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406A - Lock system of door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Lock system of door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406A
KR20060008406A KR1020040057095A KR20040057095A KR20060008406A KR 20060008406 A KR20060008406 A KR 20060008406A KR 1020040057095 A KR1020040057095 A KR 1020040057095A KR 20040057095 A KR20040057095 A KR 20040057095A KR 20060008406 A KR20060008406 A KR 20060008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switch unit
un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0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문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8406A/en
Publication of KR20060008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4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은 도어의 락/언락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부가 가변저항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상태를 알려주는 경보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써,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의 락/언락 키스위치가 락 및 언락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회로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위치부의 고장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door lock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the switch unit for inputting the lock / unlock signal of the door is composed of a variable resist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larm unit for indicating the state of the switch unit, the lock / unlock key of the driver's seat and passenger seat door Since the position can perform both lock and unlock functions, the circuit is not only simple, but the switch unit can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It has an effect.

도어, 스위치, 전자제어부, 경보부, 가변저항Door, switch, electronic control unit, alarm unit, variable resistor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 {Lock system of door for automobile} Lock system of door for automobi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이 도시된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door lock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이 도시된 회로도.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door lock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60: 스위치부 70: 전자제어부60: switch unit 70: electronic control unit

80: 액추에이터 90: 경보부
80: actuator 90: alarm uni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치부를 가변저항으로 구성되어 가변되는 저항값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락 또는 언락 신호 및 상기 스위치부의 이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회로가 간단하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system of a vehicle, and in particular, the switch unit is composed of a variable resistor, and according to the variable resistance value, the switch unit can check the lock or unlock signal and the abnormal state of the switch unit, so that the circuit is simple and prevents malfunction. A door lock system of a vehicle can be provided.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가 도어 락/언락 신호를 주게 되면, 자동으로 락 또는 언락시키는 도어 락 시스템이 구비된다. In general,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door lock system that automatically locks or unlocks when a driver gives a door lock / unlock sig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이 도시된 회로도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door lock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미도시)의 락/언락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부(10)와, 상기 스위치부(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제어부(20)와, 상기 전자제어부(20)가 출력 한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상기 도어(미도시)를 락 또는 언락시키는 액추에이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door lock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processes a switch unit 10 for inputting a lock / unlock signal of a door (not shown) and a signal input from the switch unit 10. And an actuator 30 which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electronic controller 20 and locks or unlocks the door accordingly.

상기 스위치부(10)는 운전석 도어의 락 키스위치(12) 및 언락 키스위치(14)와 조수석의 락 키스위치(16) 및 언락 키스위치(18)로 구성되고, 각각 그라운드에 연결된다.The switch unit 10 is composed of a lock key switch 12 and an unlock key switch 14 of a driver's seat door, a passenger lock key switch 16 and an unlock key switch 18 of a passenger seat, and are connected to ground, respectively.

상기 액추에이터(30)는 상기 전자제어부(20)가 출력한 락 또는 언락 신호에 따라 전원(B+)의 인가를 제어하는 릴레이(32)와, 상기 릴레이(3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릴레이(3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34)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어 상기 도어(미도시)가 락 또는 언락시키게 된다. The actuator 30 is a relay 32 that controls the application of the power supply B + according to the lock or unlock signal output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0 and a motor driven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relay 32. 34, the motor 34 is rotated forward or reverse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relay 32 to lock or unlock the door (not show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상기 운전석 도어(미도시)를 락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운전석 도어의 락 키스위치(12)를 온시키면, 상기 그라운드와 전자제어부(20)가 연결 되게 되어 상기 전자제어부(20)에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First, when a user wants to lock the driver's seat door (not shown), when the lock key switch 12 of the driver's seat door is turned on, the ground and the electronic controller 20 ar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ler 20.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상기 전자제어부(20)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전자제어부(20)는 상기 운전석 도어의 락 키스위치(1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그 처리결과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상기 액추에이터(30)로 출력한다.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0,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0 receives and processes a signal input from the lock key switch 12 of the driver's seat door, and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actuator. Output to (30).

상기 액추에이터(30)는 상기 전자제어부(2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32)와 모터(34)를 작동되어 상기 운전석 도어(미도시)를 락시키게 된다.The actuator 30 operates the relay 32 and the motor 34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0 to lock the driver's door (not shown).

이후, 상기 운전석 도어의 락 키스위치(12)를 오프시키면, 상기 그라운드와 전자제어부(20)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전자제어부(3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상기 운전석 도어의 락 키스위치(12)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Thereafter, when the lock key switch 12 of the driver's door is turned 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ground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0 is released and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No signal is input from).

또한, 상기 운전석 도어(미도시)를 언락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운전석 도어의 언락 키스위치(14)를 온시키면, 상기 전자제어부(20)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전자제어부(20)는 상기 운전석 도어의 언락 키스위치(14)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상기 액추에이터(30)로 출력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unlock the driver's seat door (not shown), when the unlock key switch 14 of the driver's seat is turned o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0,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0 is connected to the driver's door. The signal input from the unlock key switch 14 is received, processed, and output to the actuator 30.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30)는 상기 운전석 도어를 언락시키게 된다.Thus, the actuator 30 unlocks the driver's door.

한편, 상기 조수석 도어(미도시)를 락 또는 언락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조수석 도어의 락 키스위치(16) 또는 언락 키스위치(18)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운전석 도어를 락/언락시키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Meanwhile, to lock or unlock the passenger seat door (not shown), the same method as the method of locking / unlocking the driver's door except for using the lock key switch 16 or the unlock key switch 18 of the passenger seat door. It is omitted her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은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를 각각 락 또는 언락시키기 위해서, 각 도어마다 상기 락 키스위치(12)(16) 및 언 락 키스위치(14)(18)를 장착하였으므로 다수개의 키스위치가 필요하다.However, the door lock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equipped with the lock key switch 12, 16 and unlock key 14, 18 for each door in order to lock or unlock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door, respectively. Therefore, a plurality of keyswitches are needed.

또한, 상기 락 키스위치(12)(16)와 언락 키스위치(14)(18)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그라운드와 전자제어부(20)가 연결 또는 연결해제되어 상기 전자제어부(20)로의 전압이 인가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바, 전선이 단선되는 경우 상기 그라운드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전압 인가가 차단되며, 상기 그라운드로의 쇼트가 발생되는 경우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전자제어부(20)는 상기 락 키스위치(12)(16)또는 언락 키스위치(14)(18)의 온/오프 상태와 관계없이 상기 도어를 락 또는 언락시키는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ground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0 are connected or disconnected according to the on / off state of the lock key switches 12 and 16 and the unlock key switches 14 and 18, thereby providing a voltage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0.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0 is configured to be applied or cut off, and when the wire is disconnected, the connection to the ground is released to cut off the voltage, and when the short is generated, the voltage is applied. There is a problem that a malfunction occurs to lock or unlock the door regardless of the on / off state of the lock keyswitch 12, 16 or the unlock keys 14, 1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키스위치를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키스위치가 도어의 락/언락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회로가 간단해지고,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key switch can be used to perform the lock / unlock function of the door at the same time by using a variable resistor, the circuit is simplified, the malfunction is preven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lock system of a vehicl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은 도어의 락 또는 언락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신호 및 상태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제어부와, 상기 전자제어부로부터 상기 스위치부의 락/언락 신호에 대한 출력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도어를 락 또는 언락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전자제어부로부터 상기 스위치부의 상태에 대한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스위치부의 상태를 알려주는 경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oor lock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switch unit for inputting a lock or unlock signal of the do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witch unit, and determines the signal and state of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lectronic controller for generating an output signal, an actuator for receiving an output signal for the lock / unlock signal of the switch unit from the electronic controller, and an actuato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and an output signal for the state of the switch unit from the electronic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n alarm unit for receiving the status of the switch unit receiv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이 도시된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door lock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미도시)의 락 또는 언락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부(60)와, 상기 스위치부(6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치부(60)의 신호 및 상태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제어부(70)와, 상기 전자제어부(70)로부터 상기 스위치부(60)의 락/언락 신호에 대한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도어(미도시)를 락 또는 언락시키는 액추에이터(80)와, 상기 전자제어부(70)로부터 상기 스위치부(60)의 상태에 대한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스위치부(60)의 상태를 알려주는 경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door lock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switch unit 60 for inputting a lock or unlock signal of the door (not shown),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switch unit 60, 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e signal and state of the switch unit 60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according thereto, and outputs an output signal for the lock / unlock signal of the switch unit 60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Receives an actuator 8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not shown) and an output signal for the state of the switch unit 60 from the electronic controller 70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switch unit 6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larm unit 90 to inform.

상기 스위치부(60)는 운전석 도어(미도시)를 락 또는 언락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운전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2)와, 상기 조수석 도어(미도시)를 락 또는 언락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조수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4)로 구성된다. The switch unit 60 receives a driver's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2 for inputting a signal for locking or unlocking a driver's door (not shown), and a signal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passenger's seat door (not shown). A passenger seat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4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운전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2)와 조수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4)는 각각 하나의 배선으로 이루어는 바, 상기 스위치부(60)는 하나의 스 위치로 락 또는 언락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60)가 온이면 락신호를 나타내고, 오프이면 언락신호를 나타낸다.Here, the driver's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2 and the passenger seat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4 are made of one wire, respectively, the switch unit 60 is locked or unlocked by one switch When the switch unit 60 is turned on, the lock signal is displayed, and when the switch unit 60 is off, the unlock signal is displayed.

또한, 상기 스위치부(60)는 가변저항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변화시켜 그에 따라 락 또는 언락 등의 다양한 신호를 전송한다.In addition, the switch unit 60 is composed of a variable resistor, and chang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to transmit various signals such as lock or unlock accordingly.

상기 가변저항은 상기 운전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2)나 조수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4)의 조작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부(70)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변화시키게 되는 바, 상기 전자제어부(70)는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60)의 신호를 판단할 수 있다. The variable resistance is a resistance valu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s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2 or the passenger seat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4, and accordingly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ler 70 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may determine the signal of the switch unit 60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voltage.

예를 들어, 상기 가변저항을 50kΩ의 저항을 사용한다면, 상기 스위치부(60)가 온상태이면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이 10kΩ이하이게 하고, 상기 스위치부(60)가 오프상태이면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이 40kΩ이하이도록 하여, 그에 따른 해당전압이 상기 전자제어부(70)에 인가되도록 한다.For example, if the variable resistor uses a resistance of 50 kΩ,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10 kΩ or less when the switch unit 60 is on, and the variable resistor when the switch unit 60 is off. The resistance value of is less than 40kΩ, so that the correspond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따라서, 상기 전자제어부(70)는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이 10kΩ이하일 경우 상기 스위치부(60)가 온상태이고 상기 스위치부(60)의 신호가 상기 도어를 락시키는 락신호이고,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이 40kΩ이상이면 상기 스위치부(60)가 오프상태이며 상기 스위치부(60)의 신호는 상기 도어(미도시)를 언락시키는 언락신호로 판단하도록 설정된다.Therefore,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10 kΩ or less, the electronic controller 70 is a lock signal in which the switch unit 60 is on and the signal of the switch unit 60 locks the door.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40 kΩ or more, the switch unit 60 is turned off and the signal of the switch unit 60 is set to determine that the unlock signal for unlocking the door (not shown).

또한, 상기 전자제어부(70)는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이 10kΩ~40kΩ이면 상기 스위치부(60)가 온 또는 오프상태가 아닌 일반상태로 판단하게 되며, 저항값이 0이거나 50kΩ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스위치부(60)에서 전선이 단선되거나 쇼트 등 이 발생된 이상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다. In addition,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10kΩ ~ 40kΩ, 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at the switch unit 60 is a normal state, not an on or off state, and the resistance value is 0 or exceeds 50kΩ. The switch unit 60 is preset to determine that the wire is disconnected or an abnormal state in which a short is generated.

즉, 상기 전자제어부(70)는 상기 스위치부(6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와 같이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부(60)의 상태를 판단하고 처리하여, 그에 따른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That is,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switch unit 60, the electronic controller 70 determines and processes the state of the switch unit 60 by comparing with a preset value as described above,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accordingly. Let's do it.

상기 액추에이터(80)는 상기 전자제어부(70)가 출력한 락 또는 언락 신호에 따라 전원(B+)의 인가를 제어하는 릴레이(82)와, 상기 릴레이(8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8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릴레이(8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84)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어 상기 도어(미도시)가 락 또는 언락되게 된다.The actuator 80 is a relay 82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the power supply B + according to the lock or unlock signal output from the electronic controller 70 and a motor driven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relay 82. 84, the motor 84 is rotated forward or reverse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relay 82 to lock or unlock the door (not shown).

상기 경보부(90)는 상기 전자제어부(70)에서 상기 스위치부(60)의 이상상태가 판단되면, 상기 전자제어부(7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전압이 인가되어 점등되는 경고등으로 이루어진다. When the alarm unit 90 determines that the abnormal state of the switch unit 60 is determined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the alarm unit 90 includes a warning light that is turned on by applying a voltage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상기 경고등은 상기 운전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2)의 이상상태를 알려주는 제 1경고등(92)과, 상기 조수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4)의 이상상태를 알려주는 제 2경고등(94)으로 이루어지고, 차실에서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rning light includes a first warning light 92 indicating an abnormal state of the driver's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2 and a second warning light 94 indicating an abnormal state of the front passenger's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4. It is desirable to be mounted in a position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in the vehicle compartmen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상기 운전석 도어(미도시)를 락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운 전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2)가 온시켜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은 10kΩ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전자제어부(70)에 해당 전압이 인가시킨다.First, when the user wants to lock the driver's seat door (not shown), the driver's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2 is turned on so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10 kΩ. The corresponding voltage is applied.

상기 전자제어부(70)는 해당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운전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2)가 온상태임을 판단하고, 10kΩ에 대한 전압이 인가되었으므로 상기 운전석 도어를 락시키는 락신호임을 판단하게 된다.When the corresponding voltage is applied, the electronic controller 70 determines that the driver's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2 is in an on state, and determines that the driver's door lock is locked because a voltage of 10 kΩ is applied. .

따라서, 상기 전자제어유닛(70)은 상기 운전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2)로부터 입력된 락신호에 따라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액추에이터(80)로 전송한다.Accordingl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generates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lock signal input from the driver's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2 and transmits the output signal to the actuator 80.

상기 액추에이터(80)는 상기 전자제어부(7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82)와 모터(84)를 작동시켜 상기 운전석 도어(미도시)를 락시키게 된다.The actuator 80 operates the relay 82 and the motor 84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to lock the driver's seat door (not shown).

또한, 상기 운전석 도어(미도시)를 언락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운전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2)를 오프시켜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40kΩ이상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전자제어부(70)에 해당전압을 인가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driver's door (not shown) is to be unlocked, the driver's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2 is turned off so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40 kΩ or more. Apply the corresponding voltage.

상기 전자제어부(70)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운전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2)가 오프상태임을 판단하게 되고, 상기 운전석 도어를 언락시키도록 상기 액추에이터(80)로 신호를 출력한다.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at the driver's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2 is in an off state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and outputs a signal to the actuator 80 to unlock the driver's door.

상기 액추에이터(80)는 상기 릴레이(82)와 모터(84)를 작동시켜 상기 운전석 도어(미도시)를 언락시키게 된다.The actuator 80 operates the relay 82 and the motor 84 to unlock the driver's seat door (not shown).

한편, 상기 조수석 도어(미도시)를 락 또는 언락시키는 작동방법은 상기 조수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4)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운전석 도어를 락 또는 언락시키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method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passenger seat door (not shown) is the same as the method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river's seat door except for turning the passenger seat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4 on or off. Omit.                     

한편, 상기 스위치부(60)에서 전선이 단선되거나 쇼트 등이 발생되어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이 0이거나 50kΩ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전자제어부(70)는 상기 스위치부(60)의 이상상태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상기 경보부(90)로 출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e is disconnected or a short is generated in the switch unit 60,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0 or exceeds 50kΩ, 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is an abnormal state of the switch unit 60 Determine and output the signal according to the alarm unit 90.

상기 경보부(90)는 상기 전자제어부(7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경고등(92) 또는 제 2경고등(94)을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상기 운전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2) 또는 조수석 도어 락/언락 키스위치(64)의 고장상태를 알릴 수 있게 된다.
The alarm unit 90 lights the first warning light 92 or the second warning light 94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to give the user the driver's door lock / unlock key switch 62 or the passenger seat door lock.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failure state of the / unlock key switch 64.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은 도어의 락/언락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부가 가변저항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상태를 알려주는 경보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써,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의 락/언락 키스위치가 락 및 언락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회로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위치부의 고장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door lock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by the switch unit for inputting the lock / unlock signal of the door is composed of a variable resistor, and includes an alarm unit for indicating the state of the switch unit,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door The lock / unlock key switch can perform both lock and unlock functions, thereby simplifying the circuit, and recognizing the state of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It is easy to see whether it is effective.

Claims (2)

도어의 락 또는 언락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부와; A switch unit for inputting a lock or unlock signal of the door;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신호 및 상태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제어부와; An electronic controller which receives a signal from the switch unit, determines a signal and a state of the switch unit,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switch unit; 상기 전자제어부로부터 상기 스위치부의 락/언락 신호에 대한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도어를 락 또는 언락시키는 액추에이터와;An actuator for receiving the output signal for the lock / unlock signal of the switch unit from the electronic controller to lock or unlock the door; 상기 전자제어부로부터 상기 스위치부의 상태에 대한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스위치부의 상태를 알려주는 경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락 시스템. And an alarm unit for receiving an output signal of the state of the switch unit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o inform the state of the switch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치부는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락 시스템.The switch unit is made of a variable resistanc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vehicle door loc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switch unit.
KR1020040057095A 2004-07-22 2004-07-22 Lock system of door for automobile KR200600084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095A KR20060008406A (en) 2004-07-22 2004-07-22 Lock system of door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095A KR20060008406A (en) 2004-07-22 2004-07-22 Lock system of door for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406A true KR20060008406A (en) 2006-01-26

Family

ID=3711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095A KR20060008406A (en) 2004-07-22 2004-07-22 Lock system of door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840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468B1 (en) * 2006-12-04 2008-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ircuit for preventing door locking err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468B1 (en) * 2006-12-04 2008-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ircuit for preventing door locking err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6734B1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JP4213677B2 (en) Vehicle anti-theft device with power door
US20050132765A1 (en) Current cutoff circuit and electric steering wheel lock
US7932627B2 (en) Electric steering lock,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US20040059488A1 (en) Door unlock control system
JPH0587418B2 (en)
US6653747B1 (en) Electronic key system including ignition and transmission control
US8918249B2 (en) Dual function electronic control unit
US7526370B2 (en) Alternative input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008019625A (en) Vehicular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KR20060008406A (en) Lock system of door for automobile
KR102028627B1 (en) Start / stop switch system used in vehicles
KR101000134B1 (en) Automobile door control circuit
JPH10140899A (en) Child lock system
KR200146832Y1 (en) A door locking device in a vehicle
WO1997028338A1 (en) Electronic central locking system
KR200388796Y1 (en) Automotive antitheft system with shift lock device
KR100496685B1 (en) Automotive antitheft system with shift lock device
KR19980047757U (en) Motion control device of automobile power door device
KR20060016450A (en) Door lock/unlock signal input circuit in a vehicle
KR200151523Y1 (en) A driving prohibition device as the door is open
KR100206426B1 (en) Automatic door locking apparatus of vehicle
KR20150062362A (en) Electronic key system for vehicle
KR20030017855A (en) A protection against burglars of a car
KR100801813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theft prevention in a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