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379Y1 - 수중전망대 용도의 플로팅도크식 부양 구조물 - Google Patents

수중전망대 용도의 플로팅도크식 부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379Y1
KR200206379Y1 KR2019990023551U KR19990023551U KR200206379Y1 KR 200206379 Y1 KR200206379 Y1 KR 200206379Y1 KR 2019990023551 U KR2019990023551 U KR 2019990023551U KR 19990023551 U KR19990023551 U KR 19990023551U KR 200206379 Y1 KR200206379 Y1 KR 200206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dock
underwater
condition
floa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준
Original Assignee
서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준 filed Critical 서인준
Priority to KR2019990023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3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중전망대 용도 등의 특수한 용도에 적합한 부양 구조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수한 용도에 따라 발생 할지도 모르는 사고 가능성과 운영비용을 극소화하기 위해서 보편화된 조선공학 이론이 뒷받침되고 선박 수리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플로팅도크 설계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안전하고 경제적인 수중전망대 용도의 부양 구조물 장치를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부양 구조물 장치는 일반 플로팅도크와 같이 발라스트 장치에 의해 부상조건에서는 중앙 도크가 완전히 수면 상으로 노출되고 침수조건에서는 중앙 도크가 대부분 침수되도록 구성되지만, 중앙 도크의 용도를 가두리식 대형수족관과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크의 열린 부분을 그물망으로 막는다. 또한, 승객의 수중생태계 관람을 위해서 침수조건에서 침수되는 외벽에 수중 창문을 둔다.
본 고안에 의하면, 부유식 구조물이므로 사업 입지조건에 맞추어 이동하면서 운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가두리식 수족관의 수처리 설비가 불필요하여 운영비가 절감되고, 플로팅도크식 운영으로 부상조건에서 정기적인 보수 유지를 실시할 수 있으며 정상 운영 중에 침수사고가 발생하면 긴급히 부상시킴으로써 안전한 운영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수중전망대 용도의 플로팅도크식 부양 구조물{Floating Structure of Floating-Dock Type for the Use of Under Water Observatory}
본 고안은 부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관람객을 대상으로 수중생태 관찰 등을 할 수 있는 수중전망대 용도의 특수 용도를 위해 적용되는 부양구조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수중생태 관찰방법은 인위적으로 수중생태를 재현하는 대형수족관 방식이다. 대형수족관은 대개 육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간혹 해상에 위치할 경우는 있으나 이 경우에도 안전상의 문제점 때문에 육상과 같이 밀폐된 물탱크 방식의 대형수족관을 해상부유체에 단순히 탑제한 구조를 갖는다. 종래의 방식을 그대로 사용 할 경우, 밀폐된 탱크의 수처리 설비 및 가상 재현에 따른 건설비용 및 운영비용이 과대하게 소요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편화된 조선공학적인 부양 구조물의 기본 계산법을 근거로 하고 현재 선박 수리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플로팅도크 방식의 구조물을 적용하여, 수중생태 관람 용도의 플로팅도크 방식의 부양 구조물 장치를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특수한 용도에 따라 발생할지도 모르는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대형수족관을 적용할 경우의 단점인 수처리 설비 및 수중 재현설비의 비용요소를 제거 하기 위해서, 검증된 플로팅도크 설계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승객이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수중 생태를 관람 하고 효과적으로 보수 유지 할 수 있도록 장치를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구조물 전체를 보여주는 입체도
도 2 는 구조물의 중간연결구조물 및 중앙도크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 은 구조물의 발라스트 장치의 구조와 기능을 보여주는 개념도
본 고안에 의한 부양 구조물 장치는 플로팅도크식 구조물, 구조물의 흘수(구조물의 부양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여기서는 부양 구조물의 최저바닥으로 부터 해양의 해면까지의 거리를 칭함)를 조절하는 목적으로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된 발라스트 장치, 승객의 수중전망용도로 구조물의 수중 접촉면에 설치된 아크릴 창문, 전체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 장치, 전체 구조물과 육지를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할 교량 또는 소형선박 접안설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로팅도크식 구조물은 다시 상부구조물, 하부구조물, 중간 연결구조물, 중간 연결구조물의 형상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져서 해수가 침수되는 공간(여기서는 중앙도크라고 칭하기로 함)등의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부양 구조물의 발라스트 장치는 장착된 해수펌프의 작동에 의해 해수를 구조물의 하부구조물에 위치한 발라스트 탱크에 채웠다 비웠다 하면서 전체 구조물의 흘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흘수조건(부상조건) 에서는 하부구조물의 최상부를 포함한 중앙도크가 완전히 수면 상으로 노출되고 최대흘수조건(침수조건) 에서는 중간연결구조물의 대부분이 침수되어 중앙도크가 수면하에 침수되도록 한다. 최대흘수조건하에서 중앙도크를 대형수족관과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중앙도크 내의 해수가 중앙도크 밖의 해양과 교환되는 중앙도크의 열린 부분을 그물망으로 막아서 전시중인 수중 동식물을 가두도록 한다. 또한, 승선한 관람객이 중앙도크 내에 인위적으로 조성한 수중생태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앙도크가 보이는 중간 연결구조물의 외벽에 아크릴 수중 창문을 둔다. 최소흘수조건에서는 중앙도크를 수면상으로 나오도록 고안하여,중앙도크내의 전시물의 보수 및 관리, 중간 연결구조물에 부착된 아크릴 수중창문의 수밀 및 투명도에 대한 정기적인 보수 유지 등이 가능토록 한다.
파도, 조류, 조석 간만의 차이 및 해상상태에 따라 변동하는 구조물의 움직임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서 일반 부양 구조물의 앵커 고정 방식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서 해저 또는 호수 바닥에 고정시키고,
구조물에 대한 사람의 접근은 선박에 의하거나 별도로 고안된 교량에 의해 연결토록 하여 관람객의 안전한 승하선, 육지에서 공급 받는 물자 및 에너지의 연결역할 등을 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부양 구조물 전체를 보여주는 입체도이며, 최대흘수조건일 경우 흘수 7미터, 최소흘수조건일 경우 흘수 2.2 미터, 전체 높이 14 미터, 폭 20 미터 등의 치수를 갖는 플로팅도크식 부양 구조물임을 보여준다.
도 2 는 중간 연결구조물 및 중앙도크 구조를 평면도로 표시 한다
중간 연결구조물은 4 개의 다각형 모양의 부력기둥으로 이루어진 사례이며, 중앙도크 쪽으로 아크릴 창문을 두어 최대흘수조건에서는 중앙도크 내의 수중세계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해수가 유입되는 부분에는 그물망을 설치하여 중앙도크 내에 인위적으로 조성한 수중전시물이나 수중생물을 가두게 됨으로서 자연적인 대형수족관의 기능을 하게 된다.
도 3 은 발라스트 장치를 주로 이루는 발라스트 탱크와 발라스트 펌프의 기능을 보여준다. 발라스트 펌프의 작동에 의해 해수를 유입할 경우 최대흘수 조건이 되며 해수를 배출 할 경우 최소흘수조건이 되며 각각의 조건에서의 해수면의 변화를 표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중생태 관람용 수중전망대 설비를 플로팅도크식 부양 구조물로 구성하였으므로, 사업 입지조건에 따라 이동하거나 또는 물의 청정도에 따라 이동하면서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해양과 통하는 수족관 방식이므로 별도의 수처리 설비가 불필요 하여 운영비가 절감된다. 플로팅도크 방식으로 발라스트탱크를 비우는 부상조건(최소흘수조건) 에서 중앙도크 전체가 부상되므로 아크릴 창문 및 침수부위의 외벽 등의 정기적인 보수 유지를 실시할 수 있어서 육상의 대형수족관보다 효과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또한, 만약 정상 운영 중에 침수사고가 발생하면 긴급히 발라스트 탱크내의 해수를 배출시킴으로써 침수에 의해 손실된 부력이 발라스트 탱크에 의해 보상되어 안전한 운영이 가능하다.

Claims (1)

  1. 바다 또는 호수의 수중전망대 용도 등의 특수 목적을 위해 적용되는 부양 구조물 장치에 있어서, 선박 수리용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플로팅도크방식 을 취하며, 발라스트 장치에 의해서 해수를 유입하고 배출하는 중량만큼 부양 구조물의 흘수가 변화되도록 하여 부양 구조물의 최대흘수조건에서는 중간연결구조물의 대부분이 수면하에 침수되도록 고안하여 중간연결구조물에 부착한 아크릴 수중창문을 통해서 중간연결구조물 주위의 해수공간인 중앙도크를 자연적인 대형수족관과 같이 관람하도록 하고, 필요시 흘수를 변화시킴으로서 최소흘수조건에서는 하부구조물의 최상부가 수면상에 노출되도록 하여 수중창문과 인공전시물의 보수 유지가 손쉽게 가능하도록 고안된 부양 구조물
KR2019990023551U 1999-10-29 1999-10-29 수중전망대 용도의 플로팅도크식 부양 구조물 KR200206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551U KR200206379Y1 (ko) 1999-10-29 1999-10-29 수중전망대 용도의 플로팅도크식 부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551U KR200206379Y1 (ko) 1999-10-29 1999-10-29 수중전망대 용도의 플로팅도크식 부양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379Y1 true KR200206379Y1 (ko) 2000-12-01

Family

ID=1959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551U KR200206379Y1 (ko) 1999-10-29 1999-10-29 수중전망대 용도의 플로팅도크식 부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3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962B1 (ko) 모듈식 반-잠수식 구조체 및 이러한 구조체를 만드는 방법
US20090288612A1 (en) Submersible mooring grid
US5412903A (en) Sea cage fish farming system
JPH0346091B2 (ko)
US8037838B2 (en) Mooring system
CN110913688B (zh) 用于鱼类养殖的罐
DK180606B1 (en) Fish farm made of a rigid material
CN105766749A (zh) 一种外海养殖抗风浪型铰接式网箱
KR101006982B1 (ko)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CN111386037A (zh) 浮动潜式远海水产养殖设施
CN101287883B (zh) 用于水中运动的漂浮场站
KR200206379Y1 (ko) 수중전망대 용도의 플로팅도크식 부양 구조물
RU2237595C1 (ru) Гостинично-развлек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на воде
KR102185915B1 (ko) 부유식 수상 구조물의 시공구조
KR100544571B1 (ko)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Rowiński Living and working beneath the sea–next approach
KR200165118Y1 (ko) 다목적의 조립식 부력관
JP2005207220A5 (ko)
GB2128939A (en) A submersible reservoir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fluids
JPH0617742A (ja) 波動を利用した自動揚水装置
RU8209U1 (ru) Подводное сад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держания гидробионтов (варианты)
KR20140106971A (ko) 해양구조물의 부유식 방파 시스템
JPH0813443A (ja) 浮遊式消波フェンス
JP2014066124A (ja) 大津波を沖合いで遮断する装置
EP3714105A1 (en) Oil spill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