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984A - 건물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 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 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2984A
KR20050122984A KR1020040048681A KR20040048681A KR20050122984A KR 20050122984 A KR20050122984 A KR 20050122984A KR 1020040048681 A KR1020040048681 A KR 1020040048681A KR 20040048681 A KR20040048681 A KR 20040048681A KR 20050122984 A KR20050122984 A KR 20050122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top
water
moisture
fl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5279B1 (ko
Inventor
윤영순
홍원배
Original Assignee
삼창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창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삼창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40048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279B1/ko
Publication of KR20050122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옥상의 바닥에 스며들어 있는 물기나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와 방법 및 건조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지붕이나 옥상의 콘크리트 내부의 단열재 층에 고여있는 수분을 일차로 수분 제거 시스템을 사용하여 배출하고, 다음단계로서 건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단열재에 소정의 홈을 만들어줌으로써 옥상 바닥 내부에 스며있던 수분이 상기 홈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바닥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제거와 건조 시스템 및 그 방법{A system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본 발명은 건물 옥상의 바닥에 스며들어 있는 물기나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 및 수분제거 및 건조 시스템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옥상의 콘크리트 내부의 단열재 층에 고여있는 수분을 일차로 수분 제거 시스템을 사용하여 배출하고, 이차로 상기 단열재 층에 소정의 홈(터널)을 만들어줌으로써, 옥상 바닥 내부에 스며있던 수분이 상기 홈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바닥 내부의 수분을 제거 및 건조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지붕은 콘크리트 등으로 슬라브 공사를 하고 그 위에 아스팔트 방수액등으로 방수처리를 한 후, 단열재로 단열시공 한 후 그 위에 옥상 바닥으로서 누름 콘크리트 공사를 한다. 건물 옥상의 경우 단열재는 주로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성 단열재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발포성 단열재는 발포성 수지의 일종으로서 수분을 함유하는 흡습성이 있다.
건물 옥상이나 지붕의 경우, 비나 눈 등에 의하여 생긴 물들이 전부 배수되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옥상 바닥 내부의 콘크리트와 단열재로 스며들게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렇게 스며든 물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옥상 바닥에 균열이나 부식을 유발하게 되고, 특히 겨울철이 되면 결빙되어 동파 및 균열을 촉진시키게 된다.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에서 이러한 균열을 방치할 경우, 옥상 바닥에 물이 스미는 단계를 지나 누수현상을 유발하게 되고, 건물의 수명을 단축하게 된다.
이러한 건물 옥상 바닥의 균열 및 누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 보수공사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바닥 보수공사로는 우레탄 공사와 같이 바닥을 노출방수 시스템으로 보수 방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건물을 지을 때부터 슬라브 바닥면을 방수재로 시공하나 오랜 시간의 경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고 그 발생된 균열부위로 물이 침투하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수공사에 의해서는 옥상 바닥 내부로 이미 스며들어 있는 물을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또한, 이미 옥상 바닥에 물이 스며들어 있는 상태에서 방수재를 도포할 경우, 내부의 물이 온도 변화 등에 따라 냉각과 팽창을 반복하다가 특히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균열을 유도하고, 물의 부피팽창으로 인하여 바닥의 외부 방수재 층이 들뜨게 되는 현상을 유도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옥상 바닥에서의 누수방지 등의 방수공사는 물이 옥상바닥으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전부로서, 이미 내부에 스며들어 있는 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연구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다 효율적인 건물옥상의 방수 및 보수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옥상 바닥 내부에 스며들어 있는 물을 직접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방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옥상 바닥의 균열이나 바닥의 부스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옥상 바닥의 내부 스며들어 있는 물의 양이 상상 이상으로 많으며, 이러한 물을 직접적으로 제거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으로 옥상 바닥에 스며있는 물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을 제거와 아울러 상기 바닥 내부를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성 및 옥상 내부 수분 제거 능력이 뛰어난 옥상 바닥 보수공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옥상의 콘크리트 내부의 단열재 층에 스며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수분 제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은 옥상바닥에 형성되어 내부의 단열재 부분까지 연결되고 단열재를 제거하여 형성된 홈; 상기 홈에서 수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에 연결된 흡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관은 상기 홈과의 사이에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간격이 생기도록 배치되며, 상기 흡입장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상기 흡입장치에 연결된 흡입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적의하게 선택할 수 있다. 작업자가 직접 흡입관을 잡아서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입장치에 연결되는 흡입관을 L 자형의 엘보를 사용하여 별도의 지지체가 필요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분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옥상 바닥에서부터 콘크리트 내부의 단열재 층까지 이어지도록 굴착하고 그 부분의 단열재를 제거함으로써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단열재 층에 홈이 형성됨으로써 단열재에 스며있던 물들이 상기 홈으로 모이게 된다. 단열재 상부의 콘크리트 하중에 의하여 단열재가 압력을 받기 때문에 단열재에 형성된 구멍으로 물이 모이게 된다. (도 1a 및 1b 참조)
상기 단열재에 형성된 홈으로 유입된 물은 공기와 함께 흡입장치로 흡입된다. 흡입장치에 의하여 물이 흡입되어 제거되면, 단열재 상부의 콘크리트 하중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단열재 내부의 물이 상기 홈으로 모이게 된다.
한편, 상기 흡입장치는 진공청소기와 같이, 진공력이 있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장치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환풍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단열재의 홈에 고여있는 물을 흡입하기에 부족하며, 양수기는 계속적으로 물이 공급되어야 작동이 되는 장치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스며나오는 물을 제거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따라서, 흡입력이 일반 환풍기보다는 우수한 공기 흡입장치가 본 발명에 의한 흡입장치로서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장치의 출력은 1 마력 이상이라면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상기 흡입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흡입 장치의 출력이 10 마력 이상인 경우에는 출력이 더 증가하더라도 수분 흡수의 효과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분 제거 시스템에서 흡입관으로서 일반적인 호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옥상 바닥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고인 물 또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흡입관 사이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간격이 있어야 한다. 상기 홈에 고이는 물은 양수기에서 물을 퍼내는 것처럼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단열재에서 스며나온 물이 공기와 함께 흡입장치로 흡입되기 때문이다. (도 2a, 2b, 3a 및 3b 참조)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을 이용하여 건물의 옥상 내부에 스며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흡입장치에 흡입관(호스)를 연결하여 옥상 바닥에 형성된 홈에서 작동시키면 공기와 함께 물이 배출된다. 상기 흡입장치에 연결된 흡입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적의하게 선택할 수 있다. 작업자가 직접 흡입관을 잡아서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며, 지지를 위한 거치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배출되는 물의 양은 옥상 바닥의 상태 또는 흡입장치의 출력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건설 후 10년이 지난 건물의 옥상에서는 1 마력의 출력을 갖는 흡입장치 1개를 사용할 경우 30분 동안 옥상 바닥에서 약 200ℓ 정도의 물을 제거할 수 있다. 평균적으로 100m2 넓이의 옥상에서는 800ℓ 정도의 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과 더불어, 옥상 바닥 내부의 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도 4 및 도 5 참조). 본 발명에 의한 건조 시스템은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경우 보다 더 효과적이다.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에 의하여 옥상 바닥 내부의 물을 제거하고, 옥상 바닥 내부의 단열재 층에 소정의 길이만큼의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의 한쪽 끝에 통풍장치를 설치하여, 옥상 바닥 내부에 스며들어 있던 물이 상기 홈으로 모여들게 한 후 상기 통풍 장치를 의하여 제거되도록 하여 옥상 바닥을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옥상 바닥 건조 시스템은,
옥상 바닥 내부의 단열재 층에 형성된 공기와 수분의 이동통로;
상기 이동통로의 양쪽 말단부에서 연장되어 옥상 바닥의 외부로 통하는 통기관(공기 흡입관, 공기 배기관); 및
상기 통기관 중 어느 한쪽에 연결된 통풍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하나의 옥상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로 설치된 상기 건조 시스템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통풍 장치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즉, 하나의 건조 시스템의 흡입관과 다른 건조시스템의 배기관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건조 시스템의 흡입관과 배기관을 서로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마지막 배기관에 통풍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복수개의 건조시스템을 서로 연결할 수 있고, 또한 통풍 장치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수분 건조 시스템의 설치방법은,
옥상 바닥을 굴착하여 옥상 바닥 내부의 단열재를 제거하여 공기와 수분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단계(도 6a 및 6b 참조);
상기 이동통로 양쪽 말단에 통기관으로서 공기 흡입관과 공기 배기관을 배치하는 단계(도 7a 및 7b 참조);
상기 단열재 층에 형성된 공기와 수분의 이동통로 윗부분을 덮개로 덮어 상기 이동통로와 상기 통기관이 하나의 관처럼 연결되게 하는 단계;
상기 덮개로 덮여진 이동통로 위 부분 및 상기 굴착부분을 몰타르나 콘크리트 등의 옥상 바닥재로 다시 재가설(메우기 단계)하여 바닥 표면을 평평하게 하는 단계(도 8 참조);
상기 통기관에 통풍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도 9 참조); 및
콘크리트 내부의 단열재 층에 고여있는 수분을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 바닥에 설치되는 단열재는 발포성 단열재로서 예를 들면 스티로폼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스티로폼은 건물 내부에 스면든 물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건물의 건설이 완료된 후 1년 정도의 시간만 지나도, 비나 눈 등에 의하여 옥상바닥은 물과 접촉하게 되고, 그러한 물의 일부는 옥상바닥 내부로 스며들게 된다. 이와 같이 스면든 물들은 주로 단열재에 많이 흡수되어 있다.
상기 스며든 물은 겨울에 결빙되어 부피 팽창되어 옥상 바닥의 균열을 초래한다. 또한, 여름에는 상기 물의 증기압에 의하여 부피팽창 또는 바닥의 산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옥상 바닥 내벽에 스며든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바닥을 굴착하여 단열재에 홈을 형성하면, 뜻밖에도 여기에 상당한 양의 물이 고이게 된다. 즉, 건물 바닥의 압력에 의하여 물이 단열재의 홈으로 모이는 것이다. 이러한 단열재는 수분제거와 관련하여서는 수분의 이동통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에 홈을 형성하여 물이 고이게 하여 상기 고인 물을 제거함으로써 옥상 바닥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공기 흡입력이 있는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흡입을 시도할 경우, 흡입장치의 흡입력에 의하여 단열재 내부에 스며있는 물을 짜내는 역할을 하여 효율적으로 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분 제거 시스템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단열재에 홈을 생성하여 형성된 공기 및 수분의 이동통로 양쪽에 환풍기를 설치함으로써 장기적으로 물을 제거하여 옥상 바닥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건조 시스템이라고 하여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과 구별하였다.
상기 건조 시스템에서 단열재에 형성된 이동통로란 단열재에 홈을 형성하여 물이 고이도록 하여 바람을 불어줘서 그 물을 증발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단열재의 홈과 동일한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에 설치되는 통풍 장치는 공기 흡입형이거나 공기 배출형일 수 있다. 통풍 장치가 공기흡입형인 경우, 상기 단열재 내부에 형성된 이동통로(홈)에 모여든 물 및 습기를 빨아들여 제거하게 되고, 공기 배출형의 통풍장치는 상기 모여든 물 및 습기를 통기관을 통하여 바깥으로 불어서 밀어낸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여름 날씨인 경우에는, 옥상 바닥이 매우 뜨겁기 때문에 상기 모여든 수분은 통풍장치를 통하여 모두 증발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봄이나 가을날씨의 경우에도 오후의 온도정도라면 상기 수분들이 충분히 증발되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옥상 수분 증발 시스템의 수분 증발능력을 보면, 예를 들어, 단열재에 형성된 홈의 길이가 1m, 폭이 10cm, 깊이는 단열재의 두께인 약 30∼100 mm 정도일 경우, 32평형(약 100m2)의 일반주택 아파트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을 증발시키기에 충분하다.
건물의 넓이, 옥상 바닥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상기 수분 증발 시스템의 크기 및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대체로 옥상 바닥에 설치된 단열재의 두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건물 넓이가 넓어지면 100∼200m2당 하나의 수분 증발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풍기 모터의 동력은 대략 0.1 마력∼2마력으로서 이는 필요에 따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데 수분의 함량이 많은 옥상 바닥을 증발시키기 위해서는 동력이 큰 환풍기가 필요할 것인 바, 환풍기의 가격 및 효율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의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옥상의 수분 건조 시스템은, 건물 공사시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건물의 보수공사와 더불어 설치할 수 있다.
건물 공사와 함께 상기 건조 시스템을 설치할 경우, 옥상 바닥의 균열이나 깨어짐 등을 미리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옥상 보수 공사 기한을 연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옥상 보수공사가 필요치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분 건조 시스템을 건물 옥상의 보수 공사와 더불어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옥상 보수 공사를 하면서 상기 건조 시스템을 설치하고, 바닥 작업을 마친 후, 우레탄 등의 방수재 공사를 더할 경우 방수 효과는 탁월하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옥상 바닥 수분제거 시스템의 설치
한 층에 35평형 아파트 두 세대가 있는 경기도 일산시의 아파트 옥상의 바닥에 본 발명에 의한 수분제거 시스템을 설치하였다.
먼저, 도 1a 및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옥상 바닥에, 콘크리트 절단용 기계로 지름 9cm의 구멍을 뚫어 바닥의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내부의 단열재도 제거하여 홈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홈을 8개 형성하였다.
제거된 단열재 부분으로 물이 스며 나오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절단 후 1분 이내에 단열재 절단 부분이 물로 가득 찼다.
흡입장치로서, 1마력의 출력을 갖는 공기흡입용 기계장치(하이테크사; 1마력 모터)에 흡입관으로서 지름 15cm의 호스를 연결하였다. 상기 기계 장치를 가동시킨 후 호스를 상기 콘크리트의 홈으로 가져갔다. 호스를 홈에 접촉시키는 방법에 따라 물의 흡입량이 달랐다.
호스를 홈에 밀착시켜 홈이 완전히 막히도록 하면 물이 흡입되지 않았다.
호스와 홈에 간격을 두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할 경우 물이 흡입되어 흡입장치로 물이 배출되었다. 단열재 내부에 고여있던 물은 공기가 흡입될 때 동시에 흡입되었다(도 3a 및 3b 참조). 물의 흡수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직접 상기 흡입관인 호스를 지지하면서 물의 흡입을 시도하였다.
다른 구멍에서는 호스가 흔들리지 않도록 사각의 지지체로 호스를 보조하였다.
1 마력의 동력으로 30분간 흡입을 시도한 결과, 각각의 홈에서 200ℓ 정도의 의 물이 배출되었다. 즉, 전체 1600ℓ의 물이 배출된 것이다. 이러한 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생각되어지는 물의 양을 초과하는 엄청난 양이었다. 이로써, 건물 옥상의 바닥에는 많은 양의 물이 스며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옥상 바닥 수분 건조 시스템의 설치
실시예 1에 의하여 옥상의 바닥 내부에 스며있는 물을 제거한 후 본 발명에 의한 건조 시스템을 설치하였다.
먼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옥상 바닥의 가운데 부분에서, 콘크리트 바닥 절단용 기계로 폭 5cm, 길이 150cm의 홈을 형성하여 바닥의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내부의 단열재를 1m 길이만큼 제거하였다.
이 때, 제거된 단열재 부분으로 물이 조금씩 스며 나왔다.
단열재 제거 부분의 바닥을 깨끗이 정리하고, 통로 확보를 위하여 구멍 뚫린 철판 받침대를 통로 양쪽 끝 및 중간에 설치한 후, 그 위에 철판 덮개를 덮었다.(도 4∼7b 참조)
철판덮개에 의하여 형성된 통로 양쪽 끝에는 통기관을 연결하였다.
이러한 내부 공사를 마친 후에, 상기 파헤져졌던 나머지 부분은 몰타르로 처리하여 다시 바닥을 매끈하게 정리하였다(도 8 및 도 9 참조).
이어, 상기 통기관의 한쪽 끝에 흡입식 환풍기(만성전기, MV15P, 동력 220W)를 설치하였다.
옥상 바닥 내부의 물이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형성된 8개의 홈을 관찰하였다.
상기 건조 시스템을 설치한 후 1주일 간격으로 상기 홈에서 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비가 오지 않았으며, 낮 최고기온이 25∼30℃인 조건에서 관찰한 결과, 옥상 바닥 네 모퉁이의 물은 일주일 후에 모두 말라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건데, 본 발명에 의한 건조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약 1주 정도의 시간만 지나면 옥상 바닥의 물을 모두 증발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옥상 바닥 수분 건조 시스템의 설치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지역 및 동일한 시기에, 실시예 1의 건물 면적의 2배가되는 다른 동의 아파트에서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수분 제거시템에 의하여 내부의 물을 제거한 후 실시예 2의 건조 시스템을 설치하여 건조 결과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건조 결과를 확인한 결과 1 주일 후에 내부의 물기가 완전히 말라 있었고 더 이상 물이 생기지 않았다.
<실시예 4> 옥상 바닥 수분 제거 및 수분 건조 시스템의 설치
옥상의 면적이 240평이 되는 서울시 상계동의 아파트 옥상에서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수분 제거시템에 의하여 내부의 물을 제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 16개의 구멍을 뚫어 옥상 바닥 내부의 물을 제거하였다. 각각의 구멍에서는 평균 150ℓ의 물이 배출되었다.
이어 실시예 2의 건조 시스템 4개를 설치하여 건조 결과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건조 결과를 확인한 결과 1 주일 후에 내부의 물기가 완전히 말라 있었고 더 이상 물이 생기지 않았다.
<실시예 5> 옥상 바닥 수분 건조 시스템의 설치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지역, 동일한 면적 및 동일한 시기에 상기 실시예 4에서와 마찬가지로 수분 제거시템에 의하여 내부의 물을 제거한 후 건조 시스템을 설치하여 건조 결과를 관찰하였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조시스템을 서로 연결하였다.
즉, 4개의 건조 시스템을 호스로 연결하였다. 4개의 건조시스템을 각각 제 1, 제 2, 제 3 및 제 4 건조시스템이라고 명명하였다. 제 1 건조시스템의 배기관과 제 2 건조시스템의 흡기관은 연결하고, 제 2 건조시스템의 배기관과 제 3 건조시스템의 흡기관은 연결하고, 제 3 건조시스템의 배기관과 제 4 건조시스템의 흡기관은 연결한 후, 제 4 건조시스템의 배기관에만 통풍장치 (500W)를 연결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건조 결과를 확인한 결과 1 주일 후에 내부의 물기가 완전히 말라 있었고 더 이상 물이 생기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옥상 바닥의 내부 스며들어 있는 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생각했던 것 보다 훨씬 많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옥상 바닥에 고여있는 물을 제거하지 않으면 건물 옥상의 보수 공사는 실효를 거둘 수 없으며, 장기적으로 옥상 바닥 내부에 스며 있는 물을 완전히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스템을 사용해야 함을 알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옥상 바닥 내부의 물을 직접적으로 제거하고 건조 시스템을 설치할 필요성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옥상 바닥의 방수방법 및 상기 방수 시스템 장치를 이용할 경우 효과적으로 옥상 바닥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할 경우, 건물 옥상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옥상 보수 공사에서 상기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보수 공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건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에 따른 수분제거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내부 시추한 홈의 모습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제거 시스템의 모식도의 일례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설명한 수분제거 시스템의 원리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제거 시스템의 모식도의 일례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설명한 수분제거 시스템의 원리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건조 시스템의 개요도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분건조 시스템의 수분 및 공기의 이동경로를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6은 옥상 바닥을 파내어, 옥상 바닥 내부의 단열재에 홈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a는 공기 및 수분 이동통로용 터널을 형성하는 모습이다.
도 6b는 상기 형성된 터널에서 단열재를 제거하는 모습이다.
도 6c는 상기 제거된 단열재 위 부부누에 상판을 안치하는 모습이다.
도 7a 및 7b는 도 6에서 형성된 홈의 양 끝에 공기이동관을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8는 도 7에 의한 공기이동관 설치 후, 단열재 홈 이외의 부분을 다시 몰타르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건조 시스템이 설치완료된 모습을 나타낸다.

Claims (13)

  1. 옥상 바닥에 형성되어 내부의 단열재 부분까지 연결되고 단열재를 제거하여 형성된 홈;
    상기 홈에서 수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에 연결된 흡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관은 상기 홈과의 사이에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간격이 생기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는 진공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공기 흡입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의 출력은 1 마력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수분 제거 시스템을 이용하여, 옥상 바닥 내부의 단열재 층을 통하여 옥상 바닥 내부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5. 옥상 바닥 내부의 단열재 층에 형성된 공기와 수분의 이동통로;
    상기 이동통로의 양쪽의 말단부에서 연장되어 옥상 바닥의 외부로 통하는 통기관; 및
    상기 통기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통풍장치;
    를 포함하는 옥상 바닥 내부 수분 건조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발포성 단열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층에 형성된 수분 이동통로는 100m2 면적당 길이 70∼150cm, 너비 5∼15cm 및 깊이 3∼12cm 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층에 형성된 수분 이동통로에는 내부에 다공성의 지지체를 설치하여 그 위에 덮개를 씌워 통로를 형성되도록 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는 흡입형 환풍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옥상 바닥 내부 수분 건조 시스템을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시스템의 통기관을 서로 연결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바닥 내부의 건조방법.
  11. 제 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옥상 바닥 내부 수분 건조 시스템을 하나 이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바닥의 방수공사 방법.
  12. 옥상 바닥을 굴착하여 옥상 바닥 내부의 단열재 층에 홈을 형성하여 공기와 수분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로 양쪽 말단에 통기관으로서 공기 흡입관과 공기 배기관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 층에 형성된 공기와 수분의 이동통로 윗부분을 덮개로 덮어 상기 이동통로와 상기 통기관이 하나의 관처럼 연결되게 하는 단계;
    상기 덮개로 덮여진 이동통로 위부분 및 상기 굴착부분을 몰타르나 콘크리트 등의 옥상 바닥재로 다시 재가설(메우기 단계)하여 바닥 표면을 평평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통기관에 통풍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 건조 시스템의 설치 방법.
  13. 옥상 바닥의 방수공사에 있어서, 제 12항에 의한 시스템을 하나 이상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바닥의 방수공사 방법.
KR1020040048681A 2004-06-26 2004-06-26 건물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 건조 방법 KR100575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681A KR100575279B1 (ko) 2004-06-26 2004-06-26 건물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 건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681A KR100575279B1 (ko) 2004-06-26 2004-06-26 건물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 건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984A true KR20050122984A (ko) 2005-12-29
KR100575279B1 KR100575279B1 (ko) 2006-04-28

Family

ID=3729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681A KR100575279B1 (ko) 2004-06-26 2004-06-26 건물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2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35B1 (ko) * 2011-10-28 2012-05-16 (주)탱크마스타 옥상 슬라브의 습기 및 고인 물 제거를 위한 방수장치
KR20150007828A (ko) * 2013-07-12 2015-01-21 정재호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CN110318505A (zh) * 2019-07-11 2019-10-11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包括防水层的屋面的施工抽湿方法及抽湿装置
KR20220112436A (ko) * 2021-02-04 2022-08-11 전제황 건물 누수 유도배출장치
KR102525437B1 (ko) * 2022-06-23 2023-05-03 주식회사 에이스케미콘 누름몰탈층 하부의 수분 및 습기를 배출하는 탈기기능의 장치를 활용한 복합방수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415B1 (ko) 2017-06-08 2019-01-30 삼창엔지니어링(주)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35B1 (ko) * 2011-10-28 2012-05-16 (주)탱크마스타 옥상 슬라브의 습기 및 고인 물 제거를 위한 방수장치
KR20150007828A (ko) * 2013-07-12 2015-01-21 정재호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CN110318505A (zh) * 2019-07-11 2019-10-11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包括防水层的屋面的施工抽湿方法及抽湿装置
KR20220112436A (ko) * 2021-02-04 2022-08-11 전제황 건물 누수 유도배출장치
KR102525437B1 (ko) * 2022-06-23 2023-05-03 주식회사 에이스케미콘 누름몰탈층 하부의 수분 및 습기를 배출하는 탈기기능의 장치를 활용한 복합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5279B1 (ko) 200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1888B1 (en) Interconnected double hull construction for basements
US7832156B2 (en) Condensation inhibition system for structural waterproofing
US4988237A (en) Soil gas reduction system
US6904723B1 (en) Waterproofing and humidity control system
KR101336807B1 (ko)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WO2007103682A2 (en) External wall and roof systems
US3426487A (en) Basement drainage system
KR101683571B1 (ko) 옥상방수용 통기관 조립체
KR100575279B1 (ko) 건물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 건조 방법
KR102579636B1 (ko) 건물 누수 유도배출장치
US45341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insulation
KR101595860B1 (ko)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KR200368111Y1 (ko)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건조 시스템
JP2006291645A (ja) 軟弱地盤の改良構造およびその改良工法
KR101219690B1 (ko) 건축물의 결로수 방지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363688Y1 (ko)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제거 시스템
US5356240A (en) Soil gas and moisture removal
KR101943415B1 (ko)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방법
US11926984B2 (en) Footing and foundation wall drainage system
KR101606867B1 (ko) 습기유도로를 적용한 옥상 방수층 보수공법
US200701807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 drainage conduit
KR20130001135U (ko)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제거장치
KR20220000650A (ko)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
EP1700074A2 (en) Method and system for drying building structures
CN215630188U (zh) 一种地下室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