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8174A - 플라이어 보우를 위한 교체가능한 부품들 - Google Patents

플라이어 보우를 위한 교체가능한 부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8174A
KR20050118174A KR1020057016507A KR20057016507A KR20050118174A KR 20050118174 A KR20050118174 A KR 20050118174A KR 1020057016507 A KR1020057016507 A KR 1020057016507A KR 20057016507 A KR20057016507 A KR 20057016507A KR 20050118174 A KR20050118174 A KR 20050118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
longitudinal recess
wear
guide
sectiona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4162B1 (ko
Inventor
데이비드 케이. 왓킨스
Original Assignee
케이어 매뉴팩츄어링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9267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11817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어 매뉴팩츄어링 인크. filed Critical 케이어 매뉴팩츄어링 인크.
Publication of KR20050118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04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flyer ty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02Machine details; Auxiliary devic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24Flyer or lik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24Flyer or like arrangements
    • D01H7/26Flyer construc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3/0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D07B3/08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 D07B3/1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with provision for imparting more than one complete twist to the ropes or cables for each revolution of the take-up reel or of the guide member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3/0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D07B3/08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 D07B3/1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with provision for imparting more than one complete twist to the ropes or cables for each revolution of the take-up reel or of the guide member
    • D07B3/103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with provision for imparting more than one complete twist to the ropes or cables for each revolution of the take-up reel or of the guide member characterised by the bow construc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02Machine details; Auxiliary devices
    • D07B7/021Guiding means for filaments, strands,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플라이어 보우(flyer bow)와 연결하여 사용되는 장치가 개시된다. 플라이어 보우는 종방향 리세스, 이러한 종방향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모 삽입부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그리고 마모 삽입부와 가이드를 종방향 리세스 내에서 유지시키기 위한 스톱(stop)을 구비한다. 리세스는 외부 횡단 칫수 보다 큰 내부 횡단 칫수를 갖는다. 마모 삽입부와 가이드는 종방향 리세스 내에 끼워 맞추어지는 확장된 결합부들을 구비하며, 종방향 리세스 내에서 결합부들의 상당한 방사상 운동을 제한한다. 스톱은 플라이어 보우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결합부들의 상당한 방사상 운동을 제한한다.

Description

플라이어 보우를 위한 교체가능한 부품들{Replaceable components for a flyer bow}
본 출원은 2003년 3월 6일 출원된 미합중국 정규출원 제 10/379,704 호의 우선권 주장출원이다.
본 발명은 트위스팅(twisting), 번칭(bunching), 케이블링(cabling), 트위닝(twinning) 또는 스트랜딩(stranding) 기계장치들로서 언급되는 케이블링(cabling)에 사용되는 기계류 그룹의 플라이어 보우들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교체가능한 부품들에 관한 것이다.
트위스팅(twisting) 기계장치들, 특히 보우 트위스팅 기계장치들은 스탠다드 텔레폰 트위스티드-페어 와이어(standard telephone twisted-pair wire)와 같은 꼬인 와이어나 케이블들을 제조하는데 채용된다. 이러한 기계장치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케이들블이나 커넥터들로 이루어진 코어 주위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감싼다. 그러한 기계장치들의 통상적인 구성 및 작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우들을 채용한다. 보우는, 보우-트위스팅(bow-twisting) 기계장치의 중앙 부분 주위로 보우가 회전함에 따라서 보우의 길이를 따라 와이어를 안내하는 기계장치의 일부가 된다.
트위스팅 기계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보우는 해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보우-트위스팅 기계장치들(통상적으로 "플라이어 보우"라 언급함)을 위한 종래의 보우들은 보통은 편평하고, 내부 면상에 장착된 와이어 가이드들 및/또는 마모 스트립들을 갖는다. 와이어 가이드들은 보우-트위스터(bow-twister) 기계장치에 의해서 꼬여지게될 와이어의 위치를 안내하고, 와이어 스트립들은 보우-트위스터 기계장치가 작동하는 동안에 와이어/케이블과 보우 사이의 접촉으로 인한 보우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닳거나 손상된 부분들 또는 부품들을 교체하기 위해서 보우는 보우-트위스터 기계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제거된다. 그런데, 종래의 보우들 상에 부품들을 장착하는데 있어서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보우들 상에 부품들을 장착하기 위한 한가지 기술이 미합중국 특허 제 5,809,763 호(하기에서 "'763 특허"라 칭함)에 개시되어 있다. '763 특허에 따르면, 볼트나 리벳과 같은 커넥터들을 사용하여 보우에 부품들을 장착시킨다. 이와는 다른 종래의 기술이 미합중국 특허 제 6,289,661 호(하기에서 "'661 특허"라 칭함)에 개시되어 있다. '661 특허는 부품들을 2개의 조각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 고정장치를 채용한다. 조각들은 보우의 단면 영역 주위로 조립되고, 볼트, 리벳 또는 다른 적당한 연결수단을 사용하여 서로 재부착된다.
이러한 장치들의 결점은 부품들을 보우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볼트와 너트, 리벳 등 다수의 파스너들(fasteners)을 채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보우로부터 닳거나 손상된 부품을 제거하기 위해서 각각의 볼트나 리벳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결국 부품들의 교체작업이 번거로워지고 노동력이 많이 든다. 다른 결점은, 고정장치의 부품들에 있어서, 클램프의 각각의 면은 각각의 볼트 및/또는 리벳들을 제거하여야 분리되기 때문에, 부품들을 교체하는데 있어서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고 시간소모가 많다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들의 또 다른 결점은 파스너들이 뜻하지 않게 부러지거나 느슨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안전하지 못하고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만일, 파스너들이 망가지거나 많은 수의 파스너들이 닳게 되면, 파스너들 및 회전하는 기계장치의 큰 부품들은 기계장치가 위험 속도에 달할 때 기계장치들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 있다. 또 다른 결점은 파스너들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마력 이상으로 보우 조립체의 하중을 무겁게 한다는 것이다. 또한, 파스너들은 보우가 견인력을 만들어내는 스핀회전을 할 때 바람에 대한 저항을 야기하게 되며, 그리하여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마력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적은 파스너들을 이용하여 가이드들과 마모 스트립들을 보우들에 부착시키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것은 부품들을 교체할 때 노동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우가 공기중에서 이동할때 효율을 증가시키고 파손에 따른 고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은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몇몇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 1은 플라이어 보우, 가이드, 마모 삽입부 및 스톱이 부분적으로 조립되어 있는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사시도;
도 2는 완전하게 조립된 구성의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의 사시도;
도 3a는 "비둘기 꼬리(dove-tail)"의 단면형상을 갖는 종방향 리세스를 구비한 도 1에 도시된 플라이어 보우의 단면도;
도 3b는 "티(T)"자의 단면형상을 갖는 종방향 리세스를 구비한 플라이어 보우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3c는 주 종방향 리세스 내에서 다수의 "비둘기 꼬리" 리세스들의 복합 단면형상을 갖는 종방향 리세스를 구비한 플라이어 보우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4a는 도 1, 2 및 3a에 도시된 플라이어 보우의 "비둘기 꼬리" 리세스들 내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배치된 확장 부분을 갖는 도 1에 도시된 마모 삽입부의 단면도;
도 4b는 도 3b에 도시된 플라이어 보우의 "티(T)"자의 단면형상을 갖는 리세스들 내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배치된 확장 부분을 갖는 다른 마모 삽입부의 단면도;
도 4c는 도 3c의 플라이어 보우의 주 종방향 리세스 내에서 다수의 "비둘기 꼬리" 리세스들의 복합 단면형상을 갖는 종방향 리세스 내로 끼워 맞추어 지도록 배치된 확장 부분을 갖는 마모 삽입부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5a는 도 1, 2 및 3a에 도시된 플라이어 보우의 "티(T)"자의 단면형상을 갖는 리세스들 내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배치된 확장 부분을 갖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의 단면도;
도 5b는 도 3b에 도시된 플라이어 보우의 "티(T)"자의 단면형상을 갖는 리세스들 내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배치된 확장 부분을 갖는 가이드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그리고
도 5c는 도 3c의 플라이어 보우의 주 종방향 리세스 내에서 다수의 "비둘기 꼬리" 형상 리세스들의 복합 단면형상을 갖는 종방향 리세스 내로 끼워 맞추어 지도록 배치된 확장 부분을 갖는 가이드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본 발명의 장점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하기에서 구체화되고 폭넓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 따르면, 내부 면과 외부 면을 갖는 기다란 플라이어 보우로 이루어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내부 면과 상기 외부 면중 어느 하나는 해당 면 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리세스를 구비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내부 횡단 칫수와 외부 횡단 칫수를 갖는다. 이때, 내부 횡단 칫수는 외부 횡단 칫수보다 크다. 상기 장치는 플라이어 보우의 종방향 리세스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된 보우 결합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마모 부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마모 부품은 보우 결합부에 대향하는 마모 면을 가지며, 종방향 리세스와 결합하여 마모 삽입부의 방사상 운동을 상당히 제한한다. 상기 장치는 종방향 리세스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보우 결합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는 가이드의 보우 결합부에 대향하는 가이드 개구부를 구비한다. 종방향 리세스에서 가이드와 보우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가이드의 방사상 운동이 상당히 제한된다. 상기 장치는 종방향 리세스들 내에서 마모 결합부들과 가이드들이 종방향으로 한정되도록 플라이어 보우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stop)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종방향 리세스를 갖는 플라이어 보우용 마모 삽입부(wear insert)가 제공된다. 마모 삽입부는 상기 종방향 리세스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보우 결합부를 포함한다. 보우 결합부는 내부 횡단 칫수와 외부 횡단 칫수를 가지며, 이때 내부 횡단 칫수는 외부 횡단 칫수보다 크다. 상기 마모 삽입부는 상기 보우 결합부에 대향하는 마모 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종방향 리세스를 갖는 플라이어 보우용 가이드가 제공된다. 가이드는 종방향 리세스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보우 결합부를 포함한다. 보우 결합부는 내부 횡단 칫수와 외부 횡단 칫수를 가지며, 이때 내부 횡단 칫수는 외부 횡단 칫수보다 크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보우 결합부에 대향하는 가이드 개구부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장치는 용이하게 교체되는 플라이어 보우용 교체가능한 부품들을 제공한다. 이들은 위험 속도에서 플라이어 보우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있는 파스너들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안전하게 보유될 수 있고, 내마모성 재료로부터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도면들을 참조한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명백하게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된 것이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들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 따르면, 내면과 외면을 갖는 기다란 플라이어 보우(flyer bow)를 구비한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내면과 외면중 하나는 해당 면 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리세스를 갖는다. 플라이어 보우는 플라이어 보우로 작동가능한 것으로서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소정의 재료로서 제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플라이어 보우는 금속들, 또는 금속이나 중합체 매트릭스를 갖는 섬유강화 복합물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플라이어 보우들에 장착된 부품들이 방사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파스너들 없이 작동하도록 설계됨에 따라, 본 발명의 플라이어 보우에 대해서 사용된 재료는 종방향 리세스 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의 움직임으로부터 부품들을 제한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성질을 가져야한다.
도 1, 2 및 3a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어 보우(100)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종방향 리세스(102)를 갖는다. 이 실시 예에 있어서, 종방향 리세스(102)는 플라이어 보우(100)의 상부면(104)에 제공되는데, 플라이어 보우 및 그에 부착된 부품들은 뒤바뀔 수 있고, 종방향 리세스는 플라이어 보우(100)의 바닥면(106)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자면, 도 2에 도시된 조립체는 뒤집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플라이어 보우의 길이를 따르는 방향은 "종방향"이고, "횡방향"은 한 테두리로부터 다른 테두리로 플라이어 보우의 폭을 가로지르는 방향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은 테두리(108)로부터 테두리(110)에 이르는 방향이다. "방사상 방향"은 도 1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이어 보우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플라이어 보우는 내부 횡단 칫수와 외부 횡단 칫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구비한 종방향 리세스를 포함한다. 이때, 내부 횡단 칫수는 외부 횡단 칫수 보다 크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리세스(102)는 외부 횡단 칫수(b-b) 보다 큰 내부 횡단 칫수(a-a)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도 3b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종방향 리세스(202)는 외부 횡단 칫수(d-d) 보다 큰 내부 횡단 칫수(c-c)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방향 리세스는 그 안에 위치한 부품들이 방사상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데, 이것은 방사상 이동 제한을 제공하는 종방향 리세스 또는 리세스들의 내부 횡단 칫수와 외부 횡단 칫수들 사이의 부조화에 근거한다. 도 3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리세스(302)는 2개의 작은 종방향 리세스들(304,306)을 갖는 복합 리세스이다. 이러한 2개의 "비둘기 꼬리(dove-tail)"형상의 리세스들은 외부 횡단 칫수 보다 큰 내부 횡단 칫수를 각각 갖는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횡단 칫수(e-e)는 외부 횡단 칫수(f-f) 보다 크다. 그러므로, 도 3c의 실시 예에 있어서, 종방향 리세스들(310,312,314,316)의 측면들은 복합 종방향 리세스(302) 내에서 상호보완적인 형상을 갖는 부품들이 방사상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한다.
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가변적인 단면형상을 갖는 종방향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부품들이 리세스에 끼워 맞추어지는 부분들을 구비하거나 그렇지 않고 부품들이 리세스에 정확하게 끼워 맞추어지지 않는 경우, 플라이어 보우의 길이를 따라서 특정 위치들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다른 형상을 가져서 리세스와 결합하는 부분들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실시 예가 작동가능하면, 그러한 부품들에 대하여 몇몇 종방향 제한을 제공한다. 수정된 크기의 부품을 비균등 종방향 리세스를 갖는 플라이어 보우를 따르는 적당한 위치에 조화를 이루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종방향 리세스는 종방향을 따라서 균등한 단면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플라이어 보우의 종방향 리세스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된 보우 결합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마모 삽입부가 제공되는데, 보우 결합부는 종방향 리세스 내에서 마모 결합부의 방사상 이동을 상당히 제한하는 종방향 리세스와 결합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마모 삽입부(402,404,406)가 제공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모 삽입부(402)는 마모 삽입부의 기저부로 이루어진 결합부(408)를 포함한다. 이때, 결합부(408)는 도 1, 2 및 3a에 도시된 플라이어 보우(100)의 종방향 리세스(102) 내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배치된 서로 대향하는 삼각형상의 돌출부(410,412)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마모 삽입부(402)의 결합부(408)의 폭은 종방향 리세스(102)의 내부 횡단 칫수(a-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결합부(408)의 각도들은 마모 삽입부가 종방향 리세스(102) 내로 종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도록 종방향 리세스의 각도들과 부합한다. 이러한 관계를 하기에서는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으로 언급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마모 삽입부의 기능은 플라이어 보우의 표면에서 플라이어 보우에 의해 감겨진 기다란 재료의 미끄럼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마모 삽입부는 결합부에 대향하는 마모 삽입부의 표면 상에서 마모 면을 갖는다.
마모 삽입부들(402,404,406)은 경질의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된다. 내마모성 재료의 성분은 임계적인 것이 아니다. 미끄럼 접촉에 의한 마모에 견딜 수 있고 가해질 부하를 견디기에 충분한 강도의 몇몇 응력 부양구(stress raiser)를 갖는 부품들로 조립되기에 충분한 파열 강도를 가져야만 한다. 마모 삽입부들은, 강하지만 필수적으로 내마모성을 가지지는 않으며 플라이어 보우와 결합하는 부분, 플라이어 보우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기다란 물품과 미끄럼 접촉하는 마모 삽입부의 일부에 피복된 코팅이나 내마모 층과 같은 각기 다른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모 삽입부는 내마모 코팅을 갖는 금속, 마모 삽입부에 결합하거나 부착된 내마모 금속이나 세라믹 삽입부를 갖는 복합물, 또는 동종의 내마모성 재료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마모성 금속은 알루미나, 지르코늄, 실리콘 질화물 및 텅스텐 카바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세라믹 재료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4b에는 마모 삽입부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마모 삽입부(404)의 베이스(416)는 2개의 대향하는 직사각형 부분들(418,4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예는 도 3b의 플라이어 보우(100)에 제공된 종방향 리세스(416) 내로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마모 삽입부(404)의 베이스(416)의 폭은 종방향 리세스(202)에서 횡단 칫수(c-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마모 삽입부가 종방향 리세스(202) 내로 종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마모 삽입부의 방사상 및 횡방향 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베이스(416)의 높이(도 4b에서 g-g)는 도 3b에 도시된 "티(T) 형상"의 종방향 리세스(202)의 높이(도 3의 h-h)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c에는 마모 삽입부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마모 삽입부(406)의 베이스(422)는 2개의 대향하는 비둘기 꼬리형상의 부분들(424,426)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예는 도 3c의 플라이어 보우(100)에 제공된 종방향 리세스(302) 내로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마모 삽입부(406)의 베이스(422)의 폭은 종방향 리세스(302)에서 횡단 칫수(e-e)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마모 삽입부가 종방향 리세스(302) 내로 종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마모 삽입부의 방사상 및 횡방향 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2개의 비둘기 꼬리형상의 부분(424,426)의 횡단 칫수들과 높이들은 도 3c에 도시된 플라이어 보우(100)의 종방향 리세스(304,306)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에 도시된 마모 삽입부는 마모 삽입부에 가해질 방사상 부하가 마모 삽입부의 외부 횡단 한계값들에 의해서 단독으로 책임지워지지는 않는 장점을 갖는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마모 삽입부들(402,404,406)은 반원형의 종방향 홈(432)을 포함하는 마모 표면을 갖는다. 홈의 형상이나 심지어 그 존재는 사용될 조립체나 마모 삽입부의 작동에 대하여 임계적인 것으로는 알려지지 않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플라이어 보우에 있는 종방향 리세스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된 보우 결합부를 가지며 종방향 리세스와 결합하여 종방향 리세스 내에서 마모 결합부의 방사상 이동을 상당히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가 존재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마모 결합부(502,504,506)가 도시되어 있다. 마모 삽입부(502)는 마모 삽입부의 기저부로 이루어진 결합부(508)를 포함한다. 이때, 결합부(508)는 도 1, 2 및 3a에 도시된 플라이어 보우(100)의 종방향 리세스(102) 내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배치된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돌출부들(510,512)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마모 삽입부(502)의 베이스(508)의 폭은 종방향 리세스(502)의 내부 횡단 칫수(a-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베이스(508)의 각도들은 가이드가 종방향 리세스(102) 내로 종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도록 종방향 리세스(102)의 각도들과 부합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가이드의 기능은 플라이어 보우에 의해서 감겨진 기다란 재료를 한정하고 재료가 플라이어 보우의 표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가이드는 가이드에서 결합부에 대향하는 개구부를 갖는다.
가이드들(502,504,506)은 경질의 내마모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내마모성 재료의 성분은 임계적인 것이 아니다. 미끄럼 접촉에 의한 마모에 견딜 수 있고 가해질 부하를 견디기에 충분한 강도의 몇몇 응력 부양구를 갖는 상대적으로 얇은 구간들을 갖는 부품들로 조립되기에 충분한 파열 강도를 가져야만 한다. 가이드들은, 강하지만 필수적으로 내마모성을 가지지는 않으며 플라이어 보우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기다란 물품과 미끄럼 접촉하는 가이드의 개구부의 내부에 피복된 코팅이나 내마모 층과 같은 각기 다른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모 삽입부는 내마모 코팅을 갖는 금속, 마모 삽입부에 결합하거나 부착된 내마모 금속이나 세라믹 삽입부를 갖는 복합물, 또는 동종의 내마모성 재료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마모성 금속은 알루미나, 지르코늄, 실리콘 질화물 및 텅스텐 카바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세라믹 재료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5b에는 가이드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마모 삽입부(504)의 베이스(516)는 2개의 대향하는 직사각형 부분들(518,5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예는 도 3b의 플라이어 보우(100)에 제공된 종방향 리세스(202) 내로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마모 삽입부(504)의 베이스(516)의 폭은 종방향 리세스(202)에서 횡단 칫수(c-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마모 가이드가 종방향 리세스(202) 내로 종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마모 가이드의 방사상 및 횡방향 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베이스(516)의 높이(도 5b에서 i-i)는 도 3b에 도시된 "티(T) 형상"의 종방향 리세스(202)의 높이(도 3의 h-h)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5c에는 마모 삽입부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마모 삽입부(506)의 베이스(522)는 2개의 대향하는 비둘기 꼬리형상의 부분들(524,526)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예는 도 3c의 플라이어 보우(100)에 제공된 종방향 리세스(302) 내로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마모 삽입부(506)의 베이스(522)의 폭은 종방향 리세스(302)에서 횡단 칫수(e-e)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가이드가 종방향 리세스(302) 내로 종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마모 가이드의 방사상 및 횡방향 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2개의 비둘기 꼬리형상의 부분(524,526)의 횡단 칫수들과 높이들은 도 3b에 도시된 플라이어 보우(100)의 종방향 리세스(304,306)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5c에 도시된 가이드는 마모 삽입부에 가해질 방사상 부하가 가이드의 외부 횡단 한계값들에 의해서 단독으로 책임지워지지는 않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가이드는 가이드에서 결합부에 대향하는 개구부를 갖는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들(502,504,506)은 원형 개구부(532)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분(528)을 구비한다. 개구부의 형상은 사용될 가이드나 조립체의 작동에 대하여 임계적인 것으로 알려지지는 않았다. 개구부의 직경은 안내될 개구부를 통과하는 재료의 직경보다 커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종방향 리세스에서 상기 마모 삽입부들과 가이드들이 종방향으로 한정될 정도로 플라이어 보우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톱(stop)을 포함한다. 스톱의 기능은 플라이어 보우에 있는 종방향 리세스 내에서 부품들(마모 삽입부와 가이드들)의 종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112)은 마모 삽입부(402)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스톱(112)의 베이스는, 스톱(112)이 위치될 플라이어 보우의 종방향 리세스의 단면 형상에 따라서, 마모 삽입부들의 기저부들에 대하여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스톱은 종방향 리세스와 미끄럼 결합하도록 배치된 보우 결합부를 포함한다. 스톱이 종방향 리세스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 스톱과 종방향 리세스의 결합에 의해 스톱의 방사상 운동을 상당히 제한한다. 또한, 파스너들(도시되지 않음)이 스톱(112)을 플라이어 보우(100)에 부착시키고, 이에 의해 종방향 리세스(102)에 위치하는 스톱과 모든 부품들이 종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112)은 인접한 마모 삽입부(402)와 접하고, 마모 삽입부(402)는 다시 마모 삽입부(402',402") 및 가이드(402)와 연속해서 접한다. 그러한 방식으로, 플라이어 보우의 종방향 리세스에 있는 부품들은 과도한 수의 파스너들을 사용함이 없이 방사상 및 수평운동이 제한된다. 마모 삽입부들과 가이드들은 다수의 파스너들을 분해시킬 필요없이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파스너들이 필요없게 됨에 따라서, 그러한 파스너들이 느슨해져서 장치의 사용중에 장치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모드로서 설명하고 있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로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영역 내에 있는 모든 실시 예들을 포함하게 될 것이다.

Claims (21)

  1. 내부 면과 외부 면을 갖는 기다란 플라이어 보우(flyer bow)로, 상기 내부 면과 상기 외부 면중 어느 하나는 해당 면 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리세스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리세스는 내부 횡단 칫수와 외부 횡단 칫수를 가지며, 이때 상기 내부 횡단 칫수는 상기 외부 횡단 칫수보다 큰, 플라이어 보우;
    상기 종방향 리세스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된 보우 결합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마모 삽입부로, 상기 보우 결합부에 대향하는 상기 마모 삽입부의 면상에서 마모 면을 가지며, 상기 종방향 리세스와 결합하여 상기 마모 삽입부의 상당한 방사상 운동을 제한하는 마모 삽입부;
    상기 종방향 리세스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보우 결합부, 및 상기 보우 결합부로부터 상기 가이드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위치된 가이드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종방향 리세스에서 상기 보우 결합부와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의 방사상 운동을 상당히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그리고
    상기 종방향 리세스들 내에서 상기 마모 결합부들과 상기 가이드들이 종방향으로 한정되도록 상기 플라이어 보우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sto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은 상기 종방향 리세스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된 보우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리세스와 결합하여 상기 스톱의 방사상 운동을 상당히 제한하며, 상기 스톱은 상기 종방향 리세스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리세스는 균등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리세스는 삼각형의 일부인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리세스는 복합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면 형상은 삼각형들의 몇몇 부분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면 형상은 다수의 비둘기 꼬리(dove-tail) 형상의 리세스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종방향 리세스를 갖는 플라이어 보우에 대한 마모 삽입부(wear insert)로서,
    상기 종방향 리세스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보우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우 결합부는 내부 횡단 칫수와 외부 횡단 칫수를 가지며, 이때 상기 내부 횡단 칫수는 상기 외부 횡단 칫수보다 크고, 상기 마모 삽입부는 상기 보우 결합부에 대향하는 마모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삽입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와 상기 보우 결합부는 균등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삽입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균등한 단면 형상들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삽입부.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리세스와 상기 보우 결합부는 삼각형의 일부인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삽입부.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리세스와 상기 보우 결합부는 복합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삽입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면 형상은 삼각형들의 몇몇 부분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삽입부.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면 형상은 다수의 비둘기 꼬리 형상의 리세스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삽입부.
  15. 종방향 리세스를 갖는 플라이어 보우에 대한 가이드로서,
    상기 종방향 리세스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보우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우 결합부는 내부 횡단 칫수와 외부 횡단 칫수를 가지며, 이때 상기 내부 횡단 칫수는 상기 외부 횡단 칫수보다 크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보우 결합부에 대향하는 가이드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리세스와 상기 보우 결합부는 균등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균등한 단면 형상들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리세스와 상기 보우 결합부는 삼각형의 일부인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리세스와 상기 보우 결합부는 복합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면 형상은 삼각형들의 몇몇 부분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면 형상은 다수의 비둘기 꼬리 형상의 리세스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KR1020057016507A 2003-03-06 2004-03-05 플라이어 보우를 위한 교체가능한 부품들 KR101124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79,704 2003-03-06
US10/379,704 US6865875B2 (en) 2003-03-06 2003-03-06 Replaceable components for a flyer bow
PCT/US2004/006600 WO2004081266A2 (en) 2003-03-06 2004-03-05 Replaceable components for a flyer b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174A true KR20050118174A (ko) 2005-12-15
KR101124162B1 KR101124162B1 (ko) 2012-03-27

Family

ID=3292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507A KR101124162B1 (ko) 2003-03-06 2004-03-05 플라이어 보우를 위한 교체가능한 부품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865875B2 (ko)
EP (1) EP1613805B1 (ko)
JP (1) JP4545740B2 (ko)
KR (1) KR101124162B1 (ko)
CN (1) CN100554540C (ko)
CA (1) CA2556952C (ko)
HK (1) HK1093537A1 (ko)
MX (1) MXPA05009438A (ko)
WO (1) WO200408126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4011778D1 (de) * 2004-06-29 2010-11-25 Sgl Carbon Se Rotorbügel für Drahtverlitzungs- oder Drahtverseilmaschinen
US7165387B2 (en) 2005-03-02 2007-01-23 Kamatics Corporation Flyer bow with semi-enclosed wire guides
US8336161B1 (en) 2010-01-19 2012-12-25 Huestis Machine Corporation Air wiping device
US8623149B2 (en) 2010-01-19 2014-01-07 Best Medical International, Inc. Air wiping device
US8225524B1 (en) 2010-01-19 2012-07-24 Huestis Machine Corporation Air wiping device
DE102010014356A1 (de) * 2010-04-09 2011-10-13 Maschinenfabrik Niehoff Gmbh & Co Kg Maschine zum Verarbeiten von langgestrecktem Stranggut
US9976252B2 (en) 2014-07-21 2018-05-22 Keir Manufacturing, Inc. Aerodynamic flyer bow
DE102014011772A1 (de) * 2014-08-08 2016-02-11 Maschinenfabrik Niehoff Gmbh & Co. Kg Rotorbügel mit rohrförmigem Führungselement, insbesondere für eine Maschine zum Verarbeiten von langgestrecktem Stranggut
US10407826B2 (en) 2015-11-16 2019-09-10 Roy R. R. Rymer Detachable flyer bow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same
AU2017100428A4 (en) * 2016-05-04 2017-05-18 Warn Industries, Inc. A composite fairlead with a wear plat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71261A (en) * 1920-08-23 1921-03-15 Mitchell D Price Fishing-rod
US3793819A (en) * 1973-02-16 1974-02-26 Anaconda Co Quiet strander
JPS5247861A (en) 1975-10-15 1977-04-16 Toppan Printing Co Ltd Method of producing multiilayer tube
JPS52158130U (ko) * 1976-05-22 1977-12-01
DE2742612A1 (de) * 1977-09-22 1979-04-05 Toshiba Machine Co Ltd Maschine zum verdrillen von draehten
US4256268A (en) * 1979-02-15 1981-03-17 Universal Manufacturing Co., Inc. Coil winding machine to wind saddle-shaped coils
DE69208964T2 (de) * 1991-07-23 1996-08-14 Bekaert Sa Nv Führungsbogen
JP2542545B2 (ja) * 1992-03-04 1996-10-09 株式会社琴鈴エンジニアリング 撚線機のフライヤ―バウ
JPH086269B2 (ja) * 1993-06-03 1996-01-24 株式会社琴鈴エンジニアリング 撚り線機のフライヤーバウ
JP2771441B2 (ja) * 1993-12-28 1998-07-02 日本碍子株式会社 圧延ライン用セラミックス製ガイド
US5809763A (en) * 1996-10-16 1998-09-22 Kamatics Corporation Flyer bow having an airfoil shape in cross section
US6289661B1 (en) * 1999-12-07 2001-09-18 Kamatics Corporation Wire guide holder
US6385955B1 (en) * 2000-12-04 2002-05-14 Kamatics Corporation Adjustable height self-lubricating pulley system for use with a flyer bow
DE10108416A1 (de) * 2001-02-21 2002-08-29 Rieter Ingolstadt Spinnerei Stützscheibengrundkörper zur Lagerung eines Offenend-Spinnro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519941A (ja) 2006-08-31
US6865875B2 (en) 2005-03-15
CA2556952A1 (en) 2004-09-23
HK1093537A1 (en) 2007-03-02
KR101124162B1 (ko) 2012-03-27
CN100554540C (zh) 2009-10-28
CA2556952C (en) 2012-05-01
JP4545740B2 (ja) 2010-09-15
EP1613805A4 (en) 2007-07-25
MXPA05009438A (es) 2006-04-07
EP1613805A2 (en) 2006-01-11
US20040172932A1 (en) 2004-09-09
CN1802459A (zh) 2006-07-12
WO2004081266A2 (en) 2004-09-23
EP1613805B1 (en) 2015-12-30
WO2004081266A3 (en)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162B1 (ko) 플라이어 보우를 위한 교체가능한 부품들
US9728943B2 (en) Cable slider with symmetric pieces
JP5519607B2 (ja) エレベータ用の引張り部材
JP5624921B2 (ja) エレベータ用引張り部材
US10669670B2 (en) Rope having a spliced eye, corresponding method of forming an eye and use of the rope
US8714345B2 (en) Looped material band provided with a splice
JP2007031147A (ja) 支持手段端部接続部および支持手段を備えるエレベータ設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において支持手段の端部を締結する方法
EP2544321A1 (en) Spacer damper clamp arm
US201703564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ynthetic Semi-Static Tensile Member
US5348143A (en) Splice assembly for connecting belt ends
DE19706073C2 (de) Stall-Entmistungsanlage
JP6697297B2 (ja) 工業用ベルト
JP2016539884A (ja) ベルトコンベアの搬送ベルトから材料を剥ぎ取るための装置
EP1079020A3 (en) Rotation-resisting wire rope
US11207796B2 (en) Cutting belt with a plurality of cable segments
JP2002192279A (ja) 高さ調節可能な自己潤滑プーリシステム
US1003597A (en) Wire rope or cable.
US5551224A (en) Device for reverse-twisting stranding elements
US1405838A (en) Wire rope
US8523719B1 (en) Helical tensioner for tension members
US1777117A (en) Wire rop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70218566A1 (en) Rotor bow comprising a tubular guide element, particularly for a machine for processing elongate strand material
JPS61193305A (ja) 平型エレベ−タケ−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