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608Y1 -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608Y1
KR200355608Y1 KR20-2004-0011656U KR20040011656U KR200355608Y1 KR 200355608 Y1 KR200355608 Y1 KR 200355608Y1 KR 20040011656 U KR20040011656 U KR 20040011656U KR 200355608 Y1 KR200355608 Y1 KR 200355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unting hole
fold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기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20-2004-0011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두 구성체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기구, 예를 들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회전축 주위에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열렸을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닫힘을 방지하는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모듈; 및 상기 힌지모듈이 구비된 본체부와 폴더부의 대향면에 구비되어, 상기 폴더부가 본체부로부터 개방될 경우, 그 개방위치를 록킹시키는 개방위치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Rotational position locking apparatus of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두 구성체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기구, 예를 들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회전축 주위에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열렸을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닫힘을 방지하는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진보와 함께, 액정 디스플레이와 키보드 패널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개인휴대단말기(PDA) 등과 같은 제품이 소형의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일반적으로 이용되게 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소형화를 위하여 본체부와 폴더부가 힌지형태로 결합되는 폴더 형태 또는 덮개가 마련된 플립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폴더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부 및 폴더부의 원활한 회동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힌지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부 또는 폴더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장치는 크게, 상기 본체부 또는 폴더부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구비되는 힌지모듈; 및 상기 본체부 또는 폴더부 중 상기 힌지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일단에 구비된 힌지 삽입공으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모듈이 상기 힌지 삽입공에 삽입되면, 상기 본체부 또는 폴더부는 상기 힌지모듈과 힌지공의 결합에 의해 상기힌지모듈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개폐된다.
여기에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본체부에 마이크부와 키패드부를 구비하며, 폴더부에 표시화면부와 스피커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소정 무게를 갖게 되어 상기 폴더부가 힌지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회전하여 열려질 경우, 상기 폴더부의 무게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폴더부의 열림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힌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기구, 예를 들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회전축 주위에 회전위치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열렸을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닫힘을 방지하는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구비한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a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1b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1c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위치 록킹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2b는 도2a의 X-X의 단면도.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위치 록킹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3b는 도3a의 X'-X'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폴더부 110: 장착공
120: 코일 스프링 130: 고정돌기
140: 이탈방지캡 150: 힌지모듈
200: 본체부 210: 힌지 삽입공
220: 장착공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모듈; 및 상기 힌지모듈이 구비된 본체부와 폴더부의 대향면에 구비되어, 상기 폴더부가 본체부로부터 개방될 경우, 그 개방위치를 록킹시키는 개방위치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방위치 록킹수단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의 대향면 중 하나에 일면으로 형성되는 장착공; 상기 장착공에 구비되고, 일부가 상기 장착공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돌기; 상기 장착공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장착공의 개방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 및 상기 장착공이 형성되지 않은 본체부 또는 폴더부에 형성되되, 상기 폴더부 개방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장착홈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a 내지 도1c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본체부(200); 상기 본체부(200)의 일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100); 상기 본체부(200)와 폴더부(10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모듈(150); 및 상기 힌지모듈(150)이 구비된 본체부(200)와 폴더부(100)의 대향면에 구비되어, 상기 폴더부(100)가 본체부(200)로부터 개방될 경우, 그 개방위치를 록킹시키는 개방위치 록킹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본체부(200)와 폴더부(100)의 대향면 중 하나에 일면으로 형성되는 장착공(110); 상기 장착공(110)에 구비되고, 일부가 상기 장착공(110)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돌기(130); 상기 장착공(1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130)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20); 상기 장착공(110)의 개방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140); 및 상기 장착공(110)이 형성되지 않은 본체부(200) 또는 폴더부(100)에 형성되되, 상기 폴더부(100) 개방시 상기 고정돌기(130)가 삽입되는 장착홈(220)으로 이루어진다.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부(200)는 상면에 키패드부(미도시) 및 마이크부(미도시)등을 구비하며 일단에 폴더부(10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200)를 개폐한다.
이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폴더부(100)는 상기 본체부(200)의 일단에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회전중심부를 구비하는데, 본 고안에 따른 회전중심부는 상기 폴더부(100)의 일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힌지모듈(15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는 일단에 상기 폴더부(100)가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힌지모듈(150)이 삽입되는 힌지삽입공(21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폴더부(100)의 힌지모듈(150) 및 상기 본체부(200)의 힌지삽입공(210)과 그의 주연부는 면접촉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폴더부(100)는 상기 본체부(200) 일단의 힌지삽입공(210) 및 상기 힌지삽입공(210)에 면접촉하도록 삽입된 폴더부(100)의 힌지모듈(150)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200)의 상면을 개폐한다.
상기 회전위치 록킹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130)는 상기 힌지모듈(150) 및 그의 주연부 또는 상기 힌지삽입공(210) 및 그의 주연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고정돌기(130)는 상기 힌지모듈(150)의 주연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위치 록킹수단은 상기 폴더부(100)의 힌지모듈(150)의 주연부에 소정크기로 형성되는 장착공(100)에 탄성력을 갖는 상기 코일스프링(120)이 삽입되고, 상기 코일스프링(120)의 상단에 고정돌기(130)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돌기(130)의 상단에 고정캠(140)이 삽입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130)는 상기 코일스프링(120)으로부터의 탄성력으로 그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이탈방지캡(140)에 의하여 상기 장착공(10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돌기(130)는 상기 본체부(200)의 면에 대한 접촉을 고려할 때,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공(220)은 상기 힌지모듈(150) 및 그의 주연부 또는 상기 힌지삽입공(210) 및 그의 주연부 중 상기 고정돌기(130)가 구비되지 않은 다른 하나, 본 고안에서는 본체부(200)의 힌지삽입공(210)의 주연부에 외부로 노출된 상기 고정돌기(130)의 크기에 상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공(220)은 상기 고정돌기(130)의 회전위치 중, 상기 폴더부(100)가 상기 본체부(200)로부터 개방된 위치에 해당하는 고정돌기(130)의 회전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220)은 상기 고정돌기(130)의 회전위치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위치 록킹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2b는 도2a의 X-X의 단면도이다.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위치 록킹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3b는 도3a의 X'-X'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위치 록킹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부(100)의 힌지모듈(150) 주연부에 형성된 장착공(110)에 장착되는 상기 고정돌기(130)는 상기 코일스프링(120)의 탄성에 의해 그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에서 상기 힌지모듈(150) 및 그의 주연부는 상기 힌지 삽입공(210) 및 그의 주연부에 면접촉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상기 폴더부(100)의 회전이동시, 이와 함께 회전이동하는 상기 고정돌기(130)는 그의 회전위치 선상에 있는 상기 장착공(210) 이외의 위치에서는 상기 장착공(110)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삽입공(210)의 주연부에 점접촉하여 이동하게 된다. 반면, 회전이동시, 상기 고정돌기(130)의 회전위치가 상기 장착공(210)의 위치에 부합할 경우, 상기 고정돌기(130)는 상기 코일스프링(120)의 탄성에 의해 돌출되어 상기 장착공(210)에 삽입되어 상기 폴더부(100)의 회전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공(210)의 위치는 상기 폴더부(100)가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200)의 상부를 개방했을 때, 상기 고정돌기(130)의 회전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더부(100)가 상기 본체부(20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회전할 경우, 상기 고정돌기(130)는 상기 장착공(110)내부로 삽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어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두 구성체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기구, 예를 들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회전축 주위에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열렸을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닫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모듈; 및
    상기 힌지모듈이 구비된 본체부와 폴더부의 대향면에 구비되어, 상기 폴더부가 본체부로부터 개방될 경우, 그 개방위치를 록킹시키는 개방위치 록킹수단
    을 포함하는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위치 록킹수단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의 대향면 중 하나에 일면으로 형성되는 장착공;
    상기 장착공에 구비되고, 일부가 상기 장착공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돌기;
    상기 장착공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장착공의 개방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 및
    상기 장착공이 형성되지 않은 본체부 또는 폴더부에 형성되되, 상기 폴더부 개방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장착홈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폴더부의 개방을 위하여 회동될 때, 상기 장착공에 대하여 회전이동 위치상에 소정간격을 갖고 복수개로 형성되는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5. 힌지부에 의하여 본체부와 폴더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폴더부의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장착공;
    상기 장착공에 구비되고, 일부가 상기 장착공으로부터 돌출되는 구 형태의 고정돌기;
    상기 장착공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장착공이 형성되지 않은 본체부 또는 폴더부에 형성되되, 상기 폴더부 개방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장착홈으로 이루어지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2004-0011656U 2004-04-27 2004-04-27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355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56U KR200355608Y1 (ko) 2004-04-27 2004-04-27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56U KR200355608Y1 (ko) 2004-04-27 2004-04-27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608Y1 true KR200355608Y1 (ko) 2004-07-08

Family

ID=4943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656U KR200355608Y1 (ko) 2004-04-27 2004-04-27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6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564B2 (en)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KR100724862B1 (ko)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7016492B2 (en) Magnetic hinge apparatus
KR100630424B1 (ko) 휴대단말용 힌지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EP1528757B1 (en) Swivel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493102B1 (ko) 서브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50414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200355608Y1 (ko) 회전위치 록킹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92778A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 모듈
JP2004270807A (ja) 携帯端末装置
EP1489256B1 (en) Hinge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605966B1 (ko) 휴대 단말기의 스윙 힌지 모듈의 체결 장치
KR100607813B1 (ko) 슬라이딩 개방되는 폴더형 휴대폰
KR200362409Y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24755A (ko) 휴대 단말기의 회전 스토퍼 장치
KR200402929Y1 (ko) 핸드폰용 힌지
KR100654470B1 (ko)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
KR10107486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901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0971997B1 (ko) 휴대 단말기용 듀얼 트위스트 힌지 장치
KR200439440Y1 (ko) 평행한 두 회전축을 갖는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가장착된 휴대전화기
KR200353384Y1 (ko) 휴대폰의 통합 힌지장치
KR1006087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