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1466A - 반송대차 구동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송대차 구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1466A
KR20060001466A KR1020040050597A KR20040050597A KR20060001466A KR 20060001466 A KR20060001466 A KR 20060001466A KR 1020040050597 A KR1020040050597 A KR 1020040050597A KR 20040050597 A KR20040050597 A KR 20040050597A KR 20060001466 A KR20060001466 A KR 20060001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mode
agv
cassette
mg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0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1466A/ko
Priority to US11/169,231 priority patent/US7720563B2/en
Publication of KR2006000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76Production flow monitoring, e.g. for increasing throughp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5Associated with semiconductor wafer handling
    • Y10S414/14Wafer cassette transp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으로 동작하는 MGV(Manual Guide Vehicle: MGV라함)를 AGV(Automatic Guided Vehicle) 시스템의 컨트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라인에서 순간적으로 증가하는 카세트의 반송량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반송대차 구동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카세트를 반입/반송하는 반송대차와; 상기 반송대차 내측에 내장되어 모드 전환에 따라 전환 모드 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발생되는 전환 모드 신호에 따라 카세트 반송을 위해 컨트롤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출력 컨트롤러와; 상기 입출력 컨트롤러에서 발생되는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반송대차가 상기 스토커로부터 카세트 반송작업을 진행시키는 반송대차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에 내장된 모드는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이고, 상기 입출력 컨트롤러에서 발생되는 컨트롤 신호를 컨트롤하는 스토커 마스터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송대차는 내장된 컨트롤러의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에 따라 수동으로 동작하거나, 상기 입출력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CD, AGV, MGV, 카세트, 스토커, stocker

Description

반송대차 구동시스템{TRANSFER VEHICLE DRIVE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세트 스토커에서 AGV가 카세트를 반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스토커에서 MGV가 AGV 라인에서 카세트를 반입/반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GV가 AGV 시스템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MGV가 AGV처럼 움직이는 시스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스토커 201a, 201b: AGV 라인
203a, 203b, 205a, 205b: AGV 포트 205c: MGV 포트
210a, 210b, 210c: 입출력 컨트롤러
본 발명은 카세트 반송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동으로 동 작하는 MGV(Manual Guide Vehicle: MGV라함)를 AGV(Automatic Guided Vehicle) 시스템의 컨트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라인에 순간적으로 증가하는 카세트의 반송량을 효율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반송대차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반도체 산업의 기술 개발에 의하여 액정표시장치는 소형, 경량화 되면서 성능은 더욱 강력해진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지금까지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CRT(cathode ray tube)가 성능이나 가격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소형화 또는 휴대성의 측면에서는 많은 단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는 소형화, 경량화, 저 전력 소비화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CRT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정보 처리 기기에 장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의 특정한 분자배열에 전압을 인가하여 다른 분자배열로 변환시키고, 이러한 분자배열에 의해 발광하는 액정 셀의 복굴절성, 선광성, 2색성 및 광산란 특성 등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를 시각 변화로 변환하는 것으로, 액정 셀에 의한 빛의 변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화소 단위를 이루는 액정 셀의 형성 공정을 동반하는 패널 상판 및 하판의 제조공정과, 액정 배향을 위한 배향막의 형성 및 러빙(Rubbing) 공정과, 상판 및 하판의 합착 공정과, 합착된 상판 및 하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하고 봉지하는 공정 등의 여러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기판 합착 공정, 액정 주입 공정에서는 하부 기판 상에 배향막을 도포하고 러빙하는 공정에 이어서, 실(seal)을 이용한 상/하부 기판 합착 공정, 액정 주입, 주입구 봉지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여러 가지 공정에 의하여 액정표시장치가 완성되며, 각 공정간 원활한 이동을 위한 카세트 반송대차(Cassette Transfer Vehicle: 이하 CTV라 함)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액정표시장치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반송대차는 기존의 컨베이어 시스템에 비해 부품 공급이 쉽고, 작업 환경의 변화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서, 제품의 입출고, 공작물의 운반, 부품의 공급 등의 자동화를 이루는데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반송대차의 종류로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RGV(Rail Guided Vehicle), 컨트롤러(Controller)에 의한 자체 구동력으로 지정된 경로를 이동하는 AGV(Automatic Guided Vehicle)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레이저 항법시스템을 갖춘 AGV인 LGV(Laser Guided Vehicle)가 개발되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세트 스토커에서 AGV가 카세트를 반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단계마다 기판을 적재한 카세트를 스토커(stocker: 100)에 저장한 다음, AGV에 의하여 다음 제조 공정으 로 카세트들을 반입/반송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 제조 설비의 배치에 따라 상기 스토커(100)의 좌우측에 AGV가 이동할 수 있는 AGV 라인들(101a, 101b)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커(100)에 설치되어 있는 카세트의 반입/반출 포트(103a, 103b, 105a, 105c)는 상기 AGV 라인(101a, 101b)에 대응되도록 각각 좌우측에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스토커(100)에 설치되어 있는 카세트의 반입/반출 포트(103a, 103b, 105a, 105c)에서 AGV 라인(101a, 101b)을 따라 이동한 AGV가 카세트를 상기 스토커(100)에 저장하거나, 상기 스토커(100)로부터 반출하여 다른 공정으로 이송한다.
또한, 상기 스토커(100) 내부에서도 좌측 영역에 설치된 반입 포트(103a)로 카세트가 들어오면, 타측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반출 포트(105b)로 카세트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진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카세트를 반입/반출하도록 컨트롤되는 AGV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AGV 라인에 대응되는 스토커의 일측에는 한쌍의 반입/반출 포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액정표시장치 제조 공정에서 어떤 순간 많은 카세트가 반입/반출될 경우에는 한쌍의 반입/반출 포트로는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둘째, 자동으로 움직이는 AGV가 어떤 문제로 인하여 다운(DOWN)될 경우에 이 후 연결되는 AGV의 공정을 진행할 수 없어 전체의 AGV 시스템이 모두 다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수작업으로 작동되는 MGV를 경우에 따라 AGV 시스템에 따라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라인에서 순간적으로 카세트 반입/반출량이 증가할 때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AGV의 어느 하나가 다운(down)될 때, 이를 MGV가 보완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라인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반송대차 구동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송대차 구동 시스템은,
카세트를 반입/반송하는 반송대차와;
상기 반송대차 내측에 내장되어 모드 전환에 따라 전환 모드 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발생되는 전환 모드 신호에 따라 카세트 반송을 위해 컨트롤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출력 컨트롤러와;
상기 입출력 컨트롤러에서 발생되는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반송대차가 상기 스토커로부터 카세트 반송작업을 진행시키는 반송대차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에 내장된 모드는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이고, 상 기 입출력 컨트롤러에서 발생되는 컨트롤 신호를 컨트롤하는 스토커 마스터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송대차는 내장된 컨트롤러의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에 따라 수동으로 동작하거나, 상기 입출력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송라인 상에는 상기 반송대차 포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반송대차가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마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작업으로 작동되는 MGV를 경우에 따라 AGV 시스템에 따라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라인에서 순간적으로 카세트 반입/반출량이 증가할 때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AGV의 어느 하나가 다운(down)될 때, 이를 MGV가 보완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라인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스토커에서 MGV가 AGV 라인에서 카세트를 반입/반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들이 적재된 카세트를 보관하는 스토커(stocker: 200)의 일측과 타측에는 카세트들의 반입하거나 반출할 수 있는 반입/반출 포트(203a, 203b, 205a, 205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커(200)의 일측에는 MGV에 의하여 카세트들을 반입/반출할 수 있는 MGV 포트(205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커(200)의 반입/반출 포트(203a, 203b, 205a, 205b)와 MGV 포트(205c)에 대응되도록 AGV 라인(201a, 201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AGV는 종래와 같이 반입/반출 포트(203a, 203b, 205a, 205b)에서 AGV 라인(201a, 201b)을 따라 이동한 AGV가 카세트를 상기 스토커(200)에 저장하거나, 상기 스토커(200)로부터 반출한다.
또한, 상기 스토커(200) 내부에서도 좌측 영역에 설치된 반입 포트(203a)로 카세트가 들어오면, 타측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반출 포트(205b)로 카세트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진행된다.
하지만, 상기 AGV 라인(201a, 201b)따라 반송되는 카세트량이 순간적으로 많아질 경우에는 MGV가 AGV 모드로 전환되어 AGV 라인(201a, 201b)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스토커(200)로부터 카세트를 반입/반송하게 된다.
따라서, MGV는 AGV의 카세트 반입/반송 작업을 언제든지 보조할 수 있어, 순간적으로 많은 카세트를 이동시켜야할 경우에 신속히 작업에 투입되어 생산라인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GV가 AGV 시스템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GV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AGV는 SMC(Stocker Master Controller: 250, 이하 SMC 라함)에 의하여 카세트의 이송 명령을 받아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SMC(250)로부터 스토커에 카세트를 반입하거나 반송하는 명령 을 각각 AGV에 대응되는 입출력 컨트롤러(Input Output Controller: 210a, 10b, 210c, 이하 IO 컨트롤러라함)에 인가되면, 상기 IO 컨트롤러(Input Output Controller: 210a, 210b, 210c)에서는 각각의 AGV 라인에 대응되는 반입/반출 포트(205a, 205b, 205c)로 명령을 보내어 AGV 또는 MGV가 카세트를 이송하도록 한다.
이때, MGV에도 AGV가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추가함으로써, MGV가 단순한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AGV 모드 또는 MGV 모드로 전환되어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MGV가 AGV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상기 SMC(250)와 IO 컨트롤러(210c)에 따라, X축 제어 신호, Z 축 제어 신호 및 턴(Turn)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동작하게 된다.
즉, MGV는 AGV 모드로 전환되면, AGV와 동일하게 작업하고, 다시 MGV 모드로 복귀하면, 사용자의 수작업을 통하여 MGV의 X축, Z축, 턴 작업이 진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MGV가 AGV처럼 움직이는 시스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GV(300)가 AGV의 컨트롤 신호를 인가 받아 스토커(200)로부터 카세트를 반입/반출하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상기 MGV(300) 내측에는 MGV 모드(301)와 AGV 모드(302)로 상호 전환할 수 있는 컨트롤러(300)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MGV(300)의 컨트롤러(300)에서 AGV 모드(302)로 전환되면, 상기 컨트롤러(300)에서는 IO 컨트롤러(210c)에 모드 전환 신 호를 전송한다.
상기 IO 컨트롤러(210c)에서 모드 전환 신호를 받은 IO 컨트롤러(210c)에서는 곧바로 SMC로부터 인가 받은 AGV 컨트롤 신호를 MGV 포트(205c)로 전송한다.
따라서, 스토커(200)의 MGV 포트(205c)에서는 상기 IO 컨트롤러(210c) 신호에 따라 AGV 라인(201b)라인을 따라 MGV가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MGV 포트(205c)에서 카세트를 반입/반송하는 작업을 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AGV 라인(201b)을 따라 AGV가 이동할 때, 상기 AGV 포트(205a, 205b)에 대응되는 영역에 마크판들(206a, 206b)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AGV는 상기 AGV 라인(201b)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마크판들(206a, 206b)을 검출하여 상기 AGV 포트(205a, 205b)의 위치에서 작업을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MGV 포트(205c)와 대응되는 상기 AGV 라인(201b) 상기 마크판(206c)을 설치하여 MGV가 상기 MGV 포트(205c)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MGV에 내장된 컨트롤러(300)에서 MGV 모드(301)와 AGV 모드(302)로 전환에 따라 MGV로 작동하거나 AGV 로 작동하게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순간적인 카세트 물량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MGV가 AGV 작업을 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AGV가 다운될 경우에도 MGV가 스토커의 반입/반출 포트에서 카세트를 이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특별한 장비의 개조 없이 기존에 사용하는 AGV 시스템에 MGV 시스템 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작업으로 작동되는 MGV를 경우에 따라 AGV 시스템에 따라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라인에서 순간적으로 카세트 반입/반출량이 증가할 때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AGV의 어느 하나가 다운될 때, 이를 MGV가 보완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라인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카세트를 반입/반송하는 반송대차와;
    상기 반송대차 내측에 내장되어 모드 전환에 따라 전환 모드 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발생되는 전환 모드 신호에 따라 카세트 반송을 위해 컨트롤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출력 컨트롤러와;
    상기 입출력 컨트롤러에서 발생되는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반송대차는 반송라인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스토커로부터 카세트 반송작업을 진행시키는 반송대차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구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 내장된 모드는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구동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컨트롤러에서 발생되는 컨트롤 신호를 컨트롤하는 스토커 마스터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구동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대차는 내장된 컨트롤러의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에 따라 수동으로 동작하거나, 상기 입출력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구동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라인 상에는 상기 반송대차 포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반송대차가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마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구동 시스템.
KR1020040050597A 2004-06-30 2004-06-30 반송대차 구동시스템 KR20060001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597A KR20060001466A (ko) 2004-06-30 2004-06-30 반송대차 구동시스템
US11/169,231 US7720563B2 (en) 2004-06-30 2005-06-29 Stocker driving system and stocker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597A KR20060001466A (ko) 2004-06-30 2004-06-30 반송대차 구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466A true KR20060001466A (ko) 2006-01-06

Family

ID=3594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597A KR20060001466A (ko) 2004-06-30 2004-06-30 반송대차 구동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20563B2 (ko)
KR (1) KR200600014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5959A1 (de) * 2007-02-06 2008-08-14 Adc Gmbh Steckverbinder
CN109213140A (zh) * 2018-06-19 2019-01-15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全向搬运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0990A (en) * 1993-11-05 1996-11-05 Asyst Technologies, Inc. Human guided mobile loader stocker
JPH1159829A (ja) * 1997-08-08 1999-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ウェハカセット搬送装置、半導体ウェハカセット搬送装置で用いられるストッカ、ならびに半導体ウェハカセット搬送装置で用いられるストッカ入庫作業制御方法、ストッカ出庫作業制御方法、自動搬送車制御方法、およびストッカ在庫照合方法
KR100646906B1 (ko) * 1998-09-22 2006-11-17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US6662076B1 (en) * 1999-02-10 2003-12-09 Advanced Micro Devices, Inc. Management of move requests from a factory system to an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JP4576694B2 (ja) * 2000-10-11 2010-11-1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被処理体の処理システムの搬送位置合わせ方法及び被処理体の処理システム
US6582182B2 (en) * 2001-06-04 2003-06-24 Intrabay Automation, Inc. Semiconductor wafer storage kiosk
US6580967B2 (en) * 2001-06-26 2003-06-17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for providing distributed material management and flow control in an integrated circuit factory
US6726429B2 (en) * 2002-02-19 2004-04-27 Vertical Solutions, Inc. Local store for a wafer processing station
US7930061B2 (en) * 2002-08-31 2011-04-19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substrate carriers on moving conveyors using feed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20563B2 (en) 2010-05-18
US20060045670A1 (en)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026B1 (ko) 카세트 이송장치
KR20080056049A (ko) 스토커 및 이를 사용한 기판 반송 방법
KR20060001466A (ko) 반송대차 구동시스템
KR100510181B1 (ko) 자동반송시스템
KR20090023840A (ko) 자동 반송 대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1655B1 (ko) 자동 반송대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카세트 반송 방법
KR20080049221A (ko) 자동 반송대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판 반송 방법
KR101243799B1 (ko) 카세트 반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58020A (ko) 카세트 반송 시스템 및 반송 방법
KR20080012582A (ko) 스토커 시스템
KR101048709B1 (ko) 스토커의 제어시스템
KR20090024580A (ko) 카세트 이송장치 및 카세트 이송방법
KR101383977B1 (ko) 기판 로딩 장치
KR100959127B1 (ko) 스토커
KR20090024412A (ko) 기판 이송장비
KR20080001944A (ko) 카세트 반송 시스템
KR100983573B1 (ko) 스토커 시스템 및 카세트 입고 시 이의 제어 방법
KR20040003878A (ko) 스택커 로봇
KR20050064271A (ko) 반전 기능이 구비된 이재 로봇 및 이의 기판 반전 방법
KR20070065721A (ko) 카세트 반송 시스템 및 반송 방법.
KR20080049251A (ko) 바코드리더기 및 이를 이용한 자동보정 시스템
KR20050068237A (ko) 카세트 로더
KR101340990B1 (ko) 기판 로딩 장치
KR20070120328A (ko) 카세트 반송장치
KR20080044461A (ko) 기판 로딩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