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827A -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827A
KR20060007827A KR1020040057217A KR20040057217A KR20060007827A KR 20060007827 A KR20060007827 A KR 20060007827A KR 1020040057217 A KR1020040057217 A KR 1020040057217A KR 20040057217 A KR20040057217 A KR 20040057217A KR 20060007827 A KR20060007827 A KR 20060007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nsing
temperature
washing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1436B1 (ko
Inventor
이황의
전용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화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화인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7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4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를 배수하고 더운물을 재 공급받는 단계와,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와 제2기준온도 사이일 경우,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가 배수되면 더운물을 재 공급받고, 배수되지 않으면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제2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헹굼수를 히터로 가열하고 세척수는 헹굼수에서 펌핑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세척수와 헹굼수의 현재 온도에 따라 배수하고 더운물을 재 공급받을 것인지, 현재의 세척수와 헹굼수를 가열하여 사용할 것인지를 선택함으로써, 식기의 세척시간단축 에너지를 절약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식기 세척기, 세척수, 헹굼수, 가열수단, 전기히터,

Description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 및 시스템{Electronic washing-water and rinsing-water heating method and the system of dish-wash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의 흐름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의 상세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시스템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앙처리장치 20 : 검지부
21 : 세척수 수위센서 22 : 헹굼수 수위센서
23 : 세척수 온도센서 24 : 헹굼수 온도센서
30 : 키입력부 40 : 히터제어부
50 : 수전자변 제어부 60 :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식기 세척기가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재가동 될 때,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에 따라 효율적인 가열방법을 선택하도록 한 것으로써, 세척수와 헹굼수의 현재 온도에 따라 배수하고 더운물을 재 공급받을 것인지, 현재의 세척수와 헹굼수를 가열하여 사용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식기의 세척시간단축 에너지를 절약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장치를 말하며, 소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세척수 및 헹굼수를 강하게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식기 세척기는 케이싱 내에 소정용적의 세척실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실의 상부에는 상하 슬라이딩식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세척실의 하부에는 세척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찌꺼기를 걸러주는 필터와, 일정깊이를 갖는 세척수 저장탱크, 세척수를 소정온도 이상으로 유지시켜주기 위한 히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세척조 내의 물을 세척용 노즐로 송수시켜 주는 세척수 펌프를 포함하여 부스터에 의해 가열된 온수(즉, 헹굼수)를 헹굼수 노즐로 송수시켜주는 헹굼수 펌프가 설치됨은 물론 세제 및 린스 공급용 모터 등이 설치되고, 상기 세척실의 상하부에는 세척수 및 헹굼수를 식기에 분사시켜주는 세척용 노즐 및 헹굼수 용 노즐이 각각 한쌍씩 설치되고, 세척조의 중간부에는 각종 식기가 담겨지는 선반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열고 선반 위에 세척하고자하는 식기들을 올려놓고 다시 도어를 닫은 다음, 동작스위치를 온(On)시키게 되면 세척수 펌프가 소정시간동안 구동되어 세척수 저장탱크 내의 물이 상기 세척수 펌프에 의해 강제적으로 송수된다.
이러한 세척수는 세척용 노즐의 물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선반에 놓여진 식기가 세척되고,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헹굼수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헹굼수로 세척된 식기들이 헹궈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세척수 및 헹굼수가 소정의 온도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세척수에 거품이 발생되고, 이러한 거품은 세척 펌프내로 유입되어 세척효과가 떨어지게 되므로, 항상 소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의 내부에는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전기히터로 구성된 가열수단을 구비하게 되며, 특히 전기 식기 세척기의 경우 세척수 및 헹굼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 전기히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 식기 세척기는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점차로 낮아지게 되며, 식기 세척기를 재가동하게 되면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를 재가열해야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온도가 낮아진 세척수 및 헹굼수를 다시 가열하기 위하여 전기히터를 구동하게 되면, 세척수 및 헹굼수가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그로 인한 세척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며, 전기료 등의 추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 식기 세척기가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재가동 될 때,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에 따라 효율적인 가열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여, 식기의 세척시간단축 에너지를 절약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은,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를 배수하고 더운물을 재 공급받는 단계와,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와 제2기준온도 사이일 경우,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가 배수되면 더운물을 재 공급받고, 배수되지 않으면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제2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헹굼수를 히터로 가열하고 세척수는 헹굼수에서 펌핑하 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시스템은, 세척수와 헹굼수의 수위 및 온도에 따라 세척수와 헹굼수의 배수와 공급 및 가열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세척수와 헹굼수의 수위 및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검지부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세척수와 헹굼수의 배수버튼 및 가열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히터제어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세척수용 수전자변 및 헹굼수용 수전자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수전자변 제어부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세척수와 헹굼수의 온도 및 배수의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세척수와 헹굼수의 현재 온도에 따라 배수하고 더운물을 재 공급받을 것인지, 현재의 세척수와 헹굼수를 가열하여 사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와 헹굼수의 가열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함과 동시에 세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의 흐름도로서, 세척수와 헹굼수의 온도에 따라 배수와 가열을 선택함을 나타낸 것이 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의 상세순서도로서, 도 1의 흐름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10), 검지부(20), 키입력부(30), 히터제어부(40), 수전자변제어부(50), 디스플레이(60)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도 2a 내지 도 2d의 순서도를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알고리즘은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연산 중에 로딩하도록 하거나 상기 중앙처리장치(10) 내부에 저장하여 연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지부(20)는 세척수와 헹굼수의 수위 및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수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세척수 수위센서(21), 헹굼수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헹굼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헹굼수 수위센서(22), 세척수의 수온을 감지하는 세척수 온도센서(23) 및 헹굼수의 수온을 감지하는 헹굼수 온도센서(24)로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30)는 사용자가 직접 식기 세척기의 각종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식기 세척기의 구동 및 헹굼수의 배수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선택하고 그 설정데이터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그 기능의 추가 및 제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히터제어부(40)는 헹굼수 저장탱크에 설치된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헹굼수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수전자변제어부(50)는 세척수 저장탱크와 헹굼수 저장탱크에 세척수 및 헹굼수를 공급하는 수전자변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수전자변의 온오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60)는 현재 식기 세처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시간 표시부(61), 배수표시램프(62), 세척상태표시부(63) 및 헹굼상태표시부(6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을 살펴보면, 식기 세척기를 사용한 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재 운전하고자 하여 키입력부(30)를 통해 식기 세척기를 가동하면, 검지부(20)의 세척수 온도센서(23) 및 헹굼수 온도센서(24)가 세척수 저장탱크 및 헹굼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를 감지(S101)하게 된다.
상기 감지된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예를 들어 세척수 온도는 35℃, 헹굼수 온도는 55℃ 이하일 경우에는 세척수와 헹굼수를 전기히터로 가열하게 되면 에너지의 낭비가 커지게 된다.
즉, 저온의 물을 전기히터로 가열하게 되면,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소모되는 전력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감지된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제1기준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를 배수하고, 중앙처리장치(10)가 수전자변 제어부(50)로 수전자변의 온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수전자변 제어부(50)는 세척수용 수전자변과 헹굼수용 수전자변을 온시켜, 온수기로부터 가열되어 공급되는 더운물을 세척수 저장탱크 및 헹굼수 저장탱크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의 배수 방법으로는, 디스플레이(60)에 설치된 배수표시램프(62)를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세척수 및 헹굼수가 온도가 낮음을 알리고 수동으로 배수하도록 하거나, 배수펌프에 의해 자동으로 배수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감지된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와 제2기준온도 사이일 경우, 예를 들어 세척수 온도는 35℃ ~ 40℃, 헹굼수 온도는 55℃ ~ 60℃ 일 경우에는 설치환경과 사용환경 등에 따라 전기히터의 사용이 효과적인 상태와 그렇지 않은 상태가 발생되며, 이는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해야만 한다.
따라서 별도의 다른 램프를 점등하여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중간정도임을 알리고, 사용자로 하여금 배수하여 온수기로부터 더운물을 공급받을 것인지,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가열하도록 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세척수 및 헹굼수를 배수하게 되면 온수기로부터 더운물을 공급받게 되며,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를 배수하지 않으면 히터제어부(40)에 의해 전기히터를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의 배수 또는 가열의 선택은 사용자에 의하여 세척수 및 헹굼수의 배수여부만으로 결정하였으나, 사용자가 키입력부(30)에 설치된 배수버튼(도시하지 않음) 또는 가열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 및 헹굼수를 배수하거나 가열할 수도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감지된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제2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예를 들어 세척수 온도는 40℃, 헹굼수 온도는 60℃ 일 경우에는 현재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전기히터를 사용하는 것이 온수기로부터 더운물을 공급받는 것보다 효율적이다.
따라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감지된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제2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히터제어부(40)를 통해 헹굼수를 전기히터로 가열하고 세척수는 가열된 헹굼수에서 펌핑(Pumping)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2a 내지 도 2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가 작동(S201)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검지부(20)의 헹굼수 수위센서(22)를 통해 헹굼수의 만수위를 감지(S202)하게 된다.
만약 상기 헹굼수가 만수위가 아닐 경우에는 수전자변 제어부(50)를 통해 헹굼수용 수전자변을 온(S203)시켜 헹굼수를 공급(S204)한다.
이때, 공급되는 헹굼수는 온수기로부터 가열된 더운물이 공급되며, 헹굼수가 만수위가 되면(S205), 헹굼수용 수전자변을 오프(S206)시켜 헹굼수의 공급을 중단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된 헹굼수의 온도가 55℃ 이하일 경우, 배수표시램프(62)를 점등(S208)하여 헹굼수를 배수(S209)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헹굼수의 온도가 55℃ ~ 60℃일 경우(S210), 배수표시램프(62)를 점등(S211)한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부(10)로부터 배수가 선택(S213)되면 헹굼수를 배수(S214)하고, 가열이 선택되면(S213) 히터를 가동(S216)하게 된다.
또한, 헹굼수의 온도가 60℃ 이상일 경우(S210)에는 헹굼수의 온도가 90℃가 될 때까지 히터제어부(40)를 통해 히터를 구동(S216)하여 가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헹굼수의 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검지부(20)의 세척수 수위센서(21)를 통해 세척수의 만수위를 감지(S218)하게 된다.
만약 상기 세척수가 만수위가 아닐 경우에는 수전자변 제어부(50)를 통해 세척수용 수전자변을 온(S219)시켜 세척수를 공급(S220)한다.
이때, 공급되는 세척수는 온수기로부터 가열된 더운물이 공급되며, 세척수가 만수위가 되면(S221), 세척수용 수전자변을 오프(S222)시켜 온수기로부터의 공급을 중단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된 세척수의 온도가 35℃ 이하일 경우, 배수표시램프(62)를 점등(S224)하여 헹굼수를 공급(S225)하도록 한다.
상기 세척수의 온도가 35℃ ~ 40℃일 경우(S226), 배수표시램프(62)를 점등 (S227)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배수가 선택(S229)되면 세척수를 배수(S230)하고, 아닐 경우(S229)에는 헹굼수를 공급(S231)하게 된다.
상기 세척수의 온도가 40℃ 이상(S232)이 되면, 식기 세척기는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동작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표시램프(62)는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점등되는 다수개의 램프로 구성되어 지며, 상기 램프의 종류와 그 구성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미설명 구성인 시간표시부(61)는 식기세척기의 각 기능의 진행에 따른 시간을 표시하는 것이고, 세척 상태 표시부(63)와 헹굼 상태 표시부(64)는 세척수와 헹굼수의 온도와 더불어 현재 식기의 세척 및 헹굼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수와 헹굼수의 현재 온도에 따라 배수하고 더운물을 재 공급받을 것인지, 현재의 세척수와 헹굼수를 가열하여 사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와 헹굼수의 가열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함과 동시에 세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01)와,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를 배수하고 더운물을 재 공급받는 단계(S102)와,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와 제2기준온도 사이일 경우,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가 배수되면 더운물을 재 공급받고, 배수되지 않으면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하는 단계(S103) 및
    상기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제2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헹굼수를 히터로 가열하고 세척수는 헹굼수에서 펌핑하는 단계(S10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
  2. 세척수와 헹굼수의 수위 및 온도에 따라 세척수와 헹굼수의 배수와 공급 및 가열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0)와,
    세척수와 헹굼수의 수위 및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0)로 전송하는 검지부(20)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세척수와 헹굼수의 배수버튼 및 가열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입력부(3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히터제어부(4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세척수용 수전자변 및 헹굼수용 수전자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수전자변 제어부(50)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세척수와 헹굼수의 온도 및 배수의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디스플레이(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검지부(20)에서 감지된 세척수와 헹굼수의 수위 및 온도에 따라 제 1항의 방법에 의해 히터제어부(40) 및 수전자변 제어부(5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시스템.
KR1020040057217A 2004-07-22 2004-07-22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 및 시스템 KR10081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217A KR100811436B1 (ko) 2004-07-22 2004-07-22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217A KR100811436B1 (ko) 2004-07-22 2004-07-22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827A true KR20060007827A (ko) 2006-01-26
KR100811436B1 KR100811436B1 (ko) 2008-03-07

Family

ID=3711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217A KR100811436B1 (ko) 2004-07-22 2004-07-22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4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1810B1 (en) * 2010-10-26 2011-08-23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that holds water for use during peak electricity demand and associated method of control
CN113693535A (zh) * 2021-08-25 2021-11-26 浙江亨德清洗科技有限公司 智能加热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314B1 (ko) 2016-05-31 2021-10-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 사용시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열량 최적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239B2 (ja) * 1993-12-24 2000-07-17 株式会社ハーマン 食器洗浄乾燥機
JP3195764B2 (ja) 1997-09-19 2001-08-06 大阪瓦斯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2000300501A (ja) 1999-04-26 2000-10-31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装置
JP2001204676A (ja) 2000-01-28 2001-07-31 Toto Ltd 食器洗い機
JP4554796B2 (ja) 2000-10-03 2010-09-29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
JP2003284669A (ja) 2002-03-28 2003-10-07 Toto Ltd 食器洗い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1810B1 (en) * 2010-10-26 2011-08-23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that holds water for use during peak electricity demand and associated method of control
US8132279B1 (en) 2010-10-26 2012-03-13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that holds water for use during peak electricity demand and associated method of control
CN113693535A (zh) * 2021-08-25 2021-11-26 浙江亨德清洗科技有限公司 智能加热装置
CN113693535B (zh) * 2021-08-25 2024-03-26 浙江亨德清洗科技有限公司 智能加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436B1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9925A2 (en) Wash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dish washing machine
EP1929919A2 (en) Wash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dish washing machine
KR101375493B1 (ko) 식기 세척기
EP2374399B1 (en) Dishwasher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460713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CN107411669B (zh) 基于水箱供水的洗碗机的洗涤控制方法和装置以及洗碗机
KR20040045729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11436B1 (ko) 전기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가열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25342A (ko) 식기세척용 히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166914A1 (en) Controlling method of a dishwasher
JP2006204336A (ja) 食器洗い乾燥機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314868B1 (ko) 식기세척기의 전원투입 초기 세척수 온도 제어장치 및 그방법
KR100628926B1 (ko) 식기 세척기의 헹굼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0170588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방법
KR0123816B1 (ko) 식기세척기의 헹굼방법
KR100799871B1 (ko)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및 헹굼수 공급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50842A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제어방법
KR101212950B1 (ko)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128642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950002454B1 (ko) 식기세척기의 급수 제어방법
KR100813094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구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25343A (ko) 식기세척용 히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119294A (ja) 食器洗い機
KR20050012523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 알림방법
JP6138095B2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