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6889A - 이중 사슬 dna를 이용한 유해물질의 농축 제거 방법,이를 위한 흡착체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사슬 dna를 이용한 유해물질의 농축 제거 방법,이를 위한 흡착체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889A
KR20060006889A KR1020057013197A KR20057013197A KR20060006889A KR 20060006889 A KR20060006889 A KR 20060006889A KR 1020057013197 A KR1020057013197 A KR 1020057013197A KR 20057013197 A KR20057013197 A KR 20057013197A KR 20060006889 A KR20060006889 A KR 20060006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chain dna
harmful substances
adsorbent
d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씨앙 동 리우
마사지 마츠나가
노리오 니시
Original Assignee
닛세이 바이오 카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세이 바이오 카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세이 바이오 카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6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24Dialysis ; Membrane extraction
    • B01D61/243Di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24Dialysis ; Membrane extraction
    • B01D61/243Dialysis
    • B01D61/244Dialysis comprising multiple dialysis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7/00Other dairy technology
    • A23C7/04Removing unwanted substances other than lactose or milk proteins from mi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24Dialysis ; Membrane extraction
    • B01D61/2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4Naturally occurring macromolecular compounds, e.g. hum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5Sorbents inside a permeable or porous casing, e.g. inside a container, bag or membr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natural organic sorbent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40Adsorbents within the flow pat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02F2101/366Dioxine; Fura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유해물질을 함유하는 피처리액을 이중 사슬 DNA와 접촉시키고, 유해물질을 이중 사슬 DNA에 인터컬레이션에 의해 흡착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제거방법. 상기 방법은 다이옥신류의 처리에 특히 유용하며, 예를 들면, 유해물질은 투과하지만 이중 사슬 DNA는 투과하지 않는 격막에 의해 형성된 용기 또는 주머니에 이중 사슬 DNA 또는 이중 사슬 DNA를 함유한 용액을 봉입하여 만든 흡착체와, 피처리액을 접촉시킴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이중 사슬 DNA, 유해물질, 접촉조, 피처리액, 흡착체

Description

이중 사슬 DNA를 이용한 유해물질의 농축 제거 방법, 이를 위한 흡착체 및 장치{Method of concentrating and removing harmful substance using double-stranded DNA and adsorbent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이중 사슬 DNA(Double-stranded DNA)를 이용하여 물과 우유, 모유 등의 액체로부터 유해물질, 특히 다이옥신류를 농축 및/또는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리염화디벤조-p-다이옥신(PCDD), 폴리염화디벤조퓨란(PCDF) 및 코프라나 폴리염화비페닐(PCB)을 포함하는 다이옥신류는 식물연쇄를 통해 생겨, 많은 생물에 축적되는 유해물질이다. 이 다이옥신류는 극소량으로도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다이옥신류의 발생억제와 오염된 환경으로부터 생겨난 다이옥신류의 제거는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강이나 호수와 늪 등의 물 속에 존재하는 다이옥신류는 불용성 미립자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과 물에 용해되어 있는 것이 있다. 전자는 미립자와 함께 응집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나 후자의 경우 제거가 매우 어려웠다.
물에 용해되어 있는 다이옥신류를 제거하는 수단으로서는, 피처리액을 활성탄이 유동되고 있는 막분리 장치내에 투입시키고, 상기 활성탄에 물 속에 용해되어 있는 다이옥신류를 흡착시켜 활성탄과 부유물질 등의 고형분을 막분리로 제거하여 다이옥신류를 제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제2002-239347호 참조). 상기 수단에서는 용해성의 다이옥신류를 활성탄에 흡착시키고, 그 활성탄과 고형분에 흡착되어 있는 다이옥신을 막으로 여과시키는 것에 의해 다이옥신류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이나 우유, 모유 등의 액체 중에 용해된 다이옥신류 등의 유해물질을 효율적이면서 저비용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 그것을 위한 유해물질 흡착체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이중나선구조를 갖는 이중 사슬 DNA의 염기쌍 사이에 평면구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이 깊숙히 삽입된, 소위 인터컬레이션(intercalation)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물과 우유, 모유 등의 액체에 용해된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농축 및/또는 제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해물질을 함유하는 피처리액을 이중 사슬 DNA와 접촉시키고, 유해물질을 이중 사슬 DNA에 인터컬레이션에 의해 흡착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해물질 제거방법을 위해 사용된 것으로, 유해물질은 투과하지만 이중 사슬 DNA는 투과하지 않는 격막에 의해 형성된 용기 또는 주머니에 이중 사슬 DNA 또는 이중 사슬 DNA를 함유한 용액을 봉입하여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해물질 제거방법을 위해 사용된 것으로, 유해물질은 투과하지만 이중 사슬 DNA는 투과하지 않는 격막에 의해 분할된, 적어도 두 개의 공간을 갖는 접촉조와, 이중 사슬 DNA를 함유한 용액을 순환시키고, 동시에 상기 격막을 통하여 한쪽 편의 공간으로 상기 이중 사슬 DNA함유 용액을 흐르게 하는 이중 사슬 DNA용액 순환수단과, 유해물질을 함유하는 피처리액을 순환시키고, 동시에 상기 격막을 통하여 다른 한 쪽편의 공간으로 상기 피처리액을 흐르게 하는 피처리액 순환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유해물질이 상기 격막을 통하여 상기 피처리액으로부터 상기 이중 사슬 DNA함유 용액으로 이행하여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제거장치 및 이중 사슬 DNA를 비유리적(非遊離的)으로 함유하는 흡착체를 수용하는 접촉조와, 유해물질을 함유한 피처리액을 상기 접촉조 내를 흐르게 하도록 순환시키는 피처리액 순환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흡착체는 유해물질은 투과하지만 이중 사슬 DNA는 투과하지 않는 격막에 의해 형성된 용기, 또는 주머니에 이중 사슬 DNA 또는 이중 사슬 DNA를 함유한 용액을 봉입하고, 유해물질이 피처리액으로부터 상기 흡착체에 이행하여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촉조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흡착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이중 사슬 DNA는 오른쪽 방향의 나선형을 갖는 이중의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사슬로 구성된다. 이중의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사슬의 당-인산 골격으로부터 구조적 상호보완성을 갖는 평면적인 염기끼리 나선의 축에 수직으로 나선의 중앙부를 향해 서로 돌출하여 수소결합으로 결합하고 있다. 이중 사슬 DNA의 염기쌍와 염기쌍의 사이에는 B형 구조의 경우, 폭이 약 1.1㎚, 높이가 약 0.34㎚의 틈새가 있으며, 평면구조를 갖는 소분자는 이 틈새 사이에 깊게 들어갈 수 있는데, 이를 인터컬레이션(Intercalation)이라고 부른다. 이 현상은 소분자의 전하와 소수성(疏水性)에 의해 촉진되는 경우가 있다. 다이옥신류는 복수의 벤젠(Benzene)고리로 구성된 평면구조를 지니며, 소수성인 점에서 이중 사슬 DNA를 이용하여 물 속에서 다이옥신을 제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이중 사슬 DNA로서는 예를 들면, 어류의 치어를 원료로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어류의 치어는 이중 사슬 DNA 및 단백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매우 영양가가 높은 식재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어류의 치어는 극히 일부만이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가공의 어려움, 보존성 등의 이유로 그 이용 분야는 제한되어 있으며, 대부분 폐기처분되어 왔다. 특히 홋카이도(北海道)에서 대량으로 양육되는 연어의 치어는 연간 1만톤 이상이 사료나 비료로 사용되거나 폐기처분되어 왔다. 따라서 이중 사슬 DNA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어류의 치어는 이중 사슬 DNA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저렴한 원료로서 특히 적합하다. 상기 어류로서는 예를 들면, 연어, 청어, 송어, 대구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의 치어로부터 껍질, 힘줄, 혈관 등을 제거한 후 정제하고 유분을 제거하여 생성된 것에서 이중 사슬 DNA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처리가능한 유해물질은 다방면에 걸쳐 있지만, 이중 사슬 DNA로의 인터컬레이션(Intercalation)을 이용하는 점에서 평면적인 입체구조를 갖는 유기화합물, 예를 들면, 방향족 고리를 갖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디벤조-p-다이옥신(DD), 디벤조 퓨란(DF), 비페닐(BP), 폴리염화디벤조-p-다이옥신(PCDD), 폴리염화디벤조퓨란(PCDF), 코플라나 폴리염화비페닐(PCB) 등의 다이옥신류의 처리에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유해물질 제거방법에 있어서, 피처리액과 이중 사슬 DNA를 접촉시키는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피처리액과 이중 사슬 DNA를 함유하는 용액을 이중 사슬 DNA가 피처리액 속으로 이행하지 않도록 하는, 예를 들면, 유해물질은 투과하지만 이중 사슬 DNA는 투과하지 않는 격막을 통하여 접촉시키는 방법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격막을 중공사 형태로 함으로써 이중 사슬 DNA 함유용액과 피처리액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피처리액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피처리액과 이중 사슬 DNA를 접촉시키는 형태으로서 이중 사슬 DNA를 유리적으로 함유하는 흡착체와 비처리액을 접촉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 에서는 비처리액을 수용조에 수용하고, 그리고 상기 수용조에 상기 흡착체가 투입된다. 원하면, 상기 수용조 내에 비처리액을 순환시키거나 교반시켜 흡착체와 비처리액과의 접촉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아미드겔(Acryl amide gel)에 이중 사슬 DNA를 고정시킨 겔을 들 수 있다. 상기 겔은 원주 모양, 원반 모양 등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는 점 외에, 겔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는 거의 균일한 입자 직경을 지닌 유리 구슬 모양의 겔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흡착체의 다른 형태로서 폴리설폰(Polysulfone)에 이중 사슬 DNA를 고정시킨 것이 있다. 폴리설폰(Polysulfone)은 유리 구슬 모양, 막의 형상 등으로의 성형이 용이하고, 특히 중공사 형상으로 성형시킨 폴리설폰(Polysulfone)에 이중 사슬 DNA를 고정시킨 흡착체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피처리액과의 접촉면적이 크고 처리효율 또한 높다.
상기 흡착체의 특별한 형태는 유해물질은 투과하지만 이중 사슬 DNA는 투과하지 않는 격막에 의해 용기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 중에 이중 사슬 DNA를 함유시킨 용액을 봉입한 것이다. 이 흡착체에서는 피처리액 속의 유해물질이 상기 격막을 투과하여 이중 사슬 DNA에는 흡착하는 한편, 이중 사슬 DNA는 상기 격막을 투과할 수 없기 때문에 이중 사슬 DNA 함유용액 속으로 유해물질이 이행하여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이중 사슬 DNA에 인터컬레이션 된 유해물질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이중 사슬 DNA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으며,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 또는 이중 사슬 DNA를 포함한 흡착체를 재생시켜 재이용하는 일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접촉조의 구성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흡착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형태의 유해물질 제거장치는 이중 사슬 DNA 함유용액 순환수단(2)과 피처리액 순환수단(3)과,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 순환수단(2) 및 피처리액 순환수단(3)에 접속된 접촉조(1)를 포함하고 있다.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 순환수단(2)은 이중 사슬 DNA를 함유한 용액을 순환시키는, 예컨데 펌프이며, 용액 속의 이중 사슬 DNA가 본 발명의 유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물질로서 작용한다.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의 농도는 처리해야 할 유해물질의 양, 처리를 완료해야 할 시간 등의 조건에 따라 변화하지만, 예를 들어 말하자면, 0.1 ~ 10μM(bp) 정도이다.
피처리액 순환수단(3)은 물 속에서 농축 및/또는 제거해야 할 유해물질을 함유하는 피처리액을 순환시키는 이른바 펌프이다. 피처리액 속의 유해물질의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어 있지 않는데, 예를 들어 유해물질이 ppb 수준의 극소 농도로 존재해도 본 발명의 유해물질 제거장치는 효율적으로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접촉조(1)는 유해물질은 투과하지만 이중 사슬 DNA는 투과하지 않는 격막을 가졌으며, 접촉조(1)의 내부는 상기 격막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의 한 쪽편에서는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이 순환되며, 상기 공간의 다른 한 쪽 편에서는 피처리액이 순환된다. 상기 격막에는 예를 들어 다이옥신류와 같이 분자량이 수백 개인 소분자는 투과하지만, 이중 사슬 DNA와 같이 분자량이 500만 이상의 거대분자는 투과하지 못하는 구멍 지름을 갖는 반투막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투막은 시판되는 것으로 입수 가능하다.
상기 격막을 배치하여 접촉조(1) 속의 공간을 분할하는 형태은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 및 피처리액이 함께 순환가능하며, 또한 쌍방이 접촉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1장의 격막에 의해 접촉조(1) 안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한 단순한 구성, 접촉조(1)를 세로로 이분한 구성, 원통 이중조 모양이 되도록 도너츠 형태로 분할한 구성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처리원리에서 보면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과 피처리액과의 접촉면적이 확대되면 될수록 처리효율은 보다 증대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투막으로부터 다수의 중공사(5)를 형성시켜 그 내부에 이중 사슬 DNA함유 용액 또는 피처리액 중 어느 한 쪽을 흐르게 하고, 중공사(5)의 외부에서 다른 한 쪽을 흐르게 하게한 구성의 접촉조(1)는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과 피처리액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처리효율이 높은 장치가 된다.
상기 유해물질 제거장치를 이용한 유해물질의 제거에서는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을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 순환수단(2)에 의해 접촉조(1)의 한쪽 편 공간에서 순환시키고, 한편 피처리액을 피처리액 순환수단(3)에 의해 접촉조(1)의 다른 방향 쪽 공간에서 순환시킨다. 이 때 피처리액은 피처리액을 저류시킨 호소, 수조 등으로부터 바로 순환시켜도 되고 또는 수조에 옮긴 후에 순환시켜도 된다. 또한, 각 액체의 순환방향은 임의이다. 그러면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과 피처리액이 접촉조(1)에서 격막을 통하여 접촉하여 피처리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다이옥신류 등의 유해물질이 접촉조(1) 안의 격막을 투과하여 이중 사슬 DNA 함유용액에 포함된 이중 사슬 DNA에 인터컬레이션 된다. 유해물질이 인터컬레이션 된 이중 사슬 DNA는 격막을 투과하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피처리액 속에서 유해물질은 제거되어 이중 사슬 DNA함유 용액 속에 농축된다.
이렇게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 속에 농축된 유해물질은 소각과 같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처리된다. 또 유해물질이 인터컬레이션된 이중 사슬 DNA를 포함한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을 헥산(Hexane)과 같은 유기용매와 혼합시키면, 이중 사슬 DNA에 인터컬레이션된 유해물질이 이중 사슬 DNA에 의해 탈착하여 유기용매 속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포화할 때까지 유해물질이 인터컬레이션 된 이중 사슬 DNA를 재생하는 일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유기물질 제거장치는 피처리액 순환수단(3)과 피처리액 순환수단(3)에 접속되어 흡착체(4)를 포함한 접촉조(1)를 포함하고 있다.
흡착체(4)는 이중 사슬 DNA를 유리시키지 않고 함유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고분자 화합물 등의 담체 위에 이중 사슬 DNA를 화학결합시켜서 만든다. 그 모양은 특별히 제한되어 있지 않으며 구형, 섬유형, 시트형 등도 가능하지만, 이중 사슬 DNA와 피처리액과의 접촉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공질 담체의 표면에 이중 사슬 DNA를 결합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중 사슬 DNA를 함유하는 이중 사슬 DNA 함유용액을, 유해물질은 투과하지만 이중 사슬 DNA는 투과하지 못하는 반투막제의 팩 으로 충전하여 구성한 것을 흡착체(4)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의 유해물질 제거장치를 이용한 유해물질의 제거에서는 접촉조(1)에 흡착체(4)를 수용하고, 피처리액을 피처리액 순환수단(3)에 의해 접촉조(1)에 순환시킨다. 그러면 피처리액 속에 포함된 다이옥신류등의 유해물질이 흡착체(4)를 갖는 이중 사슬 DNA에 인터컬레이션되고, 그 결과 피처리액 속에 있던 유해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유해물질을 흡착한 흡착체(4)를 접촉조(1)로부터 꺼내어 공지의 방법으로 처리한다.
또한, 흡착체(4)의 유해물질의 흡착능력이 저하되었을 경우, 피처리액의 순환을 정지시키고, 접촉조(1)에 유기용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유해물질이 인터컬레이션된 이중 사슬 DNA를 갖는 흡착체(4)에서 유해물질을 탈착시켜 유기용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착체(4)는 재생되고, 유해물질은 유기용매 속으로 추출된다.
도 4에 도시한 흡착체(4)는 유해물질은 투과하지만 이중 사슬 DNA는 투과하지 않는 격막에 의해 형성된 용기, 또는 주머니에 이중 사슬 DNA나 이중 사슬 DNA를 함유한 용액을 봉입하여 만든다. 상기 격막으로서는 유해물질은 투과하지만 이중 사슬 DNA는 투과하지 않는 반투막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반투막으로 주머니를 제작하여 상기 주머니 속에 이중 사슬 DNA나 원하는 농도로 조제한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을 새지 않도록 봉입하여 흡착체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머니는 막을 서로 붙여서 원통형으로 만든 후 상하를 봉해서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실시예 1: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을 이용한 다이옥신류의 제거
디벤조-p-다이옥신(DD), 디벤조퓨란(DF) 및 비페닐(BP)의 다이옥신류를 각각 1mg/㎖의 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용액을 모델 피처리액으로 준비했다. 상기 모델 피처리액과 연어의 치어에서 추출한 이중 사슬 DNA를 6.8μM(bp)의 농도로 함유하는 이중 사슬 함유 용액을 반투막을 통하여 96시간, 100㎖/분의 유량으로 순환시키면서 접촉시켰다.
접촉종료 후 모델 피처리액 속과 이중 사슬 DNA 함유용액 속의 다이옥신 농도를 비교하면,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 속의 다이옥신 농도는 모델 피처리액 속의 농도보다 수 백배 높게 다이옥신류가 이중 사슬 DNA 함유용액 속에 농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다이옥신류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에 헥산(Hexane)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6시간 침투시켰다. 이것으로 다이옥신류를 헥산(Hexane)속으로 추출할 수 있었고, 이렇게 재생된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은 재생하기 전과 거의 같은 유해물질 제거능력을 지니고 있었다.
실시예 2: 흡착체의 제작
연어의 치어에서 추출한 이중 사슬 DNA 6.8μM(bp) 용액을 조제했다. 또 1kD 컷 오프(cutoff) 반투막으로부터 세로 10cm, 가로 5cm, 두께 2cm의 주머니를 형성하였다. 상기 용액을 상기 주머니에 50㎖씩 나눠 붓고 밀봉하여 흡착체로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중 사슬 DNA의 염기쌍 사이에 유해물질을 인터컬레이션함으 로써 물이나 우유, 모유 등과 같은 액체 속에 용해되어 있던 다이옥신류 등의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농축 및/또는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사슬 DNA로 예전에는 그 대부분이 폐기되어 왔던 어류의 치어에서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어 처리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6)

  1. 유해물질을 함유하는 피처리액을 이중 사슬 DNA와 접촉시키고, 유해물질을 이중 사슬 DNA에 인터컬레이션에 의해 흡착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제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은 다이옥신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제거방법.
  3. 유해물질은 투과하지만 이중 사슬 DNA는 투과하지 않는 격막에 의해 형성된 용기 또는 주머니에 이중 사슬 DNA 또는 이중 사슬 DNA를 함유한 용액을 봉입하여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유해물질 제거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흡착체.
  4. 유해물질은 투과하지만 이중 사슬 DNA는 투과하지 않는 격막에 의해 분할된, 적어도 2개의 공간을 갖는 접촉조와,
    이중 사슬 DNA를 함유한 용액을 순환시키고, 동시에 상기 격막을 통하여 한 쪽의 공간으로 상기 DNA 함유 용액을 흐르게 하는 이중 사슬 DNA 용액 순환수단과,
    유해물질을 함유하는 피처리액을 순환시키고, 동시에 상기격막을 통하여 다른 한 쪽 공간으로 상기 피처리액을 흐르게 하는 피처리액 순환수단을 구비하며,
    유해물질이 상기 격막을 통하여 상기 피처리액으로부터 상기 이중 사슬 DNA 함유 용액으로 이행하여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유해물질 제거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유해물질 제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중공사 모양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조는 중공사 모양의 외부의 공간과 중공사 모양의 내부의 공간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제거장치.
  6. 이중 사슬 DNA를 비유리적으로 함유하는 흡착체를 수용하는 접촉조와,
    유해물질을 함유하는 피처리액을 상기 접촉조 안을 흐르게 하도록 순환시키는 피처리액 순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흡착체는 유해물질은 투과하지만 이중 사슬 DNA는 투과하지 않는 격막에 의해 형성된 용기 또는 주머니에 이중 사슬 DNA 또는 이중 사슬 DNA를 함유한 용액을 봉입하여 만드며,
    유해물질이 피처리액으로부터 상기 흡착체에 이행하여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유해물질 제거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유해물질 제거장치.
KR1020057013197A 2003-01-16 2003-11-17 이중 사슬 dna를 이용한 유해물질의 농축 제거 방법,이를 위한 흡착체 및 장치 KR200600068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8310 2003-01-16
JP2003008310 2003-0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889A true KR20060006889A (ko) 2006-01-20

Family

ID=3270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197A KR20060006889A (ko) 2003-01-16 2003-11-17 이중 사슬 dna를 이용한 유해물질의 농축 제거 방법,이를 위한 흡착체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110816A1 (ko)
EP (1) EP1595587A4 (ko)
JP (1) JPWO2004062767A1 (ko)
KR (1) KR20060006889A (ko)
CN (1) CN1738670A (ko)
AU (1) AU2003280816A1 (ko)
WO (1) WO2004062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5162B2 (ja) * 2004-06-15 2010-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Dnaインターカレート物質類の吸着用構造物
CN103739105B (zh) * 2013-10-30 2016-01-20 深圳东江华瑞科技有限公司 从蚀刻废液中去除二噁英的方法、处理系统及用途
CN112225286B (zh) * 2020-10-13 2023-08-11 安徽工程大学 一种新型凝胶吸附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6815A (en) * 1981-11-27 1984-03-13 Eli Lilly And Company Method for stabilizing and selecting recombinant DNA containing host cells
US4663280A (en) * 1983-05-19 1987-05-05 Public Health Research Institute Of The City Of New York Expression and secretion vecto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vectors
US5098573A (en) * 1990-09-12 1992-03-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Binary concentration and recovery process
US5492838A (en) * 1992-04-15 1996-02-20 Pawliszyn; Janusz B. Process and device for continuous extraction and analysis of fluid using membrane
US5395426A (en) * 1993-07-08 1995-03-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Device for the removal and concentration of organic compounds from the atmosphere
US6361944B1 (en) * 1996-07-29 2002-03-26 Nanosphere, Inc. Nanoparticles having oligonucleotides attached thereto and uses therefor
JP2001232356A (ja) * 2000-02-24 2001-08-28 Kurita Water Ind Ltd ダイオキシン類含有液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62767A1 (ja) 2004-07-29
US20060110816A1 (en) 2006-05-25
AU2003280816A1 (en) 2004-08-10
JPWO2004062767A1 (ja) 2006-05-18
EP1595587A1 (en) 2005-11-16
CN1738670A (zh) 2006-02-22
EP1595587A4 (en)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Preparation of nanofibrous metal-organic framework filter for rapid adsorption and selective separation of cationic dye from aqueous solution
US6497675B1 (en) Device for extracorporeal treatment of physiological fluids of organism
JP4903583B2 (ja) 携帯式個人透析用透析液再生システム
AU2013349976B2 (en) Filter device combining beads and fibers
JPH04108518A (ja) タンジェント濾過ループを有した水処理装置
JP2016180710A (ja) 残留農薬の分析用試料の調製方法
CN1471425A (zh) 亲水化膜及其处理方法
JPH10296297A (ja) 温水浄化装置
JPH0442023B2 (ko)
KR20060006889A (ko) 이중 사슬 dna를 이용한 유해물질의 농축 제거 방법,이를 위한 흡착체 및 장치
CN114269406A (zh) 用于肾脏治疗的吸着剂
JP6637316B2 (ja) 液体処理膜の製造方法
AU2021103241A4 (en) Removal of environmental contaminants of emerging concern using metal-organic framework composite
Trokourey et al. Removal of methylene blue from industrial effluents using corncob activated carbon
JP4515162B2 (ja) Dnaインターカレート物質類の吸着用構造物
ES2341986T3 (es) Uso de un adsorbente para la separacion de constituyentes liquidos, gaseosos y/o disueltos de una corriente de un proceso.
JP2005161104A (ja) 有害物質吸着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60585A (zh) 除去脂溶性靶分子的方法,纯化血液的透析装置及洗涤溶液
Stefan et al. Adsorption of phenol and its chlorinated derivatives from waste waters using hypercrosslinked polymers
CN110872167A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过滤膜
KR101754829B1 (ko) 흡착 담체 충전 컬럼
CN208869458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过滤膜
SU1147404A1 (ru) Мембрана дл детоксикации крови
JP2005161103A (ja) Dna含有ポリスルホン微小球、及びそれを用いるダイオキシン類の分離・除去方法
RU12022U1 (ru) Гемосорб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