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221A -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78221A KR20040078221A KR1020030013033A KR20030013033A KR20040078221A KR 20040078221 A KR20040078221 A KR 20040078221A KR 1020030013033 A KR1020030013033 A KR 1020030013033A KR 20030013033 A KR20030013033 A KR 20030013033A KR 20040078221 A KR20040078221 A KR 200400782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cover
- cam
- shaft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커버가 본체에 대해 회동 및 스윙동작으로 개폐되도록 한 통신기기의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개폐장치는, 통신기기의 본체(100)에 고정되고 회전공(124)이 형성된 실린더(122)를 갖는 브래킷(120)과, 통신기기의 커버(110)가 본체(100)로부터 회동되도록 커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심부에 회동 공간부(132)가 형성된 힌지통체(130)와, 회동 공간부(132) 상에 입설되고 커버(110)가 본체(100)로부터 스윙되도록 회전공(124)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중심축(140)과, 회전공(124) 내에 설치되고 중심축(140)의 회전에 대해 일정범위내의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제 1저항수단과, 힌지통체(130)와 커버(110)의 사이에 설치되고 힌지통체(130)의 회전에 대하여 일정범위내의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제 2저항수단을 갖는다.
이러한 개폐장치는, 커버(110)가 중심축(140)으로 중심으로 회전되어 스윙동작으로 개폐되고, 커버(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힌지통체(130)로부터 회동되어 클로즈되면 대형 액정화면(116)이 외부로 표출되므로, 커버(110)의 클로즈 상태에서도 대형 액정화면(116)을 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기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버가 본체에 대해 개폐되는 한편 커버의 전후면이 반전되도록 함으로써,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도 커버의 대형 액정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커버에 설치되는 카메라로 전방 및 후방을 모두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기기의 개폐장치의 한 예로서 특허출원번호 10-1998-0046799호에 나타난 '휴대폰의 힌지장치'가 출원되어 있다.
상기 특허 출원을 포함한 일반적인 통신기기의 개폐장치는, 커버(플립 또는 폴더를 포함하는 의미임)를 본체로부터 힌지 회동되게 하기 위하여 매개 수단으로서 힌지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힌지장치는 커버가 본체에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에서 각각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고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커버에 대형 액정화면이 설치되고, 이 액정화면은 본체에 설치되는 키패드를 통해서 제어될 뿐만 아니라 액정화면 자체의 터치패드를 통해서도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 통신기기의 커버는 힌지장치에 의해 단순히 개폐동작만 이루어지므로, 커버가 닫혀 있을 때에는 대형 액정화면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커버에 화상통신용 카메라가 장착되는 경우가 많은데, 커버에 장착된 카메라는 항상 사용자 자신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를 조작하며 자신의 영상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게 된다.
그런데, 카메라로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체 및 커버 모두를 반전시켜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본체를 조작할수 없는 불편한 점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가 본체에 대해 개폐되는 한편 커버의 전후면이 반전되도록 함으로써,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도 커버의 대형 액정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커버에 설치되는 카메라로 전방 및 후방을 모두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기기의 개폐장치를 분해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제 1저항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 2저항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내지 도 8은 도 4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내지 도 14은 도 1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02: 결합부
104: 제 1나사공 110: 커버
112: 힌지축부 114: 고정공
116: 액정화면 120: 브래킷
122: 실린더 124: 회전공
126: 제 1가이드홈 128: 제 1스크류
130: 힌지통체 132: 회동 공간부
134: 중공 136: 제 1관통공
138: 제 2스크류 140: 중심축
142: 제 2나사공 144: 환형홈
146: 각형돌기 150: 제 1압축스프링
160: 제 1캠 162: 제 1축공
164: 제 1파형면 166: 제 1가이드돌기
170: 제 2캠 172: 제 2축공
174: 제 2파형면 176: 각형공
180: 와셔 182: 이링
300: 하우징 302: 내부공간
304: 관통공 306: 제 2가이드홈
320: 제 3캠 322: 고정축
324: 가이드축 328: 제 3파형면
330: 제 4캠 332: 가이드공
336: 제 4파형면 338: 제 2가이드돌기
340: 제 2압축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기기의 본체에 고정되고, 회전공이 형성된 실린더를 갖는 브래킷; 상기 통신기기의 커버가 상기 본체로부터 회동되도록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심부에 회동 공간부가 형성된 힌지통체; 상기 회동 공간부 상에 입설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로부터 스윙되도록 상기 회전공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중심축; 상기 회전공 내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의 회전에 대해 일정범위내의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제 1저항수단; 및 상기 힌지통체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통체의 회전에 대하여 일정범위내의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제 2저항수단;를 포함하는 통신기기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의 개폐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기기의 개폐장치를 분해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개폐장치는, 통신기기의 본체(100)에 고정되고, 회전공(124)이 형성된 실린더(122)를 갖는 브래킷(120); 통신기기의 커버(110)가 본체(100)로부터 회동되도록 커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심부에 회동 공간부(132)가 형성된 힌지통체(130); 회동 공간부(132) 상에 입설되고, 커버(110)가 본체(100)로부터 스윙되도록 회전공(124)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중심축(140); 회전공(124) 내에 설치되고, 중심축(140)의 회전에 대해 일정범위내의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제 1저항수단; 및 힌지통체(130)와 커버(110)의 사이에 설치되고, 커버(110)의 회전에 대하여 일정범위내의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제 2저항수단;으로 이루어진다.
힌지통체(130)의 일단은 커버(110)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축부(112)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중심축(140)의 선단에는 환형홈(144)이 형성되고, 회전공(124)을 통과한 중심축(140)에 와셔(180)가 결합되며, 와셔(180)의 외측에서 환형홈(144)에 이링(182)이 결합된다. 따라서 중심축(140)이 회전공(124)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중심축(140)에는 제 2나사공(142)이 형성되고, 힌지통체(130)에는 제 2나사공(142)에 대응되는 제 1관통공(1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스크류(138)가 제 1관통공(136)을 지나 제 2나사공(142)에 체결되어 중심축(140)과 힌지통체(13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중심축(140)이 회전공(124) 내에서 수직인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에 제 1저항수단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제 1저항수단은, 회전공(124) 내에 삽입되는 제 1압축스프링(150); 회전공(124) 내에 삽입되어 제 1압축스프링(150)에 탄지되고, 중심축(140)이 통과되는 제 1축공(162)이 형성되며, 제 1축공(162)을 중심으로 1회전시 2주기를 갖는 제 1파형면(164)이 형성된 제 1캠(160); 및 회전공(124) 내에 삽입되고, 제 1축공(162)에 대응되는 제 2축공(172)이 형성되며, 제 1파형면(164)에 대응되는 제 2파형면(174)이 형성된 제 2캠(170);으로 이루어진다.
중심축(140)의 일부에는 각형돌기(146)이 형성되고, 제 2캠(170)의 제 2축공(172)의 외측부에는 각형돌기(146)에 결합되는 각형공(176)이 형성된다. 중심축(140)의 각형돌기(146)가 제 2캠(170)의 각형공(176)에 결합되면, 중심축(140)과 제 2캠(170)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1캠(160)의 외주면에는 제 1가이드돌기(166)가 형성되고, 회전공(124)의 내주면에는 제 1가이드돌기(166)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가이드홈(126)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캠(160)은 회전공(124) 내에서 상하운동은 가능하지만, 회전운동은 불가능하게 된다.
도 4에 제 2저항수단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제 2저항수단은, 힌지통체(130)에 형성되는 중공(134)에 삽입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302)이 형성되며, 일단부에 제 2관통공(304)이 형성된 하우징(300); 제 2관통공(304)으로 통과되어 커버(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공(114)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축(322)이 형성되고, 고정축(322)과 대향되는 측의 중심에 가이드축(324)이 형성되며, 가이드축(324)을 중심으로 1회전시 2주기를 갖는 제 3파형면(328)이 형성되어 내부공간(30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제 3캠(320); 가이드축(32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공(332)이 중심에 형성되고, 가이드공(332)을 중심으로 제 3파형면(328)에 대응되는 제 4파형면(336)이 형성되어 내부공간(302)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된 제 4캠(330); 및 제 4캠(330)을 탄지하는 상태로 내부공간(302) 내에 삽입된 1이상의 제 2압축스프링(3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4캠(330)의 외주면에는 제 2가이드돌기(338)가 형성되고, 하우징(300)의 측면에는 제 2가이드돌기(338)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가이드홈(306)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4캠(330)은 하우징(300)의 내부공간(302)에서 직선운동은 가능하지만, 회전운동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개폐장치가 통신기기에 장착된 상태는, 제 3캠(320)의 가이드축(324)에 제 4캠(330)의 가이드공(332)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3캠(320)의 제 3파형면(328)과 제 4캠(330)의 제 4파형면(336)이 서로 회전 슬라이딩운동 가능하게 밀착된 상태가 되며, 제 2압축스프링(340)은 제 4캠(330)을 후방에서 탄지한다.
제 3캠(320)의 고정축(322)은 하우징(300)의 제 2관통공(304)을 통과하여 커버(110)의 고정공(114)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제 4캠(330)은 제 2가이드돌기(338)와 비원형을 가짐에 의해 하우징(300)의 내부공간(302)내에서 회전이 되지 않는다.
커버(110)가 본체(100)에 닫힌 상태에서는 제 3캠(320)의 제 3파형면(328)의 산과 제 4캠(330)의 제 4파형면(336)의 골이 결합되고, 제 3파형면(328)의 골이 제 4파형면(336)의 산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힌지통체(130)에 결합된 중심축(140)이 제 2캠(170)의 제 2축공(172)과 제 1캠(160)의 제 2축공(172)을 통과하여 제 1압축스프링(150)을 통과하여 와셔(180) 및 이링(18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 1캠(160)은 제 1가이드돌기(166)가 회전공(124)의 제 1가이드홈(126)에 삽입되어서 회전이 방지되고, 직선운동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 2캠(170)은 각형돌기(146)와 각형공(176)의 결합에 의해 중심축(140)과 함께 회전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 1압축스프링(150)은 회전공(124) 내에서 제 1캠(160)을 제 2캠(170)측으로 탄지하게 되어, 제 1캠(160)의 제 1파형면(164)과 제 2캠(170)의 제 2파형면(174)의 접촉부분에서 제 1캠(160)과 제 2캠(170)의 상대회전운동에 대한 저항력이 발생된다.
한편, 커버(110)가 본체(100)에 닫힌 상태에서 오픈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커버(110)를 스윙동작으로 본체(100)로부터 오픈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커버(110)가 본체(100)에 닫힌 상태는 도 2 및 도 9와 같다.
커버(110)가 본체(100)에 닫힌 상태에서 커버(110)를 일방향으로 스윙시키면, 커버(110)에 결합된 힌지통체(130)와 힌지통체(130)에 결합된 중심축(140)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커버(110)가 90°정도 스윙된 상태는 도 7 및 도 10과 같다.
이때 중심축(140)에 고정 결합된 제 2캠(170)이 함께 회전한다. 제 2캠(170)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 2파형면(174)의 산은 제 1캠(160)의 제 1파형면(164)의 골에 결합되어 있다가, 제 2캠(170)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제 2파형면(174)의 산은 제 1파형면(164)의 골에서 벗어나 제 1파형면(164)의 산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캠(160)과 제 2캠(170)의 간격이 벌어지며 제 1압축스프링(150)은 가장 압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커버(110)가 180°스윙된 상태는 도 2 및 도 11과 같다.
커버(110)가 180°스윙되면, 제 1파형면(164)의 산은 다시 제 2파형면(174)의 골에 결합되고, 제 1캠(160)과 제 2캠(170)은 간격이 최소가 되며, 제 1압축스프링(150)은 가장 팽창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제 1압축스프링(150)의 탄성에 의해 제 1파형면(164)은 제 2파형면(174)과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고, 중심축(140)에 가해지는 일정이하의 회전력에 대해서는 저항력으로 작용하여 커버(110)의 불필요한 스윙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110)가 스윙동작으로 개방된 상태는 커버(110)의 전후면이 반전되어 대형 액정화면(116)이 외측을 향하게 된다.
커버(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커버(110)를 닫는 과정은 도 6 및 도 13과 같으며, 커버(110)가 완전히 닫힌 상태는 도 2 및 도 14와 같다.
이와 같이 커버(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커버(110)를 닫게 되면, 제 3파형면(328)의 산이 제 4파형면(336)의 산으로 회전하며 미끄러져 이동하여 제 2압축스프링(340)은 가장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커버(110)가 본체(100)에 완전히 닫히면, 다시 제 3파형면(328)의 산이 제 4파형면(336)의 산을 넘어 골에 결합되고, 제 2압축스프링(340)이 복원력에 신장되며 제 4캠(330)을 탄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버(110)가 본체(100)에 닫히면, 커버(110)의 액정화면(116)이 상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통신기기의 커버(110)의 클로즈 상태에서도 액정화면(116)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커버(110)의 액정화면(116)을 보지 않을 때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조작하여 커버(110)의 액정화면(116)이 본체(100)측을 향하도록 한 후, 본체(100)에 닫아둔다.
한편, 커버(110)를 회동동작으로 오픈시키는 작용을 설명한다.
커버(110)를 회동시키면, 커버(110)의 고정공(114)에 고정된 제 3캠(320)의 고정축(322)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제 3캠(32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300)의 내부공간(302)에 삽입된 제 4캠(330)은 제 2가이드돌기(338)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므로, 제 4캠(330)과 제 3캠(320)은 서로 엇갈려 회전하면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커버(110)가 본체(100)로부터 어느 정도 열리게 되면, 제 3파형면(328)의 산이 제 4파형면(336)의 산으로 회전하며 미끄러져 이동하여 제 2압축스프링(340)은 가장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커버(110)가 통화각도까지 열리면, 다시 제 3파형면(328)의 산이 제4파형면(336)의 산을 넘어 골에 결합되고, 제 2압축스프링(340)이 복원력에 신장되며 제 4캠(330)을 탄지한다.
이와 같은 작용에서 제 4캠(330)의 가이드공(332)은 제 3캠(320)의 가이드축(324)에 삽입되어 제 4캠(330)과 제 3캠(320)의 상호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중심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제 2압축스프링(340)의 탄성에 의해 제 3파형면(328)은 제 4파형면(336)과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고, 커버(110)에 가해지는 일정이하의 회동력에 대해서는 저항력으로 작용하여 커버(110)의 불필요한 회동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커버(110)를 본체(100)에 닫게 되면, 제 2저항수단이 역순으로 작용하고, 커버(110)는 본체(100)에 닫히게 된다.
한편 커버(110)가 본체(100)로부터 90°정도 개방한 상태에서 커버(110)를 일방향으로 로테이션시키면, 커버(110)에 결합된 힌지통체(130)와 실린더(122)에 결합된 중심축(140)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커버(110)가 본체(100)로부터 90°정도 개방한 상태에서 90°정도 로테이션된 상태는 도 5와 도 8 및 도 12와 같다.
이때 중심축(140)에 고정 결합된 제 2캠(170)이 함께 회전한다. 제 2캠(170)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 2파형면(174)의 산은 제 1캠(160)의 제 1파형면(164)의 골에 결합되어 있다가, 제 2캠(170)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제 2파형면(174)의 산은 제 1파형면(164)의 골에서 벗어나 산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제 1캠(160)과 제 2캠(170)의 간격이 벌어지며 제 1압축스프링(150)은 가장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커버(110)가 180°로테이션되면 다시 도 13과 같다. 이때 제 1파형면(164)의 산은 다시 제 2파형면(174)의 골에 결합되고, 제 1캠(160)과 제 2캠(170)은 간격이 최소가 되며, 제 1압축스프링(150)은 가장 팽창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제 1압축스프링(150)의 탄성에 의해 제 1파형면(164)은 제 2파형면(174)과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고, 중심축(140)에 가해지는 일정이하의 회전력에 대해서는 저항력으로 작용하여 커버(110)의 불필요한 로테이션 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110)가 로테이션된 결과로 커버(110)의 전후면이 반전되어 대형 액정화면(116)이 외측을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110)가 반전된 상태에서 커버(110)를 닫게 되면 다시 도 14와 같이 된다. 이때에는 상기 설명된 제 2저항수단이 역순으로 동작하게 된다. 커버(110)가 본체(100)에 닫히면, 커버(110)의 액정화면(116)이 상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통신기기의 커버(110)의 클로즈 상태에서도 액정화면(116)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커버(110)의 액정화면(116)을 보지 않을 때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조작하여 커버(110)의 액정화면(116)이 본체(100)측을 향하도록 한 후, 본체(100)에 닫아둔다. 이는 도 9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버(110)가 중심축(140)으로 중심으로 회전되어 스윙동작으로 개폐되고, 커버(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힌지통체(130)로부터 회동되어 클로즈되면 대형 액정화면(116)이 외부로 표출되므로, 커버(110)의 클로즈 상태에서도 대형 액정화면(116)을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통신기기의 클로즈 상태에서도 대형 액정화면(116)을 외측에 위치시켜 게임 등을 즐길 수 있으며, 커버(110)에 화상통신용 카메라가 장착된 경우 커버(1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반전시키며 전후방의 영상을 모두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 통신기기의 본체(100)에 고정되고, 회전공(124)이 형성된 실린더(122)를 갖는 브래킷(120);상기 통신기기의 커버(110)가 상기 본체(100)로부터 회동되도록 상기 커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심부에 회동 공간부(132)가 형성된 힌지통체(130);상기 회동 공간부(132) 상에 입설되고, 상기 커버(110)가 상기 본체(100)로부터 스윙되도록 상기 회전공(124)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중심축(140);상기 회전공(124) 내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140)의 회전에 대해 일정범위내의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제 1저항수단; 및상기 힌지통체(130)와 상기 커버(11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통체(130)의 회전에 대하여 일정범위내의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제 2저항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140)의 선단에는 환형홈(144)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공(124)을 통과한 상기 중심축(140)에 와셔(180)가 결합되며, 상기 와셔(180)의 외측에서 상기 환형홈(144)에 이링(182)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저항수단은,상기 회전공(124) 내에 삽입되는 제 1압축스프링(150);상기 회전공(124)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 1압축스프링(150)에 탄지되고, 상기 중심축(140)이 통과되는 제 1축공(16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축공(162)을 중심으로 1회전시 2주기를 갖는 제 1파형면(164)이 형성된 제 1캠(160); 및상기 회전공(124)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 1축공(162)에 대응되는 제 2축공(17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파형면(164)에 대응되는 제 2파형면(174)이 형성된 제 2캠(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캠(160)의 외주면에는 제 1가이드돌기(166)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공(124)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가이드돌기(166)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가이드홈(1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140)의 일부에는 각형돌기(146)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캠(170)의 제 2축공(172)의 외측부에는 상기 각형돌기(146)에 결합되는 각형공(17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저항수단은,상기 힌지통체(130)에 형성되는 중공(134)에 삽입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내부공간(302)이 형성되며, 일단부에 제 2관통공(304)이 형성된 하우징(300);상기 제 2관통공(304)으로 통과되어 상기 커버(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공(114)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축(32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322)과 대향되는 측의 중심에 가이드축(324)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축(324)을 중심으로 1회전시 2주기를 갖는 제 3파형면(328)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30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제 3캠(320);상기 가이드축(32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공(332)이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332)을 중심으로 상기 제 3파형면(328)에 대응되는 제 4파형면(336)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302)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된 제 4캠(330); 및상기 제 4캠(330)을 탄지하는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302) 내에 삽입된 1이상의 제 2압축스프링(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4캠(330)의 외주면에는 제 2가이드돌기(338)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00)의 측면에는 상기 제 2가이드돌기(338)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가이드홈(30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13033A KR20040078221A (ko) | 2003-03-03 | 2003-03-03 |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
CN200380110190.2A CN1759538B (zh) | 2003-03-03 | 2003-12-12 | 铰链组件及具有该组件的便携式终端 |
CNA2008100825719A CN101294600A (zh) | 2003-03-03 | 2003-12-12 | 铰链组件 |
AU2003303987A AU2003303987A1 (en) | 2003-03-03 | 2003-12-12 | Hinge assembl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CNA2008100825723A CN101295992A (zh) | 2003-03-03 | 2003-12-12 | 铰链组件 |
CN201010129456.XA CN101834922A (zh) | 2003-03-03 | 2003-12-12 | 铰链组件 |
US10/548,285 US20060230579A1 (en) | 2003-03-03 | 2003-12-12 | Hinge assembl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PCT/KR2003/002724 WO2004079935A1 (en) | 2003-03-03 | 2003-12-12 | Hinge assembl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13033A KR20040078221A (ko) | 2003-03-03 | 2003-03-03 |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4468U Division KR200323293Y1 (ko) | 2003-05-10 | 2003-05-10 |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8221A true KR20040078221A (ko) | 2004-09-10 |
Family
ID=3736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13033A KR20040078221A (ko) | 2003-03-03 | 2003-03-03 |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78221A (ko) |
CN (2) | CN101294600A (ko) |
-
2003
- 2003-03-03 KR KR1020030013033A patent/KR2004007822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12-12 CN CNA2008100825719A patent/CN101294600A/zh active Pending
- 2003-12-12 CN CNA2008100825723A patent/CN101295992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294600A (zh) | 2008-10-29 |
CN101295992A (zh) | 2008-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17564B2 (en) |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 |
JP2005054890A (ja) | 携帯端末用ヒンジ | |
KR100860671B1 (ko) | 휴대 단말기의 회전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듀얼 힌지장치, 스윙형 휴대 단말기 및 슬라이딩/회전형 휴대 단말기 | |
KR100493102B1 (ko) | 서브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 |
KR100686095B1 (ko) | 힌지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0323293Y1 (ko) |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 |
KR20110080492A (ko) | 접이형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 |
KR100474633B1 (ko) | 휴대폰의 개폐장치 | |
KR20040078221A (ko) |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 |
KR200319732Y1 (ko) | 통신기기의 2단 개폐장치 | |
KR100654470B1 (ko) | 통신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 | |
KR200317088Y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장치 | |
KR100474635B1 (ko) | 휴대폰의 개폐장치 | |
KR100810277B1 (ko) | 듀얼 연결부재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 |
KR100488816B1 (ko) | 휴대폰의 커버 개폐 및 로테이션장치 | |
KR100450167B1 (ko) |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 |
KR100790076B1 (ko) | 휴대 단말기의 회전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듀얼 힌지장치, 스윙형 휴대 단말기 | |
KR20050026792A (ko) |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 |
KR100465227B1 (ko) |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 |
KR100746717B1 (ko) | 2방향 개폐장치 | |
KR200342820Y1 (ko) | 휴대폰의 이중힌지장치 | |
KR100485631B1 (ko) | 휴대폰의 커버 개폐 및 로테이션장치 | |
KR100619818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선회 장치 | |
KR200342821Y1 (ko) | 휴대폰의 이중힌지장치 | |
KR20030087157A (ko) |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