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3796A -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및 그구매등록 방법 - Google Patents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및 그구매등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3796A
KR20060003796A KR1020040062777A KR20040062777A KR20060003796A KR 20060003796 A KR20060003796 A KR 20060003796A KR 1020040062777 A KR1020040062777 A KR 1020040062777A KR 20040062777 A KR20040062777 A KR 20040062777A KR 20060003796 A KR20060003796 A KR 20060003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er
phone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식
이두열
유재천
김규선
Original Assignee
유재천
김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천, 김규선 filed Critical 유재천
Publication of KR20060003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은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구입한 콘텐츠를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콘텐츠 등록하여 둠으로써 구매등록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MP3에서 별도의 과금없이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구매등록되지 않은 콘텐츠에 대해서는 소정의 이용료를 지불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CD로부터 추출한 컴퓨터용 콘텐츠파일 및 인터넷에서 유료로 구입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구매등록은 개인용 컴퓨터 또는 MP3폰을 이용하여 할 수 있으며, 저작권구매 등록시에는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를 컴퓨터에 입력하면 된다. 해당 콘텐츠의 제목과 가수/실연자의 이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음악곡의 자동인식기술을 활용한다. 본 발명은 정상적으로 구입한 콘텐츠와 구입하지 않은 콘텐츠에 대한 이용을 구별하여 구입하지 않은 콘텐츠의 불법 이용만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저작권자의 이익과 일반 사용자의 자유 사용에 대한 이익을 조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텐츠, 음악파일, MP3, MP3폰, 구매등록, 저작권, 불법복제, CD, 이동통신

Description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및 그 구매등록 방법{System For Registering Purchase Of Contents Which Are To Be Played In MP3-mobile Phones And Method Therefor}
도1은 종래의 MP3폰(1)의 콘텐츠 다운로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에 있어서, MP3폰(10)에서 콘텐츠가 재생될 때 자동으로 그 콘텐츠에 대한 구매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콘텐츠 사용료가 과금되도록 한 구성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4a, 도4b 및 도4c는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구매등록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현예들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4a는 MP3폰(10)에서 콘텐츠가 재생될 때마다 저작권 구매등록 여부의 확인과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을 도시하며, 도4b와 도4c는 소정의 주기 또는 시기마다 MP3폰(10)에서 이동통신서버(31)로 콘텐츠 재생내역을 전송하여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에 사용되는 MP3폰(10)의 구성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를 구매등록하는 방법의 순서 도이며, 도7은 도2의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축적되는 콘텐츠 구매등록 데이터의 형식을 도시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및 그 구매등록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판매자로부터 콘텐츠를 구매한 경우 사용자가 그 콘텐츠의 구매등록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컴퓨터(21)에 입력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9는 콘텐츠의 구입 및 구매등록 과정에서 사용자 컴퓨터(21), 콘텐츠판매자 서버(91) 및 저작권등록서버(71)간에 발생하는 데이터의 흐름(data flow)을 도시한 것이다.
도10a 및 도10b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 MP3폰에서 콘텐츠가 재생될 때마다 콘텐츠 구매등록 여부의 확인 및 과금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관한 순서도이고, 반면 도11은 MP3폰에 소정 기간 동안의 콘텐츠 재생내역을 모아두었다가 한번에 이동통신서버로 전송하여 콘텐츠 구매등록 여부의 확인 및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MP3폰 2, 20, 21: 사용자PC
3: CD 4: MP3파일
11: 제어부 12: 송수신부
13: 키입력부 14: 표시부
15: 통화처리부 16: MP3 재생부
17: 악곡특성추출모듈 18: 메모리
19a: 마이크 19b: 스피커
21a: 모니터 30: 이동통신사
31: 이동통신서버 32: 과금서버
34: 중계기지국 35: 라우터
40,41,42,43: 인터넷 51,52,53: 음원제공업체 서버
61: 유료MP3 제공서버 62: 무료MP3 제공서버
63: P2P 공유서버 70: 저작권단체
71: 저작권등록서버 72: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
81: 콘텐츠정보 제공서버 82: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
91: 콘텐츠판매자 서버 92: 콘텐츠판매자 데이터베이스
160: MP3용 처리부 161: MP3용 메모리
161a, 182: RAM 161b: MMC
181: ROM 810: 패턴매칭모듈
본 발명은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및 그 콘텐츠의 구매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정상적으로 구입된 콘텐츠들에 관한 구매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각 MP3폰의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구입한 콘텐츠들을 식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구입 한 콘텐츠는 그 사용자의 MP3폰에서 자유롭게 재생될 수 있도록 하고, 정상적으로 구입하지 않은 콘텐츠의 재생에 대해서는 소정의 이용료를 과금하여 저작물의 합법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및 그 구매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그 사용이 급격하게 늘고 있는 MP3(MPEG Layer-3)는 동화상전문가 그룹(Motion Picture Experts Group)에서 개발한 디지털 음악파일 포맷의 일종으로서, 기존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를 음질 저하 없이 약 12분의 1 정도 크기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압축할 수 있는 기술표준이다.
종래에는 MP3파일로 기록된 음악을 즐기려면 컴퓨터에서 동작되는 MP3파일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거나 휴대용 MP3 재생기('MP3 플레이어')를 이용하여야 했었는데, MP3 플레이어는 수 년전 국내업체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제품으로서, 그 동안 국내 및 해외시장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을 뿐만 아니라, 국내 중소업체의 수출 주력 상품으로 확고히 자리를 잡아 왔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 발전의 이면에는 저작권자, 저작인접권자, 음반제작자, 실연자 등의 저작권 보호에 소홀하여 음반시장을 불황에 빠뜨리고 대중문화의 발달을 저해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MP3 관련 산업에 대한 저작권자 단체들의 반발도 점차 거세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에는 휴대폰에 MP3 플레이어의 기능을 첨가한 MP3폰이 등장하여 큰 호평을 받고 있다.
우선, 도1을 참고하여, 현재 시판되고 있는 MP3폰(1)을 이용한 음악콘텐츠의 다운로드 방법 및 컴퓨터에 저장한 음악콘텐츠를 MP3폰(1)으로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1의 도시된 MP3폰(1)의 음악파일 다운로드 시스템 구성도에 의하면, MP3폰(1)은 휴대폰과 마찬가지로 전국의 곳곳에 설치된 중계기지국(34)을 거쳐 이동통신사(30)의 이동통신서버(31)와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이동통신서버(31)는 라우터(35)를 경유하여 인터넷(40)을 통해 복수 개의 음원제공업체 서버들(51,52,53...)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서버(31)는 MP3폰(1)의 사용자가 음원제공업체 서버들(51,52,53...)로부터 원하는 음악을 검색하고 음악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사(30)는 외부의 음원제공업체 서버들(51,52,53...)과 별도로 자기 시스템 내부에 독자적인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가질 수도 있다.
MP3폰(1)의 사용자는 음원제공업체 서버들(51,52,53...)로부터 MP3파일을 다운로드받아 MP3폰(1)에 저장하거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하여 들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서버(31)와 연결된 과금서버(32)는 MP3폰(1)의 사용자가 다운로드한 음악에 대해서 서비스 이용요금을 과금하며, 이 요금은 MP3폰 사용자의 휴대폰 요금에 포함하여 징수된다.
한편, 상기 MP3폰(1)의 사용자는 이동통신사를 통해 음원제공업체로부터 음악파일을 전송받는 외에도, 자기가 불법 또는 합법적인 경로로 취득하여 보유하고 있는 모든 음악파일들을 MP3폰(1)으로 옮겨 재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불법적인 경로로 취득한 음악파일이란, 도1에서 인터넷 (41)을 통해 무료 MP3 제공업체의 서버(62) 또는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P2P 방식의 서버(63)에 접속하여 전송받은 음악파일 및 그 외에 오프라인에서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취득한 MP3파일(4)을 말하며,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합법적인 경로로 취득한 음악파일이란 인터넷(41)을 통해 유료 콘텐츠 판매자(61)로부터 대가를 지불하고 다운로드받은 음악파일 및 자기가 이미 구입한 음악CD(3)로부터 MP3, WAV, WMA 등 컴퓨터에서 재생가능한 포맷으로 추출한 음악파일을 말한다.
결국, MP3폰의 사용자는 MP3폰(1)을 컴퓨터(2)에 연결하여 컴퓨터(2)에 들어 있는 음악파일들을 MP3폰(1)으로 복사함으로써 MP3폰(1)을 기존의 MP3플레이어와 똑같은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MP3폰은 MP3파일의 활용편의성이라는 측면에서 종래의 컴퓨터와 MP3 플레이어를 능가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MP3 플레이어와 마찬가지로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MP3파일을 그대로 옮겨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작권 보호측면에서 취약점을 안고 있다.
MP3폰(1)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사(30)로부터 음악파일을 다운로드받는 경우에는, 이동통신사에 의해 이용료의 과금이 이루어지고 징수된 이용료의 일정 부분을 저작권 사용료로 저작권자들에게 지급하기 때문에 저작권 보호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일반 사용자들이 정당한 대가를 치르지 않고 인터넷에서 다운로드받는 등의 방법으로 입수한 MP3파일을 아무런 제한없이 MP3폰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저작물의 불법 이용을 조장하고 저작권자의 보호에 소홀하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특히, 최근에는 음반사업자 및 실연자 등의 저작권 관련 단체가 MP3폰의 제조업체에 대해 이동통신사로부터 다운로드받지 않은 MP3파일, 즉 일반 사용자의 컴퓨터에 들어있는 MP3파일을 MP3폰에서 아예 재생할 수 없도록 하거나 또는 열화된 음질(약 56kbps 이하)로 일정한 시간(예를 들어 72시간)동안에만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강제적 사용제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여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일으킨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저작권자들의 사용제한 조치 요구에 대해, MP3폰 제조사들은 컴퓨터에서 다운받은 콘텐츠라 하더라도 소비자가 이미 정당한 비용을 지불하고 구매한 음악CD에서 추출한 MP3 파일이나 인터넷 상에서 비용을 지불하고 구매한 MP3파일에 대해서는 사용제한을 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하여 반대 입장을 취하고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도 사용자의 컴퓨터에 들어있는 MP3파일이 불법적인 것인지 또는 합법적인 것인지 식별할 수 있는 제도적 기술적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저작권자들이 주장하는 '불법 콘텐츠의 사용제한 조치' 요구를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대해, 저작권자들은 일반 컴퓨터를 통해서 전달받은 파일이 불법적 콘텐츠인지 합법적 콘텐츠인지 구분이 안 되는 경우에는 일단 불법적 콘텐츠인 것으로 간주하여 72시간 동안만 재생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음질도 64 kbps이하로 제한하자고 주장한 바 있으나, 이럴 경우 소비자들이 돈을 지급하고 구매한 MP3 파일 및 개인이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구입한 음악CD로부터 변환된 MP3파일까지도 재 생의 불이익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미 국내에서 MP3폰을 이용한 다운로드가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컴퓨터로부터 MP3폰으로의 음악파일의 다운로드를 전면 금지하거나 또는 열화된 재생조건으로만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제한하거나 일정시간 동안만 재생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등 갑작스럽게 사용자의 권리에 제약을 가할 경우에는, MP3폰의 일반 사용자와 저작권자간에 강력한 충돌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양자의 이익 충돌을 해결하는 최선의 방법은, 강제적인 사용제한 조치를 취하는 것보다는 저작권을 존중하는 문화를 조성하고 사용자 스스로 합법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더 편하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특히, 그 구체적인 실현방안에 있어서는 사용자들에게 일률적으로 비싼 저작물 이용료를 부담시키기 보다는 실제로 이용한 만큼만(즉, 음악을 들은 횟수에 비례한 만큼만) 대가를 지불할 수 있도록 하고, 이미 정당하게 구입한 음악파일들에 대해서는 자기의 MP3폰으로 자유롭게 재생하여 들을 수 있도록 허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정상적으로 구입된 콘텐츠들에 관한 구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어떠한 콘텐츠가 정상적으로 구입된 콘텐츠인지 자동적으로 판별함으로써, 정상적으로 구입하지 않은 콘텐츠에 대해서는 이용할 때마다 소정의 이용료를 과금하고, 정상적으로 구입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과금없이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작 권자의 이익과 일반 사용자의 자유 사용에 대한 이익을 조화시킬 수 있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및 그 구매등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은, 정품 CD(3)로부터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정보를 독출하며,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컴퓨터(20); 및 다수의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와 각 사용자별로 구매등록된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 컴퓨터(2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와 상기 추출된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기록하는 저작권등록서버(7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은, 정품 CD(3)로부터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정보를 독출하며,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컴퓨터(20); 이동통신기능 외에 MP3파일을 포함한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들의 재생기능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 컴퓨터(20)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번호와 추출된 콘텐츠 파일의 정보를 전달받는 MP3폰(10); 무선통신망에 의해 상기 MP3폰(1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번호와 추출된 콘텐츠 파일의 정보를 전송받는 이동통신서버(31); 및 다수의 사용자들의 개 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와 각 사용자별로 구매등록된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를 가지며, 상기 이동통신서버(3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와 상기 추출된 콘텐츠 파일의 정보를 상기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기록하는 저작권등록서버(71);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은, MP3파일을 포함한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들을 보유한 콘텐츠판매자 서버(91); 상기 콘텐츠판매자 서버(91)로부터 상기 콘텐츠 파일들을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휴대폰 번호 및 콘텐츠 구매내역을 상기 콘텐츠 판매자 서버(91)로 전송하는 사용자 컴퓨터(21); 및 다수의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와 각 사용자별로 구매등록된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를 가지며, 상기 콘텐츠판매자 서버(91)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휴대폰 번호 및 구매한 콘텐츠 파일 의 콘텐츠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기록하는 저작권등록서버(71);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방법은, 사용자 컴퓨터(20)가 CD(3)로부터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CD(3)에 수록된 콘텐츠 정보를 독출하며, 사용자로부터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터(20)가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번호와 추출된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정보를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가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상기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 번호와 콘텐츠 파일의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방법은, 사용자 컴퓨터(20)가 CD(3)로부터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을 추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CD(3)에 콘텐츠 정보가 수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추출된 콘텐츠 파일에 대한 패턴특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가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에서 인출하여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가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상기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번호와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기왕의 MP3폰을 둘러싼 저작권 침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하는 제도적 기술적 장치는 가칭 '콘텐츠 구매 등록제(Contents Buying Registration)'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불법콘텐츠 유통 방지 방법이 주로 콘텐츠 자체에 저작권 보호장치(DRM; Digital Rights Management)를 걸어서 구매한 사용자만 사용하게 하는 방식이었다면, 본 발명에 따른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저작권 구매등록 시스템은, 이러한 저작권 보호장치가 모두 해킹에 의해 실패하고 말았다는 점을 직시하여, 그보다는 ⅰ) 콘텐츠의 유통은 일단 자유롭게 허용하고, ⅱ) 콘텐츠의 구매시에 구매자의 개인정보와 휴대폰번호를 인터넷 기반의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도2의 도면번호 72 참조)에 등록하여(='콘텐츠 구매 등록') 그 구매 등록된 콘텐츠에 대해서 는 MP3폰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ⅲ) 구매를 하지 않은 콘텐츠에 대해서는 사용시에만 과금을 하도록 한다.
일반 MP3플레이어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인터넷 기반의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구매등록한 콘텐츠인지 식별하는 것이 어려우나, 휴대폰은 항상 통신이 가능하고 그 특성상 해킹이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구매등록에 의한 불법콘텐츠 및 합법콘텐츠의 식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구매등록하고자 하는 'MP3폰에서 재생가능한 콘텐츠'는 음악, 영화, 뮤직 비디오 등 음악 및 영상자료를 망라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MP3파일 형식의 음악콘텐츠, MP3 이외의 음악콘텐츠 및 영상콘텐츠를 모두 총괄하는 개념으로 '콘텐츠'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정상적인 방법으로 취득하여 구매등록하는 콘텐츠 파일의 범주에는 사용자가 구입하여 소장하고 있는 음악CD 및 영상CD로부터 추출한 모든 형식의 음악파일 내지 영상파일과 콘텐츠 판매자(CP; Contents Provider)로부터 구입하여 다운로드받은 음악파일 내지 영상파일이 포함되며, 사용자가 이동통신회사(30)로부터 MP3폰(10)으로 무선 다운로드받은 콘텐츠는 일단 제외한다. 왜냐하면, 이동통신회사로부터 MP3폰(10)으로 다운로드받은 콘텐츠는 이미 이동통신회사의 기록에 의하여 별도 관리되고 있어 저작권 침해 문제가 생기지 않으므로 굳이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구매등록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및 상기 콘텐츠의 구매등록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로서, 사용자가 정상적인 방법으로 취득한 콘텐츠 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정당하게 구입한 콘텐츠들에 관해서 '그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취득한 콘텐츠인 것'으로 콘텐츠 구매등록해 두기 위해서는, 그 전제로서 사용자의 개인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등)와 휴대폰번호 및 그 사용자가 구입한 콘텐츠들의 내역에 관한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러한 콘텐츠 구매사실에 관한 자료를 축적, 관리 및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도2의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이다. 이러한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는 아직 우리나라에 존재하지 않으나, 앞으로 영상사업자, 음반제작자, 실연자 등을 대표할 수 있는 저작권 관리단체(70)에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가 정당하게 구입한 콘텐츠들에 관한 구매사실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작권 관리단체(70)의 전산시스템 안에는, 인터넷에 의해 외부와 연결되어 콘텐츠 구매등록신청을 처리하며 콘텐츠 구매등록여부의 확인요청에 응할 수 있는 저작권등록서버(71) 및 콘텐츠 구매 정보를 수록한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가 설치된다. 상기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는 저작권등록서버(71)에 의해서 관리되며, 그 내부에 축적된 데이터는 다수의 사용자들의 개인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등) 및 휴대폰 번호와 각 사용자별로 구매등록된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노래제목, 가수/실연자 등)들로 구성된다(도7 참조).
도2를 참고하여, 우선 사용자가 보유한 음악CD, VCD, DVD 등으로부터 음악 및 영상 콘텐츠를 추출하고 이에 관한 콘텐츠 구매등록을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자기가 보유한 CD(3)를 사용자 컴퓨터(20)에 넣고 파일추출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MP3 등의 파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20)는 인터넷에 의해 저작권등록서버(71)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컴퓨터(20)에 그의 이름 및 주민등록번호와 휴대폰번호를 입력하면, CD(3)로부터 추출된 파일들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노래 제목, 가수/실연자의 이름 등)와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가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로 전송된다. 저작권등록서버(71)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의 포맷으로 콘텐츠 구매등록을 수행하고, 이어 등록승인신호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20)에 보내 콘텐츠 구매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한편, 사용자 컴퓨터(20)가 인터넷(41)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MP3폰(10)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콘텐츠 구매등록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MP3폰(10)을 사용자 컴퓨터(20)의 USB등 외부연결포트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 및 휴대폰번호와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MP3폰(10)으로 전달되며, MP3폰(10)은 중계기지국(34)을 통해 이동통신서버(31)에 상기 정보들을 전송하고, 이동통신서버(31)는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번호와 콘텐츠의 정보를 전송하여 콘텐츠 구매등록을 요청한다. 저작권등록서버(71)는 위의 사용자 컴퓨터(20)를 이용한 구매등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서버(31)의 등록요청에 의하여 콘텐츠 구매등록을 마친 후 이동통신서버(31)에 등록승인신호를 보내며, 사용자는 MP3폰(10)의 표시창에 뜨는 등록승인 메시지에 의해 콘텐츠 구매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인터넷상의 콘텐츠판매자(CP; contents provider)에게 대가를 지불하고 콘텐츠 파일을 다운로드받는 경우의 콘텐츠 구매등록 방법을 설명한다(도9 참조).
사용자 컴퓨터(21)는 콘텐츠판매자 서버(91)와 인터넷(42)으로 연결되며, 콘텐츠판매자 서버(91)는 저작권등록서버(71)와 인터넷(43)으로 연결된다. 사용자는 컴퓨터(21)를 통해 콘텐츠판매자 서버(91)에 콘텐츠 구입신청을 할 때,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며, 구매내역에 대한 확인신호를 보낸다. 콘텐츠판매자 서버(91)는 대금결제가 이루어진 후 사용자 컴퓨터(21)로 콘텐츠를 전송해주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 및 구매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노래제목, 가수/실연자)를 보내 콘텐츠 구매등록을 요청한다(도9 참조). 이때, 저작권등록서버(71)는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콘텐츠판매자 서버(91)의 등록요청에 의하여 콘텐츠 구매등록을 마친 후 등록승인신호를 보내며, 사용자는 컴퓨터(21)에 나타난 등록승인 메시지를 통해 콘텐츠 구매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2의 미설명부호 92는 콘텐츠판매자 데이터베이스로서, 각종 콘텐츠 및 고객정보가 저장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CD(3)로부터 추출된 콘텐츠 또는 콘텐츠판매자 서버(91)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콘텐츠가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구매등록되기 위해서는, 저작권등록서버(71)가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상기 CD(3)로부터 추출된 콘텐츠 또는 콘텐츠판매자 서버(91)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갖고 있어야만 한다. 즉, 상기 CD(3)의 소유자 또는 콘텐츠 구입자가 누구인지, 그리고 CD 안에 들어 있는 콘텐츠 또는 다운로드받은 콘텐츠의 제목이 무엇이고 가수/실연자가 누구인지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우선, 어느 경우나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사용자가 컴퓨터(20)에 직접 입력하면 되므로 별 문제가 없다. 그리고, 콘텐츠판매자 서버(91)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받은 경우에는 콘텐츠판매자 서버(91)가 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콘텐츠판매자 서버(91)가 저작권등록서버(71)에 구매등록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보내면 된다.
한편, CD(3)안에 그 콘텐츠들에 대한 태그(tag)정보가 수록된 경우에는 컴퓨터(20)에서 이를 직접 독출하여 콘텐츠 정보로서 직접 또는 MP3폰(11)을 경유하여 저작권등록서버(71)에 보내면 된다. 그리고, CD(3)의 자켓에 그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CD(3)안에 콘텐츠들에 대한 태그 정보가 들어있지 않거나 사용자에 의한 직접 입력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콘텐츠가 어떤 것인지 식별하기 위하여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는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와 연결되며, 저작권등록서버(81)의 요청에 의하여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찾아 저작권등록서버(71)에 알려준다.
본 발명에서는, CD에 태그 정보가 수록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컴퓨터(20)가 CD의 콘텐츠 파일로부터 소정의 방식으로 패턴특성을 추출하여 패턴특성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패턴특성데이터는 다른 데이터의 흐름과 마찬가지로 직접 또는 MP3폰(10)과 이동통신서버(31)를 통해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달된다.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는 저작권등록서버(71)로부터 패턴특성데이터를 전달받은 다음, 이 패턴특성데이터를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에 미리 축적해 놓은 패턴특성데이터들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특성데이터를 가진 콘텐츠를 찾아내고 그 콘텐츠에 대한 제목 등의 정보를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제공한다.
여기서, 패턴특성데이터란 음악곡의 멜로디, 박자 등의 변화에 기인한 특징을 추출하여 소정의 방식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말하는데, 현재 미국의 그레이스노트(Gracenote)사가 이러한 패턴특성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모든 음악곡의 제목과 가수/실연자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미국특허출원공개번호 제20030135513호, 제20030086341호, 제20030046283호 및 제20030028796호에 의하면, 어떤 음악이건 그 특징적인 패턴을 추출하여 미리 구축해 놓은 데이터베이스의 패턴들과 비교함으로써 그 음악이 무슨 음악인지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 및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는 상기 미국특허출원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구매등록 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CD(3)로부터 콘텐츠 파일을 추출할 때 자동적으로 태그 정보를 독출하고 패턴특성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 및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CD 리핑(ripping) 소프트웨어가 필요한데,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회사 또는 음반회사에서 이러한 전용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개발하여 배포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시스템 및 과정에 의해, 사용자는 컴퓨터(20) 또는 MP3폰(10)을 이용하여 CD등의 매체로부터 추출한 콘텐츠 파일에 대한 구매등록을 마칠 수 있으며, 인터넷상에서 콘텐츠판매자로부터 구입한 콘텐츠에 대한 구매등록도 완료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에 있어서, MP3폰(10)에서 콘텐츠가 재생될 때 자동으로 그 콘텐츠에 대한 구매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콘텐츠 사용료가 과금되도록 한 구성에 관한 개략도이고, 도4a, 도4b 및 도4c는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구매등록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현예들을 도시한 개략도들이다.
도3 및 도4a 내지 도4c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은, 위의 도2에 의한 콘텐츠 구매등록이 이루어진 후에 사용자가 앞서 구매등록해 놓은 콘텐츠를 자기의 MP3폰(10)으로 재생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도3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MP3폰(10)을 이용하여 미리 구매등록해 놓은 콘텐츠(예를 들어, 조용필의 '고추잠자리')를 재생하려고 할 때, 상기 MP3폰(10)은 그 안에 내장된 패턴특성추출모듈(도5의 도면번호 17 참조)에 의하여 해당 콘텐츠의 패턴특성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를 중계기지국(34)을 경유하여 이동통신서버(31)에 전달한다. 상기 패턴특성데이터는 이동통신서버(31)로부터 저작권등록서버(71)로 전송되며, 저작권등록서버(71)는 상기 패턴특성데이터를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 에 전달하여 콘텐츠 정보(제목, 가수/실연자)를 요청한다.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는 상술한 방식으로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에서 패턴특성데이터가 일치하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그 정보를 저작권등록서버(71)에 보낸다.
다음으로, 저작권등록서버(71)는 당해 콘텐츠가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구매등록된 콘텐츠인지 확인하여, 구매등록되어 있는 콘텐츠인 경우에는 '기등록 신호'를 이동통신서버(31)에 전송하고, 구매등록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인 경우에는 '미등록 신호'를 이동통신서버(31)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는 당해 콘텐츠에 대한 정보도 함께 이동통신서버(31)에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이동통신서버(31)는 '기등록 신호'를 받은 경우에는 승인신호를 MP3폰(10)에 전송하고, '미등록 신호'를 받은 경우에는 과금서버(32)에 과금요청을 하고 MP3폰(10)에 승인신호를 전송한다.
과금서버(32)는 당해 휴대폰의 사용자에게 콘텐츠 이용료를 과금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구매등록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실제로 이용한 만큼만(재생한 횟수에 비례하여) 대가를 지불하도록 하고 노래 한 곡의 재생에 대한 이용료는 너무 높지 않게 책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콘텐츠 구매등록되지 않은 MP3파일의 이용에 따른 이용료의 지불 부담이 음반구입 또는 MP3플레이어의 구입의 경우보다 크지 않아야만, MP3폰의 사용자로 하여금 불법 MP3파일을 구하려고 노력하는 것보다 약간의 대가를 지불하고 이용하는 것이 훨씬 편하다는 인식을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MP3폰(10)은 상기 이동통신서버(31)로부터 승인신호와 함께 당 해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며 콘텐츠를 재생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의 특징을 요약하면, 콘텐츠 자체는 무료로 배포되도록 하고, 콘텐츠를 합법적으로 구매한 사람은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구매등록하여 MP3폰을 이용하여 노래를 듣는 것에 대해 과금에서 제외하며, 그 외의 콘텐츠(불법 또는 무료 콘텐츠)를 다운받은 사람은 MP3폰으로 노래를 들을 때마다 적절한 이용료를 과금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4a에는 MP3폰(10)에서 콘텐츠가 재생될 때마다 구매등록 여부의 확인과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3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MP3폰(10)에서 콘텐츠(노래)가 재생될 때마다 그 콘텐츠에 대한 패턴특성데이터가 생성되어 이동통신서버(31), 저작권등록서버(71) 및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로 전송되며, 그에 따라 과금 및 승인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콘텐츠의 재생시마다 매번 과금하는 방식은 MP3폰(10)과 이동통신서버(31)간의 불필요한 트래픽 증가를 야기시켜 전체 이동통신시스템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4b 및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주기 또는 시기마다 MP3폰(10)에서 이동통신서버(31)로 콘텐츠 재생내역을 전송하여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4b를 참고하면, MP3폰(10)은 콘텐츠 구매등록여부의 확인 및 과금절차를 거치지 않고 일단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들을 재생하며, 그 메모리(182, 도5 참조)에 각 재생된 콘텐츠들의 패턴특성데이터 및 그 재생횟수를 카운트한 값을 저장 한다. 그리고, 일정기간(예를 들면, 하루, 일주, 한달 등) 경과 후 또는 소정의 시기(예를 들면, 매월 1일)마다 상기 메모리(182)에 저장된 패턴특성데이터 및 재생횟수값을 이동통신서버(31)로 전송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콘텐츠 정보의 인출(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 콘텐츠 구매등록의 확인(저작권등록서버(71)) 및 과금(이동통신서버(31))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이동통신서버(31)는 MP3폰(10)에 승인신호와 함께 과금내역을 통보할 수 있다.
도4c에 도시된 구성은 도4b의 경우와 기본 원리는 같이 하나, MP3폰(10)의 메모리(182)가 패턴특성데이터 및 재생횟수값을 저장하기에 용량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하여, 메모리(182)가 차면 그 안에 저장된 콘텐츠 재생내역(패턴특성데이터 및 재생횟수값)을 이동통신서버(31)로 전송하여 나중에 이동통신서버(31)에서 소정의 절차를 거쳐 과금 및 승인을 할 수 있도록 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이동통신서버(31)가 MP3폰(10)의 콘텐츠 재생내역 데이터를 옮겨 받아 보관하고 있다가 일정주기마다 또는 일정시기에 과금 및 승인을 하는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에 사용되는 MP3폰(10)의 구성도이다.
도5를 참고하면, MP3폰(10)은 이동통신기능 외에 MP3파일을 포함한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들의 재생기능을 가지며, 제어부(11), 송수신부(12), 키입력부(13), 표시부(14), 통화처리부(15), MP3 재생부(16), 패턴특성추출모듈(17), 메모리(18), 마이크(19a) 및 스피커(19b)로 구성된다.
상기 패턴특성추출모듈(17)은 MP3폰(10)에서 재생될 또는 재생중인 콘텐츠의 식별을 위한 패턴특성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이 패턴특성데이터는 종국적으로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에 전달되어 당해 콘텐츠의 식별을 위한 자료로 사용된다. 한편, 도5에 도시된 MP3폰(10)의 다른 구성부분들은 모두 공지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방법의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이동통신회사로부터 MP3폰(10)으로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은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구매등록을 할 필요가 없으며(S101 단계), 그 외의 경우에는 CD 구매자인가를 판단하여(S102 단계) CD구매자인 경우에는 개인용 컴퓨터(20)로 콘텐츠파일 추출프로그램을 구동하여 MP3등의 음악파일을 추출해낸다(S103 단계). 다음으로 사용자의 컴퓨터(20)가 인터넷에 연결된 경우에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하여 저작권등록서버(71)에 연결하여 콘텐츠 구매등록을 수행하고(S104 단계 및 S105 단계),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컴퓨터와 MP3폰을 이용하여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접속하여 콘텐츠 구매등록을 수행한다(S104 단계 및 S106 단계). 한편, 사용자가 CD를 구매하지 않고 인터넷상에서 콘텐츠판매자로부터 콘텐츠를 구입한 경우에는 콘텐츠판매자 서버(91)에서 저작권등록서버(71)에 자동적으로 콘텐츠 구매등록요청을 한다(S107 단계 및 S108단계).
도7은 도2의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축적되는 콘텐츠 구매등록 데이터의 형식에 관한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의 구매등록을 위한 사용자의 정보로서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외에 휴대폰번호가 반드시 필요하다. 왜냐하면, 어떤 사용자가 구매등록한 콘텐츠는 그 사용자의 MP3폰에서만 과금없이 자유롭 게 재생되고 다른 사람의 MP3폰에서 재생할 경우에는 이용료가 부과되는 것을 기본적인 전제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는 나중에 사용자가 핸드폰 번호를 바꾸게 될 경우에 그 사용자의 동일성을 판별하여 핸드폰 번호에 관한 정보 변경을 허용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CD 리핑 프로그램에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도구를 포함시켜 사용자가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접속하여 구매등록된 데이터들의 핸드폰 번호를 한번에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7에 소개된 데이터 중 CD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는 현재 시판되는 음악 CD에는 적용되지 않은 것이지만('구곡없음' 참조), 컴퓨터 소프트웨어 CD의 경우처럼 장차 음악 CD마다 고유한 시리얼 번호를 부여하면 하나의 CD안에 들어있는 음악곡에 대해서 여러 사용자에게 중복적으로 콘텐츠 구매등록이 이루어지는 것을 막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CD 고유 넘버는 CD의 리핑시에 사용자 컴퓨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및 구매등록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판매자로부터 콘텐츠를 구매한 경우 사용자가 콘텐츠 구매등록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컴퓨터(21)에 입력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모니터(21a)에서 입력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이때에도, CD 시리얼 번호는 앞으로 음악 CD에 시리얼 번호가 부여될 경우 컴퓨터(20)가 이를 자동적으로 독출하는 것을 상정하였으며, 지금까지 시판된 음악CD의 경우 에는 시리얼 번호가 없으므로 이 부분이 제외되어야 한다.
도9는 콘텐츠의 구입 및 구매등록 과정에서 사용자 컴퓨터(21), 콘텐츠판매자 서버(91) 및 저작권등록서버(71)간의 데이터의 흐름(data flow)을 도시한 것이다. 이미 도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0a 및 도10b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 MP3폰에서 콘텐츠가 재생될 때마다 그 구매등록 여부의 확인 및 과금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관한 순서도이고, 반면 도11은 MP3폰에 소정 기간 동안의 콘텐츠 재생내역을 모아두었다가 한번에 이동통신서버로 전송하여 그 구매등록 여부의 확인 및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도4a 내지 도4b 참조).
도10a에 있어서, 사용자가 MP3폰(10)에 콘텐츠 재생명령을 입력하면(S201단계), MP3폰(10)의 패턴특성추출모듈(도5의 도면번호 17 참조)에서 당해 콘텐츠에 대한 패턴특성데이터를 생성하고(S202 단계),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에서 그 패턴특성데이터와 일치하는 패턴을 가진 콘텐츠를 검색하여(S203 단계) 그에 관한 정보를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저작권등록서버(71)는 당해 콘텐츠가 그 MP폰의 사용자에게 콘텐츠 구매등록된 것인지 확인하여 콘텐츠 구매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등록 신호'를 발생하여 이동통신서버에 전달함으로써 당해 콘텐츠가 과금없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하며(S204 단계 및 S206 단계), 콘텐츠 구매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휴대폰의 사용자에게 콘텐츠 이용료를 과금한다(S205 단계).
한편, 도10b는 도10a와 거의 동일한 순서로 진행되나, 도10a의 S206 단계(콘 텐츠 재생)가 S212로 앞당겨졌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10a는 콘텐츠의 구매등록 확인이 끝난 후에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고, 도10b는 일단 콘텐츠를 재생하면서 구매등록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11a는 도4b 및 도4c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과 관련된 콘텐츠의 구매등록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서, MP3폰(10)은 콘텐츠의 구매등록 확인절차 및 과금절차를 거침이 없이 일단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콘텐츠를 재생하고(S221 단계 내지 S225 단계), 그 재생내역에 관한 자료는 MP3폰의 메모리에 저장되었다가 일정주기마다 또는 일정시기에 이동통신서버로 전송되어(S227 단계) 콘텐츠 구매등록 확인 및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228 단계 내지 S230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구매등록제가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실제로 음악을 듣는 행위에 대한 대가가 음악을 구매할 때 드는 금액보다 많이 저렴해야 한다. 그래야만 사용자는 MP3폰을 이용하여 음악을 즐기는 것이 원하지 않는 모든 음악을 구매하는 CD구매보다 합리적이고 저렴하다고 인식하게 된다.
또한, 실제로 음악을 들은 횟수에 비례하여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마음에 드는 음악은 많이 들어서 비용을 많이 지불하고, 원하지 않는 음악은 적게 들어서 적은 비용만을 지급하는 방식이 보다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콘텐츠 구매등록제에 의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MP3폰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한 방법으로 저렴하게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 되면 일부러 불법복제 또는 음악을 모으는 행위를 할 필요가 없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MP3폰을 둘러싼 저작권 침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수단으로서 콘텐츠 구매등록제를 제안하여 저작권자와 일반 사용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저작물 이용시스템을 구축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및 그 구매등록 방법은, 정상적으로 구입된 콘텐츠들에 관한 구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어떠한 콘텐츠가 정상적으로 구입된 콘텐츠인지 자동적으로 판별함으로써, 정상적으로 구입하지 않은 콘텐츠에 대해서는 이용할 때마다 소정의 이용료를 과금하고, 정상적으로 구입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과금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작권자의 이익과 일반 사용자의 자유 사용에 대한 이익을 조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9)

  1. 정품 CD(3)로부터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정보를 독출하며,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컴퓨터(20); 및
    다수의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와 각 사용자별로 구매등록된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 컴퓨터(2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와 상기 추출된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기록하는 저작권등록서 버(7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콘텐츠들에 대한 패턴특성 데이터와 콘텐츠 정보를 저장한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를 가지고,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추출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제공하는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를 더 구비하며,
    상기 CD(3)에 콘텐츠 정보가 수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컴퓨터(20)는 추출된 콘텐츠 파일에 대한 패턴특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고,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는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에 전송하여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는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상기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에서 인출하여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3. 정품 CD(3)로부터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정보를 독출하며,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컴퓨터(20);
    이동통신기능 외에 MP3파일을 포함한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들의 재생기능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 컴퓨터(20)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번호와 추출된 콘텐츠 파일의 정보를 전달받는 MP3폰(10);
    무선통신망에 의해 상기 MP3폰(1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번호와 추출된 콘텐츠 파일의 정보를 전송받는 이동통신서버(31); 및
    다수의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와 각 사용자별로 구매등록된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를 가지며, 상기 이동통신서버(3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와 상기 추출된 콘텐츠 파일의 정보를 상기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기록하는 저작권등록서버(7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다수의 콘텐츠들에 대한 패턴특성 데이터와 콘텐츠 정보를 저장한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를 가지고,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추출된 콘텐츠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제공하는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를 더 구비하며,
    상기 CD(3)에 콘텐츠 정보가 수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컴퓨터(20)는 상기 추출된 콘텐츠 파일에 대한 패턴특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MP3폰(10)으로 전송하고, 상기 MP3폰(10)은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서버(31)를 경유하여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며,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는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에 전송하여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는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상기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에서 인출하여 상기 저작권등록서버 (71)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파일의 정보는 콘텐츠의 제목 및 가수/연주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기능 외에 MP3파일을 포함한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들의 재생기능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 컴퓨터(20)와 연결가능하고, 사용자로부터 재생명령을 받은 콘텐츠 파일에 대한 패턴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패턴특성추출모듈(17)을 포함한 MP3폰;
    무선통신망에 의해 상기 MP3폰(10)과 연결된 이동통신서버(31);
    상기 이동통신서버(31)와 연결되어 상기 MP3폰(10)의 사용자에게 서비스 이용료를 과금하는 과금서버(32); 및
    다수의 콘텐츠들에 대한 패턴특성 데이터와 콘텐츠 정보를 저장한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를 가지고,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의 요청에 의하여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를 더 구비하고,
    상기 MP3폰(10)에서 생성된 패턴특성 데이터가 상기 이동통신서버(31) 및 저작권등록서버(71)를 경유하여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에 전송되면 상기 콘텐 츠정보 제공서버(81)는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상기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에서 인출하여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며,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MP3폰(10)의 사용자에게 구매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등록 신호'를 발생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미등록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동통신서버(31)에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서버(31)는 상기 '미등록 신호'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과금서버(32)에 과금요청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기능 외에 MP3파일을 포함한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들의 재생기능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 컴퓨터(20)와 연결가능하고, 사용자로부터 재생명령을 받은 콘텐츠 파일에 대한 패턴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패턴특성추출모듈(17)을 포함한 MP3폰(10);
    무선통신망에 의해 상기 MP3폰(10)과 연결된 이동통신서버(31); 및
    상기 이동통신서버(31)와 연결되어 상기 MP3폰(10)의 사용자에게 서비스 이용료를 과금하는 과금서버(32);를 더 구비하고,
    상기 MP3폰(10)에서 생성된 패턴특성 데이터가 상기 이동통신서버(31) 및 저작권등록서버(71)를 경유하여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에 전송되면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는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상기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에서 인출하여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며,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MP3폰(10)의 사용자에게 구매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등록 신호'를 발생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미등록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동통신서버(31)에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서버(31)는 상기 '미등록 신호'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과금서버(32)에 과금요청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서버(31)와 연결되어 상기 MP3폰(10)의 사용자에게 서비스 이용료를 과금하는 과금서버(32); 및
    다수의 콘텐츠들에 대한 패턴특성 데이터와 콘텐츠 정보를 저장한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를 가지고,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의 요청에 의하여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를 더 구비하고,
    상기 MP3폰(10)은 사용자로부터 재생명령을 받은 콘텐츠 파일에 대한 패턴특성을 추출할 수 있는 패턴특성추출모듈(17)을 포함하며, 상기 MP3폰(10)에서 생성된 패턴특성 데이터가 상기 이동통신서버(31) 및 저작권등록서버(71)를 경유하여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에 전송되면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는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상기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에서 인출하여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며,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에게 구매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등록 신호'를 발생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미등록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동통신서버(31)에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서버(31)는 상기 '미등록 신호'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과금서버(32)에 과금요청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서버(31)와 연결되어 상기 MP3폰(10)의 사용자에게 서비스 이용료를 과금하는 과금서버(32)를 더 구비하고,
    상기 MP3폰(10)은 사용자로부터 재생명령을 받은 콘텐츠 파일에 대한 패턴특성을 추출할 수 있는 패턴특성추출모듈(17)을 포함하며, 상기 MP3폰(10)에서 생성된 패턴특성 데이터가 상기 이동통신서버(31) 및 저작권등록서버(71)를 경유하여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에 전송되면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는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상기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에서 인출하여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며,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MP3폰의 사용자에게 구매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등록 신호'를 발생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미등록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동통신서버(31)에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서버(31)는 상기 '미등록 신호'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과금서버(32)에 과금요청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10. MP3파일을 포함한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들을 보유한 콘텐츠판매자 서버(91);
    상기 콘텐츠판매자 서버(91)로부터 상기 콘텐츠 파일들을 다운로드할 수 있 으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휴대폰 번호 및 콘텐츠 구매내역을 상기 콘텐츠 판매자 서버(91)로 전송하는 사용자 컴퓨터(21); 및
    다수의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와 각 사용자별로 구매등록된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를 가지며, 상기 콘텐츠판매자 서버(91)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휴대폰 번호 및 구매한 콘텐츠 파일 의 콘텐츠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기록하는 저작권등록서버(7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기능 외에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들의 재생기능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 컴퓨터(21)와 연결가능하고, 사용자로부터 재생명령을 받은 콘텐츠 파일에 대한 패턴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패턴특성추출모듈(17)을 포함한 MP3폰(10);
    무선통신망에 의해 상기 MP3폰(10)과 연결된 이동통신서버(31);
    상기 이동통신서버(31)와 연결되어 상기 MP3폰(10)의 사용자에게 서비스 이용료를 과금하는 과금서버(32); 및
    다수의 콘텐츠들에 대한 패턴특성 데이터와 콘텐츠 정보를 저장한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를 가지고,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의 요청에 의하여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제공하는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를 더 구비하여,
    상기 MP3폰(10)에서 생성된 패턴특성 데이터가 상기 이동통신서버(31) 및 저작권등록서버(71)를 경유하여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에 전송되면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는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상기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에서 인출하여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며,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MP폰(10)의 사용자에게 구매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등록 신호'를 발생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미등록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동통신서버(31)에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서버(31)는 상기 '미등록 신호'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과금서버(32)에 과금요청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12.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파일의 정보는 콘텐츠의 제목 및 가수/연주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13. 이동통신기능 외에 MP3파일을 포함한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들의 재생기능을 가지며, 사용자로부터 재생명령을 받은 콘텐츠 파일에 대한 패턴특성을 추출하는 패턴특성추출모듈(17)을 포함한 MP3폰(10);
    무선통신망에 의해 상기 MP3폰(10)과 연결되며, 상기 MP3폰(10)에서 생성된 패턴특성 데이터를 전송받는 이동통신서버(31);
    상기 이동통신서버(31)와 연결되어 상기 MP3폰(10)의 사용자에게 서비스 이용료를 과금하는 과금서버(32);
    다수의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및 휴대폰 번호와 각 사용자별로 구매등록된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를 가지며, 상기 이동통신서버(31)로부터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를 전송받는 저작권등록서버(71); 및
    다수의 콘텐츠들에 대한 패턴특성 데이터와 콘텐츠 정보를 저장한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를 가지고,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상기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에서 인출하여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는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를 구비하며,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MP3폰(10)의 사용자에게 구매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등록 신호'를 발생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미등록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동통신서버(31)에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서버(31)는 상기 '미등록 신호'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과금서버(32)에 과금요청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14. 사용자 컴퓨터(20)가 CD(3)로부터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CD(3)에 수록된 콘텐츠 정보를 독출하며, 사용자로부터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 대폰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터(20)가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번호와 추출된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정보를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가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상기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 번호와 콘텐츠 파일의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방법.
  15. 사용자 컴퓨터(20)가 CD(3)로부터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을 추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CD(3)에 콘텐츠 정보가 수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추출된 콘텐츠 파일에 대한 패턴특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가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에서 인출하여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가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상기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번호와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방법.
  16. 사용자 컴퓨터(20)가 CD(3)로부터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CD(3)에 수록된 콘텐츠 정보를 독출하며, 사용자로부터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 대폰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터(20)가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번호와 추출된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정보를 MP3폰(10)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MP3폰(10)이 이동통신서버(31)를 경유하여 저작권등록서버(71)에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번호와 콘텐츠 파일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가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 번호와 콘텐츠 파일의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방법.
  17. 통신망에 의해 콘텐츠판매자 서버(91)와 연결된 사용자 컴퓨터(21)에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 번호와 과금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터(21)는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 번호와 과금정보를 상기 콘텐츠판매자 서버(91)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판매자 서버(91)는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 포맷으로 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21)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판매자 서버(91)가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번호와 콘텐츠 파일의 정보를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가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에 상기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 번호와 콘텐츠 파일의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 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P3폰(10)에서 재생명령이 입력된 콘텐츠 파일의 패턴특성을 추출하여 패턴특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MP3폰(10)이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를 이동통신서버(31)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서버(31)가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를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가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에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가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에서 인출하여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MP폰(10)의 사용자에게 구매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등록 신호'를 발생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미등록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동통신서버(31)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서버(31)는 상기 '미등록 신호'를 받은 경우에 과금서버(32)에 과금요청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방법.
  19. MP3파일을 포함한 컴퓨터용 콘텐츠 파일들을 재생할 수 있는 MP3폰(10), 상기 MP3폰(10)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이동통신서버(31), MP3폰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 번호와 콘텐츠 파일의 정보가 저장된 저작권등록 데이터베이스(72)를 가지고 상기 이동통신서버(31)와 연결된 저작권등록서버(71), 및 콘텐츠들에 대한 패턴특성 데이터와 콘텐츠 정보가 저장된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를 가진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를 이용하여, MP3폰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에 대한 이용료를 과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MP3폰(10)에서 재생명령이 입력된 콘텐츠 파일의 패턴특성을 추출하여 패턴특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MP3폰(10)이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를 이동통신서버(31)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서버(31)가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를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가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에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정보 제공서버(81)가 상기 패턴특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콘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82)에서 인출하여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등록서버(71)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MP폰(10)의 사용자에게 구매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등록 신호'를 발생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미등록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동통신서버(31)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서버(31)는 상기 '미등록 신호'를 받은 경우에 과금서버(32)에 과금요청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폰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에 대한 이용료의 과금 방법.
KR1020040062777A 2004-07-06 2004-08-10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및 그구매등록 방법 KR200600037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338 2004-07-06
KR20040052338 2004-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796A true KR20060003796A (ko) 2006-01-11

Family

ID=371061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777A KR20060003796A (ko) 2004-07-06 2004-08-10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및 그구매등록 방법
KR1020040062778A KR20060003797A (ko) 2004-07-06 2004-08-10 정보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한콘텐츠 구매등록 및 사용료 청구 시스템과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778A KR20060003797A (ko) 2004-07-06 2004-08-10 정보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한콘텐츠 구매등록 및 사용료 청구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600037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899B1 (ko) * 2007-02-13 2008-06-10 주식회사 두두씨에스 Rss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식에 따른 콘텐츠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797A (ko)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4639B2 (en) Content identification, personal domain, copyright notification, metadata and e-Commerce
US7778927B2 (en) Contents reproducing device, contents processing device, contents distribution server, contents reproducing method, contents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301569B2 (en)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ntent reprodu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90113560A1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server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computer program
US20060136340A1 (en) Post-paid bill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files
US200901068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a Rights Transfer
JP2002083152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プレーヤ及びコンテンツプロバイダ
US20080046746A1 (en) Data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charg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electronic money, electronic use right, and terminal apparatus
US7624199B2 (en) Digital data distribution system with switching unit, online acquisition unit, and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from first to second format
JP2002163571A (ja) 電子コンテンツ取引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3332361B2 (ja) データ著作権保護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変換装置、データ変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WO2001033546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donnees numeriques, procede et dispositif de reproduction de donnees numeriques, procede et dispositif de copie de donnees numeriques, support d'enregistrement de donnees et procede de stockage/reproduction de donnees numeriques
KR20060038872A (ko) 멀티미디어 파일의 사용 권리에 대한 교환, 대여 및재판매 방법과 그 시스템
WO2006080657A1 (en) Method for providing music service and system of enabling the method
JP2001344437A (ja) データ配信方法とそのシステム、データ使用装置および配信用データ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WO20010410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electronic digital rights management,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content distribution
WO2001048645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traitement de donnees numeriques
JP2001243355A (ja) 課金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方法
KR20060003796A (ko) Mp3폰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구매등록 시스템 및 그구매등록 방법
KR100746371B1 (ko) 디지털 오디오 음원 관리 시스템
US7908478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reading method
JP2001236403A (ja) デジタル情報からなる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配信システム、配信装置、配信システ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147970A (ja) 課金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20060010681A (ko) 기간 제한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2049377A (ja) 視聴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視聴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