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975A -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975A
KR20050117975A KR1020040043276A KR20040043276A KR20050117975A KR 20050117975 A KR20050117975 A KR 20050117975A KR 1020040043276 A KR1020040043276 A KR 1020040043276A KR 20040043276 A KR20040043276 A KR 20040043276A KR 20050117975 A KR20050117975 A KR 20050117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ntioxidant composition
paulownia
weight
natural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040043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7975A/ko
Publication of KR20050117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9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0Fumariaceae (Fumitory family), e.g. bleeding hea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벽오동나무의 파쇄물 3 내지 15 중량%와 용매 85 내지 97중량%를 용기에 충전하여 6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상기 용매의 중량%가 45 내지 65가 될 때까지 가열한 후 건조하여 분말 성상의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우리 나라 전역에 자생하고 있는 벽오동나무를 가지, 잎 및 열매 부분을 이용하여 강력한 항산화제를 대량 제조할 수 있으며, 독성이 없고 항산화도가 매우 높은 천연 지용성 물질로, 액상 및 분말 성상 등으로 제조가 가능함은 물론 다양한 기능성 물질의 부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atural Antioxidant Composition with an Extract of Chinese Parasol Tre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벽오동나무의 줄기, 열매 및 잎 등을 세절하여 음용수 또는 식염수에 충전, 가열하여 건조함으로써 항산화도가 우수한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 또는 분말 성상의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항산화제 연구는 식품 공업, 발효 공업 및 의약 산업분야, 농업 분야 등의 다방면에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국가 경제 산업적 측면에서 매우 큰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지금까지 알려진 항산화제가 약한 활성, 독성 및 사용상의 한계로 인하여 의약 활성물질로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천연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강한 활성을 지닌 신규의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항산화제의 전세계 시장 규모는 식품 분야에서 연간 10억달러 이상이며 이들의 대부분은 천연 항산화제가 이용되고 있다. 국내에서의 항산화제 개발 연구는 대부분 식품 소재를 재료로 하여 항산화 활성의 유무 및 활성의 강도를 측정하고 식품의 보호제로서의 항산화제의 이용에 국한되어 왔다. 현재 항염증제, 뇌신경세포 보호제, 피부 노화 방지제 및 식품 첨가물의 개발을 목적으로 제약 회사 등의 기업과 대학 및 연구소 등에서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천연 항산화제의 재료로는 미생물 대사산물을 비롯하여 버섯류, 조류 등의 해양 생물, 식물, 동물, 식품 가수분해산물 등으로 매우 다양하며, 발견되는 항산화 물질의 종류 또한 대상이 되는 천연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짝이중결합(conjugated double bond), 페놀 구조, -SH기를 갖는 화합물, 식물염기(alkaloids), 유기산 등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등 식물에서 발견되는 천연 항산화 물질의 대부분은 페놀성 화합물이다. 이러한 페놀성 화합물은 독성이 강한 페놀 분자의 환상에 치환기로서 수산기가 더해짐에 따라 일반적으로 독성이 약하고 항산화 활성이 증가되는 특징을 갖으며, 대표적인 것이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이다.
또한, 프랑스 보르도 지방 남부에 생육하고 있는 프랑스 적송의 수피에서 추출한 수용성 식물 성분인 파이코노제놀(Pyconogenol)은 비타민 E의 50배, 비타민 C의 20배 이상의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식품 첨가물, 화장품 원료 등의 목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 파이코노제놀은 미국에서만도 건강 식품 시장에서 수년간 3억불의 매우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최근 일본에서도 판매를 시작했는데 음료와 화장품 원료로 kg당 40만엔을 호가하고 있는 등 커다란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 항산화제는 특수 시설에서 복잡하고 반복적인 추출 공정이 요구됨은 물론 원재료 대비 최종 추출물의 비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곤란하며 고단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도가 높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을 제공함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오동나무의 줄기, 열매 및 잎의 파쇄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부가물로써 오리나무, 백년초, 포도씨 및 녹차잎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을 더 함유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벽오동나무 추출물 및 상기 부가물의 추출물의 중량비가 1 : 0.1 내지 1.5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오동나무의 파쇄물 3 내지 15 중량%와 용매 85 내지 97중량%를 용기에 충전한 후 6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 내지 4시간 가열하여 액상의 벽오동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벽오동나무의 줄기, 열매 및 잎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1 내지 3회 수세하여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수세된 상기 원재료를 30 내지 8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원재료를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파쇄물은 직경 0.1 내지 10㎝의 입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용매는 음용수, 증류수 및 식염수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1종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벽오동나무의 파쇄물 3 내지 15 중량%와 용매 85 내지 97중량%를 용기에 충전하여 6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상기 용매의 중량%가 45 내지 65가 될 때까지 가열한 후 건조하여 분말 성상의 벽오동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명 Firmiana simplex인 벽오동나무(Chinese Parasol Tree)의 분포 및 특성, 주요 성분 (부위별), 식용 근거, 효능 및 효과 및 기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한국식품의약청의 식품원재료 서치 2002 발췌).
<분포 및 특성>
중국 ·인도차이나 ·타이완 및 류큐[琉球] 원산이다.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가로수로 심고 있으며 경기도에서도 곳에 따라 월동이 가능하다.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아욱목 벽오동과의 낙엽교목이며 저지대의 길가에 서식한다. 높이 15m 정도로 굵은 가지가 벌어지고 나무껍질은 녹색이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넓으며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는 모여 달리고 가장자리가 3 내지 5개로 갈라지며, 톱니의 길이와 너비가 16 내지 25cm이다. 잎자루는 잎보다 길다.
꽃은 6, 7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피고 원추꽃차례[圓錐花序]를 이루며 단성화이다. 하나의 꽃이삭에 암꽃과 수꽃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뒤로 젖혀지며 꽃잎은 없다. 합쳐진 수술대 끝에 10 내지 15개의 꽃밥이 달린다. 열매는 삭과(殼果)로 성숙하기 전에 5개로 갈라져서 둥근 종자가 겉에 나타난다.
<주요 성분(부위별)>
잎에는 정유 0.075%, 타닌질 3 내지 4%, 수지 4 내지 5%, 유기산 2.5%와 흔적의 알칼로이드, 콜린, 베타인이 있다.
열매에는 카페인, 테오브로민, 구조가 밝혀지지 않은 알칼로이드, 유기산, 기름이 있다.
<식용 근거>
종자를 구워서 먹는다.
<효능 및 효과>
[약리] 소염제, 수렴제, 거담약, 해열제, 연고
[효능] 종자는 소염작용, 거담작용, 해열작용을 한다. 뿌리를 달인 즙은 종기를 치료하고 잎으로 만든 세척제는 등창이나 상처에 효과가 있다.
잎과 씨의 알코올 추출액은 근육의 긴장도를 높여준다.
정신적, 육체적 피로, 병후쇠약에 흥분약으로 쓴다.
씨를 해열제,염증약으로 쓰며 어린이들의 머리칼이 희여질 때 머리칼을 검게 한는 약을 달여 먹인다. 같은 목적에서 껍질 또는 열매즙으로 머리를 감긴다. 또한 어린이들이 입안이 헐때에도 쓴다. 나무껍질에는 점액질이 많아 종이생산용풀로도 쓴다.
<기타>
종자는 볶아서 커피 대용으로 쓰고, 줄기의 인피 섬유는 질이 좀 거칠지만 빛이 희고 질기며, 습기에 견디기 때문에 조포를 짜고 밧줄을 만드는데 쓴다. 또 나무 껍질에는 끈적질이 있어서 제지용 풀감이나, 머리털용 화장품 재료로도 쓰인다. 줄기와 잎은 빛이 곱고 우아하여 정원수로 알맞다
<<실시예 1>> 액상의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의 제조
(a) 원재료 준비 단계
벽오동나무의 줄기, 열매 또는 잎 등을 선별하여 세정수로 1 내지 3회 수세한다. 여기서, 줄기는 수세 전단계에서 15 내지 30㎝ 정도 길이로 초벌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수세된 재료를 30 내지 80℃ 정도의 온도로 열풍 건조한다,
이후, 건조된 재료를 직경이 0.1 내지 10㎝ 정도로 파쇄한다. 여기서, 줄기, 열매 및 잎 등은 각기 2 내지 5㎝, 0.1 내지 1㎝ 및 1 내지 5㎝ 정도로 각기 파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원재료는 줄기, 열매 또는 잎 등의 개별적으로 파쇄되어 각기 섞이지 않도록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배합 단계
파쇄물은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포대에 담아 음용수, 증류수 또는 식염수(이하 "음용수등"이라 한다)가 담겨진 용기에 충전한다.
여기서, 파쇄물 및 음용수등을 각기 3 내지 15 중량%와 85 내지 97 중량%가 되도록 배합된다.
(c) 가열 단계
음용수등에 충전된 파쇄물을 60 내지 150℃ 정도의 온도에서 1 내지 4시간 가열한다.
여기서, 가열 조건은 100 내지 120℃ 정도의 온도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가열된다. 또한 전술된 가열 조건하에서 음용수등의 중량%가 45 내지 65가 될 때까지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러한 가열 단계에서, 역겨운 냄새가 나기 때문에 소기하여 집진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액상의 항산화제 조성물 제조 단계
가열이 완료되면, 다공성 포대를 제거한 후 용기 내에 잔존된 액상의 물질을 실온까지 자연 또는 강제 냉각하여 액상의 항산화제 조성물을 제조 완료한다.
<<실시예 2>> 분말 성상의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의 제조
(a) 원재료 준비 단계
벽오동나무의 줄기, 열매 또는 잎 등을 선별하여 세정수로 1 내지 3회 수세한다. 여기서, 줄기는 수세 전단계에서 15 내지 30㎝ 정도 길이로 초벌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수세된 재료를 30 내지 80℃ 정도의 온도로 열풍 건조한다,
이후, 건조된 재료를 직경이 0.1 내지 10㎝ 정도로 파쇄한다. 여기서, 줄기, 열매 및 잎 등은 각기 2 내지 5㎝, 0.1 내지 1㎝ 및 1 내지 5㎝ 정도로 각기 파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원재료는 줄기, 열매 또는 잎 등의 개별적으로 파쇄되어 각기 섞이지 않도록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배합 단계
파쇄물은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포대에 담아 음용수등이 담겨진 용기에 충전한다.
여기서, 파쇄물 및 음용수등을 각기 3 내지 15 중량%와 85 내지 97 중량%가 되도록 배합된다.
(c) 가열 단계
음용수등에 충전된 파쇄물을 60 내지 150℃ 정도의 온도에서 1 내지 4시간 가열한다.
여기서, 가열 조건은 100 내지 120℃ 정도의 온도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가열된다. 또한 전술된 가열 조건하에서 음용수등의 중량%가 45 내지 65가 될 때까지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러한 가열 단계에서, 역겨운 냄새가 나기 때문에 소기하여 집진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분말 성상의 항산화제 조성물 제조 단계
가열이 완료되면, 다공성 포대를 제거한 후 용기 내에 잔존된 액상의 물질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 성상의 항산화제 조성물을 제조 완료한다.
여기서, 식염수를 이용하여 항산화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분말 성상의 조성물에 염(鹽)이 잔존하기 때문에 (c)단계의 다음 또는 (d)단계 전에 염을 석출하는 공정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기능성 부가물이 첨가된 분말 성상의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의 제조
(a) 원재료 준비 단계
벽오동나무의 줄기, 열매 또는 잎 등을 선별하여 세정수로 1 내지 3회 수세한다. 여기서, 줄기는 수세 전단계에서 15 내지 30㎝ 정도 길이로 초벌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수세된 재료를 30 내지 80℃ 정도의 온도로 열풍 건조한다,
이후, 건조된 재료를 직경이 0.1 내지 10㎝ 정도로 파쇄한다. 여기서, 줄기, 열매 및 잎 등은 각기 2 내지 5㎝, 0.1 내지 1㎝ 및 1 내지 5㎝ 정도로 각기 파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원재료는 줄기, 열매 또는 잎 등의 개별적으로 파쇄되어 각기 섞이지 않도록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배합 단계
파쇄물은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포대에 담아 음용수등이 담겨진 용기에 충전한다.
여기서, 파쇄물 및 음용수등을 각기 3 내지 15 중량%와 85 내지 97 중량%가 되도록 배합된다.
(c) 가열 단계
음용수등에 충전된 파쇄물을 60 내지 150℃ 정도의 온도에서 1 내지 4시간 가열한다.
여기서, 가열 조건은 100 내지 120℃ 정도의 온도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가열된다. 또한 전술된 가열 조건하에서 음용수등의 중량%가 45 내지 65가 될 때까지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러한 가열 단계에서, 역겨운 냄새가 나기 때문에 소기하여 집진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분말 성상의 항산화제 조성물의 1차 제조 단계
가열이 완료되면, 다공성 포대를 제거한 후 용기 내에 잔존된 액상의 물질을 동결 건조하여 미세하게 분쇄하여 분말 성상의 1차 항산화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여기서, 식염수를 이용하여 항산화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분말 성상의 조성물에 염(鹽)이 잔존하기 때문에 (c)단계의 다음 또는 (d)단계 전에 염을 석출하는 공정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 기능성 부가물의 첨가 및 최종 항산화제 조성물 제조 단계
전술된 1차 항산화제 조성물에 부가물로서 오리나무, 백년초, 포도씨 및 녹차잎 등의 분말 성상의 추출물을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하여 첨가함으로써 최종 항산화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부가물인 오리나무와 백년초의 분포 및 특성, 주요 성분 (부위별), 식용 근거, 효능 및 효과 및 기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한국식품의약청의 식품원재료 서치 2002 발췌).
학명 Alnus japonica (Thunberg) Steudel 인 오리나무
<분포 및 특성>
한국·일본·중국 등에 분포한다. 낙엽교목, 우리 나라 각처에 자란다. 피목이 뚜렷하고, 잎은 호생, 긴 타원형, 길이 6 내지 12cm, 폭 3 내지 5cm, 뒷면의 맥겨드랑이에 적갈색 털,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3 내지 4월에 피고, 이삭화서, 암수한그루이다. 수꽃 이삭은 축 늘어지고, 기둥 모양이다. 암꽃 이삭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가지 끝에 곧게 선다. 열매는 소견과, 넓은 타원형이다. 결실기는 10월이다.
<주요 성분(부위별)>
껍질에 5 내지 10%의 탄닌질, 트리테르페노이드인 타락세롤, 베툴린산이 있고, 열매에는 약 10% 이상의 탄닌질,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히페로시드, 0.2%의 정유가 있다.
<식용 근거>
식품공전상 부원료로 최소량만을 사용할 수 있는 동식물
<효능 및 효과>
가을철에 잎이 떨어지기 전에 열매를 따서 설사, 위장질환일 경우 사용한다. 민간에서 껍질을 달여 산후지혈제, 위장약으로 먹으며 안염, 류마티스, 기관지염등의 병리에 유효하다. 수꽃이삭 달인액은 폐염에 좋다. 지혈과 간염에도 사용한다.
<기타>
염료용-나무를 삶은 물은 붉은색, 열매는 논의 개흙과 함께 쓰면 검은색, 수피를 우린 물은 다갈색으로 염색가 된다.
학명 Opuntia ficus-indica 인 백년초
<분포 및 특성>
북아메리카 남부가 생산지이며 열대지방이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들여와 원예농가에서 재배도 하고 관상용으로 심으며 우리나라 제주도 서남쪽 해변마을과 마라도 남단의 해변에 야생상으로 자라는 귀화식물이다. 다년생초본 이며 높이 2m 안팎으로 편평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경절은 짙은 녹색이고 긴 타원형 또는 긴 도란형이며 편평하고 육질이며 표면에 길이 1 내지 3cm의 가시가 2 내지 5개씩 돋아있고 바로 옆에 털이 있으며 오래된 줄기는 나무처럼 굵고 둥근 원줄기 위에서 편평한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지며 잎은 작은 침형이고 일찍 떨어진다.
7월에 꽃이피고 꽃은 황색이며 경절 윗가장자리에서 큰 레몬 모양의 꽃이 핀다. 9월에는 열매가 성숙되며 장과 모양의 열매는 서양배같은 모양이고 많은 종자가 들어 있으며 먹기도 한다.
<주요 성분(부위별)>
트리테르펜(Triterphene), 사과산(malic acid) 등을 함유한다.
<식용 근거>
식품공전에 주원료로 사용가능한 동식물로 분류
<효능 및 효과>
민간에서 부종, 화상, 복통, 천식, 해수, 종기의 치료와 당뇨병 등에 사용한다.
1차 항산화제 조성물과 첨가물의 중량비는 1 : 0.1 내지 1.5가 바람직하다.
또한, 오리나무의 줄기 및 백년초 잎 등은 전술된 (a)단계의 파쇄 과정을 거쳐 (b) 내지 (d) 단계를 수행하여도 가능하다. 이 때, 벽오동나무의 파쇄물, 오리나무 및 백년초의 파쇄물 및 음용수등의 중량%는 각기 3 내지 12 중량%, 1 내지 6 중량% 및 82 내지 96 중량%이다.
<<실시예 4>> 항산화도 측정
시료 추출 및 준비
① 1ℓ 40℃ 증류수, 5% 염수 또는 에탄올에 200g의 벽오동나무 열매 또는 잎을 각기 충전하고, 1시간 경과후 녹즙기를 이용하여 즙을 추출한다.
② 추출액을 여과하고 원심분리한 후 2시간 동안 침전시킨다.
(200메시(mesh) 여과지 및 3,500rpm 초원심분리기 이용)
③ 상층 액을 여러 개의 세관(micro-tube)에 분배한 후 -20℃에서 보관한다.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도 분석
① 시료 2㎖(추출액 300㎕ + 메탄올 1.7㎖)을 0.15mM DPPH(메탄올에 용해) 500㎕와 혼합한 후 30분간 상온에서 배양한다.
② 흡광기(Spectrometer)를 이용하여 517㎚에서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③ 항산화도(RC50)는 추출액이 포함되지 않은 대조구의 세관 흡광도 값을 절반으로 줄이는데 필요한 추출물의 질량(㎍)으로 표시하였다.
④ 항산화도를 용이하게 비교하기 위하여 비타민 C(ascorbic acid) 및 α-토코페놀의 항산화도에 대한 비교치를 이용하였다.
항산화도 측정 결과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벽오동나무의 잎 또는 열매로부터 추출된 시료는 천연 지용성 물질임을 판명되었으며, 잎 보다는 열매로부터 수득된 시료의 항산화도가 3 내지 7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교구 1 및 2는 알코올 추출시 비타민 C 및 α-토코페놀의 항산화도에 비하여 각기 5.5, 4.5배 및 12.9, 10.6배 정도의 강력한 항산화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우리 나라 전역에 자생하고 있는 벽오동나무를 가지, 잎 및 열매 부분을 이용하여 강력한 항산화제를 대량 제조할 수 있으며, 독성이 없고 항산화도가 매우 높은 천연 지용성 물질로, 액상 및 분말 성상 등으로 제조가 가능함은 물론 다양한 기능성 물질의 부가가 용이한 이점(利點)이 있다.

Claims (8)

  1. 벽오동나무의 줄기, 열매 및 잎의 파쇄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부가물로써 오리나무, 백년초, 포도씨 및 녹차잎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오동나무 추출물 및 상기 부가물의 추출물의 중량비가 1 : 0.1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4. 벽오동나무의 파쇄물 3 내지 15 중량%와 용매 85 내지 97중량%를 용기에 충전한 후 6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 내지 4시간 가열하여 액상의 벽오동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벽오동나무의 파쇄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a) 벽오동나무의 줄기, 열매 및 잎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1 내지 3회 수세하여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수세된 상기 원재료를 30 내지 8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와;
    (c) 건조된 상기 원재료를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물은 직경 0.1 내지 10㎝의 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음용수, 증류수 및 식염수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8. 벽오동나무의 파쇄물 3 내지 15 중량%와 용매 85 내지 97중량%를 용기에 충전하여 6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상기 용매의 중량%가 45 내지 65가 될 때까지 가열한 후 건조하여 분말 성상의 벽오동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40043276A 2004-06-12 2004-06-12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117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276A KR20050117975A (ko) 2004-06-12 2004-06-12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276A KR20050117975A (ko) 2004-06-12 2004-06-12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975A true KR20050117975A (ko) 2005-12-15

Family

ID=37291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276A KR20050117975A (ko) 2004-06-12 2004-06-12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79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693B1 (ko) 2021-06-30 2022-04-14 백인혁 매실 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소독제
KR102434892B1 (ko) 2021-07-12 2022-08-19 백인혁 매실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사료 조성물
KR20240023267A (ko) 2022-08-11 2024-02-21 백인혁 매실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693B1 (ko) 2021-06-30 2022-04-14 백인혁 매실 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소독제
KR102434892B1 (ko) 2021-07-12 2022-08-19 백인혁 매실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사료 조성물
KR20240023267A (ko) 2022-08-11 2024-02-21 백인혁 매실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Adkar et al. Pandanus odoratissimus (Kewda): A review on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and nutritional aspects
KR101405429B1 (ko) 야생초 화장품
KR20140054620A (ko) 야생초 식품첨가제
Pathala et al. A review on gambhari (Gmelina arborea Roxb.)
Kapoor et al. Berberis lycium a medicinal plant with immense value
Gurmeet et al. Unique pandanus-flavour, food and medicine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101658618B1 (ko) 연잎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rul et al. Curry leaves–a medicinal herb
Sood Asafoetida (Ferula asafoetida): A high-value crop suitable for the cold desert of Himachal Pradesh, India
Rehman et al. Commercial importance, medicinal value and therapeutic potentials of chaff flower (achyranthes aspera)–a review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umar et al. A critical review on Karamarda (Carissa carandas Linn.)
KR20050117974A (ko) 참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nion internationale pour la conservation de la nature et de ses ressources A guide to medicinal plants in North Africa
Lindley Medical and oeconomical botany
Mudau et al. Bush tea (Athrixia phylicoides DC.) as an alternative herbal and medicinal plant in southern Africa: opportunity for commercialization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20170115873A (ko) 과실과 구근을 혼합한 즙의 제조방법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1310019B1 (ko) 기호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남해 약쑥차 및 그 제조방법
Johar et al. Mahua: A versatile Indian tree species
Hernández-Herrera et al. Mexican Desertic Medicinal Plants
KR20050117975A (ko) 벽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