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2452A -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2452A
KR20060002452A KR1020040051497A KR20040051497A KR20060002452A KR 20060002452 A KR20060002452 A KR 20060002452A KR 1020040051497 A KR1020040051497 A KR 1020040051497A KR 20040051497 A KR20040051497 A KR 20040051497A KR 20060002452 A KR20060002452 A KR 2006000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mobile communication
search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미
여성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5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2452A/ko
Publication of KR2006000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제반 기능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및 계층적 구조의 메인 메뉴-복수의 서브 메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키 눌림에 상응하는 키 입력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키 눌림에 상응하는 키 입력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 제어부는 메뉴 검색 모드로 인식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창에 검색어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어 입력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 또는 자음과 모음으로 조합된 1글자 이상의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자음 또는 해당 글자를 포함하는 메뉴가 검색 결과로 추출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메뉴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뉴, 검색, 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Method for searching menu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메뉴 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검색 방법의 진행 과정을 디스플레이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01 : 단말 제어부 202 : 키 입력부
203 : 수신 스위치 204 : 스피커
205 : 표시 구동부 206 : 데이터 메모리부
207 : 신호 수신부 208 : 주파수 합성부
209 : 신호 송신부 210 : 듀플렉스
211 : 안테나 212 : 마이크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제반 기능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달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신장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능 향상 요구에 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이동 무선 전화통신 기능 이외에 음악 파일의 재생, 무선 인터넷의 사용 및 전자 메일 등의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통상,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은 계층적 구조를 갖는 메뉴 방식으로 관리되고 있다. 즉, 상위 카테고리의 메뉴들이 나열되어 있는 메인 메뉴가 있고 상기 메인 메뉴를 구성하는 각각의 메뉴에 종속되는 복수의 서브 메뉴가 있는 구조를 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메뉴에서 특정 카테고리의 메뉴를 선택하고 서브 메뉴에서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키를 누르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창에는 상위 카테고리의 메뉴들 즉, 소리설정, 화면설정, 전자수첩 등의 메인 메뉴들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위 카테고리의 메인 메뉴 중 소리설정 메인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소리설정 메인 메뉴에 해당하는 서브 메뉴가 상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소리설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서브 메뉴는 벨소리선택, 음량설정, 효과음설정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브 메뉴 중에서 특정 기능 예를 들어, 벨소리선택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벨소리선택 기능에 대해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설정이 진행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계층적 구조를 갖는 메뉴 방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다양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보다 다양화됨에 따라 다양화된 기능을 수용하기 위해 계층적 구조의 메뉴 방식 또한 보다 복잡화되고 있다. 즉, 통상의 메인 메뉴-서브 메뉴 구조에서 메인 메뉴-제 1 서브 메뉴-제 2 서브 메뉴 등과 같이 메인 메뉴에 종속되는 서브 메뉴의 수가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메인 메뉴에 종속되는 서브 메뉴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특정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복수의 메뉴들을 거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반 기능 및 특정의 기능들이 어느 메뉴에 속하는지에 대하여 숙지하지 못한다면 해당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복수의 메뉴들을 찾아 들어가는 과정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시행착오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제반 기능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및 계층적 구조의 메인 메뉴-복수의 서브 메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키 눌림에 상응하는 키 입력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키 눌림에 상응하는 키 입력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 제어부는 메뉴 검색 모드로 인식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창에 검색어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어 입력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 또는 자음과 모음으로 조합된 1글자 이상의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자음 또는 해당 글자를 포함하는 메뉴가 검색 결과로 추출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메뉴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색 결과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메뉴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 중 특정 메뉴를 선택한 상태에서, 최종 선택 버튼을 눌러 해당 특정 메뉴로 이 동하거나 상기 최종 선택 버튼을 누리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상 경과되면 자동적으로 해당 특정 메뉴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 제어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키 눌림에 상응하는 키 입력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제어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키 눌림에 상응하는 키 입력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메뉴키가 눌려졌을 경우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소정의 검색어를 통해 계층적 구조를 형성하는 상하위 메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으며 해당 검색 결과 내의 특정 메뉴로 이동할 수 있어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검색 방법의 진행 과정을 디스플레이한 참고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스피커(204), 표시창 등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된 단말 제어부(201) 및 상기 단말 제어부(201)와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듀플렉스(210), 신호 송신부(209), 주파수 합성부(208), 신호 수신부(207), 데이터 메모리부(206), 표시 구동부(205)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듀플렉스(210)는 안테나(211)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신호 수신부(207)로 출력하거나, 신호 송신부(20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안테나(211)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신호 수신부(207)는 안테나(211)로부터 듀플렉스(21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 제어부(201)의 제어 하에 스피커(204)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주파수 합성부(208)는 신호 송신부(209)와 신호 수신부(207)에서의 신호 송신 및 수신에 관련된 주파수를 발생시켜 해당 주파수를 각각 신호 수신부(207)와 신호 송신부(209)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 송신부(209)는 마이크(212)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상기 단말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송신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단말 제어부(201)는 신호 송신부(209), 주파수 합성부(208), 신호 수신부(207)와 소정의 신호연결관계를 맺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6), 키 입력부(202), 수신 스위치(203), 표시 구동부(205) 등과도 소정의 신호를 주고받는다.
상기 키 입력부(202)는 사용자의 키 입력 상황을 단말 제어부(20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상기 키 입력부(202)는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일련의 숫자키들과,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화 등의 기능키들과, 이동통신단말기 기능 수행시 항목 변경을 수행하는 방향키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6)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부가하여, 계층적 구조의 메뉴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이 어느 상위 메뉴에 속하고 어느 서브 메뉴에 속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 즉, 메뉴 루트 정보가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6)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뉴 루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하여 소정의 검색어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이 속하는 메뉴를 검색할 수 있는 메뉴 검색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이에 더불어,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6)에는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특정 형상을 갖는 검색 도우미에 대한 데이터 즉, 다양한 검색 도우미의 캐릭터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 검색 도우미가 디스플레이되는 좌표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상태에서 단말 제어부(201)는 상기 키 입력부(202)를 통해 메뉴키가 눌려졌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S301). 메뉴키 눌림에 상응하는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 제어부(201)는 메뉴키 눌림 상태의 지속 시간을 체크한다(S302).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3초 이상 상기 메뉴키 눌림 상태가 지속되면 상기 단말 제어부(201)는 이를 메뉴 검색 모드로 인식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6)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 검색 프로그램을 로딩(loading)시킨다. 반면, 3초 이내의 시간이면 통상의 메인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S303).
상기 메뉴 검색 프로그램의 로딩으로 인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창(401)에는 검색어 입력창(402)과 함께 동물 등과 같은 캐릭터(403)가 디스플레이된다(S304). 이하에서는, 상기 캐릭터를 검색 도우미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검색 도우미(40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캐릭터가 데이터 메모리부(206)에 저장되어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특정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도우미 선택에 대한 기능은 특정의 메뉴에 속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색어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본격적인 메뉴 검색 과정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검색어 입력창에 메뉴 검색을 위한 검색어가 입력되면(S305)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말 제어부(201)는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6)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 검색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검색 결과가 검색 결과창(404)에 디스플레이된다(306).
예를 들어, 검색어 입력창에 ''이라는 단어를 입력하면 상기 ''이라는 글자를 포함하는 모든 메뉴가 검색 결과로 나타난다(도 4b 참조). 이 때, 검색 결과로 나타나는 메뉴들은 메인 메뉴일 수도 있고 제 1 서브 메뉴 또는 제 2 서브 메뉴일 수도 있다. 즉, 메뉴의 상하위를 불문하고 해당 글자가 포함되는 메뉴가 모두 검색 결과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한글 입력의 경우 자음, 모음의 조합에 의한 완성된 글자이외에 자음만 입력한 경우에도 해당 자음을 포함하는 메뉴가 검색 결과로 도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검색어로서 1글자 이상 입력할 경우, 해당 글자 수 모두를 만족하는 검색 결과가 도출될 것이다.
한편, 상기 검색 결과창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창의 특정 위치로 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색어의 입력 전에 상기 검색 결과창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특정시킬 수 있는 타겟 포인터를 상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시키고 키 입력부(202)의 상하좌우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포인터를 조정하여 특정 위치로 상기 타겟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최종적으로 선택된 상기 타겟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검색 결과창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이다.
이와 같이, 검색 결과창에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검색 결과 중 사용자가 찾고자하는 메뉴로 이동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하나 이상의 메뉴가 검색 결과로 도출된 상태에서, 해당 검색 결과 중 특정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특정 메뉴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도 4c 참조). 한편, 복수의 메뉴가 검색 결과로 도출된 경우 최상위에 위치한 메뉴가 예비 선택 상태로 된다(S308). 상기 예비 선택 상태란, 상기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중 특정 메뉴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복수의 메뉴 중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상기 최상위에 위치한 메뉴로부터 이동하여 해당 특정 메뉴가 선택되어야 하는데 이 때, 선택된 상태를 예비 선택 상태라 칭한다. 상기 최상위에 위치한 메뉴로부터 이동이 되기 때문에 상기 최상위에 위치한 메뉴는 자동적으로 예비 선택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검색 결과 중 최상위 메뉴 또는 이외의 메뉴가 예비 선택 상태가 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키의 눌림에 의해 상기 예비 선택 상태의 특정 메뉴가 최종적으로 선택되면 해당 특정 메뉴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예비 선택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말 제어부(201)는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3초가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S309) 상기 3초가 경과한 경우 해당 예비 선택 상태의 메뉴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킨다(S310). 즉, 최초 검색 결과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키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3초가 경과된 경우에는 최상위의 메뉴로 이동하게 되고, 사용자에 의해 검색 결과 중 특정 메뉴가 선택되고 최종 선택 버튼이 눌려지지 않는 경우에는 3초 경과 후 해당 특정 메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검색 결과 중의 특정 메뉴로 이동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키(복원키로 명명하기로 한다)를 누르게 되면 상기 검색 결과창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된다(S311).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소정의 검색어를 통해 계층적 구조를 형성하는 상하위 메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으며 해당 검색 결과 내의 특정 메뉴로 이동할 수 있어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및 계층적 구조의 메인 메뉴-복수의 서브 메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키 눌림에 상응하는 키 입력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메뉴키 눌림에 상응하는 키 입력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 제어부는 메뉴 검색 모드로 인식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창에 검색어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입력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 또는 자음과 모음으로 조합된 1글자 이상의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자음 또는 해당 글자를 포함하는 메뉴가 검색 결과로 추출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메뉴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메뉴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 중 특정 메뉴를 선택한 상태에서, 최종 선택 버튼을 눌러 해당 특정 메뉴로 이동하거나 상기 최종 선택 버튼을 누리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상 경과되면 자동적으로 해당 특정 메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키 눌림에 상응하는 키 입력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제어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키 눌림에 상응하는 키 입력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메뉴키가 눌려졌을 경우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검색 방법.
KR1020040051497A 2004-07-02 2004-07-02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KR20060002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497A KR20060002452A (ko) 2004-07-02 2004-07-02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497A KR20060002452A (ko) 2004-07-02 2004-07-02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452A true KR20060002452A (ko) 2006-01-09

Family

ID=3710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497A KR20060002452A (ko) 2004-07-02 2004-07-02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24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925B1 (ko) * 2006-10-11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925B1 (ko) * 2006-10-11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33379B (zh) 具有操作功能选择提示能力的移动电话
US20060267931A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electronic device
KR1003917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KR101376244B1 (ko) 전자기기
JP2002132412A (ja) 携帯電話のアイコンの表示方法
JP5507829B2 (ja) 電子機器
WO2011074548A1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2006000245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WO2010035774A1 (ja) 電子機器
KR100438187B1 (ko)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을 통한 메뉴검색 방법
KR20060075382A (ko)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를 제공하는이동통신단말기
CN102447781B (zh) 在移动通信装置上使用导航和其它指令的系统和方法
JP4583875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音声読み上げ制御方法
JP2002229705A (ja) 移動体通信機器
JP5551357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8065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통한 기능별 메뉴 검색방법
JP2000091940A (ja) 携帯無線機
KR2006003411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 윈도우 화면 제공 방법 및 그단말기
KR100353445B1 (ko) 전화기의 문자코드 입력방법 장치
KR100630057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4294550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報知方法
KR100603441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소프트키를 이용한 옵션 메뉴 제어방법
JP5843741B2 (ja) 携帯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WO2011037230A1 (ja) 電子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方法
JP5372700B2 (ja) 携帯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