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615A -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615A
KR20060009615A KR1020040058272A KR20040058272A KR20060009615A KR 20060009615 A KR20060009615 A KR 20060009615A KR 1020040058272 A KR1020040058272 A KR 1020040058272A KR 20040058272 A KR20040058272 A KR 20040058272A KR 20060009615 A KR20060009615 A KR 20060009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58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9615A/ko
Publication of KR2006000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통화수신 또는 음성, 문자 등의 부가 서비스 수신 등을 모터의 진동으로 감지할 경우, 모터의 회전 방향을 일정 주기로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일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하여 단말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진동모터; 및 상기 착신 감지부에 의해 착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수신모드가 진동모드인지를 확인하고, 진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진동모터에 양방향 회전을 위한 신호를 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진동모터, 제어부, 착신 감지부

Description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al vibration moto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부인 진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어부 110: 키입력부
120: 저장부 130: 디스플레이부
150a, 150b: 신호부 200: 진동모터
300: 착신감지부
본 발명은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수신 또는 음성, 문자 등의 부가 서비스 수신 등을 모터의 진동으로 감지할 경우, 모터의 회전 방향을 일정 주기로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일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하여 단말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대기모드로 놓여질 경우, 벨소리모드, 진동모드, 묵음모드, 및 각 모드들의 조합으로 된 복합모드 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음성 또는 문자 수신시, 다양한 음향의 벨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그것을 알리는 것도 효과적이지만, 도서관, 사무실이나 공공장소 등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는 공간에서는 주로 진동이나 소리는 나지 않지만, 램프의 깜빡거림으로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문자의 수신을 알리는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서 에티켓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대기모드를 묵음모드로 해 놓은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계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주시하고 있지 않으면, 수신 상태를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공공장소 등에서는 진동모드로 수신대기상태를 유지하는 편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진동모터는 편심축을 사용하여 회전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데,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되면서 그 진동에 의해 어느 일방향으로 조금씩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탁자나 책상 등과 같이 바닥 보다 높은 위치에 이동통신 단말기 를 둔 경우, 음성 또는 문자의 수신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는 진동되고, 그에 따라 어느 일방향으로 이동되다가 낙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외장이 파손되거나 내부의 부품이 충격을 받아 손상되어 기능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리해야 하거나, 심한 경우 주요 부품이 손상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대기모드 중 진동모드의 작동에 사용되는 진동모터의 회전을 일정 주기로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진동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되다가 높은 곳에서 낙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진동모터; 및 상기 착신 감지부에 의해 착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수신모드가 진동모드인지를 확인하고, 진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진동모터에 양방향 회전을 위한 신호를 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모터에 온/오프시키는 신호를 가하는 제1신호부; 및 상기 진동모터에 양 또는 음의 전압을 인가하여 정 또는 역회전 신호를 가하는 제2신호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신호부에 '1'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2신호부에 '1'이 입력되면 상기 진동모터는 3.0V의 전압이 인가되어 정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신호부에 '0'이 입력되면 상기 진동모터는 -3.0V의 전압이 인가되어 역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신호부에 '0'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2신호부에 '1'이 입력되거나 '0'이 입력되어도 상기 진동모터는 구동되지 않는다.
이하,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또는 문자 등과 같은 착신 신호의 감지를 위한 착신 감지부(300), 상기 착신 감지부(300)에 의해 착신 신호가 감지되면, 진동모드 여부를 확인하고, 진동모터(20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신호를 가하는 제어부(100), 및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회전되어 진동되는 상기 진동모터(2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 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형을 이루어 내부에 실장된 부품을 보호하는 하우징(미도시), 상기 제어부(100)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키신호를 주는 키입력부(110), 단말기의 상태 및 기 타 수신된 정보들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30), 및 송수신 정보 및 기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모터(200)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이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진동모터(200)에 일정 간격으로 신호를 가하여, 상기 착신 감지부(300)에 의해 착신 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진동모터(200)가 일정 주기 또는 일정하지 않은 주기로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어부(100)의 보다 상세한 제어동작은 도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부인 진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모터(20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3.0V이고, 양의 값이냐 음의 값이냐에 따라 상기 진동모터(200)의 회전 방향을 결정짓게 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진동모터(200)를 제어하는 회로를 내장하고 있는데, 그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진동모터(200)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는 제1신호부(150a) 및 제2신호부(150b)로 이루어진 두 개의 분리된 신호부(150a, 150b)를 갖는데, 상기 제1신호부(150a)는 상기 진동모터(200)에 온/오프 신호를 가하고, 상기 제2신호부(150b)는 상기 진동모터(20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는 신호를 가한다.
도2를 참조하여, 상기 진동모터(200)의 작동 상태를 분류한 표를 다음과 같이 기재하였다.
분류 제1신호부 제2신호부 진동모터 작동상태
1 1 1 정회전
2 0 1 비작동
3 1 0 역회전
4 0 0 비작동
표1을 요약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신호부(150a)에 '1'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2신호부(150b)에 '1'이 입력되면 상기 진동모터(200)는 3.0V의 전압이 인가되어 정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신호부(150b)에 '0'이 입력되면 상기 진동모터(200)는 -3.0V의 전압이 인가되어 역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신호부(150a)에 '0'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2신호부(150b)에 '1'이 입력되거나 '0'이 입력되어도 상기 진동모터(200)는 구동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진동모드시 착신 신호를 감지하여도 이동통신 단말기가 어느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높은 곳에서 낙하되거나 꺼내기 힘든 장소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대기모드 중 진동모드의 작동에 사용되는 진동모터의 회전을 일정 주기로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진동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되다가 높은 곳에서 낙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진동모터; 및
    상기 착신 감지부에 의해 착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수신모드가 진동모드인지를 확인하고, 진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진동모터에 양방향 회전을 위한 신호를 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모터에 온/오프시키는 신호를 가하는 제1신호부; 및
    상기 진동모터에 양 또는 음의 전압을 인가하여 정 또는 역회전 신호를 가하는 제2신호부
    를 포함하는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부에 '1'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2신호부에 '1'이 입력되면 상 기 진동모터는 3.0V의 전압이 인가되어 정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신호부에 '0'이 입력되면 상기 진동모터는 -3.0V의 전압이 인가되어 역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신호부에 '0'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2신호부에 '1'이 입력되거나 '0'이 입력되어도 상기 진동모터는 구동되지 않는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58272A 2004-07-26 2004-07-26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09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272A KR20060009615A (ko) 2004-07-26 2004-07-26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272A KR20060009615A (ko) 2004-07-26 2004-07-26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615A true KR20060009615A (ko) 2006-02-01

Family

ID=3712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272A KR20060009615A (ko) 2004-07-26 2004-07-26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96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489A (ko) * 2014-04-25 2015-11-04 신성호 충격진동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용장치
CN111371956A (zh) * 2020-05-20 2020-07-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减少手机震动时位移量的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489A (ko) * 2014-04-25 2015-11-04 신성호 충격진동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용장치
CN111371956A (zh) * 2020-05-20 2020-07-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减少手机震动时位移量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70552A1 (en) Method of switching profiles and related mobile device
US722500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80229255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gesture detection
JP2006109460A (ja) 環境光センサを有する電子機器
KR20040095175A (ko) 컴퓨터 시스템을 위한 통지 라이트들, 위치들, 및 규칙들
JP2008092164A (ja) 携帯端末
KR20050113590A (ko) 전자 기기
KR20050061484A (ko) 분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및 장치
US6999585B2 (en) Fol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GB2327320A (en) Incoming call alert tone provided by radiotelephone charger
US20090227294A1 (en) Electronic apparatus
EP0607038A1 (en) Portable telephone
KR20060009615A (ko) 기능성 진동모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WO2013005583A1 (ja) 報知装置、報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59786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205074B2 (ja) 無線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05332118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情報入力方法
KR101328580B1 (ko) 휴대단말기 통화 녹취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514268A (zh) 为手机充电的系统和方法以及手机外壳
US20100004024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muting function and method therefore
KR20060080791A (ko) 하드디스크의 충격보호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KR100624799B1 (ko) 최소전력모드 구동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677470B1 (ko) 휴대폰의 착신호 알림 장치 및 방법
JP2010154348A (ja) 携帯電子機器
JP2004064660A (ja) 情報処理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