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708A -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 Google Patents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708A
KR20060005708A KR1020040054632A KR20040054632A KR20060005708A KR 20060005708 A KR20060005708 A KR 20060005708A KR 1020040054632 A KR1020040054632 A KR 1020040054632A KR 20040054632 A KR20040054632 A KR 20040054632A KR 20060005708 A KR20060005708 A KR 20060005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receptacle
hole
connection terminal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김정곤
이상혁
Original Assignee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4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5708A/ko
Publication of KR2006000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용 리셉터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곡, 볼륨업다운, 리모트콘트롤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이어폰 잭을 라디오 수신, MP3 및 동영상 등과 같이 다양한 오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폰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PCB)에 설치되는 휴대폰용 리셉터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리셉터클은, 금속박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하우징과, 금속도체로 이루어진 소정 길이의 접속단자와, 절연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단자가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홀과 상기 접속단자를 지지하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몰드지지체로 구성된 휴대폰의 리셉터클에 있어서, 상기 몰드지지체의 관통홀은 전방 입구쪽 가까이에 형성된 확관부를 통해 소정 폭으로 확대되어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내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는 접속단자에는 상기 관통홀의 상부(또는 하부) 모서리부와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소정 각도로 상향(또는 하향) 경사진 날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전방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측면과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 확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의 후방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관통홀의 측면과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2 확대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셉터클, 이어폰, 휴대폰, MP3, 접속단자, 접속핀

Description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Receptacle for connecting an earphone jack}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몰드지지체와 접속단자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리셉터클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몰드지지체의 평면 및 측면 단면도,
도6 및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지지체의 정면 및 배면도,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의 평면 및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지지체와 접속단자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지지체와 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과 인쇄회로기판과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셉터클 20 : 하우징
23 : 개구부 25 : 절개부
40 : 관통홀 46 : 보조관통홀
50 : 몰드지지체 53 : 걸림턱
55 : 가이드돌부 60 : 돌출부
62 : 가이드홈 70 : 접속단자
71 : 접속부 72 : 경사면
73 : 결합부 75 : 절곡부
77 : 납땜 단부 81 : 제1 확대부
83 : 날개부 85 : 제2 확대부
본 발명은 휴대폰용 리셉터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곡, 볼륨업다운, 리모트콘트롤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이어폰 잭을 라디오 수신, MP3 및 동영상 등과 같이 다양한 오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폰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PCB)에 설치되는 리셉터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은 단순히 음성 통신을 목적으로 사용하였지만 최근에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거나 MP3, 동영상, 게임 등을 다운로드 받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콘텐츠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이어폰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선곡, 볼륨업다운, 리모트콘트롤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다기능 이어폰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다기능 이어폰을 이용하여 휴대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거나 선곡, 볼륨업다운, 리모트콘크롤 등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내부에 다기능 이어폰 잭과 접속될 수 있는 리셉터클이 구비되어야 한다. 종래에도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에는 데이터 통신용 리셉터클이 구비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리셉터클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는 18핀 및 24핀 커넥터가 주로 사용되고 이 커넥터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핸즈프리/배터리충전/AS센터의 SW업그레이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은 종래의 이어폰 홀더를 대체하는 것으로 휴대폰 단말기의 상단에 설치되고 보통 8핀 내지 14핀의 이어폰 잭이 접속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의 일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몰드지지체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셉터클(1)은 휴대폰 내부의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인쇄 패턴에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단자(7)와, 이 접속단자(7)들이 일정간격으로 정렬되도록 절연수지로 이루어진 몰드지지체(5)와, 이 몰드지지체(5)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됨과 아울러 접속단자(7)와 접속되는 외부 컨넥터를 지지하는 금속체인 하우징(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다리(28)는 인쇄회로기판에 있는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접속단자(7)의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납땜 단부(77)는 단일의 동일 평면상으로 배열되어 인쇄회로 기판에 있는 대응 도체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몰드지지체(5)에 형성되는 관통홀(4)은 조립공차를 고려하여 그 속으로 삽입되는 접속단자(7)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속단자(7)가 상방향으로 고정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셉터클(1)을 인쇄회로기판에 설치하거나 납땜하는 과정에서 접속단자(7)가 상부(또는 하부)로 가압될 경우, 일부 접속단자(7)가 들떠서 납땜 단부(77)와 대응 도체간에 접촉불량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접속단자(7)는 그 선단이 수직하게 절단되어 있으므로 이들 접속단자(7)들이 위치하는 돌출부(6)에 소정 높이의 단턱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턱은 외부 플러그 즉, 이어폰 잭이 삽입될 때 삽입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무리한 힘이 가해질 경우에 접속단자가 들뜨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하우징(2)은 좌우 모서리부에 소정의 절곡편(15)을 형성하고 몰드지지체(5)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요홈(17)의 안쪽으로 절곡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몰드지지체(17) 성형시 별도의 슬라이드코어를 통해 요홈(17)을 형성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몰드지지체(5)를 하우징(2)에 삽입한 후 별도의 코킹(caulking)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길어지고 코킹설비가 추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몰드지지체에 결합되는 접속단자에 하나 이상의 날개부를 형성하여 접속단자가 상방향으로 들뜨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납땜 단부의 수평 균일도를 향상시켜 인쇄회로기판의 대응 도체와의 접촉불량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토록 하는 휴대폰용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양측면에 소정의 개구부를 관통되게 형성하고 대응하는 몰드지지체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복잡한 사출공정과 코킹공정 없이 하우징과 몰드지지체를 쉽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조원가의 절감 및 제조공수를 감소시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속단자의 선단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다기능 이어폰 잭을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무리한 힘에 의해 접속단자가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폰용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은, 금속박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하우징과, 금속도체로 이루어진 소정 길이의 접속단자와, 절연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단자가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홀과 상기 접속단자를 지지하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몰드지지체로 구성된 휴대폰의 리셉터클에 있어서,
상기 몰드지지체의 관통홀은 전방 입구쪽 가까이에 형성된 확관부를 통해 소정 폭으로 확대되어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내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는 접속단자에는 상기 관통홀의 상부(또는 하부) 모서리부와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소정 각도로 상향(또는 하향) 경사진 날개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의 전방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측면과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 확대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의 후방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확대된 관통홀의 측면과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2 확대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가이드홈에 위치되는 접속단자의 선단에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몰드지지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개구부가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후방 상하면에는 상기 몰드지지체의 후방 상하면에 형성된 가이드돌부가 안내되어 결합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은 반드시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으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므로 이하에서는 휴대폰용 리셉터클로 약칭하기로 한다.
먼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리셉터클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리셉터클(10)은 크게 금속박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하우징(20)과 절연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진 몰드지지체(50)와 소정 길이의 금속도체로 이루어진 다수의 접속단자(7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몰드지지체(50)에는 다수의 접속단자(70)가 삽입되어 소정 간격으로 정렬되는 다수의 관통홀(40)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전방으로는 관통홀(40)을 관통한 접속단자(70)의 선단을 지지하기 위한 소정 길이의 돌출부(6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40)은 상부열과 하부열 두 개의 열로 배열되고 상부열을 관통한 접속단자(70)는 돌출부(60)의 상면에 위치하고, 하부열을 관통한 접속단자(70)는 돌출부(60)의 저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60)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 접속단자(70)을 안내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가이드홈(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몰드지지체(50)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걸림턱(5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53)은 소정의 경사면과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평면의 후방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몰드지지체(50)의 후방 상하면에는 소정의 가이드돌부(5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 상기 하우징(20)은 외부의 플러그 즉, 다기능 이어폰 잭이 결합되는 결합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몰드지지체(5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전방 좌우 상부 측면에는 다기능 이어폰 잭(도시되지 않음)을 탄성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후크(22)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 좌우 양측에는 몰드지지체(50)의 걸림턱(53)이 결합되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23)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상하면에는 몰드지지체(50)의 가이드돌부(55)가 안내되는 절개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에는 인쇄회로기판의 홀에 결합되는 다수의 다리(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몰드지지체(50)의 관통홀(40)에 삽입되어 다기능 이어폰 잭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70)는 소정 길이의 금속도체로서,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상기 돌출부(60)의 가이드홈(62)에 위치되는 접속부(71), 상기 몰드지지체(50)의 관통홀(40) 내에 위치되는 결합부(73)와, 상기 몰드지지체(50)의 후방에 수직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 접속단자(70')와 하부 접속단자(70")의 높이를 맞추는 절곡부(75)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인쇄회로기판의 대응 도체에 용접되는 납땜단부(77)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접속부(71)의 선단에는 소정의 경사면(72)이 형성되어 있어 다기능 이어폰 잭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몰드지지체(50)의 관통홀(4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지지체(50)의 본체부(51)을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40)은 상기 돌출부(60)에 형성된 가이드홈(62)과 일렬로 정렬되게 형성되나 그 폭은 가이드홈(6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관통홀(40)은 전방 입구(42)쪽 가까이에 형성된 확관부(41)를 통해서 소정 폭으로 확대되므로 후방 입구(44)의 폭이 전방 입구(42)의 폭보다 크다. 이 점이 종래의 리셉터클의 관통홀에서 볼 수 없었던 특징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관통홀(40)은 종래의 리셉터클의 관통홀에 비해 가능한 한 낮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관통홀(40)을 낮게 형성하는 것은 후술하는 날개부(83)가 관통홀(40)의 상부(또는 하부)의 모서리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40)의 후방 입구(44)는 소정의 모따기면을 형성하여 접 속단자(7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홀(40)의 천정면(또는 바닥면)의 가운데에는 소정의 보조관통홀(46)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관통홀(46)은 관통홀(40)을 낮게 형성함으로써 사출성형시 슬라이드코어의 취출이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상기 보조관통홀(46)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몰드지지체(50)의 후방에는 이웃하는 접속단자(70)의 절곡부(75)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다수의 돌부(56)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7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70)는 소정 길이의 금속도체로 이루어지고, 몰드지지체(50)에 형성된 상부열과 하부열의 관통홀(4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대칭 구조를 갖는 상부 접속단자(70')와 하부 접속단자(7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70)의 결합부(73)에는 상기 관통홀(40)의 상부(또는 하부) 모서리부와 밀접하게 접촉되는 소정의 날개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83)는 상기 접속단자(70)의 양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확대됨과 아울러 상방(또는 하방)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된 양측 날개(82)(8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날개(82)(82')는 대략 삼각형을 이루고, 전방으로부터 후방쪽으로 점차 확대되는 형상으로 갖는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83)의 전방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제1 확대부(8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확대부(81)는 가이드홈(62)의 양측면에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확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83)의 후방 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제2 확대부(8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확대부(85)는 관통홀(40)의 양측면과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확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확대부(85)는 제1 확대부(81)에 비해 보다 넓은 폭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확대부(85)의 후방에는 절곡부(75)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부 접속단자(70')의 절곡부(75)는 좌측에 형성되고, 하부 접속단자(70")의 절곡부(75)는 우측에 형성되어, 상부 접속단자(70')와 하부 접속단자(70")를 상부열과 하부열의 관통홀(40)에 삽입할 때 양 절곡부(75)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10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리셉터클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몰드지지체(50)의 후방으로부터 다수의 접속단자(70)를 관통홀(40)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러한 삽입공정은 도시되지 않는 별도의 인서트장치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인서트장치는 제2 확대부(85)의 후방을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접속단자(70)를 전방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70)에 형성된 제1 확대부(81)는 관통홀(40)을 그대로 통과한 후 돌출부(60)의 가이드홈(62)의 양측면에 밀접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1 확대부(81)의 양측면은 가이드홈(62)의 양측면에 부분적으로 박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70)의 날개부(83)는 관통홀(40)의 중간부분에 위치되어 관통홀(40)의 상부(또는 하부) 모서리부에 밀접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날개부(83)의 양 날개(82)(82')는 상기 관통홀(40)의 모서리부에 밀접하게 접촉되므로 접속단자(70)가 상부로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70)의 제 2 확대부(85)는 상기 관통홀(40)의 후방에 위치되어 관통홀(40)의 양측면에 밀접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70)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1 확대부(81) 및 제2 확대부(85)에 의해서 상기 접속단자(70)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70)는 상기 날개부(83)에 의해서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리셉터클(10)을 인쇄회로기판에 설치하거나 납땜하는 과정에서 접속단자(70)가 상부 또는 하부로 가압되더라도 접속단자(70)가 들뜨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도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P)의 대응 도체와 납때되는 납땜 단부(77)가 항상 단일의 동일 평면상으로 배열되므로 접속단자(70)와 대응 도체간에 접촉불량이 생기지 않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접속단자(70)가 결합된 몰드지지체(50)는 하우징(2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게 된다. 이때 몰드지지체(50)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부(55)는 하우징(20)의 후방에 형성된 절개부(25)에 결합되고, 상기 몰드지지체(50)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53)은 하우징(2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개구부(23)에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몰드지지체(50)를 하우징(20)에 삽입하는 것으로 양 부재가 일체로 고정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단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몰드지지체(50)는 요홈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금형이 단순하게 되고 성형공정이 신속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몰드지지체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접속단자의 일측에 소정의 날개부를 형성하여 접속단자가 상방향으로 들뜨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납땜 단부의 수평균일도를 향상시켜 접촉불량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양측면에 소정의 개구부를 관통 형성하고 대응하는 몰드지지체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복잡한 사출공정과 코킹공정 없이 하우징과 몰드지지체를 쉽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조원가의 절감 및 제조공수를 감소시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접속단자의 선단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플러그를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무리한 힘에 의해 접속단자가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금속박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하우징과, 금속도체로 이루어진 소정 길이의 접속단자와, 절연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단자가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홀과 상기 접속단자를 지지하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몰드지지체로 구성된 휴대폰용 리셉터클에 있어서,
    상기 몰드지지체의 관통홀은 전방 입구쪽 가까이에 형성된 확관부를 통해 소정 폭으로 확대되어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내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는 접속단자에는 상기 관통홀의 상부(또는 하부) 모서리부와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소정 각도로 상향(또는 하향) 경사진 날개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전방 입구보다 후방 입구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전방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측면과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 확대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후방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확대된 관통홀의 측면과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2 확대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가이드홈에 위치되는 접속단자의 선단에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몰드지지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개구부가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 상하면에는 상기 몰드지지체의 후방 상하면에 형성된 가이드돌부가 안내되어 결합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KR1020040054632A 2004-07-14 2004-07-14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KR20060005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632A KR20060005708A (ko) 2004-07-14 2004-07-14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632A KR20060005708A (ko) 2004-07-14 2004-07-14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030U Division KR200365351Y1 (ko) 2004-07-14 2004-07-14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708A true KR20060005708A (ko) 2006-01-18

Family

ID=3711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632A KR20060005708A (ko) 2004-07-14 2004-07-14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570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6601A1 (en) * 2007-05-02 2008-11-13 Molex Korea Co., Ltd. Socket for mobile phone
KR100965166B1 (ko) * 2007-10-23 2010-06-24 성경정밀(주) 안테나단자가 구비된 커넥터
KR20160129554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폐 커넥터
USD774037S1 (en) 2014-11-20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for electronic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6601A1 (en) * 2007-05-02 2008-11-13 Molex Korea Co., Ltd. Socket for mobile phone
KR100965166B1 (ko) * 2007-10-23 2010-06-24 성경정밀(주) 안테나단자가 구비된 커넥터
USD774037S1 (en) 2014-11-20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for electronic device
KR20160129554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폐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703341Y (zh) 电连接器
US20200161811A1 (en) Connector having metal shell with anti-displacement structure
US6994566B2 (en) Circuit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CN2383224Y (zh) 密集型连接器
US778967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ow board mounting profile
US848583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80233810A1 (en) Contact terminal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KR20030014249A (ko) 전기커넥터 및 소켓커넥터
CN101345361A (zh) 连接器
EP1775796A2 (en) Board Connector
KR20120086734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N109037990B (zh) 卡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07819220B (zh) 卡连接器
US20080153347A1 (en) Battery Connector
KR20040010325A (ko) 전기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20060005708A (ko)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KR200365351Y1 (ko) 다기능 이어폰 잭 접속용 휴대폰의 리셉터클
KR200370937Y1 (ko) 다기능 통신용 플러그와 리셉터클
JP2011138687A (ja) 電気コネクタ
KR100608830B1 (ko)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503858B1 (ko) 이어폰 연결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US7785141B2 (en) Stacked card connector
US7128599B1 (en) Low profile microphone connector
CN220208761U (zh) 射频开关
CN219040781U (zh) 静端子及射频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