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614A -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614A
KR20050117614A KR1020030062801A KR20030062801A KR20050117614A KR 20050117614 A KR20050117614 A KR 20050117614A KR 1020030062801 A KR1020030062801 A KR 1020030062801A KR 20030062801 A KR20030062801 A KR 20030062801A KR 20050117614 A KR20050117614 A KR 20050117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mobile phone
command
phone terminal
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근
Original Assignee
한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근 filed Critical 한재근
Priority to KR1020030062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7614A/ko
Priority to KR1020040066480A priority patent/KR100703870B1/ko
Priority to PCT/KR2004/002273 priority patent/WO2005025082A1/en
Publication of KR20050117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6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Direct printing, e.g. sending document file, using memory stick, printing from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전화 단말기의 입출력단자 연결수단과, 상기 이동전화 입출력단자 연결수단과 매칭되는 프린터의 입출력단자 연결수단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연결수단과 상기 프린터의 입출력단자 연결수단을 서로 케이블을 통해 연결시키도록 양단에 상기 연결수단들과 결합되는 콘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프린터에 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로 정해둔 명령어와 응답등의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통신제어를 하는 데이터 통신 응용 프로그램으로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가 마스터로, 상기 프린터가 슬레이브로 동작하여 이동전화 단말기가 코멘드를 보내고 프린터가 이를 인식하여 코멘드에 따라 응답 및 인쇄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통신 방법{A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for mobile phone between small size printer}
본 발명은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전화 단말기와 소형 프린터를 직접 연결하여 인쇄 출력을 할 수 있도록 한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간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 단말기(이동전화 단말기)가 다기능화 되면서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기능과, 게임기능, 다양한 컨텐츠 이용, 데이터 통신 기능등으로 그 활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기존에는 이동 전화 단말기는 PC와의 연결만 활용되고 있었으나, 최근들어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용 프린터, PDA, 기타 주변기기 등등이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이동 전화 단말기와의 직접 연결하여 상호간 정보 전달의 필요성이 많아지게 되었다.
그렇지만, 이동전화 단말기에 직접 소형 프린터를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고, 또한 데이터 통신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서 프린터를 이동전화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었으며, 이동전화 단말기내의 정보를 인쇄하기 이해서는 이동전화 단말기를 PC와 연결하여 정보를 PC로 전송하고, PC에서 인쇄 출력하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와 소형 프린터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을 제공함과 아울러 데이터 통신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동전화 단말기에 직접 소형프린터를 연결하여 인쇄출력을 할 수 있도록 한 이동전화 단말기와 소형 프린터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이동전화 단말기의 입출력단자 연결수단과, 상기 이동전화 입출력단자 연결수단과 매칭되는 프린터의 입출력단자 연결수단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연결수단과 상기 프린터의 입출력단자 연결수단을 서로 케이블을 통해 연결시키도록 양단에 상기 연결수단들과 결합되는 콘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프린터에 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로 정해둔 명령어와 응답등의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통신제어를 하는 데이터 통신 응용 프로그램으로 설치하여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가 마스터로, 상기 프린터가 슬레이브로 동작하여 이동전화 단말기가 코멘드를 보내고 프린터가 이를 인식하여 코멘드에 따라 응답 및 인쇄하는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코멘드는 1바이트의 프린터 명령임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4바이트의 프린트 명령을 전송하며, 데이터 포멧은, 스타트 비트(start bit) 1개, 데이터 비트 8비트(LSB먼저), 노 패리티(No parity), 스탑 비트(stop bit) 1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전화 단말기에 소형 프린터를 직접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연결하여 인쇄 출력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전화 단말기가 디바이스 정보를 요구하고 프린터가 이에 응답하여 디바이스 정보를 요구하고 받는 제1단계;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프린터로 전송하는 이미지의 포맷에 대한 명령을 프린터로 전송하고, 프린터에서 정상인지 확인 응답을 받는 제2단계;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이미지 전송 시작 명령을 프린터로 전송하고 프린터로부터 정상인지 확인 응답을 받는 제3단계와;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고, 프린터로부터 정상 확인 응답을 받는 제4단계와;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분할화면 출력 명령을 전송하고, 프린터로부터 정상 확인 응답을 받는 제5단계와;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프린트 출력명령을 전송하고, 프린터로부터 결과에 대한 확인 응답을 받는 제6단계를 수행하여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직접 소형 프린터로 인쇄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 단말기와 소형프린터의 연결장치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화 단말기(100)와 프린터(200)에 이동전화 단말기에 구성되는 콘넥터와 동일 한 구성의 연결수단(110)(210)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수단(110)(210)들의 대응되는 입출력단자들을 케이블로 연결시키는 데이터 통신 케이블(300)을 통해 서로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00)에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입출력단자 연결수단(110)과, 그 연결수단(110)을 통해 프린터와 통신하는 통신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인터페이스 수단(120)과, 인터페이스 수단(120)을 통해 상기 프린터와 소정의 정해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쇄 명령과 이에 따른 응답을 받으면서 통신하여 이동전화기 모듈(150)에 저장되거나 다운로드 받는 정보들을 인쇄 제어하는 인쇄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원부(140)의 전원을 상기 연결수단(110)을 통해 프린터(20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린터(200)에는 상기 이동전화단말기(100)의 연결수단(110)과 같은 구조의 프린터 연결수단(210)과, 그 연결수단(210)을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220)과, 그 인터페이스 수단(220)을 통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00)와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통신하여 인쇄명령에 응답하고 인쇄 정보를 수신하여 프린터 제어모듈(250)을 통해서 인쇄 제어를 하는 제어부(230)와, 상기 연결수단(210)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프린터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0)로 구성된다.
기존에 이동전화 단말기(100)에 프린터(200)와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통신 규약을 정해서 통신 제어프로그램을 제어부(130)에 설치하고, 프린터(200)는 이동전화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는 통신포트 즉, 연결수단(210)을 설치하며,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한 통신 제어프로그램과 서로 매칭시킨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하여 이동전화 단말기(100)의 정보를 직접 인쇄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을 제어부(230)에 설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양단에 동일 규격의 콘넥터인 연결수단(310)(320)을 설치한 케이블 장치(300)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프린터(200)를 서로 연결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인쇄 메뉴를 선택하여 인쇄 제어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프린터(200)와 이동전화 단말기(100)를 양단에 동일한 구성의 콘넥터인 연결수단(310)(320)를 구비한 케이블 장치(300)를 이용해 연결하고, 이동전화 단말기(100)에서 데이터 전송 및 전원을 공급하고, 프린터(200)에서는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공급하는 전원에 의해 동작전원을 발생시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프린터(200)는 현재까지 직접적인 통신 규약이 정해져 있지 않았고, 프린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는 수단도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통신 연결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그 프로그램을 설치하는데,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가 마스터로, 상기 프린터가 슬레이브로 동작하여 이동전화 단말기가 코멘드를 보내고 프린터가 이를 인식하여 코멘드에 따라 응답 및 인쇄하는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코멘드는 1바이트의 프린터 명령임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4바이트의 프린트 명령을 전송한다.
여기서 이동전화 단말기가 마스터로, 프린터가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것은 일예를 보인 것으로 USB 포트를 채용하는 경우는, 이동전화 단말기를 마스터로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이동전화 단말기가 슬레이브로서 동작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즉, 마스터와 슬레이브는 통신하는 장치나, 통신 포트에 의해서 달라 질 수 있는 것이다.
데이터 포멧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트 비트(start bit) 1개, 데이터 비트 8비트(LSB먼저), 노 패리티(No parity), 스탑 비트(stop bit) 1개로 한다. 코멘드에 따라 프린터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이 다르며, 통신속도는 115.2kbps 속도는 UART를 통해서 통신이 이루어지며, 현재 속도의 변경은 없다.
아래 (표 1 : 이동전화단말기와 프린터의 명령어 규정)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프린터간의 코멘드 기능 테이블이다.
Command 명 Command Hex Code 설명 및 응답값
DeviceInfo [ESC]DEVI (Ox)1B44455649 디바이스 인포메이션을 요구하며, 리턴 값은 12 바이트로 구성됨.Model Name : 8 BytesVersion : 4 Bytes
Print [ESC]PRT[N] (Ox)1B505254[N] 프린트출력명령정상 : 0x00,Fail : 1 Byte Error Code[N]은 출력하고자 하는 프린트 매수를 의미함.N : 1(0x31) ~ 9(0x39)
Print4Div [ESC]P4DI (Ox)1B50344449 4분할화면 출력명령정상 0x00,Fail : 1 Byte Error Code
Kindoflmage [ESC]IJPG[ESC]BMPO[ESC]BMP1 (Ox)1B494A5047(Ox)1B424D5030(Ox)1B424D5031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프린터로 전송하는 이미지의 포맷에 대한 명령.IJPG : IpegBMP0 : BMP format 0.BMP1 : BMP format 1프린터의 Default 값은 BMP1정상 : 0x00,Fail : 1 Byte Error Code
PrintDump [ESC]DUMP (Ox)1B44554D50 Image 전송 시작 명령정상 : 0x00,Fail : 1 Byte Eroor Code
이와 같은 통신 코멘드는 본 발명에 의해 새로이 규약을 정의 한 것으로서, "DeviceInfo" 는 디바이스 정보 즉, 프린터의 정보를 요구하며 프린터는 12바이트의 리턴값을 응답하는데 모델명 8바이트와 버전 4바이트의 응답을 한다.
"Print"는 프린트 출력명령으로서 정상 또는 에러 응답을 하게 되며, 출력하고자 하는 프린트 매수를 지정'[N]'하도록 한다.
"Print4Div"는 4분할화면 출력명령으로서, 정상 또는 에러에 대한 응답을 한다.
"Kindoflmage"는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프린터로 전송하는 이미지의 포맷에 대한 명령으로 JPG, BMP등의 포맷을 선택으로 하며, 정상, 에러에 대한 응답을 한다.
"PrinrDump"는 이미지 전송 시작명령이고, 수신에 대한 정상 에러를 응답한다.
프린터 연결상태 확인은 이동전화 단말기의 응용(application)(Camera app, Photo album app등)에서 프린트 명령을 내릴때 "DeviceInfo 명령"을 먼저 송신하여 디바이스 정보를 응답받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의 기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의 정보 요청("DeviceInfo")-->전송 포맷 명령("Kindoflmage")-->이미지 전송시작 명령("PrintDump")-->이미지 데이타 전송 +'CheckSum'(수신체크)-->(화면분할 프린트 명령)("Print4Div")(선택사항임)--> 프린트 명령("Print").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전화 단말기(100)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인쇄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이동전화 단말기가 디바이스 정보를 요구하고 프린터가 이에 응답하여 디바이스 정보를 요구하고 받는 제1단계를 수행하고,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프린터로 전송하는 이미지의 포맷에 대한 명령을 프린터로 전송하고, 프린터에서 정상인지 확인 응답을 받는 제2단계를 수행하며,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이미지 전송 시작 명령을 프린터로 전송하고 프린터로부터 정상인지 확인 응답을 받는 제3단계를 수행하고,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고, 프린터로부터 정상 확인 응답을 받는 제4단계를 수행하며,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분할화면 출력 명령을 전송하고, 프린터로부터 정상 확인 응답을 받는 제5단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프린트 출력명령을 전송하고, 프린터로부터 결과에 대한 확인 응답을 받는 제6단계를 수행하여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직접 소형 프린터로 인쇄를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화면분할 출력등은 선택적 사항으로서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하여 인쇄제어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프로토콜에 의해 이동전화 단말기(100)와 프린터(200)간에 직접 연결하여 인쇄를 할수 있게 되는 것으로, 프린터의 이미지 포맷 및 이미지 사이즈는 프린터의 특성에 따른다.
예를 들어, 지원되는 이미지 포맷은 ipeg와 bmp 2종류 이며, bmp의 경우 RGB 분리된 bmp(separated bmp) 포맷이 추가로 지원된다. ipeg와 bmp(BMP0)는 스탠다드 포맷을 따른다. RGB 분리된 bmp 포맷(BMP1)은 프린터 출력에 알맞게 R, G, B가 페이지 단위로 분리되어 있는 이미지 포맷을 말한다. jpeg와 bmp의 경우에는 파일 데이타를 별도의 처리 없이 raw 데이타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에 서로 통신 연결할 수 있는 수단과 인터페이스 수단 및 인쇄명령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직접 프린터로 인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전원을 프린터로 공급하여 프린터의 동작전월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린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데이터 통신 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통신 데이터 포멧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인쇄 데이터 통신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전화 단말기 200 : 프린터
110 : 이동전화 단말기의 연결수단 210 : 프린터 연결수단
120 : 이동전화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수단 220 : 프린터의 인터페이스수단
130 :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어부 230 : 프린터의 제어부
140 :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부 240 : 프린터의 전원부
150 : 이동전화 제어모듈 250 : 프린터 모듈
260 : 프린터의 모터 300 : 연결 케이블 장치
310, 320 : 케이블 장치의 연결수단

Claims (3)

  1. 이동전화 단말기의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00)에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입출력단자 연결수단(110)과, 그 연결수단(110)을 통해 프린터와 통신하는 통신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인터페이스 수단(120)과, 인터페이스 수단(120)을 통해 상기 프린터와 소정의 정해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쇄 명령과 이에 따른 응답을 받으면서 통신하여 이동전화기 모듈(150)에 저장되거나 다운로드 받는 정보들을 인쇄 제어하는 인쇄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원부(140)의 전원을 상기 연결수단(110)을 통해 프린터(20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프린터(200)에는 상기 이동전화단말기(100)의 연결수단(110)과 같은 구조의 프린터 연결수단(210)과, 그 연결수단(210)을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220)과, 그 인터페이스 수단(220)을 통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00)와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통신하여 인쇄명령에 응답하고 인쇄 정보를 수신하여 프린터 제어모듈(250)을 통해서 인쇄 제어를 하는 제어부(230)와, 상기 연결수단(210)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프린터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0)로 구성하며,
    양단에 상기 연결수단(110)(120)과 결합되어 케이블을 통해 신호 전달을 하는 케이블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데이터 통신 장치.
  2. 이동전화 단말기에 소형 프린터를 직접 데이터 통신 케이블로 연결하여 인쇄 출력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에 각각 소정의 데이터 통신 규약에 의해 통신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이동전화 단말기가 디바이스 정보를 요구하고 프린터가 이에 응답하여 디바이스 정보를 요구하고 받는 제1단계;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프린터로 전송하는 이미지의 포맷에 대한 명령을 프린터로 전송하고, 프린터에서 정상인지 확인 응답을 받는 제2단계;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이미지 전송 시작 명령을 프린터로 전송하고 프린터로부터 정상인지 확인 응답을 받는 제3단계와;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고, 프린터로부터 정상 확인 응답을 받는 제4단계와;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프린트 출력명령을 전송하고, 프린터로부터 결과에 대한 확인 응답을 받는 제6단계를 수행하여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직접 소형 프린터로 인쇄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프린터 사이의 명령어 규약은,
    (표: 이동전화단말기와 프린터의 명령어 규정)
    Command 명 Command Hex Code 설명 및 응답값 DeviceInfo [ESC]DEVI (Ox)1B44455649 디바이스 인포메이션을 요구하며, 리턴값은 12 바이트로 구성됨.Model Name : 8BytesVersion : 4 Bytes Print [ESC]PRT[N] (Ox)1B505254[N] 프린트출력명령정상 : 0x00,Fail : 1 Byte Error Code[N]은 출력하고자 하는 프린트 매수를 의미함.N : 1(0x31) ~ 9(0x39) Print4Div [ESC]P4DI (Ox)1B50344449 4분할화면 출력명령정상 0x00,Fail : 1 Byte Error Code Kindoflmage [ESC]IJPG[ESC]BMPO[ESC]BMP1 (Ox)1B494A5047(Ox)1B424D5030(Ox)1B424D5031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프린터로 전송하는 이미지의 포맷에 대한 명령.IJPG : IpegBMP0 : BMP format 0.BMP1 : BMP format 1프린터의 Default 값은 BMP1정상 : 0x00,Fail : 1 Byte Error Code PrintDump [ESC]DUMP (Ox)1B44554D50 Image 전송 시작 명령정상 : 0x00,Fail : 1 Byte Eroor Code
    상기 표와 같은 "명령어(Command)"와 그 "명령어"에 의해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0030062801A 2003-09-08 2003-09-08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통신방법 KR20050117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801A KR20050117614A (ko) 2003-09-08 2003-09-08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통신방법
KR1020040066480A KR100703870B1 (ko) 2003-09-08 2004-08-23 이동통신 단말기와 프린터 장치 간의 인쇄 제어 방법
PCT/KR2004/002273 WO2005025082A1 (en) 2003-09-08 2004-09-08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inter apparatus of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801A KR20050117614A (ko) 2003-09-08 2003-09-08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통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614A true KR20050117614A (ko) 2005-12-15

Family

ID=372909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801A KR20050117614A (ko) 2003-09-08 2003-09-08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통신방법
KR1020040066480A KR100703870B1 (ko) 2003-09-08 2004-08-23 이동통신 단말기와 프린터 장치 간의 인쇄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480A KR100703870B1 (ko) 2003-09-08 2004-08-23 이동통신 단말기와 프린터 장치 간의 인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1176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856B1 (ko) * 2006-05-24 2007-03-22 (주)인사이트인터내셔널코리아 픽트브리지(PictBridge)를 채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쇄동작 중 착신통화 가능한 방법
KR100972072B1 (ko) * 2005-11-07 2010-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엔에프씨 호스트 콘트롤러 인터페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033B1 (ko) 2007-07-06 201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장치, 인쇄 제어 시스템 및 이동 통신 장치를이용한 인쇄 제어 방법
KR101513309B1 (ko) * 2009-03-03 2015-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종이에 프린트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819A (ko) * 1999-09-16 2001-04-06 윤종용 프린터에 직접 접속하기 위한 개인휴대 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020063339A (ko) * 2001-01-27 2002-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출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072B1 (ko) * 2005-11-07 2010-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엔에프씨 호스트 콘트롤러 인터페이스
KR100697856B1 (ko) * 2006-05-24 2007-03-22 (주)인사이트인터내셔널코리아 픽트브리지(PictBridge)를 채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쇄동작 중 착신통화 가능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870B1 (ko) 2007-04-05
KR20050025898A (ko) 200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2923B (fi) Tiedontulostusjärjestelmä, menetelmä tiedon tulostamiseksi sekä päätel aitteet tiedon tulostamiseksi
JP4502389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1471691A2 (en) Device and method for hybrid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JPH0730328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伝送システムのアセンブリ
KR101767262B1 (ko) UPnP를 이용한 입력 시스템에서 입력 방식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60176506A1 (en) Network interfacing system for PictBridge® printer
KR20050117614A (ko)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통신방법
JP2004295325A (ja) 携帯端末、印刷装置および印刷システム
US200602536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rinting and charging of a mobile capture device via a docking device
KR20050096894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
JP2007048029A (ja) 中継装置、画像出力システムおよび中継方法
KR200200633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출력장치
US20070112985A1 (en) Bi-directional data transfer between a mobile phone and a computing device
US20060077410A1 (en) BT/USB image-printing converter and the converting method
KR20040107071A (ko) 블루투스가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
KR100508120B1 (ko) Usb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린터 출력장치
WO20050250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inter apparatus of mobile phone
CN201127098Y (zh) 一种手机娱乐体验设备
CN2770979Y (zh) 具有双接口的蓝牙打印机转接结构
KR200239603Y1 (ko) 무선통신 모듈이 내장된 범용 시리얼 버스 컴퓨터 주변장치
JP3295044B2 (ja) 画像データ転送装置
KR100652114B1 (ko) 고속 데이터 전송 모듈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고속 데이터 전송방법
JP4522087B2 (ja) 通信装置を制御する制御装置、通信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
CN101094012A (zh) 实时图像数据无线传输系统
JP2006244245A (ja) 接続方法検出による自動印刷切換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