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392A -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392A
KR20050121392A KR1020040046513A KR20040046513A KR20050121392A KR 20050121392 A KR20050121392 A KR 20050121392A KR 1020040046513 A KR1020040046513 A KR 1020040046513A KR 20040046513 A KR20040046513 A KR 20040046513A KR 20050121392 A KR20050121392 A KR 20050121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cam
communication terminal
coupled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4470B1 (ko
Inventor
고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시스
Priority to KR1020040046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470B1/ko
Publication of KR2005012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통신단말기의 본체와 커버를 연결하는 시그날 라인이 개폐장치의 내부를 통하여 배선될 수 있도록 한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개폐장치의 제 1방향회전부는, 제 1바디의 제 1면으로부터 들려지는 방향인 제 1회전방향으로 제 1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심에는 제 1바디로 연결되는 시그날라인이 통과되는 통로인 제 1중공이 형성된다. 제 2방향회전부는, 커버에 결합되고, 제 1면과 평행한 방향인 제 2회전방향으로 제 1방향회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1중공과 연통되며 시그날라인이 커버로 연결되는 통로인 제 2중공이 형성된 로테이션축을 갖는다. 개시된 개폐장치에 의해 통신단말기의 본체와 커버를 연결하는 시그날 라인이 로터리 개폐장치의 내부를 통하여 배선됨으로써, 외관이 깨끗하고 시그날 라인이 외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ROTARY TYP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단말기의 본체와 커버를 연결하는 시그날 라인이 로터리 개폐장치의 내부를 통하여 배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의 한 예로서 특허출원번호 10-2002-0031342호에 나타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출원을 포함한 일반적인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는, 커버(플립 또는 폴더를 포함하는 의미임)를 본체로부터 힌지 회동되게 하여 개폐시키는 작용에 부가하여,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로테이션되도록 하여 커버의 전후면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로터리 기능이 도입됨에 따라, 사용자는 통신단말기의 본체에 설치된 카메라로 사용자 자신을 촬영할 때에는 커버의 일면에 설치된 대형 액정화면을 자신이 있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후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의 전방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에는 커버를 반전시켜 본체에 설치된 카메라는 전방을 향하도록 하고 커버에 설치된 대형 액정화면은 사용자를 향하도록 한 후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로터리 개폐장치를 채용한 통신단말기는 본체로부터 커버로 이동하는 시그날 라인인 플렉시블 피씨비를 설치하고 있는데, 이 플렉시블 피씨비를 로터리 개폐장치의 외측면을 따라 배선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로터리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피씨비가 외부로 노출되어 보기 흉하거나 손상될 염려가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나 본체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하여 로터리 개폐장치를 덮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설계가 복잡해지며 플렉시블 피씨비를 완전히 감출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단말기의 본체와 커버를 연결하는 시그날 라인이 로터리 개폐장치의 내부를 통하여 배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면을 갖는 제 1바디로부터 상기 제 1면과 면접촉하는 제 2면을 갖는 제 2바디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면으로부터 들려지는 방향인 제 1회전방향으로 상기 제 1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심에는 상기 본체로 연결되는 시그날라인이 통과되는 통로인 제 1중공이 형성된 제 1방향회전부; 및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제 1면과 평행한 방향인 제 2회전방향으로 상기 제 1방향회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중공과 연통되며 상기 시그날라인이 상기 커버로 연결되는 통로인 제 2중공이 형성된 로테이션축을 갖는 제 2회전방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는, 상기 제 2바디가 상기 제 1바디로부터 제 1회전방향으로 클로즈된 상태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 1방향회전부에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제동부재를 갖는다.
상기 제 1제동부재는,
상기 제 1바디에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일단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단부의 내측면에 돌기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관통공으로 통과되어 상기 제 1방향회전부에 형성되는 각형공에 결합되는 결합용 샤프트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용 샤프트와 대향되는 측의 중심에 결합축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축의 외주에 제 1원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원통부의 상단면에 상기 결합축을 향하여 수평이 되는 연속적인 면으로 이루어지고 1회전시 2파장의 파형 굴곡을 갖는 제 1파형면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제 1캠; 상기 결합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이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외주에 제 2원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원통부의 상단면을 따라 상기 제 1파형면에 대응되는 제 2파형면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된 제 2캠; 및 일단부가 상기 돌기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2캠을 탄지하는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 내에 삽입된 제 1스프링을 갖는다.
상기 제 2캠의 측면에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제 2캠의 이동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된다.
상기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는, 상기 제 2바디가 상기 제 1바디로부터 제 2회전방향으로 클로즈된 상태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방향회전부에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제동부재를 갖는다.
상기 제 2제동부재는,
상기 제 1방향회전부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 2바디가 상기 제 2회전방향으로 클로즈된 위상과 오픈된 위상에 각각 제 1걸림턱부와 제 1경사돌부가 형성되며, 중심에는 상기 제 1중공과 연통되는 제 3중공이 형성된 제 3캠;
상기 제 2방향회전부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 1걸림턱부와 상기 경사돌부의 사이에 결합되는 제 2걸림턱부와 제 2경사돌부가 각각 형성되며, 중심에는 상기 제 2중공 및 상기 제 3중공과 각각 연통되는 제 4중공이 형성된 제 4캠; 및 상기 제 3캠과 상기 제 4캠을 서로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3캠은, 상기 제 1방향회전부에 마련되는 결합요부에 삽입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는, 상기 제 2바디가 제 2회전방향으로 클로즈된 상태에서 상기 제 2걸림턱부의 일측면이 상기 제 1걸림턱부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 2바디가 제 2회전방향중 클로즈되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리고 상기 제 2바디가 제 2회전방향으로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 2걸림턱부의 타측면이 상기 제 1걸림턱부의 타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 2바디가 제 2회전방향중 오픈되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제 4캠에는, 상기 제 4중공의 내측면에 슬라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테이션축에는, 상기 슬라이드돌기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홈이 상기 제 2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2방향회전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 4캠을 상기 제 3캠측으로 미는 제 2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테이션축은 상기 제 3중공을 통과한 부분이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제 3캠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 1방향회전부와 상기 제 2방향회전부가 제 2회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로테이션축에 형성되는 환형홈에 결합되는 와셔 및 고정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개폐장치가 적용된 휴대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그리고 로터리 개폐장치가 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상태는 특허출원번호 10-2002-0031342호의 도면을 참조한다.
통신단말기는 제 1면을 갖는 제 1바디(10)와, 제 1면과 면접촉하는 제 2면을 갖는 제 2바디(20)로 이루어진다. 제 1바디(10)의 제 1면에는 기능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과 제어부 및 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설치되고, 제 2바디(20)의 제 2면에는 대형 액정화면이 설치되며 타면에는 소형 액정화면이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통신단말기의 제 1바디(10)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는,
제 1면으로부터 들려지는 방향인 제 1회전방향으로 제 1바디(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심에는 제 1바디(10)로 연결되는 시그날라인이 통과되는 통로인 제 1중공이 형성된 제 1방향회전부(100); 및 커버에 결합되고, 제 1면과 평행한 방향인 제 2회전방향으로 제 1방향회전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1중공과 연통되며 시그날라인이 커버로 연결되는 통로인 제 2중공(220)이 형성된 로테이션축(210)을 갖는 제 2회전방향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바디(20)가 제 1바디(10)로부터 제 1회전방향으로 클로즈된 상태와 오픈된 상태에서 제 1방향회전부(100)에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제동부재가 설치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 1제동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제 1제동부재는,
제 1바디(10)에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302)이 형성되며, 일단부에 관통공(304)이 형성되고, 타단부의 내측면에 돌기(306)가 형성된 하우징(300); 관통공(304)으로 통과되어 제 1방향회전부(100)에 형성되는 각형공(114)에 결합되는 결합용 샤프트(322)가 형성되고, 결합용 샤프트(322)와 대향되는 측의 중심에 결합축(324)이 형성되며, 결합축(324)의 외주에 제 1원통부(326)가 형성되고, 제 1원통부(326)의 상단면에 결합축(324)을 향하여 수평이 되는 연속적인 면으로 이루어지고 1회전시 2파장의 파형 굴곡을 갖는 제 1파형면(328)이 형성되어 내부공간(30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제 1캠(320); 결합축(32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332)이 중심에 형성되고, 결합공(332)의 외주에 제 2원통부(334)가 형성되며, 제 2원통부(334)의 상단면을 따라 제 1파형면(328)에 대응되는 제 2파형면(336)이 형성되어 내부공간(302)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된 제 2캠(330); 및 일단부가 돌기(306)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 2캠(330)을 탄지하는 상태로 내부공간(302) 내에 삽입된 제 1스프링(340)으로 이루어진다.
제 2캠(330)의 측면에는 슬라이딩돌기(338)가 형성되고, 하우징(300)의 내부공간(302)에는 슬라이딩돌기(338)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제 2캠(330)의 이동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308)이 형성된다.
또한, 제 2바디(20)가 제 1바디(10)로부터 제 2회전방향으로 클로즈된 상태와 오픈된 상태에서 제 2방향회전부(200)에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제동부재가 설치된다.
도 6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제 2제동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도면에 도시된 제 2제동부재는,
제 1방향회전부(100)측에 고정되고, 제 2바디(20)가 제 2회전방향으로 클로즈된 위상과 오픈된 위상에 각각 제 1걸림턱부(420)와 제 1경사돌부(422)가 형성되며, 중심에는 제 1중공(110)과 연통되는 제 3중공(410)이 형성된 제 3캠(400); 제 2방향회전부측에 고정되고, 제 1걸림턱부(420)와 제 1경사돌부(422)의 사이에 결합되는 제 2걸림턱부(450)와 제 2경사돌부(452)가 각각 형성되며, 중심에는 제 2중공(220) 및 제 3중공(410)과 각각 연통되는 제 4중공(440)이 형성된 제 4캠(430); 및 3캠(400)과 제 4캠(430)을 서로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 3캠(400)은 제 1방향회전부(100)에 마련되는 결합요부(112)에 삽입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체결부재는 스크류(1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는, 제 2바디(20)가 제 2회전방향으로 클로즈된 상태에서 제 2걸림턱부(450)의 일측면이 제 1걸림턱부(420)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제 2바디(20)가 제 2회전방향중 클로즈되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리고 제 2바디(20)가 제 2회전방향으로 오픈된 상태에서 제 2걸림턱부(450)의 타측면이 제 1걸림턱부(420)의 타측면에 접촉하여 제 2바디(20)가 제 2회전방향중 오픈되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억제한다.
제 4캠(430)에는 제 4중공(440)의 내측면에 슬라이드돌기(460)가 형성되고, 로테이션축(210)에는 슬라이드돌기(46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홈(212)이 제 2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탄성부재는 제 2방향회전부(200)에 지지되어 제 4캠(430)을 제 3캠(400)측으로 미는 제 2스프링(470)으로 이루어진다.
로테이션축(210)은 제 3중공(410)을 통과한 부분이 고정부재에 의해 제 3캠(4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제 1방향회전부(100)와 제 2방향회전부(200)가 제 2회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부재는, 로테이션축(210)에 형성되는 환형홈(214)에 결합되는 와셔(482) 및 고정링(48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 1바디(10)로부터 제 2바디(2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플렉시블 피씨비(30)는, 제 1바디(10)로부터 제 1방향회전부(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방공(116)을 통과하여 제 1중공으로 지나고, 제 3캠(400)의 제 3중공(410)과 제 4캠(430)의 제 4중공(440)을 통과하여 제 2방향회전부(200)의 제 2중공(220)을 지나 제 2바디(20)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커버 힌지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 1캠(320)의 결합축(324)에 제 2캠(330)의 결합공(332)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캠(320)의 제 1파형면(328)과 제 2캠(330)의 제 2파형면(336)이 서로 회전 슬라이딩운동 가능하게 밀착된 상태가 되며, 제 1스프링(340)은 제 2캠(330)의 후방에서 탄지한다.
제 1캠(320)의 결합용 샤프트(322)는 하우징(300)의 관통공(304)을 통과하여 제 1방향회전부(100)의 각형공(114)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제 2캠(330)의 슬라이딩돌기(338)는 하우징(300)의 슬라이딩홈(308)에 삽입되어 회전이 방지된다.
제 2바디(20)가 제 1바디(10)에 닫힌 상태에서는 제 1캠(320)의 제 1파형면(328)의 산과 제 2캠(330)의 제 2파형면(336)의 골이 결합되고, 제 1파형면(328)의 골이 제 2파형면(336)의 산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 3캠(400)의 제 1걸림턱부(420)와 제 1경사돌부(422)의 사이에 제 4캠(430)의 제 2걸림턱부(450)와 제 2경사돌부(452)가 각각 결합되고, 제 2스프링(470)이 제 4캠(430)을 제 3캠(400)측으로 밀어서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제 1걸림턱부(420)와 제 2걸림턱부(450)가 서로 걸려서 제 2바디(20)가 클로즈된 상태에서 더 이상 클로즈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2바디(20)가 열리기 시작하면, 제 2바디(20)에 제 2방향회전부(200) 및 제 1방향회전부(10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3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제 2캠은 하우징(3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 2캠(330)과 제 1캠(320)이 서로 엇갈려 회전하면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제 2바디(20)가 제 1바디(10)로부터 어느 정도 열리게 되면, 제 1파형면(328)의 산이 제 2파형면(336)의 산으로 회전하며 미끄러져 이동하여 제 1스프링(340)은 가장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제 2바디(20)가 통화각도까지 열리면, 다시 제 1파형면(328)의 산이 제 2파형면(336)의 산을 넘어 골에 결합되고, 제 1스프링(340)이 복원력에 신장되며 제 2캠(330)을 탄지한다.
이와 같은 작용에서 제 2캠(330)의 결합공(332)은 제 1캠(320)의 결합축(324)에 삽입되어 제 2캠(330)과 제 1캠(320)의 상호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중심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 2캠(330)은 슬라이딩돌기(338)가 슬라이딩홈(308)에 삽입되어 있어서 회전운동이 방지되며 제 1스프링(340)의 탄력에 의해 직선운동만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2바디(20)에 설치된 대형 액정화면이 사용자 측을 향하게 되고, 이 액정화면과 같은 방향에 설치된 카메라가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패드를 조작하여 자신의 얼굴을 촬영한다.
한편 카메라로 전방의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에는, 제 2바디(20)를 제 2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반전시켜야 한다.
제 2바디(20)를 제 2회전방향으로 돌리면, 제 2바디(20)에 고정된 제 2방향회전부(200)가 로테이션축(21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도 7과 같이 로테이션축(210)과 함께 회전하는 제 4캠(430)의 제 2경사돌부(452)가 제 3캠(400)의 제 1걸림턱부(420)를 타고 넘고, 제 4캠(430)의 제 2걸림턱부(450)가 제 3캠(400)의 제 1경사돌부(422)를 타고 넘는다.
이어서 제 1바디(10)가 제 2회전방향으로 180° 회전되면, 도 8과 같이 제 1걸림턱부(420)와 제 2걸림턱부(450)가 다시 서로 걸려서, 제 1바디(10)가 제 2회전방향으로 오픈된 상태에서 더 이상 오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바디(20)가 반전되면, 대형 액정화면이 외측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제 1바디(10)의 카메라가 전방의 피사체를 향하면, 대형 액정화면은 사용자측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형 액정화면을 보면서 전방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2바디(20)가 제 2회전방향으로 열린 상태에서 제 2바디(20)를 제 1회전방향으로 닫게 되면, 제 1파형면(328)의 산이 제 2파형면(336)의 산으로 회전하며 미끄러져 이동하여 제 1스프링(340)은 가장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커버(110)를 완전히 닫으면, 다시 제 1파형면(328)의 산이 제 2파형면(336)의 산을 넘어 골에 결합되고, 제 1스프링(340)이 복원력에 신장되며 제 2캠(330)을 탄지한다.
이와 같이 제 2바디(20)를 제 1회전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1바디(10)에 닫으면, 제 2바디(20)의 액정화면이 상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통신단말기의 오프 상태에서도 액정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제 2바디(20)의 대형 액정화면을 보지 않을 때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조작하여 제 2바디(20)의 대형 액정화면이 제 1바디(10) 측을 향하도록 반전시켜 제 1바디(10)에 닫아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는, 통신단말기의 본체와 커버를 연결하는 시그날 라인이 로터리 개폐장치의 내부를 통하여 배선됨으로써, 외관이 깨끗하고 시그날 라인이 외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개폐장치가 적용된 휴대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 1제동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제 2제동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바디 20: 제 2바디
30: 플렉시블 피씨비
100: 제 1방향회전부 110: 제 1중공
112: 결합요부 114: 각형공
116: 개방공 120: 스크류
200: 제 2방향회전부 210: 로테이션축
212: 슬라이드홈 214: 환형홈
220: 제 2중공 300: 하우징
302: 내부공간 304: 제 3관통공
306: 돌기 308: 슬라이딩홈
320: 회전슬립부 322: 결합용 샤프트
324: 결합축 326: 제 1원통부
328: 제 1파형면 330: 고정슬립부
332: 제 3결합공 334: 제 2원통부
336: 제 2파형면 338: 슬라이딩돌기
340: 제 1스프링
400: 제 3캠 410: 제 3중공
420: 요부 422: 제 1걸림턱부
424: 제 1경사면 430: 제 4캠
440: 제 4중공 450: 돌부
452: 제 2걸림턱부 454: 제 2경사면
460: 슬라이드돌기 470: 제 2스프링
480: 고정링 482: 와셔

Claims (12)

  1. 제 1면을 갖는 제 1바디로부터 상기 제 1면과 면접촉하는 제 2면을 갖는 제 2바디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면으로부터 들려지는 방향인 제 1회전방향으로 상기 제 1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심에는 상기 제 1바디로 연결되는 시그날라인이 통과되는 통로인 제 1중공이 형성된 제 1방향회전부; 및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제 1면과 평행한 방향인 제 2회전방향으로 상기 제 1방향회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중공과 연통되며 상기 시그날라인이 상기 커버로 연결되는 통로인 제 2중공이 형성된 로테이션축을 갖는 제 2회전방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는,
    상기 제 2바디가 상기 제 1바디로부터 제 1회전방향으로 클로즈된 상태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 1방향회전부에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제동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로터리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제동부재는,
    상기 제 1바디에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일단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단부의 내측면에 돌기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관통공으로 통과되어 상기 제 1방향회전부에 형성되는 각형공에 결합되는 결합용 샤프트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용 샤프트와 대향되는 측의 중심에 결합축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축의 외주에 제 1원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원통부의 상단면에 상기 결합축을 향하여 수평이 되는 연속적인 면으로 이루어지고 1회전시 2파장의 파형 굴곡을 갖는 제 1파형면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제 1캠;
    상기 결합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이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외주에 제 2원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원통부의 상단면을 따라 상기 제 1파형면에 대응되는 제 2파형면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된 제 2캠; 및
    일단부가 상기 돌기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2캠을 탄지하는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 내에 삽입된 제 1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캠의 측면에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제 2캠의 이동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는,
    상기 제 2바디가 상기 제 1바디로부터 제 2회전방향으로 클로즈된 상태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방향회전부에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제동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로터리 개폐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제동부재는,
    상기 제 1방향회전부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 2바디가 상기 제 2회전방향으로 클로즈된 위상과 오픈된 위상에 각각 제 1걸림턱부와 제 1경사돌부가 형성되며, 중심에는 상기 제 1중공과 연통되는 제 3중공이 형성된 제 3캠;
    상기 제 2방향회전부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 1걸림턱부와 상기 경사돌부의 사이에 결합되는 제 2걸림턱부와 제 2경사돌부가 각각 형성되며, 중심에는 상기 제 2중공 및 상기 제 3중공과 각각 연통되는 제 4중공이 형성된 제 4캠; 및
    상기 제 3캠과 상기 제 4캠을 서로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로터리 개폐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3캠은, 상기 제 1방향회전부에 마련되는 결합요부에 삽입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로터리 개폐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는, 상기 제 2바디가 제 2회전방향으로 클로즈된 상태에서 상기 제 2걸림턱부의 일측면이 상기 제 1걸림턱부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 2바디가 제 2회전방향중 클로즈되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제 2바디가 제 2회전방향으로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 2걸림턱부의 타측면이 상기 제 1걸림턱부의 타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 2바디가 제 2회전방향중 오픈되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로터리 개폐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4캠에는, 상기 제 4중공의 내측면에 슬라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테이션축에는, 상기 슬라이드돌기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홈이 상기 제 2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로터리 개폐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2방향회전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 4캠을 상기 제 3캠측으로 미는 제 2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로터리 개폐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축은 상기 제 3중공을 통과한 부분이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제 3캠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 1방향회전부와 상기 제 2방향회전부가 제 2회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로터리 개폐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로테이션축에 형성되는 환형홈에 결합되는 와셔 및 고정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로터리 개폐장치.
KR1020040046513A 2004-06-22 2004-06-22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 KR10065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513A KR100654470B1 (ko) 2004-06-22 2004-06-22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513A KR100654470B1 (ko) 2004-06-22 2004-06-22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392A true KR20050121392A (ko) 2005-12-27
KR100654470B1 KR100654470B1 (ko) 2006-12-05

Family

ID=3729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513A KR100654470B1 (ko) 2004-06-22 2004-06-22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891B1 (ko) * 2008-01-21 2010-05-06 삼광공업(주) 힌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1903B1 (ja) 1998-12-25 2000-04-10 三菱製鋼株式会社 ヒンジ機構
JP3390718B2 (ja) 2000-02-18 2003-03-31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二軸ヒンジ装置
CN100368694C (zh) * 2002-03-19 2008-02-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连接轴及具有该连接轴的开闭型便携式终端设备
KR100514363B1 (ko) * 2003-04-18 2005-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단말기의 2축 회전 힌지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0965725B1 (ko) * 2003-04-25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891B1 (ko) * 2008-01-21 2010-05-06 삼광공업(주) 힌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470B1 (ko)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564B2 (en)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KR1005941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493102B1 (ko) 서브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17817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20110080492A (ko) 접이형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KR100654470B1 (ko)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
KR100671694B1 (ko) 스위블 힌지기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270807A (ja) 携帯端末装置
JP2004308891A (ja) 携帯用端末機のヒンジ装置
KR100474633B1 (ko) 휴대폰의 개폐장치
KR100487963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200323293Y1 (ko)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KR100866944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KR100474635B1 (ko) 휴대폰의 개폐장치
KR100450167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100499796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의 힌지장치
JPH077274A (ja) 携帯形小型装置
KR200319732Y1 (ko) 통신기기의 2단 개폐장치
KR100703266B1 (ko) 3축 힌지 폴더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회전락킹 장치
KR100746717B1 (ko) 2방향 개폐장치
KR200355608Y1 (ko)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78221A (ko)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KR200439440Y1 (ko) 평행한 두 회전축을 갖는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가장착된 휴대전화기
KR100531936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79076A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