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756A -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756A
KR20050117756A KR1020040042953A KR20040042953A KR20050117756A KR 20050117756 A KR20050117756 A KR 20050117756A KR 1020040042953 A KR1020040042953 A KR 1020040042953A KR 20040042953 A KR20040042953 A KR 20040042953A KR 20050117756 A KR20050117756 A KR 20050117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enclosure
marina
marin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4571B1 (ko
Inventor
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스페이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스페이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040042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571B1/ko
Publication of KR2005011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60Concre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요트, 보트 등의 해상 위락용 소형 선박을 정박할 수 있는 해역 공간과 이에 관련된 제반 시설을 구비하는 해상마리나 구조물이 개시된다.
그 구성은 상기 마리나 구조물은 해안이나 하구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해상에 독립되어 부유되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이고, 실질적으로 밀폐식으로 구성된 구조물 안쪽으로 배를 정박시킬 수 있는 정박시설이 구비된 해상 계류 공간을 갖추도록 바다의 일정한 부분을 내측바다와 외측바다로 실질적으로 분리하되 상기 내측바다와 상기 외측바다와를 배가 소통하도록하는 통로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는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를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되, 상기 함체부에는 해수저장시스템을 구비하여 함체부의 중량에 따라 함체부의 해수면을 조정하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안으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독립되어 건설되어 별도의 부지 매입과 준설, 매립 작업이 필요 없어 건설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해안이나 갯벌 환경을 파괴하지 않아 환경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부유식 함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향후 이동, 제거 또는 증설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유 구조물 자체를 방파제로 사용하면서 그 내부에 외부 파랑의 침입에 안전한 해상 계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방파제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마리나 구조물은 해상 유통 물류기지, 해상항만 및 어항터미널, 해상수산물가공기지, 해저자원채광기지, 해상산업/발전플랜트, 해상폐기물처리플랜트, 해상테마파크와 리조트, 해상호텔 및 컨벤션센터 등에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Marina}
본 발명은 보트나 요트를 해상에 안전하게 계류시킬 수 있는 마리나에 관한 것이다.
마리나(Marina)란 요트, 보트 등의 해상 위락용 소형 선박을 정박할 수 있는 해역 공간과 이에 관련된 제반 시설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마리나는 제주도와 충무, 해운대 등 몇 군데가 있으나 그 활용도가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반면 미국, 일본, 유럽, 홍콩 등 바다와 접해 있는 세계 각국에서는 광범위한 국민 레저 분야의 하나로 발전되어 왔으며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도 해양자원의 개발과 더불어 소득수준이 향상에 따라 여가시간의 활용도가 날로 증가하고, 관광패턴이 단순형 관광에서 체험형 관광으로, 육지중심에서 해양으로 확대됨에 따라 해양레저 및 해양스포츠분야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마리나는 하구나 해안가에 위치하여 개발을 위해서는 해안가의 토지 매입과 주변 해역 매립, 선박 운항을 위한 준설, 이로 인한 환경 문제 파생 등 주요한 사회적, 경제적 이슈들의 해결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마리나 개발 비용을 크게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극기야는 마리나 개발 자체가 힘들어지는 경우가 매우 많은 실정이다. 즉 현재까지 설치 운영되는 마리나 시설물은
보통 해안이나 하구, 강변 등에 안벽을 만들고 여기에 부유식 또는 고정식 휭거형 제티(Finger Jetty)를 연결하여 보트와 요트가 접안할 수 있도록 한 시설로 건설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해안에 대형 부지를 확보해야 하고, 외부 파랑 유입을 막아줄 방파제와 같은 추가 방재시설을 건설하여야 하며, 토지 매입, 해안매립 및 준설, 해안갯벌의 환경파괴,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 주요한 사회적, 경제적 문제들의 선결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부지 매입비와 건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실정이다.
특히나 우리나라와 같이 대도시 근처 해안에 마리나를 건설할 수 있는 공간 자체가 매우 협소할 뿐 만 아니라, 설사 있다 해도 토지 매입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환경 파괴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는 국가에서는 마리나 개발이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해안이나 하구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마리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안이나 하구의 부지매입, 준설, 추가방재시설이 불필요한 새로운 개념의 해상마리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설공기 및 건설비가 획기적으로 절감되며, 환경친화적이고, 향후 확장이 용이하며, 이동이 용이하고 내진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개념의 해상마리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물은 요트, 보트 등의 해상 위락용 소형 선박을 정박할 수 있는 해역 공간과 이에 관련된 제반 시설을 구비하는 해상마리나 구조물로서, 해안이나 하구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해상에 독립되어 부유되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이고, 실질적으로 밀폐식으로 구성된 구조물 안쪽으로 배를 정박시킬 수 있는 배접안시설이 구비된 해상 계류 공간을 갖추도록 바다의 일정한 부분을 내측바다와 외측바다로 실질적으로 분리하되 상기 내측바다와 상기 외측바다와를 배가 소통하도록하는 통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는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를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되, 상기 함체부에는 해수저장시스템을 구비하여 함체부의 중량에 따라 함체부의 해수면을 조정하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마리나는 해상 부유식 마리나로서 해안으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독립되어 건설되며, 해상 부유식 구조물을 먼저 해상에 띄우고 이를 해저에 돌핀식 또는 계류식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부지 매입과 준설, 매립 작업이 필요 없어 건설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해안이나 갯벌 환경을 파괴하지 않아 환경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부유식 함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향후 이동, 제거 또는 증설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유 구조물 자체를 방파제로 사용하면서 그 내부에 외부 파랑의 침입에 안전한 해상 계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방파제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되는 것이다.
여기서 함체부는 평면도상으로 직사각형, 정다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함체부는 평면도상으로 정사각형이고, 상기 정사각형의 양변의 일정부분으로는 요홈이 형성되어 해수면 아래에 잠기게 되어 상기 내측바다와 상기 외측바다와를 배가 소통하도록하는 통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은 상기 요홈의 측단면상으로 중앙부에서부터 양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함체부 양측 통로부를 요홈으로 하여 소통하는 배의 항로깊이를 확보하면서 수중에서 양쪽 함체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인 것이다. 이에 의하면 해파에 의해 함체부가 더욱 안정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해수저장시스템은 함체부의 테두리에 형성된 해수저장탱크실과 이 해수저장탱크실에 해수를 저장 및 배출시키는 펌핑장치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즉 함체의 안정성을 위해 함체부의 테두리변으로는 해수저상실을 형성하고 안쪽으로는 각종의 기계, 작업 및 편의시설 등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마리나의 일 실시예로서 정사각형태의 마리나구조물을 예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평면도이고, 도 2는 함체부 내부의 시설 배치 평면도이고, 도 3a는 함체부의 통로부측 변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 중 통로부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마리나 구조물 2개를 연결한 형태의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해상 마리나 구조물은 부력을 위한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정사각형태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로된 함체부(100)을 포함한다. 이 함체부(100)는 해안이나 하구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독립적으로 부유되는 시설로서 정사각형의 안쪽으로 외측바다(40)와 실실적으로 구획되는 선박계류공간(내측바다, 30)을 형성하고, 양측변으로는 상기 내측바다(30)와 상기 외측바다(40)와를 배가 통할 수 있게 통로부(20)가 형성되어 있다. 함체부(100)는 예컨대 해저면에 콘크리트구조물을 형성하고 와이어 또는 체인을 이용하여 함체부(100)와 연결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통로부(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수면 아래에서 함체 양쪽을 이어주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로는 배가 소통할 수 있게끔 일정한 항로깊이를 형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내측바다(30)에는 요트나 보트가 정박할 수 있게끔 정박시설(제티, Jetty)이 갖추어져 있다. 상기 내측바다(30)는 정박하는 배가 외측바다(40)로(부터)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함체부(100)는 수용가능한 선석의 규모에 따라 그 크기가 정해지는데, 예를 들면 200선석 기준으로 약 400m x 400m 정도이고 함체부의 저면에서부터 상면까지의 높이는 8.5m정도(통로부(20)의 경우는 14.5m)가 된다. 함체부(100)의 상부로는 마리나 운영을 위한 각종의 시설이 설치되며 예를 들면 아래의 시설들이 설치 운영될 수 있다.
도 1에서 미설명부호 10은 함체부로 접근하는 배의 임시계류소로 활용되거나 함체에서 사용할 각종의 물품을 하역하기 위한 장소로 이용될 수 있는 임식하역소이다.
함체의 하부공간은 부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부분 비어 있으며, 상부 마리나 시설을 지원하기 위한 동력실, 연료저장실, 오폐수 처리시설 등이 위치된다.(도면부호 80) 다만, 부력을 조절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0)의 바깥쪽 테두리로는 해수저장탱크실(60)이 위치하여 펌핑장치에 의해 마리나의 중량변화에 대응하여 해수를 저장 및 배출하도록 된다. 함체(100)의 하부공간은 예를들면 다음과 같이 배치 운용될 수 있다.
도 2 및, 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해수저장탱크실(60)은 안정성을위해 함체(100)의 바깥쪽으로 위치시키고 내측으로 각종의 시설을 위치시킨다.
도 3a는 함체(100)의 통로부(20)가 위치하는 변의 단면도로서 중앙부의 통로부(20)를 포함하여 부력조절용 해수저장을 위해 전체가 비어 있으며 저장되는 해수(61)의 양은 마리나의 내부 및 상부에 위치하는 시설들의 중량에 대응하여 해수펌핑장치에 의해 조절된다. 한편 통로부(20)는 해저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부로 해수(69)의 깊이를 확보하여 배의 소통로를 마련해 주기 위함이며 통로부(20)의 함체저면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경사면(68)을 형성하는 이유는 유체역학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통로부(20)의 내부는 지하통로(67)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함체부(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70은 함체(100)를 해저면과 연결 고정시키는 고정와이어이다.
이상 설명한 마리나 구조물은 정사각형 형태의 것이지만 직사각형,정삼각형, 장육각형 등 정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 부유식 마리나로소 해안으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독립되어 건설되어 별도의 부지 매입과 준설, 매립 작업이 필요 없어 건설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안이나 갯벌 환경을 파괴하지 않아 환경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부유식 함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향후 이동, 제거 또는 증설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유 구조물 자체를 방파제로 사용하면서 그 내부에 외부 파랑의 침입에 안전한 해상 계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방파제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마리나 구조물은 해상 유통 물류기지, 해상항만 및 어항터미널, 해상수산물가공기지, 해저자원채광기지, 해상산업/발전플랜트, 해상폐기물처리플랜트, 해상테마파크와 리조트, 해상호텔 및 컨벤션센터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리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함체부 내부의 시설 배치 평면도이고,
도 3a는 함체부의 통로부측 변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 중 통로부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마리나 구조물 2개를 연결한 형태의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4)

  1. 요트, 보트 등의 해상 위락용 소형 선박을 정박할 수 있는 해역 공간과 이에 관련된 제반 시설을 구비하는 해상마리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마리나 구조물은 해안이나 하구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해상에 독립되어 부유되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이고,
    실질적으로 밀폐식으로 구성된 구조물 안쪽으로 배를 정박시킬 수 있는 정박시설이 구비된 해상 계류 공간을 갖추도록 바다의 일정한 부분을 내측바다와 외측바다로 실질적으로 분리하되 상기 내측바다와 상기 외측바다와를 배가 소통하도록하는 통로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는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를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되, 상기 함체부에는 해수저장시스템을 구비하여 함체부의 중량에 따라 함체부의 해수면을 조정하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는 평면도상으로 직사각형, 정다각형 또는 원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는 평면도상으로 정사각형이고, 상기 정사각형의 양변의 중앙부 일정부분으로는 요홈이 형성되어 해수면 아래에 잠기게 되어 상기 내측바다와 상기 외측바다와를 배가 소통하도록하는 통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은 상기 요홈의 측단면상으로 중앙부에서부터 양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저장시스템은 상기 함체부의 테두리에 형성된 해수저장탱크실과 이 해수저장탱크실에 해수를 저장 및 배출시키는 펌핑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KR1020040042953A 2004-06-11 2004-06-11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KR100544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953A KR100544571B1 (ko) 2004-06-11 2004-06-11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953A KR100544571B1 (ko) 2004-06-11 2004-06-11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756A true KR20050117756A (ko) 2005-12-15
KR100544571B1 KR100544571B1 (ko) 2006-01-23

Family

ID=3729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953A KR100544571B1 (ko) 2004-06-11 2004-06-11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4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635A (zh) * 2018-08-08 2018-12-21 龙仕汉 海洋旅游系统设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387B1 (ko) 2008-06-12 2010-07-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02347B1 (ko) * 2009-08-07 2012-01-03 한국과학기술원 부유체 스태빌라이저
KR101293417B1 (ko) 2012-12-13 2013-08-05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부유식 마리나클럽 설계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635A (zh) * 2018-08-08 2018-12-21 龙仕汉 海洋旅游系统设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4571B1 (ko) 2006-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7670C1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и способ ее сборки
KR101771358B1 (ko) 플로터 고정형 연안 생산 저장 하역 설비
EP3436640B1 (en) Seabed base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same
CN103608256A (zh) 模块化半潜式结构及其制造方法
CN202023174U (zh) 组合板柔性浮式防波堤
KR101185716B1 (ko) 수중 부유식 방파제
ES2277058T3 (es) Barcaza multicasco.
KR20150046054A (ko) 반잠수식 통합 항구
US20020090270A1 (en) Column-stabilized offshore vessel
KR100544571B1 (ko)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US689904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ng offshore platforms
KR101797392B1 (ko) 근해용 다목적 부유식 플랫폼 시스템
KR20130027837A (ko) 조립식구조의 다목적 부유식(浮游式) 소파제(消波提)
CN110565580A (zh) 一种利用浮动平台建造的浮岛式码头
CN109653182A (zh) 一种坐底式海洋平台
US8419315B2 (en) Harbor structure and a method of building such a structure
KR101131423B1 (ko) 가변형 해류투과식 부유방파제
JP2694390B2 (ja) 小形船舶の洋上係留施設
KR100446463B1 (ko) 이동식 해상 담수저장시스템
KR100586636B1 (ko) 선박접안이 용이한 해수교환방파제
KR20140106971A (ko) 해양구조물의 부유식 방파 시스템
WO2023073625A1 (en) Novel waterborne structure for supporting offshore activities
JPH04124311A (ja) 港湾施設
KR200206379Y1 (ko) 수중전망대 용도의 플로팅도크식 부양 구조물
JPH0444511A (ja) 防波堤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