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638A -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638A
KR20120063638A KR1020100124687A KR20100124687A KR20120063638A KR 20120063638 A KR20120063638 A KR 20120063638A KR 1020100124687 A KR1020100124687 A KR 1020100124687A KR 20100124687 A KR20100124687 A KR 20100124687A KR 20120063638 A KR20120063638 A KR 20120063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or
sphere
divided
prefabricated si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호
Original Assignee
(주)한도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도공영 filed Critical (주)한도공영
Priority to KR102010012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3638A/ko
Publication of KR2012006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이나 비닐하우스, 조립식 간이 시설물 등과 같은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의 프레임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멀티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球)의 전체 표면에 걸쳐 소정의 배열을 가지는 다수의 체결구멍을 구비하여 다양한 각도 및 방향에서 프레임들을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연결수단을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현장 여건 등에 맞춰 제작할 수 있는 구조물 제작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설치 및 해체 작업 또한 신속ㆍ간편하게 할 수 있는 한편, 프레임과 연결구 간의 조립시 나사체결구조로 상호 연결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프레임 조립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 프레임과 연결구를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Multi connector for a simple -prefabricated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실이나 비닐하우스, 조립식 간이 시설물 등과 같은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의 프레임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멀티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실이나 비닐하우스, 그리고 조립식 간이 시설물 등과 같은 구조물은 각종 농산물을 재배하거나 사람이나 물건 등을 수용하기 위한 시설로서, 조립이 신속ㆍ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적당한 구조적 강성을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공연장이나 전시장 등과 같이 여러 가지 행사나 공연을 진행하는 곳에서는 행사나 공연의 등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무대시설, 조명 및 광고판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구조물이 설치되며, 공연장이나 전시장에서는 이러한 구조물을 다수의 조립식 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조립식 프레임을 이용한 구조물은 설치 및 해체가 비교적 용이하고, 전체 무게가 가벼워 붕괴의 위험이 비교적 낮으며, 특히 프레임의 구조 및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필요로 하는 형태의 구조물을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그 수요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구조물의 프레임은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제작된 각관이나 원형관 등의 부재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고, 이 부재들을 연결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서로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연결구는 2개 이상의 부재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하게 되며, 부재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통상 부재를 여러 방향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2개 내지 6개의 결속부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현재 제시되어 있는 연결구들은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향이 X축, Y축, Z축으로 제한되어 있는 관계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현장이나 작업 여건에 맞게 설계 및 제작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고, 또 다양한 구조물의 특성에 맞게 각각 모양이 다른 연결구를 설계 및 제작해야 하므로 생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등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연결구와 프레임 간의 결합이 대부분 끼움방식과 용접방식의 병행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관계로 작업속도가 떨어지게 되는 등 작업성 저하를 초래하고 시공기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구(球)의 전체 표면에 걸쳐 소정의 배열을 가지는 다수의 체결구멍을 구비하여 다양한 각도 및 방향에서 프레임들을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연결수단을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현장 여건 등에 맞춰 제작할 수 있는 구조물 제작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연결구 간의 조립시 나사체결구조로 상호 연결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신속ㆍ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 조립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 프레임과 연결구를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는 온실, 비닐하우스, 간이 시설물 등과 같은 구조물 시공시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을 조립할 때 사용하는 연결수단으로서, 구형상의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구의 외곽 둘레를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이렇게 분할한 각 위치에서 구 둘레면을 수평방향을 따라가면서 균등간격으로 분할한 위치에 다수 개의 체결구멍을 형성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임의의 여러 방향 및 각도에서 갯수에 상관없이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구의 외곽 둘레를 따라가면서 분할한 위치는 구의 경선을 따라 분할한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구 둘레면을 따라가면서 분할한 위치는 구의 위선을 따라 분할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구형의 몸체를 가지는 연결구의 전체 표면에 경선과 위선을 따라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체결구멍을 이용하여 프레임들을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각도 및 방향에서 프레임들을 연결할 수 있으며, 따라서 현장 여건이나 작업 조건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등 구조물의 설계 및 조립과 관련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연결구와 프레임을 나사체결구조로 상호 연결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신속ㆍ간편하게 할 수 있고, 프레임 조립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의 사용상태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의 사용상태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를 사용하여 구조물을 구축한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의 몸체(10)는 구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렇게 구형상을 하는 몸체(10)의 전체 표면에 걸쳐 다수 개의 체결구멍(11)이 형성되어 있어서 구조물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2)들을 갯수에 상관없이 임의의 다양한 방향 및 각도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전체 표면에 분포되는 체결구멍(11)들은 정해진 패턴없이 무작위로 배열할 수도 있으나, 소정의 배열을 이루며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구멍(11)들은 몸체(10)를 이루는 구의 외곽 둘레를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분할한 위치에 형성되는 동시에 구의 둘레면을 수평방향을 따라가면서 균등간격으로 분할한 위치에 형성된다.
즉, 구의 전체 표면을 다수의 경선(14)과 위선(15)으로 분할한 다음, 이렇게 분할한 경선(14)을 따라가면서 일정한 각도로 분할한 위치에 체결구멍(11)을 각각 형성하고, 또 위와 같이 분할한 위선(15)을 따라가면서 일정한 각도로 분할한 위치에 체결구멍(11)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구의 전체 표면에는 다수의 체결구멍(11)이 소정의 배열을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구의 표면을 분할하는 경선(14)과 위선(15)의 경우, 상기 경선(14)은 구의 윗쪽 꼭지점과 아래쪽 꼭지점을 이어 수평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하게 나눈 선을 의미하고, 상기 위선(15)은 구의 윗쪽 꼭지점과 아래쪽 꼭지점 사이를 가로로 일정하게 나눈 선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멍(11)들은 경선(14)과 위선(15)이 교차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구의 표면을 다수의 위선(15)으로 분할하고, 이때의 위선(15)을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구멍(11)을 형성시킨 형태로 배열할 수도 있다.
즉, 경선(15)과는 관계없이 위선(15)의 선상을 따라 다수의 체결구멍(1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위에서 설명한 경선과 위선의 경우 체결구멍의 위치를 좀더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준선으로서, 비록 도면에서는 경선과 위선을 도시하였지만 실제 연결구 제품에는 표시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구형상의 몸체(10)에 형성되는 체결구멍(11)은 나사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프레임(12)의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부(13)를 나사체결구조로 몸체(10)의 체결구멍(11)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연결구 몸체(10)와 프레임(12)을 나사체결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그 만큼 프레임 조립작업이나 해체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의 사용상태에 대한 여러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구형상의 몸체(10)를 이용하여 90°방향으로 프레임(12)을 연결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프레임(12)은 원형관 프레임(12a), 각관 프레임(12b) 등 다양한 프레임이 적용될 수 있으며, 원형관 프레임(12a) 및 각관 프레임(12b)의 나사부(13)를 몸체(10)의 체결구멍(11), 즉 나사구멍에 체결함으로써, 연결구 몸체(10)를 매개로 하여 2개의 프레임(12)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각관이나 원형관을 연결할 때, 커터기로 각을 쳐내고 용접을 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연결구를 이용하여 어떤 방향이든 간단하게 조립만 하면, 구조물이 완성되는 시스템이므로,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를 사용하여 구조물을 구축한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통 온실이나 비닐하우스, 그리고 간이 시설물 등과 같은 구조물은 간단한 기초공사와 골조공사가 이루어진 후, 비닐이나 천막, 또는 기타 마감부재 등으로 벽체나 지붕을 마무리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 골조공사를 위한 프레임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며, 간단한 기초공사가 마무리됨과 동시에 현상으로 운반된 프레임을 조립함으로써 골조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골조공사는 구형상의 몸체(10), 즉 연결구와 프레임(12)을 조립하는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연결구의 전체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체결구멍(11) 중에서 선택된 임의의 체결구멍(11)에 프레임(12)의 나사부(13)를 돌려서 끼움으로써, 다양한 설계사양에 맞게 간단히 프레임(12)들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연결구는 다양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고, 또 간편하게 나사체결구조로 프레임과 연결구를 연결하는 방식이므로, 단순한 시공에 의해 골조를 구축할 수 있고, 또 프레임의 조립 방향이나 연결 각도 등에 제한을 받지 않고 시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골조의 구조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는 등 현장 여건에 맞는 최적의 골조를 구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몸체 11 : 체결구멍
12 : 프레임 12a : 원형관 프레임
12b : 각관 프레임 13 : 나사부
14 : 경선 15 : 위선

Claims (3)

  1.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 구축시 프레임을 조립할 때 사용하는 연결수단으로서, 구형상의 몸체(10)를 가지고 있으며, 구의 외곽 둘레를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이렇게 분할한 각 위치에서 구 둘레면을 수평방향을 따라가면서 균등간격으로 분할한 위치에 다수 개의 체결구멍(11)을 형성한 형태로 이루어져, 방향 및 각도에서 갯수에 상관없이 프레임(12)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의 외곽 둘레를 따라가면서 분할한 위치는 구의 경선을 따라 분할한 위치이고, 상기 구 둘레면을 따라가면서 분할한 위치는 구의 위선을 따라 분할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멍(11)은 나사구멍으로 이루어져 프레임(12)의 나사부(13)를 나사체결구조로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
KR1020100124687A 2010-12-08 2010-12-08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 KR20120063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687A KR20120063638A (ko) 2010-12-08 2010-12-08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687A KR20120063638A (ko) 2010-12-08 2010-12-08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638A true KR20120063638A (ko) 2012-06-18

Family

ID=4668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687A KR20120063638A (ko) 2010-12-08 2010-12-08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36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2225A (zh) * 2015-12-17 2016-03-16 武汉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用于杆件空间角度连接的万向节点装置
KR101877907B1 (ko) * 2015-04-24 2018-07-12 한보일렉트(주) 다축 연결용 조인트
KR102046454B1 (ko) 2018-06-01 2019-11-19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커넥터 및 그것을 이용한 골격 구조물
CN110528703A (zh) * 2019-09-03 2019-12-03 广东山众建筑科技有限公司 建筑预埋件及定位预制楼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07B1 (ko) * 2015-04-24 2018-07-12 한보일렉트(주) 다축 연결용 조인트
CN105402225A (zh) * 2015-12-17 2016-03-16 武汉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用于杆件空间角度连接的万向节点装置
KR102046454B1 (ko) 2018-06-01 2019-11-19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커넥터 및 그것을 이용한 골격 구조물
CN110528703A (zh) * 2019-09-03 2019-12-03 广东山众建筑科技有限公司 建筑预埋件及定位预制楼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699B1 (ko) 다축 연결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하우스 구조물
KR101414790B1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용 허브 커넥터
KR20120063638A (ko) 조립식 간이 건축 구조물용 멀티 연결구
JP2010523848A (ja) トラス構造のための管ロッドの梁の横方向の相互接続のための埋め込まれた2部品の機械的なコネクタを有する可変および固定ジョイント・ノード
KR101618341B1 (ko)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및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EP2729631B1 (en) Method of constructing a three dimensional upwardly convex frame
KR101310328B1 (ko) 지오데식 돔의 연결구
KR101714420B1 (ko) 구조물용 연결 시스템
KR101697423B1 (ko) 볼 조인트를 갖는 커넥터 허브 분할형 돔 커넥터
KR101833459B1 (ko) 돔형 온실 구조물
KR20090069399A (ko)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구
JP6614739B1 (ja) トンネル状の建築物の製造方法
JP2006009439A (ja) 建築構造物の構築工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構造要素体
JP4730850B2 (ja) ドーム型構造体
KR101277066B1 (ko) 조립구조물용 연결구
KR20160012648A (ko) 하우스 시공용 이중 허브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하우스 시공방법
RU2625582C1 (ru) Составной блок сборного структурного покрытия
KR200285492Y1 (ko) 다목적 조인트볼 구조
KR200358876Y1 (ko) 사각 각관의 연결구
KR20170080380A (ko) 조립식 돔 과 구형체
AU2016231602B1 (en) Pre-fabricated dome
CN203583738U (zh) 吊顶防晃连接件及吊顶防晃连接结构
KR19990062363A (ko) 조립식건축물 구축용 구조물
KR200451157Y1 (ko) 탈부착형 장식부를 가지는 펜스 구조물
KR100571630B1 (ko) 파이프 구조물의 연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