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458A -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458A
KR20050121458A KR1020040046597A KR20040046597A KR20050121458A KR 20050121458 A KR20050121458 A KR 20050121458A KR 1020040046597 A KR1020040046597 A KR 1020040046597A KR 20040046597 A KR20040046597 A KR 20040046597A KR 20050121458 A KR20050121458 A KR 20050121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uardian
pager
communication terminal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5892B1 (ko
Inventor
이창주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주)엠씨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씨페이 filed Critical (주)엠씨페이
Priority to KR1020040046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892B1/ko
Publication of KR20050121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83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pplications where calls are combined with other types of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아동, 심신 상실자, 애견 동물과 같이 의사결정 능력이 없는 피보호자들의 보호자를 호출하여 주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신망을 통해 유/무선 정보 통신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상기 시스템은,
유/무선 정보 통신 단말기를 통해 보호자 정보와 호출기 ID 정보를 입력받아 보호자 정보 DB에 등록하기 위한 보호자 정보 등록부와; 상기 유/무선 정보 통신 단말기로부터 호출기 ID정보를 전송받고 그 전송받은 ID 정보에 맵핑되어 있는 보호자 정보를 상기 DB에서 독출하는 보호자 정보 검색부와; 보호자 정보의 제공을 요청한 유/무선 정보 통신 단말기로 상기 독출된 보호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CALLING A PROTECTOR}
본 발명은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자의 개인신상정보가 노출되지 않는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매년 경찰청에 접수되는 8세 이하 미아 발생건수는 4000여건. 이 가운데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는 경우는 96% 정도라고 한다. 부모가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서 어린이를 돌보아도 경찰청 내부에 미아전담기구가 설치될 정도로 미아는 계속하여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해결되어야할 중대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 가정에서는 이름표 부착하기, 액세서리를 이용한 인식표, 센서장치를 이용하여 보호자와 피보호자와의 거리가 일정 간격 이상이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제품들을 구입하여 미아방지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예시한 방법들은 전화번호나 주소가 적힌 신상정보가 범죄자들에게 노출되어 악용될 소지가 많은 단점이 있으며, 일부 제품의 경우에는 가격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대중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의사결정 능력이 없는 피보호자들(유아, 심신 상실자, 애견 동물 등)과 그들 보호자에 대한 개인신상정보의 노출 없이도 보호자 호출을 편리하게 유도할 수 있는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유/무선 정보 통신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무선 정보 통신 단말기를 통해 보호자 정보와 호출기 ID 정보를 입력받아 보호자 정보 DB에 등록하기 위한 보호자 정보 등록부와;
상기 유/무선 정보 통신 단말기로부터 호출기 ID정보를 전송받고 그 전송받은 ID 정보에 맵핑되어 있는 보호자 정보를 상기 DB에서 독출하는 보호자 정보 검색부와;
보호자 정보의 제공을 요청한 유/무선 정보 통신 단말기로 상기 독출된 보호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보호자 호출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보호자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호출기 연결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을 요구하고 그 입력된 사용자 인증정보가 정상으로 판명되면 상기 호출기로부터 전송받은 보호자 정보를 표시부상에 표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음성 통화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서 구현 가능하되,
보호자 호출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보호자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호출기 연결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에 따라 보호자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호출기로부터 전송되는 보호자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자 통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피보호자가 소지하고 있는 보호자 호출기를 단순히 휴대폰과 같은 정보 통신 단말기에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직접 혹은 서버의 도움으로 보호자를 호출하기 위해 필요한 보호자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피보호자를 보호자에게 인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하기 설명에서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란 일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200)에 보호자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를 지칭하는 것이며,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보호자 호출기(100)에 저장된 보호자 정보를 리드하여 호출하기 위한 일련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 휴대 단말기(200)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주변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따른 보호자 호출기(100)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따른 보호자 호출기(100)와 휴대 단말기(200)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200)와 보호자 호출기(100)의 각 제어부(120, 210) 계층 구조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즉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의 구성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정보 등록과정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보호자 호출기(100)가 결합되는 정보 통신 단말기(200)와 접속 가능함은 물론, 인터넷 망을 통해서도 클라이언트 컴퓨터(400)와 접속 가능하다.
상기 보호자 호출기(100)는 호출기 ID 정보를 내부에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정보를 결합 가능한 정보 통신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호자 호출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통신 단말기(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10)와, 호출기 ID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140)와, 시스템 구동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시스템 메모리(130)와, 상기 시스템 구동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스템 제어하되,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통신 단말기(200) 연결시 상기 ID 정보를 액세스하여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주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통신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121)와, 정보 통신 단말기(200)와 같은 제원(API)을 원격 제어하는 외부 단말기 제원 제어부(123), 상기 정보 저장부(157)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정보 저장부 제어부(125)로 계층화할 수 있다. 만약 보호자 호출기(100)를 USB 메모리로 사용 가능하다면 상기 제어부(120)는 USB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USB 디바이스 처리부(15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저장 정보의 갱신이 자유로운 플래쉬 메모리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통신 단말기(200)의 24핀 인터페이스 커넥터(210)에 결합하기 위한 시리얼 인터페이스부(RS-232C)로서 호출기(100) 본체 외측에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10)는 보호자 호출기(100)를 USB 디바이스로 사용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부를 추가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보호자 호출기(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사능력이 없는 피보호자가 착용하기 편리하도록 목걸이(15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휴대 단말기(PDA, 휴대폰 등)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 구현 가능한 정보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보호자 호출기(100)로부터 호출기 ID정보를 전송받아 이동 통신망 혹은 유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로 전송하고, 그 서버(300)로부터 보호자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부상에 표시하여 주거나 통화 요청에 따라 보호자 통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 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2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자 호출기(1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부(212)와, 상기 보호자 호출기(100)로부터 호출기 ID정보를 전송받아 유/무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로 전송하고 그 서버(300)로부터 보호자 정보를 전송받아 화면 표시 제어부(216)로 전송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14)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14)로부터 전송된 보호자 정보를 표시부상에 표시하여 주는 화면표시 제어부(216), 및 통화 요청명령에 따라 상기 표시된 보호자 정보내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통화 제어부(218)로 계층화할 수 있다.
한편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인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는 이동 통신망 혹은 유선망을 통해 상기 정보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호출기 ID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ID 정보에 맵핑되어 있는 보호자 정보를 해당 정보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준다.
이를 위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는 휴대 단말기(200) 혹은 클라이언트 컴퓨터(400)로부터 보호자 정보(전화번호, 성명, 주소 등)와 호출기 ID 정보 및 피보호자 정보를 입력받아 보호자 정보 DB(350)에 등록하는 보호자 정보 등록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자 정보를 보호자 정보 DB(350)에 등록하는 과정은 도 6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즉, 보호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 혹은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300)에 접속(400단계)한후 케어 서비스 등록을 요청(410단계)한다. 그리고 자신의 정보와 피보호자의 정보 및 보호자 호출기(100) 구입시 함께 제공받은 호출기 ID정보를 서버(300)에 제공하여 줌으로서, 보호자 정보 등록부(310)는 전송받은 보호자 정보들을 보호자 정보 DB(350)에 등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에서 케어 서비스(care service)란 의사결정 능력이 없는 아동, 심신상실자, 애완동물들의 보호자를 보호자 호출기(100)를 통해 찾아주기 위한 서비스를 일컫는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는 상기 정보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호출기 ID 정보에 대응하는 보호자 정보를 보호자 정보 DB(350)에서 독출하기 위한 보호자 정보 검색부(320)를 더 포함하며, 독출된 보호자 정보를 해당 정보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주는 정보 제공부(3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는 보호자 정보가 악의를 가진 자에게 불법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보호소 인증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전송받은 인증정보의 진위여부를 검색하는 보호소 인증 처리부(330) 및 보호소 인증정보 DB(3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보호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보호자 정보는 물론 호출기 ID 정보와 피보호자 정보를 서버(300)에 미리 등록(510단계)하여 놓은 것으로 가정하기로 하며, 정보 통신 단말기(200)의 일예로서 휴대 단말기를 가정하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가정하에서 우선 경찰서, 놀이공원, 통신사 대리점 등에 보호자 호출기(100)를 착용한 미아가 인도되면, 담당 경찰관 혹은 담당 직원은 보호자 호출기(100)의 인터페이스부(110)를 정보 통신 단말기의 일예인 휴대 단말기(200)의 24핀 인터페이스 커넥터(210)에 결합시킨다. 휴대 단말기(200)로부터의 동작전원 공급에 따라 보호자 호출기(100)는 시스템 웨이크업된다.
시스템 웨이크업되면 시스템 초기화 동작의 일환으로 보호자 호출기(100)의 제어부(120)는 휴대 단말기(200)의 통신 제어부(212)와 통신 수행하여 통신 채널을 설정(520단계)한다. 통신 채널이 설정되면, 보호자 호출기(100)의 제어부(120)는 휴대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동을 요청(530단계)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보호자 정보를 액세스하여 표시하여 주기 위해 휴대 단말기(20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으로서, 그 프로그램 데이터는 단말기(200)내 메모리에 저장된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동요청을 받은 휴대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14)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540단계)시킨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에 따라 시스템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14)는 우선적으로 보호자 호출기(100)로 호출기 ID 전송을 요청(550단계)한다. 그러면 보호자 호출기(100) 제어부(120)는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호출기 ID정보를 액세스하여 단말기(200)측으로 전송(560단계)하여 준다.
호출기 ID정보를 전송받은 애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14)는 이후 지정된 접속정보(URL)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에 접속(570단계)한다. 서버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애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14)는 보호자 호출기(100)로부터 전송받은 호출기 ID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로 전송(610단계)하여 준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의 보호자 정보 검색부(320)는 전송받은 호출기 ID정보에 맵핑된 보호자 정보를 검색(620단계)하여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630단계)하여 준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14)는 전송받은 보호자 정보를 화면 표시 제어부(216)로 건네 주고, 화면 표시 제어부(216)는 상기 보호자 정보(적어도 보호자 성명과 전화번호)를 표시부상에 표시하여 준다.
따라서 경찰서, 놀이공원 등의 담당직원은 휴대 단말기(200) 표시부상에 표시된 보호자의 전화번호로 통화 시도하여 현재 미아의 위치 및 상태를 보호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히 보호자 호출기(100)를 지정된 장소에 구비된 휴대 단말기(200)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보호자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악의를 가진 자에게는 보호자의 개인신상정보가 노출될 소지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호소 혹은 사용자의 인증절차를 강구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서버(300)에 접속한 애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14)는 서버(300) 요청에 따라 보호소(혹은 사용자) 인증정보의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청(580단계)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보호소(혹은 사용자)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애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14)는 이를 이미 전송받은 호출기 ID 정보와 함께 서버(300)로 전송(590단계)하여 준다. 그러면 서버(300)의 보호소 인증처리부(330)는 전송받은 보호소(혹은 사용자) 인증정보를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애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14)로 전송(600단계)하여 줌으로서, 애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214)는 상기 보호소(혹은 사용자) 인증결과에 따라 상술한 보호자 정보를 선택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지정된 장소 혹은 지정된 사용자만이 정보 통신 단말기(200)를 통해 미아의 보호자 정보를 전송받도록 함으로서, 보호자의 개인신상정보가 불법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호자 호출기(100)에 ID 정보를 저장하고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의 지원으로 보호자 정보를 얻는 것으로 하였으나, 서버(300)의 도움 없이 보호자 호출기(100)로부터 직접 보호자 정보를 얻어 보호자를 호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강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호출기 ID 정보 대신 보호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보호자 호출기(100)와;
상기 호출기(100) 연결시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을 요구(선택사항임)하고, 그 입력된 사용자 인증정보가 정상으로 판명되면 상기 호출기(100)로부터 전송된 보호자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하는 정보 통신 단말기(200)로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권한 부여받은 사용자만이 보호자 호출기(100)에 저장된 보호자 정보를 액세스하여 볼 수 있기 때문에 보호자의 개인신상정보가 불법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서버가 필요 없어 전체 시스템 구축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참고적으로 보호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보호자 호출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통신 단말기(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보호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와; 시스템 구동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시스템 메모리와; 상기 정보 통신 단말기 연결시 상기 보호자 정보를 액세스하여 전송하여 주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두 실시예에 따르면 미아 등의 피보호자는 놀이공원내 미아 보호소, 경찰서, 통신 대리점 등으로 인도되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따른다. 왜나햐면 지정된 장소에 구비된 단말기들에만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반인들 입장에서 보면 설령 미아를 발견하더라도 그 미아를 지정 장소로 인도하기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보다 편리하게 미아의 보호자 찾기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자 한다면 미아를 발견한 현장에서 바로 보호자 정보를 액세스하여 호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보호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보호자 호출기(100)와;
상기 호출기(100) 연결시 그 호출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보호자 정보에 기초하여 그 보호자 통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하는 정보 통신 단말기(200)로 구성할 수 있다.
세 번째 실시예로 예시하고 있는 상기 시스템 구성에 따르면, 정보 통신 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호출기 연결시 그 호출기(100)로부터 전송된 보호자 정보, 즉 보호자의 전화번호를 표시부상에 표시하지 않고 직접 다이얼링함으로서, 미아 발견자와 그 미아의 보호자 사이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데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보호자의 신상정보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보호자의 개인신상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어느 정보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설령 보호자 호출기(100)와 휴대 단말기(200) 결합만으로 보호자 호출이 이루어지기는 하나, 이러한 경우에도 발신자 정보가 보호자의 착신측 단말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불법적인 의도로 사용될 소지는 상대적으로 적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예시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서도 보호자의 개인신상정보가 불법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서버가 필요 없어 전체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사결정 능력이 없는 피보호자들과 그들 보호자에 대한 개인신상정보의 노출 없이도 보호자 호출을 편리하게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급이 일반화되어 있는 정보 통신 단말기들과 연계 사용토록 함으로서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보호자를 호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경찰서, 놀이 공원, 미아보호시설 등에서는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서도 미아의 보호자를 호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주변 구성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보호자 호출기(100)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보호자 호출기(100)와 휴대 단말기(200)의 결합상태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보호자 호출기(100)와 휴대 단말기(200)의 각 제어부(120, 210) 계층 구조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즉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의 구성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보호자 정보 등록과정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보호자 호출 과정 예시도.

Claims (4)

  1. 통신망을 통해 유/무선 정보 통신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정보 통신 단말기를 통해 보호자 정보와 호출기 ID 정보를 입력받아 보호자 정보 DB에 등록하기 위한 보호자 정보 등록부와;
    상기 유/무선 정보 통신 단말기로부터 호출기 ID정보를 전송받고 그 전송받은 ID 정보에 맵핑되어 있는 보호자 정보를 상기 DB에서 독출하는 보호자 정보 검색부와;
    보호자 정보의 제공을 요청한 유/무선 정보 통신 단말기로 상기 독출된 보호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보호자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유/무선 정보 통신 단말기로부터 인증정보를 전송받고, 그 인증정보의 진위여부를 검색하기 위한 인증 처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음성 통화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서의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보호자 호출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보호자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호출기 연결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에 따라 보호자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호출기로부터 전송되는 보호자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자 통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보호자 호출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보호자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호출기 연결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을 요구하고 그 입력된 사용자 인증정보가 정상으로 판명되면 상기 호출기로부터 전송받은 보호자 정보를 표시부상에 표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40046597A 2004-06-22 2004-06-22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575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597A KR100575892B1 (ko) 2004-06-22 2004-06-22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597A KR100575892B1 (ko) 2004-06-22 2004-06-22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458A true KR20050121458A (ko) 2005-12-27
KR100575892B1 KR100575892B1 (ko) 2006-05-02

Family

ID=3729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597A KR100575892B1 (ko) 2004-06-22 2004-06-22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6970A1 (ko) * 2011-06-22 2012-12-27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34671A (ja) * 2016-01-28 2017-08-03 株式会社コンロッド 日記作成システム、日記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日記作成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6970A1 (ko) * 2011-06-22 2012-12-27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24282B2 (en) 2011-06-22 2015-12-29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978241B2 (en) 2011-06-22 2018-05-22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510237B2 (en) 2011-06-22 2019-12-17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017650B2 (en) 2011-06-22 2021-05-25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217078B2 (en) 2011-06-22 2022-01-04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436907B2 (en) 2011-06-22 2022-09-06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532222B2 (en) 2011-06-22 2022-12-20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7134671A (ja) * 2016-01-28 2017-08-03 株式会社コンロッド 日記作成システム、日記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日記作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5892B1 (ko) 200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66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ctim identification
US9685071B1 (en) eReceptionist and eNeighborhood watch system for crime prevention and/or verification
US7864057B2 (en) Pet locating device
ES2361657T3 (es) Método y equipo para interconectar sistemas de seguridad mediante inscripción periódica en un centro remoto.
KR102129417B1 (ko) 보안 헬스케어 관리 및 통신 시스템
CN109417692A (zh) 用于紧急通信的系统和方法
US20120274464A1 (en) Routing Communications to a Person within a Facility
JP2007214978A (ja) 対象者管理システム
CN101617939A (zh) 一种远程医疗监控及定位装置和方法
JP2002291057A (ja) 遠隔操作装置
US2019028945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lp
US11765547B2 (en) Persona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JP2007229315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送受信装置、データ管理サーバおよびデータ管理方法
KR101266418B1 (ko)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
KR100575892B1 (ko)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3143123A (ja) ブルートゥース信号の送受による痴呆症状のある徘徊老人保護システム
US20230385571A1 (en) Persona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JP2012248967A (ja) セキュリティ確保型リモート監視装置および方式
US20230222893A1 (en) Home occupancy information system
KR20050117122A (ko) 보호자 호출기 및 그를 포함하는 보호자 호출 시스템
US2021007620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izing Digital Assistants
US2021026672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atching Help
JP4666522B2 (ja) 訪問介護装置及び訪問介護支援システム
JP2003087415A (ja) 移動体管理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管理サーバならびに移動体管理方法および移動体管理プログラム
KR101861732B1 (ko) 피관찰자 위치 추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