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987A -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987A
KR20060009987A KR1020040058529A KR20040058529A KR20060009987A KR 20060009987 A KR20060009987 A KR 20060009987A KR 1020040058529 A KR1020040058529 A KR 1020040058529A KR 20040058529 A KR20040058529 A KR 20040058529A KR 20060009987 A KR20060009987 A KR 20060009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circumferential surface
molding member
outer circumferential
roll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승희
Original Assignee
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승희 filed Critical 천승희
Priority to KR102004005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9987A/ko
Publication of KR20060009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32Producing rolling bodies, e.g. rollers, wheels, pulleys or pi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도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구름접촉되어 도어 개폐에 사용되는 행거롤러에 있어서, 중앙에 축공이 뚫린 내륜과 외주면상에 축선방향으로 수개의 요철돌기가 형성된 외륜의 중간 공간부에 베어링이 내장된 금속재질의 롤러본체와, 상기 롤러본체의 외주면상에 내주면이 접착되고 외주면상에는 수개의 요철돌기가 형성되도록 난연 및 내열강화성 제1성형재료를 일체로 사출성형되게 하여 금속재질의 롤로본체에서 발생된 고열에도 탈리되지 않는 제1성형부재와, 상기 제1성형부재의 외주면상에 내주면이 접착되고 외주면상에는 양측 플랜지로부터 중심으로 향하면서 작은 폭의 경사면을 갖는 외광내협의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윤활성 제2성형재료를 일체로 사출성형되게 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이 요홈부에 수용되어 구름작동시 부드럽게 접촉되어 접촉소음이 적고 마모율이 좋은 제2성형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제1성형부재는 내열강화성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으로서 롤러본체로부터 발생되는 고열로 인해 탈리되는 바가 없이 견고하게 접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Hanger roller of doubl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이중재료 행거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이중재료 행거롤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I-I`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이중재료 행거롤러가 사출성형되는 제1차사출금형장치의 일부 금형에 롤러본체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롤러본체의 외주면에 제1성형부재가 사출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제2차사출금형장치에 고정된 제1성형부재의 외주면에 제2성형부재가 일체로 사출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이중재료 행거롤러 제조공정을 간략하게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이중재료 행거롤러 2. 가이드레일
10. 롤러본체 11. 축공
12. 내륜 13. 외륜
14. 요철돌기 15. 베어링
20. 제1성형부재 21. 내주면
22. 외주면 23. 요철돌기
30. 제2성형부재 31. 플랜지
32. 요홈부 60. 제1차사출성형장치
61. 고정축 62. 제1성형재료 투입 안내홈
63. 제1성형부재금형 64. 투입공
70. 제2차사출성형장치 71. 고정축
72. 제2성형재료 투입 안내홈 73. 제2성형부재금형
74. 투입공









본 발명은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엘리베이터 도어 등과 같은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품으로 금속재인 롤러본체에 접착되는 부분에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제1성형부재는 반복되는 도어 개폐 작동에 의해 내장된 베어링이 구름접촉됨에 따라 금속재인 롤러본체로부터 발생되는 고열로 인해 탈리되는 바가 없이 견고하게 접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난연 및 내열강화성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제1성형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제2성형부재는 부드럽게 접촉되어 접촉소음이 적고 마모율이 좋도록 윤활성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등의 도어에 사용되는 행거롤러(도시 안함)는 금속재로 선반 가공되어 내륜과 외륜 사이에 베어링이 내삽된 롤러본체의 가이드레일이 접촉되는 외주면상에 우레탄 등의 연성의 합성수지재가 코팅되어 상기 외주면상에 수용되어 접촉되는 가이드레일에 의한 동력 전달에 의해 회전 작동됨으로서 엘리베이터 등의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행어롤러(도시 안함)는 금속재로 형성됨에 따라 무게가 무겁고, 생산성이 떨어져 가공비가 많이 소요되고, 또한, 가이드레일과 접촉되어 구름작동되는 외주면상에 코팅된 연질의 합성수지재가 가이드레일과 반복되는 접촉에 의해 쉽게 마모되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접촉소음발생 및 사용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한 종래의 행어롤러(도시 안함)로 베어링이 내삽된 롤러본체만 금속재로 사용하고 롤러본체 외주면에는 가이드레일과의 접촉에 따른 소음발생 및 마모가 개선되도록 우레탄 등의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사출성형된 가이드부가 형성된 행어롤러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등의 도어의 개폐에 사용되는 행어롤러로서는 반복적인 도어 개폐에 따라 금속재인 롤러본체 자체에서 발생되는 고열과, 무거운 하중에 대응하여 우레탄 등의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가이드부로는 금속재인 행어롤러와의 접착을 견고하게 유지하지 못하고, 결국 고열과 고하중에 의해 탈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상기 연성의 합성수지재된 가이드부가 가이드레일과의 마찰에 따른 외주면의 마모로 사용수명을 다하여 새 롤러로 교체되기 이전에 상기와 같이 반복적인 회전으로 고열이 발생되는 금속재로된 롤러본체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이 고열 및 고하중에 의해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접착면을 이루는 제1성형부재는 롤러본체로부터 발생되는 고열로 인해 탈리되는 바가 없이 견고하게 접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난연 및 내열강화성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제1성형 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내주면은 보다 견고한 접착면을 이루고 외주면은 도어 개폐를 위한 동력가동에 따라 작동되는 가이드레일과 구름접촉되는 제2성형부재는 부드럽게 접촉되어 접촉소음이 적고 마모율이 좋도록 윤활성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금속재인 롤러본체와 난연 및 내연강화성 경질의 합성수지재인 제1성형부재가 상호 접착면을 이루게됨으로서 고열 및 고하중에도 탈리되지 않도록 하고, 경질의 합성수지재인 제1성형부재와 연질의 합성수지재인 제2성형부재가 접착면을 이루게됨으로서 종래의 연질의 합성수지부재가 직접 금속재와 접착면을 이루는 것 보다 견고하게 부착되고 경질의 제1성형부재가 롤로본체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을 완충하고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 등의 작동에 따른 강한 하중에는 연질의 제1성형부재가 1차로 완충하고 그 후 경질의 제2성형부재가 하중을 분산하도록 이중재료 행거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의 일례로서, 다음의 구성과 효과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재료 행거롤러 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구름접촉되어 도어 개폐에 사용되는 행거롤러에 있어서, 중앙에 축공이 뚫린 내륜과 외주면상에 축선방향으로 수개의 요철돌기가 형성된 외륜의 중간 공간부에 베어링이 내장된 금속재질의 롤러본체 와, 상기 롤러본체의 외주면상에 내주면이 접착되고 외주면상에는 수개의 요철돌기가 형성되도록 난연 및 내열강화성 제1성형재료를 일체로 사출성형되게 하여 금속재질의 롤로본체에서 발생된 고열에도 탈리되지 않는 제1성형부재와, 상기 제1성형부재의 외주면상에 내주면이 접착되고 외주면상에는 양측 플랜지로부터 중심으로 향하면서 작은 폭의 경사면을 갖는 외광내협의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윤활성 제2성형재료를 일체로 사출성형되게 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이 요홈부에 수용되어 구름작동시 부드럽게 접촉되어 접촉소음이 적고 마모율이 좋은 제2성형부재를 포함하여 성형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재료 행거롤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롤러본체의 축공을 제1차사출성형장치의 고정축에 삽입한 후 용융된 내열강화성 제1성형재료가 내주면은 롤러본체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고 외주면은 수개의 요철돌기가 형성되도록 금형된 제1성형부재금형의 내부로 투입되어 원통형상의 제1성형부재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제1차성형공정과, 상기 제1차성형공정에 의해 롤러본체의 외주면 둘레에 일체로 사출성형된 제1성형부재 내측의 롤러본체 축공을 제2차사출성형장치의 고정축에 삽입한 후 용융된 윤활성 제2성형재료가 내주면은 제1성형부재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고 외주면상에는 양측 플랜지로부터 중심으로 향하면서 작은 폭의 경사면을 갖는 외광내협의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금형된 제2성형부재금형의 내부로 투입되어 원통형상의 제2성형부재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제2차성형공정을 포함하여 생산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 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이중재료 행거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이중재료 행거롤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I-I`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재료 행거롤러를 설명하면, 엘리베이터 도어(도시 안함)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과 구름접촉되어 도어 개폐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재료 행거롤러(1)는 금속재질의 롤러본체(10)의 수개의 요철돌기(14)가 형성된 외주면상에 난연 및 내열강화성 제1성형재료로 일체로 1차 사출성형된 제1성형부재(20)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본체(10)의 외주면상에 사출성형된 제1성형부재(20)의 외주면(22)상에는 윤활성 제2성형재료로 일체로 2차 사출성형된 제2성형부재(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본체(10)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수개의 요철돌기(14)는 동전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소정 간격의 요홈(도시 안함)과 같은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난연 및 내열강화성 제1성형재료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내열성이 강하고, 강한 하중에도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25%의 유리섬유(Glass Fiber)가 배합된 나일론(Nylon)을 원재료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윤활성 제2성형재료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접촉소음이 적고 마모율이 좋도록 연질의 고무성분이 함유된 수지를 원재료로 할 수 있다.
상기 롤러본체(10)는 중앙에 축공(11)이 뚫린 내륜(12)과 외주면상에 축선방 향으로 수개의 요철돌기(14)가 형성된 외륜(13)과의 공간부에 베어링(15)이 내장되어 상기 축공(11)을 중심으로 엘리베이터 도어 등의 개폐에 따라 반복적으로 회전 작동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반복적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롤러본체(10)는 금속재로된 특성상 고열이 발생된다.
상기 제1성형부재(20)는 상기 금속재로된 롤러본체(10)의 외주면상에 열경화성 제1성형재료로 일체로 사출성형됨으로서 제1성형부재의 내주면(21)이 롤러본체(10)의 외주면상에 접착된다. 이때, 열경화성 제1성형재료의 특성상 상기 제1성형부재(20)는 상기 금속재질의 롤로본체(10)에서 발생되는 고열에 탈리되지 않으며, 강한 하중에도 탈리됨이 없이 견고한 접착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본체(10)의 외주면상에 접착되는 제1성형부재(20)의 내주면(21)의 폭은 상기 롤러본체(10)의 외주면과 동일하거나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성형부재(20)의 외주면(22)상에는 수개의 요철돌기(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성형부재(20)의 외주면(22)상에 상기 윤활성 제2성형재질로된 제2성형부재(30)가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즉, 종래기술과 같이 연질의 윤활성 합성수지재로된 제2성형부재(30)의 내주면이 금속재질의 롤러본체(10)에 직접 접착되지 않고, 금속재질이 아닌 경질의 합성수지재인 제1성형부재(20)의 외주면(22)과 접착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강한 하중에도 탈리되지 않으며, 금속재질의 롤로본체(10)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열에 약한 연질의 윤활성 합성수지재로된 제2성형부재(30)에는 전달되지 않아 결국 고열에 의 한 탈리도 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2성형부재(30)의 외주면상에는 양측 플랜지(31)로부터 중심으로 향하면서 작은 폭의 경사면을 갖는 외광내협의 요홈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3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체가 연질의 윤활성 합성수지재로 상기 가이드레일(2)이 수용 접촉되어 구름작동시 부드럽게 접촉되어 접촉소음이 적고 마모율이 좋다.
도4는 본 발명의 이중재료 행거롤러가 사출성형되는 제1차사출금형장치의 일부 금형에 롤러본체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롤러본체의 외주면 둘레에 제1성형부재가 제1차성형공정으로 일체로 사출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도5의 롤러본체의 외주면 둘레에 일체로 사출성형된 제1성형부재가 제2차사출금형장치의 일부 금형에 지지되어 제2차성형공정으로 제2성형부재가 일체로 사출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이중재료 행거롤러 제조공정을 보인 설명도이다.
이하,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재료 행거롤러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면, 상기 금속재질의 롤러본체(10)는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절삭가공 또는 프레스가공 등으로 가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공공정과 상기 제1성형부재(20) 및 제2성형부재(30)를 사출성형하는 사출성형장치(60, 70)는 공지기술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제1성형부재(20)를 사출성형하는 1차사출성형장치(60)의 호퍼(hopper)(도시 안함)에는 난연 및 내열강화성 제1성형재료가, 상기 제2성형부재(30)를 사출성형하는 2차사출성형장치(70)의 호퍼에는 윤활성 제2성형재료가 공급 된 상태로 가정하여 상기 제1성형부재(20) 및 제2성형부재(30)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공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1차사출성형장치(60)로 제1성형부재(20)를 사출성형하는 제1차성형단계를 설명하면, 우선, 제1성형부재(20)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1차사출성형장치(60)의 고정축(61)에 롤러본체(10)의 축공(11)을 삽입 고정한다.(S110)
그 후, 1차사출성형장치(60)를 작동시키면 서로 이격된 상태의 제1성형부재금형(63)이 서로 밀착되어 밀봉되고 상기 호퍼에 저장된 제1성형재료는 분사장치(도시 안함)에 의해 가열장치(도시 안함)로 분사되어 용융된 후 제1성형재료 투입 안내홈(62)을 따라 제1성형부재금형(63)에 일정 간격으로 통공된 3개의 투입공(64)을 통해 상기 롤러본체가 삽입 고정된 제1성형부재금형에 투입된다.(S111)
상기 용융 투입된 제1성형재료에 의해 롤러본체(1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고 외주면(22)상에 수개의 요철돌기(23)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1성형부재(20)가 일체로 사출성형된 후, 일측에 구비된 수냉식 냉각장치(도시 안함)에 의해 약 10초간 냉각된다. 상기와 같이 수냉식 냉각이 끝난 후 상기 밀봉된 제1성형부재금형(63)이 열려 이격된다.(S112)
그 후, 상기 제1성형부재(20)는 1차사출성형장치(60)에서 분리된다.(S113) 이때, 상기 분리된 제1성형부재(20)는 상온 상태에서 십여초간 자연 냉각될 수 있다.
다음으로 2차사출성형장치(70)로 제2성형부재(30)를 사출성형하는 제2차성형단계를 설명하면, 상기 제1차성형단계에 의해 외주면 둘레에 제1성형부재(20)가 일 체로 사출성형된 롤러본체(10)의 축공(11)을 제2차사출성형장치(70)의 고정축(71)에 삽입 고정한다.(S120)
그 후, 2차사출성형장치(70)를 작동시키면 제2성형부재금형(73)이 서로 밀착되어 밀봉되고 상기 호퍼에 저장된 제2성형재료는 분사장치(도시 안함)에 의해 가열장치(도시 안함)로 분사되어 용융된 후 제2성형재료 투입 안내홈(72)을 따라 제2성형부재금형(73)에 일정 간격으로 통공된 3개의 투입공(74)을 통해 상기 제1성형부재(20)가 삽입 고정된 제2성형부재금형(73)에 투입된다.(S121)
상기 용융 투입된 제2성형재료에 의해 제1성형부재(20)의 외주면(22) 둘레를 감싸고 외주면상에는 양측 플랜지(31)로부터 중심으로 향할수록 작은 폭의 경사면을 갖는 외광내협의 요홈부(32)가 형성된 제2성형부재(30)가 일체로 사출성형된 후, 일측에 구비된 수냉식 냉각장치(도시 안함)에 의해 약 10초간 냉각된다. 상기와 같이 수냉식 냉각이 끝난 후 상기 밀봉된 제2성형부재금형(73)이 열려 이격된다.(S122)
그 후, 상기 제2성형부재(30) 즉, 본발명에 따른 이중재료 행거롤러(1)는 2차사출성형장치(70)에서 분리된다.(S123) 이때, 상기 분리된 본발명에 따른 이중재료 행거롤러(1)는 상온 상태에서 십여초간 자연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차사출성형장치(60)와 제2차사출성형장치(70)는 상기 제1차성형단계와 제2차성형단계가 동시에 하나의 성형장치로 사출성형 공정이 가능한 구조의 이중사출성형장치(도시 안함)로 대체되어 본발명에 따른 이중재료 행거롤러(1)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제1성형부재는 난연 및 내열강화성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으로서 롤러본체로부터 발생되는 고열로 인해 탈리되는 바가 없이 견고하게 접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로 제1성형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2차 사출성형되는 제2성형부재는 상기 제1성형부재의 재료보다는 저가인 윤활성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으로서 가이드레일과 구름접촉되는 외주면에서의 접촉소음이 적고 마모율이 좋다.
또 다른 효과는 연질의 제2성형부재에 강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그 하중이 내측에 일체로 1차 사출성형된 경질의 제1성형부재에 그 하중이 분산되기 때문에 뒤틀림 및 탈리가 되지 않아 종래의 행거롤러와 비교하여 내구성이 월등하게 좋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 도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구름접촉되어 도어 개폐에 사용되는 행거롤러에 있어서,
    중앙에 축공이 뚫린 내륜과 외주면상에 축선방향으로 수개의 요철돌기가 형성된 외륜의 중간 공간부에 베어링이 내장된 금속재질의 롤러본체와,
    상기 롤러본체의 외주면상에 내주면이 접착되고 외주면상에는 수개의 요철돌기가 형성되도록 난연 및 내열강화성 제1성형재료를 일체로 사출성형되게 하여 금속재질의 롤로본체에서 발생된 고열에도 탈리되지 않는 제1성형부재와,
    상기 제1성형부재의 외주면상에 내주면이 접착되고 외주면상에는 양측 플랜지로부터 중심으로 향하면서 작은 폭의 경사면을 갖는 외광내협의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윤활성 제2성형재료를 일체로 사출성형되게 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이 요홈부에 수용되어 구름작동시 부드럽게 접촉되어 접촉소음이 적고 마모율이 좋은 제2성형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재료 행거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형부재는 내충격성이 좋고 내열강화를 위해 25%의 유리섬유(Glass Fiber)가 배합된 나일론(Nylon)수지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재료 행거롤러.
  3. 롤러본체의 축공을 제1차사출성형장치의 고정축에 삽입한 후 용융된 내열강 화성 제1성형재료가 내주면은 롤러본체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고 외주면은 수개의 요철돌기가 형성되도록 금형된 제1성형부재금형의 내부로 투입되어 원통형상의 제1성형부재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제1차성형공정과,
    상기 제1차성형공정에 의해 롤러본체의 외주면 둘레에 일체로 사출성형된 제1성형부재 내측의 롤러본체 축공을 제2차사출성형장치의 고정축에 삽입한 후 용융된 윤활성 제2성형재료가 내주면은 제1성형부재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고 외주면상에는 양측 플랜지로부터 중심으로 향하면서 작은 폭의 경사면을 갖는 외광내협의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금형된 제2성형부재금형의 내부로 투입되어 원통형상의 제2성형부재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제2차성형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재료 행거롤러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성형부재금형에 투입되어 사출성형되는 제1성형재료와 제2성형재료는 각각 제1, 제2성형부재금형의 중앙부에 일정 간격으로 3개가 통공된 투입공을 통해 투입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재료 행거롤러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또는 제2차사출금형장치 내부에 투입된 상기 제1성형부재와 제2성형부재는 각각 냉각장치에 의해 십여초간 냉각되는 냉각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재료 행거롤러의 제조방법.
KR1020040058529A 2004-07-27 2004-07-27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099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529A KR20060009987A (ko) 2004-07-27 2004-07-27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529A KR20060009987A (ko) 2004-07-27 2004-07-27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987A true KR20060009987A (ko) 2006-02-02

Family

ID=3712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529A KR20060009987A (ko) 2004-07-27 2004-07-27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998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14B1 (ko) * 2006-10-26 2008-05-27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건설용 리프트용 우레탄 재질의 가이드롤러 및 그 제조방법
CN102756962A (zh) * 2012-06-29 2012-10-31 淄博瞳鸣机械有限公司 一种吊笼滚轮机构
CN104291182A (zh) * 2014-10-27 2015-01-21 常州市武进长江滚针轴承有限公司 电梯导向轮
KR20210112934A (ko) * 2020-03-06 2021-09-15 부산신항국제터미널 주식회사 행거 롤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14B1 (ko) * 2006-10-26 2008-05-27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건설용 리프트용 우레탄 재질의 가이드롤러 및 그 제조방법
CN102756962A (zh) * 2012-06-29 2012-10-31 淄博瞳鸣机械有限公司 一种吊笼滚轮机构
CN104291182A (zh) * 2014-10-27 2015-01-21 常州市武进长江滚针轴承有限公司 电梯导向轮
KR20210112934A (ko) * 2020-03-06 2021-09-15 부산신항국제터미널 주식회사 행거 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5748B2 (en) Method of molding a resin coated bearing, method of manufacturing a resin coated bearing, and a resin coated bearing molded by the molding method
US7406891B2 (en) Injection molded resin gear and injection molded resin rotating body
GB2121508A (en) Drive-belts having trapezoidal cross section
JP2002301742A (ja) 樹脂製リングの射出成形方法
TW200712196A (en) Lubricant composition and article, disk molding stamper, disk molding apparatus, disk forming method, method of forming lubrication coating
CN105637247A (zh) 摩擦接合元件、干式离合器以及摩擦接合元件的制造方法
KR20130053547A (ko) 엘리베이터용 이중사출롤러
KR20180117542A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피복층이 부착된 구조체, 베어링 및 구동 모듈
US8418368B2 (en) Bearing assembly with elastomeric sleeve element
KR20060009987A (ko)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CA2525078A1 (en) A gate cooling structure in a molding stack
CN117028404A (zh) 轴承以及驱动模块
FR2776561B1 (fr) Jante de galet ou de roulette realisee par moulage sur la bague exterieure d'un roulement
KR20060084179A (ko) 엘리베이터용 행어롤러 및 그 제조방법
JP7265431B2 (ja) 構造体
KR200452274Y1 (ko) 엘리베이터도어용 행거롤러
WO200701559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pherical bearing assembly
JPH1071621A (ja) 複合部材
JP3688963B2 (ja) 樹脂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装置
KR200391523Y1 (ko)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KR20090062420A (ko) 엘리베이터도어용 행거롤러
JP4154986B2 (ja) 樹脂製プーリ
JP2011075000A (ja) 合成樹脂製プーリ
JP2002039174A (ja) 転がり案内装置
JPS61163821A (ja) Vベルト式自動変速機用ウエイ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