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0587A - 조립식 비닐하우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비닐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0587A
KR20050120587A KR1020050111103A KR20050111103A KR20050120587A KR 20050120587 A KR20050120587 A KR 20050120587A KR 1020050111103 A KR1020050111103 A KR 1020050111103A KR 20050111103 A KR20050111103 A KR 20050111103A KR 20050120587 A KR20050120587 A KR 20050120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vinyl house
elbow
present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3763B1 (ko
Inventor
남은지
남중송
Original Assignee
남중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중송 filed Critical 남중송
Priority to KR102005011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763B1/ko
Publication of KR20050120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를 구성하는 골조를 엘보우형 크로스 및 연결파이프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비닐하우스를 조립식으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설치작업 및 이동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중에 약한 일체형 파이프의 약점을 보완하여 연결 부분에 피팅(FITTING)의 사용으로 결속력이 강화되어 비닐하우스가 받는 하중의 강도를 높여서 폭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여, 태풍 및 호우, 우박 기타 자연재해에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였으며, 자연재해로 인한 훼손이 되었더라도 훼손 부분의 일부만 제거하면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비닐하우스{A built-up vinyl plastic hothouse}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
본 발명은 조립식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비닐하우스를 구성하는 골조를 엘보우형 크로스 및 연결파이프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비닐하우스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폭설로 인한 재해에 강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규격화하였으며, 규격화로 인하여 재활용도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설치하고자 하는 토지의 규격 및 토지의 형태에 맞도록 크기를 일정하게 정하여 비닐하우스의 반원형의 구조에 맞도록 파이프를 제작공장에 주문 의뢰하여 벤딩(BENDING)하여 왔으며 이미 벤딩(BENDING)한 파이프의 크기를 수정할 수가 없어서 비닐하우스의 폭은 정한 규격에 의하여 고정되어야 하였고, 길이만 벤딩(BENDING)한 파이프의 수량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었다.
운반 및 설치시 비닐하우스의 폭을 넓히기 위하여 벤딩(BENDING)할 수 있는 파이프의 길이도 한정되어 있어서 더 큰 폭의 비닐하우스를 제작할 수 없으며 더욱 더 큰 폭의 파이프를 제작한다하더라도 제작공장에서 농촌현지까지 운반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운반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에 운송비용 또한 과다하게 소요되고, 한, 두명의 인부로 핸드링(HANDLING)하기도 어려워 현지 농부로서는 혼자서 비닐하우스 설치를 할 수가 없어서 전문인력이 필요하였다.
설치시 애로사항은 현지의 토지형태에 맞추어서 제작한 파이프의 크기가 토지의 폭 6미터로 계산하면 반원형의 벤딩(BENDING)한 파이프의 길이는 약 9미터로서 혼자서 핸드링(HANDING)하기가 어려워 최소한 2명의 인부가 양쪽 끝 부분을 잡고 나머지 한명의 인부가 가로 연결파이프를 클램프로 연결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최소한의 유능한 인부 3명이 필요하며, 규격화가 되어있지 않아서 일일이 설치할 위치를 계산, 표시하여야한다.
완성 후에는 벤딩(BENDING)한 반원형 파이프 낱개와 다음 순서의 반원형 파이프 낱개의 연결방법이 가로 파이프로서 연결 결속구가 철사로 만들어진 클램프이므로 십자형의 결속력이 약하여 지면으로 향하는 하중을 버티는 것이 하나의 반원형파이프의 힘으로 지탱하여야하며, 지면의 전후좌우 45도 방향으로 향하는 하중을 버티기에 결속력이 서로 의지 할 수 있는 힘이 부족하여 무너지기가 쉽다.
그러므로 하나의 비닐하우스가 일체의 힘을 받아야 외부적인 힘에 버티어 낼 수 있으나, 철사클램프로서는 결속력이 약하여 비닐하우스가 일체의 힘을 받을 수 없으며, 하나의 반원형 파이프로서 강도 높은 하중을 받기에 약하므로 자연재해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규격화에 있어서는 토지의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농가의 재배 농작물에 종류에 따라서 비닐하우스의 크기가 다양화하여 규격화가 될 수 없었으며, 규격화가 되어있지 않아서 한번 사용한 반원형의 벤딩(BENDING)파이프는 재활용이 희박하였다.
그리고 자연재해로 무너진 반원형 파이프는 벤딩(BENDING)한 부분이 손상되므로 재활용이 불가하며, 핸드링(HANDLING)이 어려워 철거하기에도 시간적인 여유 및 인원, 장비가 필요하므로 복구에 따른 시간 손실로 농민의 피해의식 또한 오래 간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설계, 제작, 운반, 설치과정을 간소화하여 현지의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누구나 비닐하우스의 용도, 크기에 관계없이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반원형 파이프를 벤딩(BENDING)하기 위하여 공장에 의뢰 주문하던 것을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엘보우형 크로스의 각도 조정 및 수량과, 반원형 연결봉, 가로연결봉의 수량 및 길이의 조정으로 원하는 크기의 비닐하우스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반원형으로 조립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종래에는 반원형으로 조립하기 위하여 파이프가 사용되고 파이프를 반원형으로 만들기 위하여 벤딩(BENDING)을 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반원형을 만들기 위하여 종래 사용하고 있던 엘보우를 사용하면 반원형을 만들 수가 있으며, 엘보우와 크로스의 변형한 결합으로 인하여 비닐하우스 골조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 예로서 [도 1] 에서와 같은 모양의 엘보우에서 각도가 30도의 엘보우 6개를 사용하면 30도×6개 = 180도. 15도의 엘보우 12개를 사용하면 15도×12개 = 180도. 10도의 엘보우 18개를 사용하면 10도×18개 = 180도. 5도의 엘보우 36개를 사용하면 5도×36개 = 180도가 된다. 그러므로, 엘보우의 수량과 각도 조정으로 인하여 반원형을 만들 수 있으며, 반원형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한 엘보우의 예각(외각)의 합이 180도가 되어야 한다.
엘보우의 각도에 의하여 엘보우 수량이 정하여지며, 엘보우를 연결하는 연결봉의 길이에 의하여 비닐하우스의 폭이 결정되며 가로 연결봉의 길이에 따라서 비닐하우스의 길이가 결정되며 이에 하중도 결정 될 수 있다.
비닐하우스의 견고함을 만들기 위하여 격자형으로 맞물려야하고, 맞물린 부분이 결속력이 강하여야 하기에 나사결속을 하여야하나, 격자형으로 맞물리기에는 오른나사만 이용하여서는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격자형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기만 하면 동시에 결속이 될 수 있도록 본 고안이 제시한 엘보우형 크로스 양쪽 부분을 상반되게 한쪽은 오른나사, 다른 한쪽은 왼나사를 채용하여야만 한다.
반원형의 연결부분은 일정한 각도(θ°)를 유지하므로 인하여 조립이 되게 하였다. 그러므로 파이프와 엘보우형 크로스의 반원형모양의 연결부분은 끼워맞춤 형식이기에 정밀도를 갖추어야한다.
엘보우형 크로스의 돌출부 4개중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부분은 평형하여야 하고, 끼워맞춤식 연결부에는 일정한 각도(θ°)를 갖추어지고, 정밀도를 갖는 변형된 크로스이다.
가로 연결봉은 격자형의 조립이어야 하므로 한쪽은 왼나사, 또 다른 한쪽은 오른나사를 적용한 파이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사시도의( [도 1] ) 모형을 형성하기 위하여 반원형 연결봉( [도 5] )의 한쪽부분은 지면을 향하게 하고, 또 한쪽부분의 상단에 엘보우형 크로스( [도 3] ) a를 끼우고, L부분이 좌측에, R부분이 우측으로 향하게 하고, 또 다른 반원형 연결봉( [도 5] )을 엘보우형 크로스( [도 3] ) 의 남아있는 a 부분에 끼운다.
반복적인 설치를 하여 마지막 반원형 연결봉이 180도의 방향으로 전환 할 때까지 끼워서 하나의 모듈(module)( [도 2] )을 만들고 또 하나의 모듈(module)( [도 2] )을 만들어서 두 개의 모듈(module)이 마주보게 하면, 좌측에 위치한 모듈(module)의 우측에 있는 L부분이 우측에 위치한 모듈(module) R부분과 만나게 되고, 이에 가로 연결봉 ( [도 4] )을 우측으로 한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한쪽은 오른나사, 한쪽은 왼나사로 만들어진 가로 연결봉( [도 4] )으로 인하여 두 개의 마주보고 있는 모듈(module)이 조립된다.
전자와 같은 방법으로 비닐하우스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설치로 비닐하우스의 골조가 완성된다. 이의 조립시 필요한 공구는 파이프렌치 하나로서 조립이 가능하다.
엘보우형 크로스의 각도는 반원형을 만들기 위하여 엘보우형 크로스의 소요 수량 예각(θ°)의 합이 180도 이어야한다. 엘보우형 크로스의 각도 조정에 의하여 수량이 정하여지고, 비닐하우스의 크기가 조정된다.
반원형 연결봉의 길이에 의하여 비닐하우스의 폭이 조정된다.
가로 연결봉의 길이에 의하여 비닐하우스의 길이가 조정된다.
반원형 연결봉과 엘보우형 크로스의 맞 물림자리(a)는 정밀도와 일정각을 유지하고 있기에 외부의 힘에 자연분해가 불가해진다.
격자형 연결을 위하여는 가로 연결봉의 회전으로 인하여 조립이 완성되기 위하여 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양쪽의 엘보우형 크로스가 체결되어야한다. 그러므로 단일 파이프에 한쪽은 오른나사를 적용하고, 다른 한쪽에는 왼나사를 적용되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설치가 용이하여 전문인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설치, 해체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최근 기상이변이 잦아서 예측하지 못하는 폭설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손실을 막고, 농작물의 피해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격자형으로 설치가 되어있기에 하중으로부터 강함을 나타내어서, 폭설의 하중을 견디도록 만들었고, 비닐하우스의 손실을 막음으로 인하여 농작물의 피해를 막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주변의 농작물이 피해를 입어서 수요량을 적절히 대처하지 못할 때 본 발명이 만들어낸 비닐하우스의 농작물은 피해를 입지 않았으므로 인하여 농작물의 생산물을 고가로 출하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각도의 엘보우형 크로스의 사용으로 조립식 비닐하우스 외에 조립식 온실이나 건축물 공사장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비계의 설치 및 유사한 조립식 골조의 구성에도 활용할 수 있다는데 본 발명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형 크로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 연결봉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원형 연결봉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엘보우형 크로스 200: 가로 연결봉
300: 반원형 연결봉 θ°: 엘보우형 크로스의 예각
L : 가로연결파이프와 연결되는 왼나사홈
R : 가로연결파이프와 연결되는 오른나사홈
a : 원형연결파이프와 접속되는 홈

Claims (2)

  1. 엘보우형 크로스(100)와 반원형 연결봉(200) 및 가로 연결봉(300)이 같은 방법으로 연속성을 이루면서 원형 및 가로 연결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법.
  2. 크로스의 일각(θ°)이 일정각도를 이루어서 이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예각의 합이 180°인 원형을 만들고, 좌우의 단면이 상반된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구성되어 있는 엘보우형 크로스(100).
KR1020050111103A 2005-11-21 2005-11-21 조립식 비닐하우스 KR100773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103A KR100773763B1 (ko) 2005-11-21 2005-11-21 조립식 비닐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103A KR100773763B1 (ko) 2005-11-21 2005-11-21 조립식 비닐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587A true KR20050120587A (ko) 2005-12-22
KR100773763B1 KR100773763B1 (ko) 2007-11-09

Family

ID=3729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103A KR100773763B1 (ko) 2005-11-21 2005-11-21 조립식 비닐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485B1 (ko) 2012-09-28 2014-05-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레임 조립체
KR101378915B1 (ko) * 2013-04-09 2014-03-27 장용주 비닐하우스 구조물 조립장치
KR101616612B1 (ko) * 2014-04-07 2016-04-28 김지태 곡선형 재배 하우스의 프레임 구조물
KR102162199B1 (ko) 2017-10-18 2020-10-06 이균철 비닐하우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8601U (ko) * 1981-05-06 1982-11-12
KR100217873B1 (ko) * 1997-07-04 1999-09-01 윤덕용 복합재료 간이 하우스
KR19990004661U (ko) * 1997-07-07 1999-02-05 전영남 비닐하우스용 조립식 지지파이프
KR200194965Y1 (ko) * 2000-03-03 2000-09-01 유경태 펌프용 농업용수 공급관체 연결구
JP6858452B2 (ja) * 2017-06-23 2021-04-14 株式会社ディスコ 識別マーク付きウェーハ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763B1 (ko) 200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699B1 (ko) 다축 연결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하우스 구조물
CN103039301B (zh) 一种农业大棚框架结构及其l型、e型和t型连接装置
US20090277083A1 (en) Modular structural system suitable for trellis
KR102098026B1 (ko) 지붕설치형 태양광발전시스템
KR20050120587A (ko) 조립식 비닐하우스
KR101164327B1 (ko) 각형 강관파이프 구조물용 다축 연결조인트
KR20100106085A (ko) 조립구조물의 조립구조
GB2542908A (en) Shelter
KR101378915B1 (ko) 비닐하우스 구조물 조립장치
KR20150116161A (ko) 곡선형 재배 하우스의 프레임 구조물
KR20090009276U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구
KR100898006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구
KR101129842B1 (ko) 다축 연결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하우스 구조물
KR101151860B1 (ko) 비닐하우스 프레임구조
KR20120094341A (ko) 경량 형강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하우스 구조물
KR102079030B1 (ko) 트러스형 거푸집 서포트 어셈블리
KR20120063638A (ko)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
JP2014171396A (ja) パイプ用連結金具と、これを用いて構成された建築構造物
JP2008211969A (ja) 農芸用ビニールハウスなどの小屋組み構造
KR20120026862A (ko) 소형 연동비닐하우스의 프레임 연결용 일체형 조립구
KR101142146B1 (ko) 비닐하우스용 프레임과 합성수지 투명패널을 이용한 온실
CN208063088U (zh) 屋面无支承型屋顶光伏电站
RU112976U1 (ru) Профиль холоднокатаный и каркас теплицы из него
KR101971179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구조물
CN203167703U (zh) 一种农业大棚框架结构及其l型、e型、t型和十字形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