. 연결영역(B12)의 연장길이(L_B12)는 연결영역(B22)의 연장길이(L_B2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나의 화소구동부에서 생성된 전류가 동일한 색상의 유기EL 소자에 인가될 수 있도록 유기EL 소자의 애노드를 연장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개구율의 감소없이 소자들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색상의 2개의 유기EL 소자는 연장되는 애노드의 길이가 동일하므로, 화소구동부에서 생성된 전류가 전달될 때 동일한 저항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 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필드동안에 R, G, B 유기EL 소자가 각각 발광된다. 또한, 각 화소의 화소구동부는 동일한 색상의 유기EL 소자를 구동하기 때문에 각각 색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화소구동부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상의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화소구동부에서 생성된 전류가 동일한 색상의 유기EL 소자에 인가될 수 있도록 유기EL 소자의 애노드를 연장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개구율의 감소 없이 소자들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색상의 2개의 유기EL 소자는 연장되는 애노드의 길이를 동일하므로, 화소구동부에서 생성된 전류가 전달될 때 동일한 저항값을 갖는다.

Claims (24)

  1. 선택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 및 상기 주사선과 상기 데이터선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는,
    제1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각각 발광하는 적어도 두 개의 발광소자;
    상기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상기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하는 화소구동부; 및
    소스가 상기 화소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턴온되어 상기 화소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전류를 전달하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복수의 화소 중에서 상기 제1 화소가 아닌 다른 화소에 형성된 발광소자의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발광소자의 제1 전극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연장 영역을 각각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발광소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상으로 발광하는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의 제1 전극의 연장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의 제1 전극의 연장영역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발광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상의 화상을 표시하는 신호인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구동부는
    제1 내지 제3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간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제3 전극으로 출력하는 제3 트랜지스터;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패시터; 및
    상기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상기 커패시터로 전달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7. 선택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 및 상기 주사선과 상기 데이터선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화소 각각은,
    제1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
    상기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상기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하는 화소구동부; 및
    소스가 상기 화소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턴온되어 상기 화소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전류를 전달하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의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제1 화소의 제1 및 제2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의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화소의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제2 화소의 제1 및 제2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의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적어도 어느 일부가 길게 연장되어 상기 드레인에 연결되는 발광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의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제1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제1 화소의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제1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상으로 발광하는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의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제1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제1 화소의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제1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 사이 영역에는 발광소자가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발광 표시 장치.
  11. 제1 전류를 출력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전류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 제1 및 제2 색으로 각각 발광하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제1 화소;
    제2 전류를 출력하는 제2 구동부, 상기 제2 전류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3및 제4 트랜지스터, 제3 및 제1 색으로 각각 발광하는 제3 및 제4 발광소자가 배치 되는 제2 화소;
    제3 전류를 출력하는 제3 구동부, 상기 제3 전류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 제2 및 제3 색으로 각각 발광하는 제5 및 제6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제3 화소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제1 및 제4 발광소자의 애노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제2 및 제5 발광소자의 애노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제3 및 제6 발광소자의 애노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표시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화소는 나란히 인접하는 발광 표시 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6 발광소자는 제1, 제2 및 제3 전류 중 어느 하나가 인가되는 제1 내지 제6 애노드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6 애노드는 상기 제1 내지 제6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의 드레인에 접촉되기 위하여 길게 연장되는 연장영역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패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4 애노드는 연장영역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발광 표시 패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5 애노드는 연장영역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발광 표시 패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5 애노드는 서로 대칭되는 발광 표시 패널.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6 애노드는 연장영역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발광 표시 패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6 애노드의 연장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1, 제2, 제4, 제5 애노드의 연장영역의 길이보다 긴 발광 표시 패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색은 청색인 발광 표시 패널.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표시 패널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선택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주사선;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제2 및 제3 데이터신호를 각각 인가하는 제1, 제2 및 제3 데이터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하고,
    제1, 제2 및 제3 구동부는 하나의 주사선에 각각 연결되며, 제1, 제2 및 제3 데이터선에 각각 연결되는 발광 표시 패널.
  21. 발광층이 형성될 발광영역 및 상기 발광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길게 연장된 연장영역으로 이루어진 애노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각각 상기 발광층이 발광하는 서로 인접하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 및
    제1 및 제2 발광소자의 발광영역과 쌍을 이루어 특정 간격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발광소자의 애노드에 인가될 전류가 출력되는 제1 및 제2 출력전극을 포함하고,
    제1 발광소자의 연장영역은 상기 제2 출력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표시 패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소자의 발광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발광영역과 연장영역으로 이루어진 애노드를 포함하는 제3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발광소자의 연장영역은 상기 제1 출력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표시 패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소자의 연장영역은, 상기 제1 출력전극을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발광 표시 패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소자의 연장영역은 상기 제2 발광소자의 발광영역과 상기 제2 출력전극 사이 영역을 지나 연장되는 발광 표시 패널.
KR1020040059691A 2004-07-29 2004-07-29 발광 표시 장치 및 발광 표시 패널 KR100670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691A KR100670138B1 (ko) 2004-07-29 2004-07-29 발광 표시 장치 및 발광 표시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691A KR100670138B1 (ko) 2004-07-29 2004-07-29 발광 표시 장치 및 발광 표시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037A true KR20060011037A (ko) 2006-02-03
KR100670138B1 KR100670138B1 (ko) 2007-01-16

Family

ID=3712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691A KR100670138B1 (ko) 2004-07-29 2004-07-29 발광 표시 장치 및 발광 표시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1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625A (ko) * 2013-11-05 2015-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38912A (ko) * 2014-09-30 2016-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패널 및 이의 표시장치
CN112753063A (zh) * 2018-10-01 2021-05-04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12753063B (zh) * 2018-10-01 2024-05-24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7797B2 (ja) * 2001-01-09 2006-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有機led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3953383B2 (ja) * 2002-08-07 2007-08-08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および駆動方法
JP2004086051A (ja) 2002-08-28 2004-03-18 Sanyo Electric Co Ltd マトリクス駆動型ディスプレイ
JP2004126285A (ja) 2002-10-03 2004-04-22 Pioneer Electronic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発光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625A (ko) * 2013-11-05 2015-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38912A (ko) * 2014-09-30 2016-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패널 및 이의 표시장치
KR20230008684A (ko) * 2014-09-30 2023-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패널 및 이의 표시장치
CN112753063A (zh) * 2018-10-01 2021-05-04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12753063B (zh) * 2018-10-01 2024-05-24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0138B1 (ko) 200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068B1 (ko) 발광 표시 장치와, 그 표시 패널 및 화소 회로
KR100578842B1 (ko)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패널과 구동 방법
US8076674B2 (en) Display device
KR100612392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발광 표시 패널
KR100560445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570781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와 그 표시 패널 및 구동 방법
KR100649253B1 (ko) 발광 표시 장치와, 그 표시 패널 및 구동 방법
KR100578841B1 (ko) 발광 표시 장치와, 그 표시 패널 및 구동 방법
JP4776328B2 (ja) 発光表示パネル,発光表示装置および発光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560450B1 (ko) 발광 표시 패널 및 발광 표시 장치
KR100560452B1 (ko) 발광 표시 패널 및 발광 표시 장치
KR100560449B1 (ko) 발광 표시 패널 및 발광 표시 장치
KR100670138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발광 표시 패널
KR100658615B1 (ko) 발광 표시 패널 및 발광 표시 장치
KR100670139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발광 표시 패널
WO2020237470A1 (zh) 阵列基板以及显示装置
KR100637432B1 (ko) 발광 표시 장치
KR100590065B1 (ko) 발광 표시 장치, 발광 표시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570763B1 (ko) 발광 표시 패널 및 발광 표시 장치
KR100627266B1 (ko) 발광 표시 패널 및 발광 표시 장치
KR100570762B1 (ko) 발광 표시 장치
KR100599606B1 (ko) 발광 표시 장치
KR100560451B1 (ko)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