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909A -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 Google Patents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909A
KR20060008909A KR1020057019874A KR20057019874A KR20060008909A KR 20060008909 A KR20060008909 A KR 20060008909A KR 1020057019874 A KR1020057019874 A KR 1020057019874A KR 20057019874 A KR20057019874 A KR 20057019874A KR 20060008909 A KR20060008909 A KR 20060008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inear element
element portion
linear
feed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유키 타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01Q5/371Branching current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는, 제 1 내지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로 이루어지는 N개의 선형상 소자의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게 하여,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의 면적을 제 (N-2) 또는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또는 제 (N-2) 및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방향으로 확대하고, 한 쪽의 급전점(14a)을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에 형성하며,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지판부(21)에 두 번째로 가까운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에 형성하고,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의 도전부(26) 근방과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의 도전부(26)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WIDEBAND FLAT ANTENNA}
본 발명은,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소형이며 박판이고 공간이 한정된 기기의 내부(예를 들면, 노트 PC 등의 휴대 전자기기)에 사용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무선용 노트 PC 등에 개방된 주파수 대역으로서, IEEE802.11b의 2.4GHz대, 상기 2.4GHz대보다도 전송속도가 빠른 동일 802.11a의 5GHz대가 실용화되고 있다. 최근, 상기 5GHz대와 마찬가지로 전송속도가 빠른 동일 802.11g의 2.4GHz대도 시판되기 시작하고 있다. 또, 이미, 보급되어 있는 상기 5GHz대로서도, 각국에 의해서, 5GHz대의 저역, 중역, 5.8GHz 부근의 고역의 광대역에 달하고 있으며, 점점, 광대역 및 다대역화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광대역 및 다대역화에 공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에 적합한 평판형상 안테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지만, 현재 상태로서는, 광대역ㆍ다대역 공용 평판형상 안테나의 실용ㆍ보급이 충분치 않다.
도 2는, 노트 PC의 디스플레이의 상단부분(15)에 평판형상 안테나(19)의 부분을 액정(LCD) 모듈(18)과 케이스(16)와의 틈새에 끼워 넣어 플라스틱 커버(17)로 피복한 안테나 장착 노트 PC의 도면이다. 동일 도면에서, z1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8에 표시하는 복합소자부 길이 y1에 대응하는 노트 PC에 실장할 때의 복합소자부 실장 길이이다. z2는 도 8에 표시하는 지판부 길이 y2에 대응하는 노트 PC에 실장할 때의 지판부 실장 길이이다.
[종래기술 1]
도 3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3-3743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기술 1의 평판형상 역F 안테나(이하, 역F 안테나라고 함)(1)의 전기적 등가도이다. 상기 역F 안테나(1)는, 역F 안테나 지판부(1a)와 역F 안테나 선형상 소자부(1b)를 역F 안테나 소자ㆍ지판단락부(1c)에서 연접되어 있다. 역F 안테나 지판부(1a)와 역F 안테나 선형상 소자부(1b)로 형성되는 역F 안테나 일단부 개방 공간부(1d)의 대향면에 단일소자 신호원(3)의 한 쪽의 급전점(4a) 및 다른 쪽의 급전점(4b)으로 이루어지는 단일소자 급전점(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평판형상 역F 안테나(1)는, 단일의 주파수대용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 2]
도 4는, 종래기술 2의 슬롯 안테나(2)의 전기적 등가도이다. 상기 슬롯 안테나(2)는, 슬롯 도전부(2a)에 슬롯 개구부(비도전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슬롯 개구부(2b)의 대향면에 단일소자 신호원(3)의 한 쪽의 급전점(4c) 및 다른 쪽의 급전점(4d)으로 이루어지는 단일소자 급전점(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 안테나(2)는, 단일의 주파수대용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제 1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도 3의 역F 안테나(1) 또는 도 4의 슬롯 안테나(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 일 주파수대용의 안테나이기 때문에, 2.4GHz대 및 5GHz대의 양쪽의 주파수대역에 대응하고자 하면, 주파수대마다 각각의 안테나를 동일한 휴대 전자기기에 조립해 넣어야 한다. 또, 2.4GHz대와 5GHz대를 단일의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무선기로서 접속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2.4GHz대 및 5GHz대의 양쪽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합성해야 한다.
도 5는, 광대역 안테나와 동등한 출력신호를 얻기 위해서 안테나(1)와 안테나(2)와의 신호를 합성해서 합성신호를 무선기회로에 출력하는 복수 안테나 신호합성회로(8)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동일 도면에서, 광대역 안테나와 동등한 출력신호를 얻기 위해서, 안테나(1)(예를 들면, 종래기술 1의 역F 안테나(1))와 안테나(2)(예를 들면, 종래기술 2의 슬롯 안테나(2))와의 신호를, 각각 커넥터 접속용 동축 케이블(51, 52) 및 커넥터(61, 62)에 의해서 주파수공용기(7)에 입력해서 합성하고, 또한, 상기 합성신호를 커넥터 접속용 동축 케이블(53) 및 커넥터(63)에 의해서 무선기회로에 출력한다. 또한, 주파수공용기(7) 대신에 분배기를 사용하면, 손실이 증가된다.
상기와 같은 복수 안테나 신호합성회로(8)는, 다음의 문제점이 있다. (1) 안테나가 복수 개 필요하다. (2) 주파수공용기(7) 또는 분배기가 필요하다. (3) 각 안테나의 입력으로부터 무선기회로에 출력할 때까지의 동축 케이블 및 커넥터가 복수 개 필요하다.
이들에 의해서 현저히 비용 상승하고, 또 이들의 수납공간을 위해서 휴대 전자기기의 치수, 형상, 디자인 등이 제약된다. 또한, 광대역화를 위해서, 상기와 같 은 복수 안테나 신호합성회로(8)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안테나(1)의 신호의 지향성과 안테나(2)의 신호의 지향성을 합성하기 위해서, 상기 합성회로의 출력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지향성이, 안테나(1)의 신호의 지향성 및 안테나(2)의 신호의 지향성의 각각의 지향성으로부터 변화된다. 그 결과, 본래 목표로 삼은 안테나(1)의 신호 및 안테나(2)의 신호의 지향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제 1의 발명은, 비용 상승하는 일없이, 또 이들의 수납공간을 위해서 휴대 전자기기의 치수, 형상, 디자인 등이 제약되는 일없이, 본래 목표로 삼은 안테나의 신호의 지향성이 얻어지는 광대역 및 다대역화에 공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에 적합한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 1의 발명은, 후술하는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역F 안테나와 슬롯 안테나를 조합해서 개발한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안테나(12)(이하,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라고 함)이다.
[제 2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를 휴대 전자기기의 실장 조건에 적합한 형상으로 해서 이득의 향상을 도모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 외주부의 선형상 소자부(이하,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라고 함)(22a)를 상기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의 안쪽에 있는 선형상 소자부(이하, 제 2의 선형상 소자부라고 함)(22b)보다도 짧게 한 쪽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지만, 상기의 경우,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가 여진(勵振)되기 어렵다.
그래서, 5GHz대용 슬롯소자, 5GHz대용 선형상 소자 및 2.4GHz대용 선형상 소 자로 이루어지는, 안테나를 고려하면,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 쪽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보다도 길어지도록 해서,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가 여진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지판부(21)로부터 순번대로, 5GHz대용 슬롯소자, 5GHz대용 선형상 소자 및 5GHz대용 선형상 소자보다도 긴 2.4GHz대용 선형상 소자의 순서로 배치하면, 케이스 등의 영향은, 케이스 등으로부터 각 소자부까지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커지므로, 2.4GHz대용 선형상 소자, 5GHz대용 선형상 소자, 5GHz대용 슬롯소자의 순서로 커져서, 5GHz대로 편향되게 된다.
상기 대책으로서, 5GHz대용 슬롯소자, 2.4GHz대용 선형상 소자 및 5GHz대용 선형상 소자의 순서로 배치하도록 변경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를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보다도 짧게 한 형상이 된다.
그러나, 후술하는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의 여진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가 우선 여진되고, 상기 여진에 수반해서, 비도전부의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에 발생한 전자계가,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의 개구부에서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의 개구부까지 결합해서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에 전자계를 발생시켜서,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가 여진된다.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가 길어지면 각각의 개구부가 멀어지게 되고, 결합이 약해져서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가 여진되기 어려워진다.
제 2의 발명은, 제 1의 발명의 안테나의 신호의 지향성이 얻어지는 광대역 및 다대역화에 공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에 적합한 작용효과에 부가해서, 케이스 등의 영향이 특정의 주파수대역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30a)의 길이를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보다도 짧게 해도,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충분히 여진시킬 수 있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3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역F 안테나와 같은 불평형형의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소자형성부(평판형상 안테나 폭 a×복합소자부 길이 y1)와 지판부(21)(평판형상 안테나 폭 a×지판부 길이 y2)에 의해서 형성되고, 소자형성부의 면적이 작으면, 소자부(도전부)의 면적 또는 비도전부 혹은 공간부분의 면적이 작아져서 필요한 반사손실(리턴 로스)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동작 대역이 좁아진다.
제 2의 발명의 후술하는 도 13에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지판부(21)와의 사이에 급전점형성 도체부(23) 및 슬롯소자ㆍ지판단락부(27)가 존재하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동작 대역이 좁아진다. 이들의 급전점형성 도체부(23) 및 슬롯소자ㆍ지판단락부(27)를 제거하면, 이들에 둘러싸인 슬롯소자부(24)가 소멸된다.
그 대신으로서,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새롭게 형성한다.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길이는, 동일한 동작주파수에 대해서 슬롯소자부(24)의 길이의 약 1/2이므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공극이 증가하게 되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동작 대역을 확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3의 발명의 후술하는 도 16의 복합소자부 길이 y1의 작은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2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자부 길이 y1은, 노트 PC에 실장할 때의 복합소자부 실장 길이 z1에 대응하고 있으며, 방사를 실시하게 하기 위해서는, LCD 모듈(18) 및 케이스(금속)(16)를 따르게 할 수 없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들 부분의 치수가 작아지면, 소형의 노트 PC를 제공할 수 있다.
제 3의 발명은, 제 1의 발명의 안테나의 신호의 지향성이 얻어지는 광대역 및 다대역화에 공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에 적합한 작용효과에 부가해서, 케이스 등의 영향이 특정의 주파수대역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길이를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보다도 짧게 해도,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충분히 여진시킬 수 있고, 또한, 제 2의 발명의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 및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로부터 지판부(21)의 사이의 공간부분의 면적을 크게 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동작 대역을 확대한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의 발명의 과제해결수단]
제 1의 발명의 해결수단은,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과의 사이에 선형상 소자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폐쇄 직사각형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과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상기 선형상 소자부(22)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의 도전부를 지판부(21)로 한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1)이다.
[제 2의 발명의 과제해결수단]
제 2의 발명의 해결수단은,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도전기판(10)의 외주부쪽의 길이가 짧은 선형상 소자(30a)(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과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이가 긴 선형상 소자(30b)(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폐쇄 직사각형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와 급전점형성 도체부(23)를 제 1의 도체부(31)로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한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이다.
[제 3의 발명의 과제해결수단]
제 3의 발명의 해결수단은, 도 1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복합소자부와 지판부(21)를 형성하는 도전기판(10)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 안테나에 있어서,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 내지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과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과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 내지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를 형성하고, 지판부(21)에 두 번째로 가까운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는 지판부(21)에 세 번째로 가까운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 및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의 면적을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또는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또는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및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방향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비도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短絡)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이하에 기재하는 본 발명의 효과의 모든 것을 동시에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고, 본 발명의 1개 이상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제 1의 발명의 효과]
제 1의 발명의 효과는,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에 의하면, 비용 상승이 거의 없고, 또 이들 수납공간을 위해서 휴대 전자기기의 치수, 형상, 디자인 등이 제약되는 일없이, 본래 목표로 삼은 안테나의 신호의 지향성이 얻어지는 광대역 및 다대역화에 공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선형상 소자부의 동작주파수와 슬롯소자부의 동작주파수는, 다른 동작주파수를 선정해서 2개의 동작주파수대역의 일체형 안테나로 할 수 있다. 또, 선형상 소자부의 동작주파수와 슬롯소자부의 동작주파수를, 인접시킨 동작주파수를 선정해서 연속된 광대역의 동작주파수대역의 일체형 안테나로 할 수 있다.
[제 2의 발명의 효과]
제 2의 발명의 효과는, 제 1의 발명이 가지는 안테나의 신호의 지향성이 얻어지는 광대역 및 다대역화에 공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에 적합한 작용효과에 부가해서, 제 2의 발명의 특유의 효과로서, 케이스 등의 영향이 특정의 주파수로 편향되지 않도록,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길이를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보다도 짧게 해도,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충분히 여진시킬 수 있다.
[제 3의 발명의 효과]
제 3의 발명은, 제 1의 발명이 가지는 안테나의 신호의 지향성이 얻어지는 광대역 및 다대역화에 공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에 적합한 작용효과에 부가해서, 제 2의 발명이 가지는 케이스 등의 영향이 특정의 주파수대역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길이를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보다도 짧게 해도,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충분히 여진시킬 수 있고, 또한, 제 3의 발명의 특유의 효과로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 및 제 2의 선형상 소자부로부터 지판부의 사이의 공간부분의 면적을 크게 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동작 대역을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게 하여, 면적을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방향으로 확대하고, 복 합소자 급전점 및 제 1의 도체부를 선형상 소자부에 형성한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
도 2는 노트 PC의 디스플레이의 상단부분에 평판형상 안테나의 지판의 부분을 액정(LCD) 모듈과 케이스와의 틈새에 끼워 넣어 플라스틱 커버로 피복한 안테나장착 노트 PC의 도면
도 3은 종래기술 1의 평판형상 역F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
도 4는 종래기술 2의 슬롯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
도 5는 다대역 안테나와 동등한 출력신호를 얻기 위해서 안테나(1)와 안테나(2)와의 신호를 합성해서 합성신호를 무선기회로로 출력하는 복수 안테나 신호합성회로도
도 6A~도 6D는 종래기술의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의 급전점에, 단일의 급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스펠토프(sperrtopf)를 사용해서 급전선을 접속하는 급전선접속도
도 7은 제 1의 발명의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
도 8은 제 1의 발명의 급전점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와 급전점형성 도체부에 형성한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
도 9는 도 7에 표시하는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급전점에 급전선을 접속하는 제 1의 급전선접속도
도 10은 도 7에 표시하는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급전점에 급전선을 접속하는 제 2의 급전선접속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7에 표시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급전점에, 2개의 동작주파수용 스펠토프를 사용해서 급전선을 접속하는 급전선접속도
도 12는 도 8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반사특성도
도 13은 도 8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게 하는 동시에, 급전점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의 연접부에 형성한 돌출부와 급전점형성 도체부에 형성한 제 2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
도 14는 도 8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게 하는 동시에, 급전점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돌출부와 급전점형성 도체부에 형성한 제 2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
도 15는 도 8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게 하는 동시에, 제 2의 발명의 급전점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돌출부와 급전점형성 도체부에 형성한 제 2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
도 16은 복합소자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내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에 의해서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게 하여, 급전점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도체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에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
도 17은 복합소자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내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에 의해서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게 하여, 면적을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방향으로 확대하고, 급전점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도체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에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
도 18은 복합소자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내지 제 N의 선형상 소자부에 의해서 형성하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 및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게 하여, 면적을 (a)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또는 (b)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또는 (c) 제 N의 선형상 소자부 및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방향으로 확대하고, 급전점을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 및 지판부(21)에 두 번째로 가까운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 근방과 상기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의 각 소자 공통 지판단락도전부 근방을 제 1의 도체부에서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
도 19는 도 1에 표시하는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반사특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평판형상 역F 안테나 2: 슬롯 안테나
2a: 슬롯 도전부 2b: 슬롯 개구부
3: 단일소자 신호원 4: 단일소자 급전점
5: 동축 케이블 5a: 내부도체
5b: 외부도체 7: 주파수공용기
8: 복수 안테나 신호합성회로 9: 스펠토프
10: 도전기판 11,12,20: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14: 복합소자급전점 14a,14b: 급전점
16: 케이스 17: 플라스틱 커버
18: 액정 모듈 19: 2개의 동작주파수용 스펠토프
19a: 제 1의 원통도전체 19b: 제 2의 원통도전체
21: 지판부 22a,30a: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22b,30b: 제 2의 선형상 소자부 23: 급전점형성 도체부
24: 슬롯소자부 25: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
26: 공통지판단락도전부 27: 슬롯소자ㆍ지판단락부
28: 비도전부(개구부) 30a∼30c: 선형상 소자부
31: 도체부 51,52,53: 커넥터 접속용 동축 케이블
61,62,63: 커넥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는, 제 3의 발명의 도 16에 표시하는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내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에 의해서 형성한 복합소자부를,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보다도 길게 하여, 제 2의 선형상 소자부 및 제 2의 선형상 소자부로부터 지판부의 사이의 공간부분의 면적을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방향으로 확대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 및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로부터 지판부(21)의 사이의 공간부분의 면적을 확대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d)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최선의 형태 이외의 실시의 형태]
이하에, 상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외에, 본 출원의 발명 을 실시할 수 있는 실시의 형태를 열거한다. 실시의 형태는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하므로,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의 도면의 설명]
도 1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게 하여,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 및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로부터 지판부(21)의 사이의 공간부분의 면적을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방향으로 확대하고, 복합소자 급전점 및 제 1의 도체부를 선형상 소자부에 형성한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이다.
도 7은, 제 1의 발명의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이다.
도 8은, 제 1의 발명의 급전점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돌출부와 급전점형성 도체부에 형성한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이다.
도 9는, 도 7에 표시하는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급전점에 동축 급전선을 접속하는 제 1의 동축 급전선접속도이다.
도 10은, 도 7에 표시하는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급전점에 동축 급전선을 접속하는 제 2의 동축 급전선접속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7에 표시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급전점에, 2개의 동작주파수용 스펠토프를 사용해서 동축 급전선을 접속하는 동축 급전선접속도이다.
도 12는, 도 8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반사특성도이다.
도 13은, 도 8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안테나의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게 하는 동시에, 급전점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의 연접부에 형성한 돌출부와 급전점형성 도체부에 형성한 제 2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이다.
도 14는, 도 8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안테나의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게 하는 동시에, 급전점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돌출부와 급전점형성 도체부에 형성한 제 2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이다.
도 15는, 도 8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안테나의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게 하는 동시에, 제 2의 발명의 급전점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돌출부와 급전점형성 도체부에 형성한 제 2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이다.
도 16은, 복합소자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내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에 의해서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게 하여, 급전점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도체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에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이다.
도 17은, 복합소자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내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에 의해서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게 하여, 면적을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방향으로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방향으로 확대하고, 급전점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도체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에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이다.
도 18은, 복합소자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내지 제 N의 선형상 소자부에 의해서 형성하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의 길이를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 및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하는 동시에,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의 면적을 (a)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 또는 (b)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방향 또는 (c)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 및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방향으로 확대하고, 한 쪽의 급전점(14a)을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에 형성하고,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지판부(21)에 두 번째로 가까운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상기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이 다.
도 19는, 도 1에 표시하는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반사특성도이다. 동일 도면은, 상술한 도 12와 마찬가지로, 횡축에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20)의 급전점에 입출력하는 동작주파수 [GHz]를 선정하고, 종축에 각 주파수에 대한 안테나 형상에 의해서 특정되는 반사손실(리턴 로스) [dB]를 선정한 반사특성도이다.
이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변형, 확장한 구체적인 예를, 도면 및 도면의 부호를 참조해서, 청구항형식으로 실시의 형태(이하, 청구형태라고 함)로서 기재한다.
[제 1의 발명의 청구형태]
청구형태 1의 발명은,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과의 사이에 선형상 소자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폐쇄 직사각형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과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상기 선형상 소자부(22)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의 도전부를 지판부(21)로 한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 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1)이다.
청구형태 2의 발명은,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일단부 개방 공간부(25)를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일단부 개방 공간부(25)와의 사이에 선형상 소자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일단부 개방 공간부(25)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슬롯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일단부 개방 공간부(25)와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개구부(28)를 형성해서 개구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상기 선형상 소자부(22)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체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한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1)이다.
[청구형태 1 및 청구형태 2의 효과]
청구형태 1 및 청구형태 2에 기재된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에 의하면, 비용 상승이 거의 없고, 또 이들 수납공간을 위해서 휴대 전자기기의 치수, 형상, 디자인 등이 제약되는 일없이, 본래 목표로 삼은 안테나의 신호의 지향성이 얻어지는 광대역 및 다대역화에 공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선형상 소자부의 동작주파수와 슬롯소자부의 동작주파수는, 다른 동작주파수를 선정해서 2개의 동작주파수대역의 일체형 안테나로 할 수 있다. 또, 선형상 소자부의 동작주파수와 슬롯소자부의 동작주파수를, 인접시킨 동 작주파수를 선정해서 연속된 광대역의 동작주파수대역의 일체형 안테나로 할 수 있다.
청구형태 3의 발명은,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과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폐쇄 직사각형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와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한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이다.
청구형태 4의 발명은,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 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슬롯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와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개구부(28)를 형성해서 상기 개구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체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한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이다.
[청구형태 3 및 청구형태 4의 효과]
청구형태 3 및 청구형태 4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에 의하면, 청구형태 1 및 청구형태 2에 기재된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보다도 한층 더 광대역 및 다대역화에 공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의 선형상 소자부의 동작주파수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동작주파수와 슬롯소자부의 동작주파수는, 다른 동작주파수를 선정해서 3개의 동작주파수대역의 일체형 안테나로 할 수 있다. 또, 제 1 의 선형상 소자부의 동작주파수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동작주파수와 슬롯소자부의 동작주파수를, 인접시킨 동작주파수를 선정해서 연속한 광대역의 동작주파수대역의 일체형 안테나로 할 수 있다.
청구형태 5의 발명은,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 내지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의 복수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상기 각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 내지 제 N의 선형상 소자부(22n)의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폐쇄 직사각형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과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한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청구형태 6의 발명은, 도 11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의 발명의 청구형 태 1에서 제 1의 발명의 청구형태 5까지 기재된 복합소자급전점(14)에,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5b)의 외주에 2개의 동작주파수 중의 제 1의 동작주파수의 1/4파장의 길이의 제 1의 원통도전체(19a)를 배치하고, 또한, 그 제 1의 원통도전체(19a)의 외주에 2개의 동작주파수 중의 제 2의 동작주파수의 1/4파장의 길이의 제 2의 원통도전체(19b)를 배치해서, 제 1의 원통도전체(19a) 및 제 2의 원통도전체(19b)를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5b)에 단락하는 2개의 동작주파수용 스펠토프(19)를 사용해서 접속한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제 2의 발명의 청구형태]
청구형태 7의 발명은,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도전기판(10)의 외주부쪽의 길이가 짧은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과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폐쇄 직사각형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 급전점(14)으로 하고,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와 급전점형성 도체부(23)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한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이다.
청구형태 8의 발명은,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슬롯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개구부(28)를 형성해서 상기 개구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와 급전점형성 도체부(23)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체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한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이다.
청구형태 9의 발명은,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 내지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의 복수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상기 각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 내지 제 N의 선형상 소자부(22n)의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폐쇄 직사각형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과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와 급전점형성 도체부(23)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한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청구형태 10의 발명은, 도 13에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급전점(14b)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의 연접부와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형성한 돌출부(소자ㆍ지판단락연접부 돌출 제 2의 도체부(32a))에 형성하고, 한 쪽의 급전점(14a)을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형성한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청구형태 11의 발명은, 도 14에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급전점(14b)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돌출부(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 돌출 제 2의 도체부(32b))에 형성하고, 한 쪽의 급전점(14a)을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형성한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청구형태 12의 발명은, 도 15에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급전점(14b)(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돌출부(제 2의 소자부 돌출 제 2의 도체부(32c))에 형성하고, 한 쪽의 급전점(14a)을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형성한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제 3의 발명의 청구형태]
청구형태 13의 발명은, 복합소자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내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에 의해서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게 하여, (a)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방향으로 확대함으로써, 또는 (b)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방향으로 확대함으로써, 또는 (c)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방향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길이를 제 2의 선형상 소자부 (30b)보다도 짧게 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면적 및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로부터 지판부(21)의 사이의 비도전면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한 쪽의 급전점(14a)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에 형성하고,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청구형태 14의 발명은,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복합소자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내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에 의해서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게 하여,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길이를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보다도 짧게 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로부터 지판부(21)의 사이의 비도전면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한 쪽의 급전점(14a)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에 형성하고,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청구형태 15의 발명은, 도 1에서, 복합소자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내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에 의해서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게 하여 면적을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방향으로 확대하고,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길이를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보다도 짧게 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로부터 지판부(21)의 사이의 비도전면의 면적을 확대하며,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한 쪽의 급전점(14a)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에 형성하고,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청구형태 16의 발명은, 도 17에서, 복합소자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내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에 의해서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게 하여 면적을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방향으로 확대하고,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길이를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보다도 짧게 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로부터 지판부(21)의 사이의 비도전면의 면적을 확대하며,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한 쪽의 급전점(14a)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에 형성하고,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 (30a)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청구형태 17의 발명은, 도 1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복합소자부와 지판부(21)를 형성하는 도전기판(10)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 안테나에 있어서,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 내지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과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과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 내지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를 형성하고, 지판부(21)에 두 번째로 가까운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는 지판부(21)에 세 번째로 가까운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 및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의 면적을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또는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또는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및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방향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비도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 락도전부(26)로 하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이상의 청구형태 1 내지 청구형태 17에 공통해서 실시할 수 있고, 각 청구형태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평판형상 안테나는, 하기와 같다.
(1) 급전점에 동축 케이블의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를 접속한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2) 급전점에 스펠토프를 부가한 동축 케이블의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를 접속한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3)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의 외주에 2개의 동작주파수 중의 제 1의 동작주파수의 1/4파장의 길이의 제 1의 원통도전체를 배치하고, 또한 상기 제 1의 원통도전체의 외부에 2개의 동작주파수 중의 제 2의 동작주파수의 1/4파장의 길이의 제 2의 원통도전체를 배치해서 상기 제 1의 원통도전체 및 상기 제 2의 원통도전체를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에 단락하는 2개의 동작주파수 스펠토프를 가지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실시예>
[제 1의 발명의 실시예 1]
이하에, 제 1의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의 발명의 실시예 1은,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도 7은, 제 1의 발명의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이다.
도 7에 표시하는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안테나(11)는, 다음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과의 사이에 선형상 소자부(22)를 형성하고,
(2) 상기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폐쇄 직사각형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3)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과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4) 상기 선형상 소자부(22)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의 도전부를 지판부(21)로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 또는 슬롯소자부(24)는, 도전체를 잘린부분 삭제해도 되고, 도전기판(10)의 도전면을 에칭 삭제하거나, 도 전피막 부착기판 제작 시에 도전피막을 비부착으로 하는 등에 의해서 비도전면을 형성하면 된다.
도전기판(10)에 도전체를 사용해서, 상기 도전체를 잘린부분 삭제해서, 일단부 개방 공간부(25) 또는 슬롯소자부(24)를 형성했을 경우의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안테나(11)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일단부 개방 공간부(25)를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일단부 개방 공간부(25)와의 사이에 선형상 소자부(22)를 형성하고,
(2) 상기 일단부 개방 공간부(25)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슬롯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3) 일단부 개방 공간부(25)와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개구부(28)를 형성해서 개구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4) 상기 선형상 소자부(22)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체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하고 있다.
[제 1의 발명의 실시예 2]
다음에, 제 1의 발명의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단일선형상 소자부를 2개로 한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도 8은, 제 1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설명도이다.
도 8에 표시하는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안테나(12)는, 다음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를 형성하고,
(2)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과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를 형성하고,
(3)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폐쇄 직사각형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4)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와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5) 상기 2개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하고 있다.
도전기판(10)에 도전체를 사용해서, 상기 도전체를 잘린부분 삭제해서, 일단부 개방 공간부(25) 또는 슬롯소자부(24)를 형성했을 경우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안테나(12)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 (25a)를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를 형성하고,
(2)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를 형성하고,
(3)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슬롯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4)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와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개구부(28)를 형성해서 상기 개구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5) 상기 2개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체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하고 있다.
[제 1의 발명의 실시예 3]
제 1의 발명의 도시하고 있지 않는 실시예 3은, 실시예 2의 2개의 선형상 소자부를 3개 이상의 복수로 한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제 1의 발명에 있어서, 도 7에 표시하는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안테나(11) 및 도 8에 표시하는 2개의 선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안테나(12) 및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안테나 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의 변형을 수반한다. 도전기판(10)의 외주부란, 도전체를 잘린부분 삭제 등의 가공을 하기 전의 도전체의 외주부를 말하며, 직사각형, 정사각형이 일반적이지만, 외주부는 직선 이외에, 일부 또는 전부가 곡선이어도 된다.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는, 직사각형, 정사각형에서는 4변 중의 1변이 일반적이지만, 외주부에 곡선을 포함한 외주부의 일부이어도 된다.
선형상 소자부(22) 혹은 지판부(21) 또는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와 지판부(21)에 의해서, 이른바 모노폴 안테나의 변형인 평판형상 역F 안테나(1)가 형성되고, 선형상 소자부와 슬롯소자부(24)와의 쌍방을 동시에 여진할 수 있다. 선형상 소자부와 슬롯소자부(24)에 의해서 각각 다른 동작주파수대역으로 기능시킨다.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안테나(11)를 직사각형으로 하고, 그 치수를 하기와 같이 가정한다. a: 도전기판(1O)의 선상ㆍ슬롯 각 소자부와 평행방향의 길이, b: 도전기판(10)의 선상ㆍ슬롯 각 소자부와 직교방향의 길이, c: 일단부 개방 공간부(25)의 폭, d: 선형상 소자부(22)의 길이, e: 선형상 소자부(22)의 폭, f: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폭, g: 슬롯소자부(24)의 길이, h: 급전점형성 도체부(23)의 폭, i: 슬롯소자부(24)의 폭, j: 슬롯소자ㆍ지판단락부(27)의 폭 및 k: 개구부(28)의 길이, y1: 복합소자부 길이, y2: 지판부 길이.
상기의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안테나(11)에 있어서, 선형상 소자부(22)의 길이 d는, 동작주파수의 대략 1/4파장의 홀수배이다. 슬롯소자부(24) 의 길이 g는, 동작주파수의 대략 1/2파장의 정수배이다. 선형상 소자부(22)의 동작주파수와 슬롯소자부(24)의 동작주파수는, 다른 동작주파수를 선정해서 2개의 동작주파수대역의 일체형 안테나로 할 수 있다. 또, 선형상 소자부(22)의 동작주파수와 슬롯소자부(24)의 동작주파수를, 인접시킨 동작주파수를 선정해서 연속된 광대역의 동작주파수대역의 일체형 안테나로 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안테나(12)를 직사각형으로 하고, 일체형 안테나(11)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는 치수를 하기와 같이 가정한다. c1: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의 폭, c2: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의 폭, d1: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의 길이, d2: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의 길이, e1: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의 폭, e2: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의 폭, y1: 복합소자부 길이, y2: 지판부 길이.
상기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안테나(12)에 있어서도,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의 길이 d1 및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의 길이 d2는, 동작주파수의 대략 1/4파장의 홀수배이다. 슬롯소자부(24)의 길이 g는, 동작주파수의 대략 1/2파장의 정수배이다.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의 동작주파수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의 동작주파수와 슬롯소자부(24)의 동작주파수는, 다른 동작주파수를 선정해서 3개의 동작주파수대역의 일체형 안테나로 할 수 있다. 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의 동작주파수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의 동작주파수와 슬롯소자부(24)의 동작주파수를, 인접시킨 동작주파수를 선정해서 연속한 광대역의 동작주파수대역의 일체형 안테나로 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7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급전점에 급전선을 접속하는 제 1의 급전선접속도이다. 동일 도면에서, 급전점형성 도체부(23)의 개구부(28)의 복합소자급전점(14)의 한 쪽의 급전점(14a)(내부도체(5a)의 납땜부(14a))에 동축 케이블의 내부도체(5a)를 접속하고, 다른 쪽의 급전점(14b)(외부도체(5b)의 납땜부(14b))에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5b)를 접속한다. 동축 케이블(5)의 타단부를 도시하고 있지 않는 무선기회로에 접속한다.
도 10은, 도 7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급전점에 급전선을 접속하는 제 2의 급전선접속도이다. 도 9와 마찬가지로, 동축 케이블(5)을 복합소자급전점(14)과 무선기회로에 접속한다.
도 6D는, 종래기술의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의 급전점에, 단일의 급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스펠토프를 사용해서 급전선을 접속하는 급전선접속도이다. 스펠토프(9)란, 동축 케이블(5)의 외부도체(5b)를 급전점(4)에 형성한 개소로부터 외부도체(5b)를 따라서 외부도체(5b)의 바깥쪽의 면 위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원통도전체를 말한다. 도 6A는 동축 케이블에 스펠토프를 부착했을 경우의 외관도이며, 도 6B는 구조설명도이고, 도 6C는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7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급전점에, 2개의 동작주파수용 스펠토프를 사용해서 급전선을 접속하는 급전선접속도이다.
도 11B에 표시하는 2개의 동작주파수용 스펠토프(19)는, 동축 케이블(5)의 외부도체(5b)를 급전점(14b)에 접속한 개소로부터 외부도체(5b)를 따라서 외부도체(5b)의 바깥쪽의 면 위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5b)의 외주에 2개의 동작주파수 중의 제 1의 동작주파수의 1/4파장의 길이의 제 1의 원통도전체(19a)를 배치하고, 또한, 그 제 1의 원통도전체(19a)의 외주에 2개의 동작주파수 중의 제 2의 동작주파수의 1/4파장의 길이의 제 2의 원통도전체(19b)를 배치해서, 제 1의 원통도전체(19a) 및 제 2의 원통도전체(19b)를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5b)에 접속한 원통도전체이다.
상기 도 11B는, 도 7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의 급전점에 있어서의 2개의 동작주파수용 스펠토프를 표시했지만, 도 8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의 급전점에 있어서의 3개의 동작주파수용 스펠토프에 있어서는, 제 1의 원통도전체(19a) 및 제 2의 원통도전체(19b) 이외에, 제 3의 원통도전체를 추가해서, 이들 3개의 원통도전체를 동일 축 3겹으로 해서 각각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5b)에 접속하면 된다.
도 12는, 도 8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의 반사특성도이다. 동일 도면은, 횡축에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급전점에 입출력하는 동작주파수 [GHz]를 선정하고, 종축에 각 주파수에 대한 안테나형상에 의해서 특정되는 반사손실(리턴 로스) [dB]를 측정한 반사특성도이다. 동일 도면에서, 실선 S는, 도 8 에 표시하는 제 1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의 반사특성도이다.
동일 도면에는, (a) 도 3에 표시하는 종래기술 1의 역F 안테나(1)의 선형상 소자부(1b)의 치수를 제 1의 발명의 일체형 안테나의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의 치수에 맞췄을 경우의 반사특성 Ra와 (b) 종래기술 1의 평판형상 역F 안테나(1)의 선형상 소자부(1b)의 치수를 제 1의 발명의 일체형 안테나의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의 치수에 맞췄을 경우의 반사특성 Rb와 (c) 도 4에 표시하는 종래기술 2의 슬롯 안테나 슬롯 개구부(2b)의 치수를 제 1의 발명의 일체형 안테나의 슬롯소자부(24)의 치수에 맞췄을 경우의 반사특성 Rc를 점선으로 표시해서 대비하고 있다.
동일 도면의 특성 Sbc의 부분은, 도 8의 일체형 안테나의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와 슬롯소자부(24)가 중심적으로 기여해서 얻어지는 특성이며, 각각의 동작주파수를 근접해 감으로써, 동일 도면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손실이 허용레벨보다도 낮아지는 주파수대역을 종래기술의 안테나의 특성 Rb 및 Rc의 개개의 주파수대역의 합계보다도 큰 폭으로 확대할 수 있다.
[제 2의 발명의 실시예 4]
제 2의 발명의 실시예 4를 도 13에 표시한다. 도 13은,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의 연접부에 돌출부(소자ㆍ지판단락연접부 돌출 제 2의 도체부(32a))가 형성되도록,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개구부(28)를 형성하고,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소자ㆍ지판단락연접부 돌출 제 2의 도체부(32a)에 형성하고, 한 쪽의 급전점(14a)을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형성한 복 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전기적 등가도이다.
도 13에 표시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는, 다음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2)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과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3)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폐쇄 직사각형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4)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5)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와 급전점형성 도체부(23)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6) 상기 2개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하고 있다.
도 13에서, 도전기판(10)에 도전체를 사용해서, 상기 도전체를 잘린부분 삭 제해서, 일단부 개방 공간부(25) 또는 슬롯소자부(24)를 형성했을 경우의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2)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3)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슬롯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4)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개구부(28)를 형성해서 상기 개구부(28)의 양단부를 복합소자급전점(14)으로 하고,
(5)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와 급전점형성 도체부(23)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6) 상기 2개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체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하고 있다.
도 13에서,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의 치수를 하기와 같이 가정한다. a: 도전기판(1O)의 선상ㆍ슬롯 각 소자부와 평행방향의 길이, b: 도전기판(10)의 선상 ㆍ슬롯 각 소자부와 직교방향의 길이, c1: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의 폭, c2: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의 폭, d1: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길이, d2: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길이, e1: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폭, e2: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폭, f: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폭, g: 슬롯소자부(24)의 길이, h: 급전점형성 도체부(23)의 폭, i: 슬롯소자부(24)의 폭, j: 슬롯소자ㆍ지판단락부(27)의 폭 및 k: 개구부(28)의 길이로 한다. 또, 상기 급전점형성 도체부(23)의 급전점(14a)(이하, 한 쪽의 급전점(14a)이라고 함)과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 또는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에 근접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급전점(14b)(이하, 다른 쪽의 급전점(14b)이라고 함)이 복합소자급전점(14)을 형성한다.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에 있어서,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길이 d1 및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길이 d2는, 동작주파수의 대략 1/4파장의 홀수배이다. 슬롯소자부(24)의 길이 g는, 동작주파수의 대략 1/2파장의 정수배이다.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동작주파수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동작주파수와 슬롯소자부(24)의 동작주파수는, 다른 동작주파수를 선정해서 3개의 동작주파수대역의 일체형 안테나로 할 수 있다. 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동작주파수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동작주파수와 슬롯소자부(24)의 동작주파수를, 인접시킨 동작주파수를 선정해서 연속된 광대역의 동작주파수대역의 일체형 안테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의 도체부(31)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절연하기 위해서, 제 1의 도체부(31) 혹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한 쪽 또는 양자를 절연체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의 도체부(31)는, 전선, 테이프형상의 도체, 이들을 피복한 도체, 피복 케이블 등을 이용한다.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와 급전점형성 도체부(23)를 접속하는 제 1의 도체부(31)의 접속점 또는 접합점은, 납땜 등으로 접합한다. 도전기판(10)에 대해서 상기 급전용 케이블, 급전선, 동축 케이블 등을 급전점에 접합하는 면과 제 1의 도체부(31)를 급전점에 접합하는 면은, 동일면 또는 서로 반대가 되는 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제 2의 발명의 실시예 5]
제 2의 발명의 실시예 5는,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슬롯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개구부(28)를 형성해서,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 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상기 개구부(28)의 양단부에 접속하는 한 쪽의 급전점(14a)을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형성하고,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와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의 연접부에 형성한 돌출부(소자ㆍ지판단락연접부 돌출 제 2의 도체부(32a))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와 급전점형성 도체부(23)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체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한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이다.
[제 2의 발명의 실시예 6]
제 2의 발명의 실시예 6은,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슬롯을 형 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개구부(28)를 형성해서,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상기 개구부(28)의 양단부에 접속하는 한 쪽의 급전점(14a)을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형성하고,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돌출부(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 돌출 제 2의 도체부(32b))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와 급전점형성 도체부(23)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체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한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이다.
[제 2의 발명의 실시예 7]
제 2의 발명의 실시예 7은,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슬롯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슬롯소자부(2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개구부(28)를 형성해서,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상기 개구부(28)의 양단부에 접속하는 한 쪽의 급전점(14a)을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형성하고,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에 돌출부(제 2의 소자부 돌출 제 2의 도체부(32c))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와 급전점형성 도체부(23)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24) 및 급전점형성 도체부(23)의 잔여의 도전기판(10)을 지판부(21)로 한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이다.
[제 3의 발명의 실시예 8]
제 3의 발명의 실시예 8은,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복합소자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내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로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게 하여,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길이를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보다도 짧게 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비도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 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한 쪽의 급전점(14a)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에 형성하고,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도 16에 표시하는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20)는, 다음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2)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과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3)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3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c)를 형성해서, 상기 제 3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c)과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과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보다도 길이가 짧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형성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 및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비도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 락도전부(26)로 하고,
(4)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5)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6)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있다.
도 16에서, 도전기판(10)에 도전체를 사용해서, 상기 도전체를 잘린부분 삭제해서, 일단부 개방 공간부(25) 및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했을 경우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2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2)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3)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3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c)를 형성해서, 상기 제 3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c)와 제 2 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과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보다도 길이가 짧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형성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 및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로부터 지판부(21)의 사이의 공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4)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5)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6)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있다.
[제 3의 발명의 실시예 9]
제 3의 발명의 실시예 9는,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복합소자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내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로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보다도 길게 하여,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면적을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방향으로 확대하고,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길이를 면적을 확대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d)보다도 짧게 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비도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 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한 쪽의 급전점(14a)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에 형성하고,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도 1에 표시하는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20)는, 다음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2)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과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방향으로 면적을 확대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d)를 형성하고,
(3)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3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c)를 형성해서, 상기 제 3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c)와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과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보다도 길이가 짧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형성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비도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4)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d)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5)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6)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있다.
도 1에서, 도전기판(10)에 도전체를 사용해서, 상기 도전체를 잘린부분 삭제해서, 일단부 개방 공간부(25) 및 각 선형상 소자부(30)를 형성했을 경우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2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2)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방향으로 면적을 확대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d)를 형성하고,
(3)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3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c)를 형성해서, 상기 제 3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c)와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와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보다도 길이가 짧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형성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공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4)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d)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5)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6)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있다.
[제 3의 발명의 실시예 10]
제 3의 발명의 실시예 10은, 도 1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복합소자부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내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로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의 길이를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보다도 길게 하여,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길이를 면적을 확대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e)보다도 짧게 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비도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 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한 쪽의 급전점(14a)을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에 형성하고,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에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도 17에 표시하는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20)는, 다음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2)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과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방향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방향으로 면적을 확대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e)를 형성하고,
(3)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에 평행하게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형성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비도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4)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e)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5)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6)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있다.
도 17에서, 도전기판(10)에 도전체를 사용해서, 상기 도전체를 잘린부분 삭제해서, 일단부 개방 공간부(25) 및 각 선형상 소자부(30)를 형성했을 경우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2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2)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방향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방향으로 면적을 확대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e)를 형성하고,
(3)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에 평행하게 제 3의 선형상 소자부 (30c)를 형성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공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4)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e)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5)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6)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있다.
[제 3의 발명의 실시예 11]
제 3의 발명의 실시예 11은, 도 1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복합소자부와 지판부(21)를 형성하는 도전기판(10)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 안테나에 있어서,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 내지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과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과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 내지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를 형성하고, 지 판부(21)에 두 번째로 가까운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는 지판부(21)에 세 번째로 가까운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 및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의 면적을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또는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또는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및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방향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비도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이다.
도 18에 표시하는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20)는, 다음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 (25a)을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2)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을 형성해서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과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와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 내지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를 형성하고,
(3) 지판부(21)에 두 번째로 가까운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는 지판부(21)에 세 번째로 가까운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 및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의 면적을 (a)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방향 또는 (b)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방향 또는 (c)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 및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방향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비도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4) 한 쪽의 급전점(14a)을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형성하고,
(5)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지판부(21)에 두 번째로 가까운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형성하는 동시에,
(6)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상기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있다.
도 18에서, 도전기판(10)에 도전체를 사용해서, 상기 도전체를 잘린부분 삭제해서, 일단부 개방 공간부(25) 및 각 선형상 소자부(30)를 형성했을 경우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2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10)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2)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에 평행하게 도전기판(10)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 내지 제 N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n)를 형성해서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와 제 N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n)와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 내지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를 형성하고,
(3) 지판부(21)에 두 번째로 가까운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는 지판부(21)에 세 번째로 가까운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 및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의 면적을 (a)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방향 또는 (b)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방향 또는 (c)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 및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방향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공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21)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4) 한 쪽의 급전점(14a)을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형성하고,
(5)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지판부(21)에 두 번째로 가까운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에 형성하는 동시에,
(6)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과 상기 지판부(21)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있다.
[제 3의 발명의 효과]
제 3의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도 1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도 1에 표시하는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반사특성도로서, 상술한 도 12와 마찬가지로, 횡축에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20)의 급전점에 입출력하는 동작주파수 [GHz]를 선정하고, 종축에 각 주파수에 대한 안테나형상에 의해서 특정되는 반사손실(리턴 로스) [dB]를 측정한 반사특성도이다.
도 19에서, 실선 S3은, 도 1에 표시하는 제 3의 발명의 실시예 9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20)의 반사특성도이다. 파선 S2는, 도 13에 표시하는 제 2의 발명의 실시예 4의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반사특성도이다. 이하, 도 1에 표시하는 제 3의 발명에 의한 반사특성도와 도 13에 표시하는 제 2의 발명에 의한 반사특성도를 대비해서 설명한다.
(a) 상술한 도 12와 마찬가지로, 반사특성 S3을 형성하는 특성 S3a는, 도 16의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의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가 중심적으로 기여해서 얻어지는 특성이며, 특성 S3bc는,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22c)가 중심적으로 기여해서 얻어지는 반사특성이다.
상기 특성 S3bc는 상술한 도 12와 마찬가지로,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 및 제 3의 선형상 소자부(22)의 동작주파수에 근접시킴으로써, 개개의 동작 대역의 합계보다도 동작 대역을 확대할 수 있다.
(b) 또한, 도 19에서, 파선 S2는, 도 13에 표시하는 제 2의 발명의 실시예 4의 복수 선형상ㆍ슬롯의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12)의 반사특성도이다.
또, 상술한 도 12와 마찬가지로, 특성 S2a는, 도 13에 표시하는 안테나(12)의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가 중심적으로 기여해서 얻어지는 특성이며, 특성 S2bc는,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와 슬롯소자부(24)가 중심적으로 기여해서 얻어지는 반사특성이다.
특성 S2bc는, 상술한 도 12와 마찬가지로,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22c)와의 동작주파수에 근접시킴으로써, 개개의 동작 대역의 합계보다도 동작 대역을 확대할 수 있다.
(c) 도 14, 도 15 및 이들의 변형에 표시하는 다른 제 2의 발명의 실시예 6, 실시예 7 등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동작 대역을 확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3 내지 도 15에 각각 표시하는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에서는, 도 19에 있어서의 특성 S2bc에 비교해서 특성 S2a의 동작 대역이 좁아진다. 그 결과, PC 케이스에 수납하기 위해서, 도 13 내지 도 15에 표시하는 복합소자부의 길이 y1을 작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 특성 S2bc의 동작 대역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도, 특성 S2a의 동작 대역이 더욱더 좁아져서, 동작에 필요한 동작 대역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 도 16에 표시하는 제 3의 발명의 실시예 8에서는, 제 2의 발명의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과 비교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와 지판부(21)와의 사이의 틈새의 면적을 확대함으로써, 특성 S2bc에 비교해서 특성 S3bc의 동작 대역을 확대할 수 있어서, 복합소자부의 길이 y1을 더욱더 짧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제 1의 발명 내지 제 3의 발명의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는, 3개 이상의 다른 동작주파수를 가지는 멀티밴드 안테나로서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각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실익성을 수반한 유익성이 있으므로,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제 1의 발명의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는, 비용 상승하는 일없이, 또 이들의 수납공간을 위해서 휴대 전자기기의 치수, 형상, 디자인 등이 제약되는 일없이, 본래 목표로 삼은 안테나의 신호의 지향성이 얻어지는 광대역 및 다대역화에 공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에 적합하여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이 크다.
제 2의 발명의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는, 제 1의 발명의 작용효과에 부가해 서, 케이스 등의 영향이 특정 주파수로 편향되지 않도록,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의 길이를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보다도 짧게 해도,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충분히 여진시킬 수 있으므로,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이 크다.
제 3의 발명의 복수 선형상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는, 제 1의 발명 및 제 2의 발명의 작용효과에 부가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 및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로부터 지판부(21)의 사이의 공간부분의 면적을 크게 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동작 대역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이 크다.

Claims (19)

  1.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을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선형상 소자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폐쇄 직사각형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 슬롯소자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의 양단부를 급전점(14)으로 하고,
    상기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의 잔여의 도전기판의 도전부를 지판부(2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2.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일단부 개방 공간부(25)를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선형상 소자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일단부 개방 공간부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슬롯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 슬롯소자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개구부(28)를 형성해서 개구부의 양단부를 급전점(14)으로 하고,
    상기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 및 급전점형성 도체부의 잔여의 도전기판을 지판부(2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3.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폐쇄 직사각형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 슬롯소자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의 양단부를 급전점(14)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의 잔여의 도전기판을 지판부(2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4.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슬롯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 슬롯소자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개구부(28)를 형성해서 상기 개구부의 양단부를 급전점(14)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 및 급전점형성 도체부의 잔여의 도전기판을 지판부(2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5.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22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 내지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의 복수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상기 각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2b) 내지 제 N의 선형상 소자부(22n)의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폐쇄 직사각형 비 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 슬롯소자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의 양단부를 급전점(14)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의 잔여의 도전기판을 지판부(2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6.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도전기판의 외주부쪽의 길이가 짧은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폐쇄 직사각형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 슬롯소자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의 양단부를 급전점(14)으로 하고,
    제 1의 선형상 소자부와 급전점형성 도체부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의 잔여의 도전기판을 지판부(2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7.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슬롯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 슬롯소자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체부(23)에 개구부(28)를 형성해서 상기 개구부의 양단부를 급전점(14)으로 하고,
    제 1의 선형상 소자부와 급전점형성 도체부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 및 급전점형성 도체부의 잔여의 도전기판을 지판부(2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체형 광대역 평판상태 안테나.
  8. 도전기판(10)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 내지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의 복수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상기 각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 내지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의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폐쇄 직사각형 비도전면을 형성해서 슬롯소자부(24)를 형성하고,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 슬롯소자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급전점형성 도전부(23)에 비도전부(28)를 형성해서 상기 비도전부의 양단부를 급전점(14)으로 하고,
    제 1의 선형상 소자부와 급전점형성 도체부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상 소자부 및 슬롯소자부 및 급전점형성 도전부의 잔여의 도전기판을 지판부(2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선형상ㆍ슬롯 각 소자부 일 체형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9. 복합소자부와 지판부(21)를 형성하는 도전기판(10)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 안테나에 있어서,
    도전기판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3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c)을 형성해서, 상기 제 3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짧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형성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 지판부와의 사이의 비도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에 단락(短絡)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의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10. 복합소자부와 지판부(21)를 형성하는 도전기판(10)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 안테나에 있어서,
    도전기판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긴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3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c)를 형성해서, 상기 제 3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짧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형성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 지판부와의 사이의 공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 전부(26)로 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11. 복합소자부와 지판부(21)를 형성하는 도전기판(10)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 안테나에 있어서,
    도전기판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방향으로 면적을 확대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3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c)을 형성해서, 상기 제 3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짧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형성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 지판부와의 사이의 비도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12. 복합소자부와 지판부(21)를 형성하는 도전기판(10)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 안테나에 있어서,
    도전기판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O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방향으로 면적을 확대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3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를 형성해서, 상기 제 3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짧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형성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 지판부와의 사이의 공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13. 복합소자부와 지판부(21)를 형성하는 도전기판(10)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 안테나에 있어서,
    도전기판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2의 일단부 개 방 비도전면(25b)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및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면적을 확대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3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c)을 형성해서, 상기 제 3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짧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형성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 지판부와의 사이의 비도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14. 복합소자부와 지판부(21)를 형성하는 도전기판(10)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 안테나에 있어서,
    도전기판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 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및 제 1의 선형상 소자부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면적을 확대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20b)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3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c)를 형성해서, 상기 제 3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짧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30c)를 형성해서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와 지판부와의 사이의 공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제 2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제 3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와 제 3의 선형상 소자부를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15. 복합소자부와 지판부(21)를 형성하는 도전기판(10)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 안테나에 있어서,
    도전기판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a)을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b) 내지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25n)을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 제 N의 일단부 개방 비도전면과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 내지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를 형성하고, 지판부에 두 번째로 가까운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는 지판부에 세 번째로 가까운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 및 지판부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의 면적을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또는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또는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및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방향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와 지판부와의 사이의 비도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제 N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과 제 N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16. 복합소자부와 지판부(21)를 형성하는 도전기판(10)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 안테나에 있어서,
    도전기판의 외주부의 일부에 평행하게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a)를 도전기판에 형성해서 외주부의 일부와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1의 선형상 소자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에 평행하게 도전기판에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b) 내지 제 N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25n)를 형성해서 상기 제 2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 제 N의 일단부 개방 공간부와의 사이에 제 2의 선형상 소자부(30b) 내지 제 N의 선형상 소자부(30n)를 형성하고, 지판부에 두 번째로 가까운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30n-1)는 지판부에 세 번째로 가까운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30n-2) 및 지판부에 첫 번째로 가까운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보다도 길이가 길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의 면적을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또는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또는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방향 및 제 N의 선형상 소자부방향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와 지판부와의 사이의 공간부분의 면적을 확대하고,
    각 소자를 공통으로 지판부에 단락하는 도전부분을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26)로 하고,
    제 (N-1)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한 쪽의 급전점(14a)을 형성하고,
    제 N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에 다른 쪽의 급전점(14b)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N-2)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과 제 N의 선형상 소자부의 상기 각 소자 공통지판단락도전부의 근방을 제 1의 도체부(31)에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17. 제 1항 내지 제 16항에 기재된 급전점에 동축 케이블(5)의 내부도체(5a) 및 외부도체(5b)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18. 제 1항 내지 제 16항에 기재된 급전점에 스펠토프(9)를 부가한 동축 케이블의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19. 제 17항에 기재된 동축 케이블(5)의 외부도체의 외주에 2개의 동작주파수 중의 제 1의 동작주파수의 1/4파장의 길이의 제 1의 원통도전체(19a)를 배치하고, 또한 상기 제 1의 원통도전체의 외부에 2개의 동작주파수 중의 제 2의 동작주파수의 1/4파장의 길이의 제 2의 원통도전체(19b)를 배치해서 상기 제 1의 원통도전체 및 상기 제 2의 원통도전체를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에 단락하는 2개의 동작주파수용 스펠토프(19)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KR1020057019874A 2003-04-25 2004-04-21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KR200600089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21401 2003-04-25
JP2003121401 2003-04-25
JP2003197257 2003-07-15
JPJP-P-2003-00197257 2003-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909A true KR20060008909A (ko) 2006-01-27

Family

ID=3342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874A KR20060008909A (ko) 2003-04-25 2004-04-21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08950A1 (ko)
JP (1) JPWO2004097980A1 (ko)
KR (1) KR20060008909A (ko)
WO (1) WO20040979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4804B2 (en) 2008-06-13 2019-10-08 Kateeva, Inc. Low particle gas enclosure system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614593A (en) * 2004-10-28 2006-05-01 Wistron Neweb Corp Antenna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637638B2 (ja) * 2005-04-27 2011-02-23 日星電気株式会社 多周波用アンテナ
US7688267B2 (en) * 2006-11-06 2010-03-30 Apple Inc. Broadband antenna with coupled fee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JP4306734B2 (ja) * 2007-01-31 2009-08-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平面円偏波アンテナ及び電子機器
JP4816564B2 (ja) 2007-05-17 2011-1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フィルムアンテナ及び電子機器
JP4613950B2 (ja) 2007-12-27 2011-01-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平面モノポールアンテナ及び電子機器
JP4775406B2 (ja) 2008-05-29 2011-09-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平面アンテナ及び電子機器
TW201001800A (en) * 2008-06-27 2010-01-01 Asustek Comp Inc Antenna apparatus
JP5638254B2 (ja) * 2009-04-02 2014-12-10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通信装置及びアンテナ
JP2010278586A (ja) * 2009-05-27 2010-12-09 Casio Computer Co Ltd マルチバンド平面アンテナ及び電子機器
JP4973700B2 (ja) * 2009-07-14 2012-07-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装置
US8368602B2 (en) 2010-06-03 2013-02-05 Apple Inc. Parallel-fed equal current density dipole antenna
US9172136B2 (en) 2012-11-01 2015-10-27 Nvidia Corporation Multi-band antenna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573321B (zh) * 2013-05-09 2017-03-01 富智康(香港)有限公司 無線通訊裝置
US9954270B2 (en) 2013-09-03 2018-04-24 Sony Corporation Mobile terminal to prevent degradation of antenna characteristics
KR102193434B1 (ko) 2013-12-26 2020-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용 전자 장치
US9368862B2 (en) * 2014-01-21 2016-06-14 Nvidia Corporation Wideband antenna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231304B2 (en) * 2014-01-21 2016-01-05 Nvidia Corporation Wideband loop antenna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595759B2 (en) 2014-01-21 2017-03-14 Nvidia Corporation Single element dual-feed antennas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734371B (zh) * 2020-02-07 2021-07-21 啓碁科技股份有限公司 天線結構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042Y2 (ko) * 1978-10-09 1987-03-16
EP0929115A1 (en) * 1998-01-09 1999-07-14 Nokia Mobile Phones Ltd.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5929813A (en) * 1998-01-09 1999-07-27 Nokia Mobile Phones Limited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4432254B2 (ja) * 2000-11-20 2010-03-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通信機
JP3552693B2 (ja) * 2001-09-25 2004-08-11 日立電線株式会社 平板多重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JP4081337B2 (ja) * 2002-09-30 2008-04-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US7057560B2 (en) * 2003-05-07 2006-06-06 Agere Systems Inc. Dual-band antenna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evice
US6985114B2 (en) * 2003-06-09 2006-01-10 Houkou Electric Co., Ltd. Multi-frequency antenna and constitut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4804B2 (en) 2008-06-13 2019-10-08 Kateeva, Inc. Low particle gas enclosure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97980A1 (ja) 2004-11-11
JPWO2004097980A1 (ja) 2006-07-13
US20060208950A1 (en)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8909A (ko) 광대역 평판형상 안테나
US8228258B2 (en) Multi-port antenna
EP1367672B1 (en) A single or dual polarized molded dipole antenna having integrated feed structure
US6677909B2 (en) Dual band slot antenna with single feed line
US10784578B2 (en) Antenna system
EP2040329A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296282B2 (ja) 多周波共用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US7466267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P2750247B1 (en) Planar inverted f antenna
US9184507B2 (en) Multi-slot common aperture dual polarized omni-directional antenna
US20140210674A1 (en) Planar inverted f antenna
US11276940B2 (en) Waveguide slot array antenna
US11196175B2 (en) Antenna device
JP2002359515A (ja) M型アンテナ装置
US20200411994A1 (en) Antenna structure
JP2017098782A (ja) アンテナ素子
TWI714372B (zh) 天線結構
CN113675589A (zh) 天线结构
EP4113740A1 (en) Antenna
JP5078732B2 (ja) アンテナ装置
US7639192B2 (en) Antenna structure
JP5615242B2 (ja) アンテナ装置
EP3852193A1 (en) Compact wideband dual-polarized radiating elements for base station antenna applications
JPH0229007A (ja) アンテナ装置
JP3976004B2 (ja) T分岐導波管、およびアレー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