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456A - 키보드의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키보드의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456A
KR20050117456A KR1020040043797A KR20040043797A KR20050117456A KR 20050117456 A KR20050117456 A KR 20050117456A KR 1020040043797 A KR1020040043797 A KR 1020040043797A KR 20040043797 A KR20040043797 A KR 20040043797A KR 20050117456 A KR20050117456 A KR 20050117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key
english
korea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현
Original Assignee
윤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동현 filed Critical 윤동현
Priority to KR1020040043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7456A/ko
Publication of KR20050117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4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의 자판배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에 문자나 다양한 기호를 입력하는 키보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한/영 변환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한글과 영문이 혼용된 문서를 작성할 수 있고, 복자음이나 이중모음을 간단하게 입력시킬 수 있는 키보드의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에 문자나 다양한 기호를 입력하는 키보드의 자판배열에 있어서, 첫번째 열에 (Q ㅃ ㅂ), (W ㅉ ㅈ), (E ㄸ ㄷ), (R ㄲ ㄱ), (T ㅆ ㅅ), (Y ㄳ ㅛ), (U ㅞ ㅕ), (I ㅙ ㅑ), (O ㅒ ㅐ), (P ㅖ ㅔ)로 구성하고, 두번째 열에 (A ㄻ ㅁ), (S ㄵ ㄴ), (D ㄶ ㅇ), (F ㄼ ㄹ), (G ㅀ ㅎ), (H ㅚ ㅗ), (J ㅝ ㅓ), (K ㅘ ㅏ), (L · ㅣ)로 구성하고, 세번째 열에 (Z ㄺ ㅋ), (X ㄾ ㅌ), (C ㄽ ㅊ), (V ㄿ ㅍ), (B ㅄ ㅠ), (N ㅟ ㅜ), (M ㅢ ㅡ)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키보드의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Character array of key-board and input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키보드의 자판배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에 문자나 다양한 기호를 입력하는 키보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한/영 변환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한글과 영문이 혼용된 문서를 작성할 수 있고, 복자음이나 이중모음을 간단하게 입력시킬 수 있는 키보드의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컴퓨터에 사용되는 입력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 마우스와 키보드가 있는데, 상기 키보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소키(10), 기능키부(20), 자판부(30), 이동키부(40), 쇼트키부(50), 특수키부(60), 표시부(70), 숫자키부(80)로 구성된다.
도2는 일반적인 키보드에서 코드변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3과 같은 키보드(100)에서 키가 입력되면 키보드 스캔코드(KSC)가 발생되고, 이러한 키보드 스캔코드는 키보드 컨트롤러에 수록된 키보드 바이오스(200)에 의해 시스템 스캔코드(SSC)로 변환되며, 이러한 시스템 스캔코드는 메인 바이오스(300)를 통하여 실제 코드(AC;400)로 변환되어 컴퓨터에 제공되며, 상기 키보드 스캔코드는 직렬통신으로 컴퓨터 메인보드 측에 전송되는데 이때 보내지는 코드는 키눌림과 해제를 구분하는 코드로 변환되는 것이다. 즉, 키를 눌렀을 때 발생하는 코드는 메이크(make)코드라 하고 키를 떼었을 때 발생하는 코드는 브레이크(brake)코드라 부르고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는 영문자 대응 한글문자가 2벌식 자판에서 다음과 같이 자음과 모음의 한글문자 사전식 배열과는 관계없이 임의의 수순으로 순서를 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Q W E R T Y U I O P A S D F G H J K L Z X C V B N M
ㅂ ㅈ ㄷ ㄱ ㅅ ㅛ ㅕ ㅑ ㅐ ㅔ ㅁ ㄴ ㅇ ㄹ ㅎ ㅗ ㅓ ㅏ ㅣ ㅋ ㅌ ㅊ ㅍ ㅠ ㅜ ㅡ
타자기나 컴퓨터가 보급되기 전 까지는, 필기도구로 팬이나 연필만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한글에 숫자는 물론 한문이나 영문이 섞여 있는 문서를 작성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리기는 하였으나 그렇게 불편한 점을 느끼지 못했었고, 글씨를 잘 쓰는 사람들 측에서는 오히려 자랑이었다. 그러나 타자기가 구시대적 산물이 되어 버렸으며, 지금은 컴퓨터가 우리들의 삶 속에 깊이 파고 들어와, 빠르고 예쁘게 문서를 작성할 수 있어서 좋지만, 한 가지 불편한 점을 느끼게 하는 것은, 한글환경에서는 한글과 숫자만을 입력할 수밖에 없고, 영어환경에서는 영어와 숫자만을 입력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타자기나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았던 옛날에도 순서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대문자 'A,B,C,,,,등, 그리고 소문자 'a,b,c,,,,등 영문자를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ㄱ,ㄴ,ㄷ,,,,' 또는 '1,2,3,,,,' 등 한글문자와 숫자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사람이 한글환경에서 한글문서를 작성하다가 영어문자를 한 개라도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한/영 변환키를 누르고 영어문자 한 개를 입력시킨 다음 다시 한/영 변환키를 눌러서 한글환경으로 돌아와 한글을 입력해야 하며, 그리고 계속해서 한글문서를 작성하다가 또 영어문자 한 개 또는 영어 약자와 같이 짧은 단어가 필요하면 한/영 변환키를 눌러 영어문자 한 개 또는 영어 약자를 입력시키고 다시 한/영 변환키를 눌러 한글환경으로 돌아와 문서를 작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들이 키보드에서 어느 한 키 버튼을 누르면 그 키 버튼에 표시된 문자나 기호가 컴퓨터에 입력된 다음 모니터에 표시되기까지 걸리는 보통의 시간(이하; 소정의 시간)보다 길게 소정의 키를 누를 경우 한글환경에서 한/영 변환키를 누르지 않고서도 도시되지 않은 프로그램에 의해 한글이 영문으로 변환되어 영어문자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영어가 혼용된 문서를 작성하기 용이하게 하고, 또한 소정의 동일한 키를 연속적으로 두 번 누를 경우 그 버튼에 표시된 복자음이나 이중모음을 출력하게 하는 키보드의 자판배열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에 문자나 다양한 기호를 입력하는 키보드의 자판배열에 있어서, 첫번째 열에 (Q ㅃ ㅂ), (W ㅉ ㅈ), (E ㄸ ㄷ), (R ㄲ ㄱ), (T ㅆ ㅅ), (Y ㄳ ㅛ), (U ㅞ ㅕ), (I ㅙ ㅑ), (O ㅒ ㅐ), (P ㅖ ㅔ)로 구성하고, 두번째 열에 (A ㄻ ㅁ), (S ㄵ ㄴ), (D ㄶ ㅇ), (F ㄼ ㄹ), (G ㅀ ㅎ), (H ㅚ ㅗ), (J ㅝ ㅓ), (K ㅘ ㅏ), (L · ㅣ)로 구성하고, 세번째 열에 (Z ㄺ ㅋ), (X ㄾ ㅌ), (C ㄽ ㅊ), (V ㄿ ㅍ), (B ㅄ ㅠ), (N ㅟ ㅜ), (M ㅢ ㅡ)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판배열로 구성된 자판부를 포함하는 키보드 입력장치로서, 상기 키보드 자판부의 연속적으로 나열된 키 버튼에서 소정의 키를 소정의 시간보다 길게 누를 경우 한/영 변환키를 누르지 않고서도 그 버튼에 표시된 문자가 자동으로 한글환경에서는 영어문자로, 영어환경에서는 한글문자로 변환되는 변환수단과; 한글환경인 경우에 상기 키보드의 소정의 동일한 키를 연속해서 두 번 누를 경우 그 버튼에 표시된 복자음이나 이중모음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키보드의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글은 자음 14개와 모음 10개의 24개의 기본 문자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한글을 보다 더 세분하면 기본자음 14개와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의 5개와 복자음 "ㄳ,ㄵ,ㄶ,ㄺ,ㄻ,ㄼ,ㄽ,ㄾ,ㄿ,ㅀ,ㅄ"의 11개로 모두 30개이고, 모음은 기본모음 10개와 이중모음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의 11개로 모두 21개, 그래서 현재로서는 총 51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된 51개의 문자 중에서 기본자음 14개와 쌍자음 5개는 초성으로 사용되고, 모음 21개가 중성으로 사용되며, 기본자음 14개와 복자음 11개 그리고 쌍자음 중 "ㄲ, ㅆ" 등의 27개는 문자의 종성으로 사용되어 음절을 이루게 된다.
그러니까, 기본자음 14개는 초성으로도 사용되고 종성으로도 사용되며, 복자음 11개는 종성인 받침으로만 사용된다. 그리고 쌍자음의 경우 5개 모두가 초성으로 사용된다. 그러나"ㄲ, ㅆ"이 종성으로 사용되지만 "ㄸ, ㅃ, ㅉ"은 종성인 받침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받침으로만 쓰이는 복자음 11개 그리고 이중모음 7개를 키보드에 추가로 배열시키고, 해당 키 버튼을 연속적으로 두 번 눌러주어서 출력되게 하면, 예를 들어 'ㄻ'을 표현하기 위해서 'ㄹ'버튼을 누르고 난 다음 'ㅁ'버튼을 누르는 방법보다는 'ㄻ'이 표시되어 있는 'ㅁ'버튼을 바로 '따닥'하고 연속해서 두 번 누르는 것이 쉽고 빠르게 입력된다.
여기서 '맘마'라는 단어를 예로 들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마'를 눌러서 '마'가 모니터에 표시된 다음에 'ㅁ'버튼을 한 번만 누를 경우, '맘'이 표시되고 이어서 모음 'ㅏ'버튼을 누르면 '맘'의 받침'ㅁ'이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바뀌어서 '마마'로 표현되는 것은 기존의 방법과 같다. 그러나 '마'가 모니터에 표시된 다음에 'ㅁ'버튼을 연속해서 두 번 누를 경우, '맘ㅁ'와 같이 'ㅁ'이 받침과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표시되지 않고 'ㅁ'버튼에 함께 있는 복받침 'ㄻ'을 사용하여 '맒'이 표시되었다가, 이어서 모음 'ㅏ'버튼을 누르면 복받침 'ㄻ'이 없어지고 '맘마'가 표시된다. 이는 복받침 'ㄻ'이 필요로 했던 경우가 아니기 때문에 다소 복잡한 것과 같이 느껴지지만 예를 들어, 기존의 키보드로 '젊은'에서 '젊'을 모니터에 표시하고 자음인 'ㅇ'을 눌러야 할 것을 잊어버리고, 모음인 'ㅡ'를 누르고 'ㄴ'을 눌러버렸다면 복받침 'ㄻ'이 없어지고, 'ㄹ'은 '저'의 받침이 됨과 동시에 'ㅁ'은 다음 글자의 초성이 되어 '절믄'으로 표시되는 것과 같이 기존 방법에서도 똑같은 경우가 발생된다. 그래서 사용자들이 상기와 같이 받침인 'ㅁ'과 다음 글자의 초성인 'ㅁ' 두 개가 필요로 해서 두 번 누르든, 또는 복받침 'ㄻ'을 필요로 해서 두 번 누르든, 상관없이 이는 컴퓨터인 기계가 할 일이기 때문에 시각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손해볼 일은 없다. 그래서 상기 '맘마'와 같이 받침과 다음 글자의 초성이 'ㅁ'과 같이 같은 문자인 경우보다는, '우리들의 삶'에서 '삶'과 같이 끝나는 단어 또는 '젊은 사람'에서 '젊은'과 같이 복받침 'ㄻ'이 오고, 그 다음 글자의 초성이 'ㄻ'과 같은 버튼에 표시되어있는 'ㅁ'이 아니고, 'ㅇ'과 같이 다른 버튼에 표시되어있는 자음이 오는 경우가 훨씬 많다. 또한 '마'가 모니터에 표시된 다음에 'ㅁ'버튼을 연속해서 세 번 누를 경우, 'ㄻ'은 받침으로만 사용되고 초성으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맒ㅁ'와 같이 처음 두 번 누른 것은 복받침'ㄻ'이고 세 번째 누른 것은 다음글자의 초성 'ㅁ'이다. 이어서 모음 'ㅏ'를 누르면 '맒마'로 표시된다.
또한 소정의 키를 소정의 시간보다 길게 눌렀을 경우 자동으로 한글에서 영어로, 영어에서 한글로 변환되게 하여 한글과 영어가 혼용된 문서를 더욱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키보드에서 어느 한 버튼을 누를 때 눌러진(ON) 상태에서는 눌러진 그 어느 한 버튼의 문자를 컴퓨터가 인식하고 있다가, 눌러진(ON) 버튼에서 손을 떼면(OFF) 인식하고 있는 문자가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서 한글환경의 경우 하나의 문자를 표현하는데 일반적으로 걸리는 소정의 시간 이내에서 버튼을 눌렀다가(ON) 손을 떼면(OFF) 한글이 표시되고, 소정의 시간보다 길게 눌렀다가(ON) 손을 떼면(OFF) 영어가 표시되며, 마찬가지로 영어환경의 경우 하나의 문자를 표현하는데 일반적으로 걸리는 소정의 시간 이내에서 버튼을 눌렀다가(ON) 손을 떼면(OFF) 영어가 표시되고, 소정의 시간보다 길게 눌렀다가(ON) 손을 떼면(OFF) 한글이 표시된다. 그리고 컴퓨터의 제어판에서 키보드를 선택하고, 키보드 등록정보의 문자반복 칸에서 키 재 입력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소정의 시간이 설정된다. 그러니까, 기존의 키보드에서는 어느 한 버튼을 계속해서 누르고 있으면 같은 문자가 계속 모니터에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키보드에서는 같은 문자가 계속 표시되지 않고 소정의 시간 보다 너무나 길게 눌렀다가 손을 떼었다고 할지라도 다른 환경의 문자가 한 개 표시될 뿐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자판배열이다.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판부의 키 버튼에는 제1열에 영어가 배치되고, 제2열에는 자음과 모음 중에서 하나 그리고 쌍자음과 복자음과 이중모음 중에서 하나씩 배치되어 키보드 자판이 형성된다.
상기 자판에서 한글환경의 경우 키 버튼을 한번 눌렀을 경우에는 제2열의 자음 또는 모음이 표시되고 또 동일한 키 버튼을 연속해서 두 번 눌렀을 경우에는 쌍자음, 복자음, 이중모음이 아래 표1과 같이 표시되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쌍자음 'ㅃ,ㅉ,ㄸ,ㄲ,ㅆ'은 상기와 같이 연속해서 두 번 누르는 방법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ㄲ,ㅆ'의 경우는 받침으로도 쓰이지만 쌍자음 5개가 전부 초성으로 쓰이기 때문에 어떤 단어의 음절이 받침이 없고 그 다음 글자의 초성이 쌍자음인 경우 즉 예를 들면 '오빠, 아껴 쓰다, 때때로, 어찌씨'의 경우 연속해서 두 번 누른다면 '옵바, 악겨 쓰다, 대로, 엊짓시'로 표현되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쌍자음의 경우는 사용자들이 처음부터 기존 방법대로 쉬프트 키와 함께 사용하여 한 번 눌러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래 표2에서와 같이 소정의 키를 소정의 시간 보다 길게 누를 경우 한글환경일지라도 그 키 버튼에 표시되어있는 제1열의 영문이 출력된다, 그리고 쉬프트 키를 함께 사용하면서 길게 누를 경우에도 영문자의 대/소 변환이 가능하다. 즉 한글환경에서 소정의 키를 소정의 시간보다 길게 누르면 자동으로 영어환경으로 변환되게 된다.
그러나 영문의 긴 문장을 입력하고자 할 때는, 영어환경으로 변환해서 종래와 동일하게 영문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2는 한글환경에서 영문을 표시하는 방법이며, 반대로 영어환경에서도 마찬가지로 소정의 키를 소정의 시간보다 길게 누를 경우에는 한글이 출력되게 된다. 즉, 아래의 표3과 같은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영어환경에서 한글의 쌍자음, 복자음 또는 이중모음을 표시하려면 아래의 표4와 같이 쉬프트 키를 누른 상태에서 소정의 키를 소정의 시간 보다 길게 누르면 된다.
상기 방법은 모두 종래의 일반적인 키 입력방법과 동일하게 캡스락(Caps Lock)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쉬프트 키와 또는 한글/영문 변환키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에서 키가 입력되면 키보드 스캔코드(KSC)가 발생되고, 이러한 키보드 스캔코드는 키보드 컨트롤러에 수록된 키보드 바이오스에 의해 시스템 스캔코드(SSC)로 변환되며, 이러한 시스템 스캔코드는 메인 바이오스를 통하여 실제 코드(AC)로 변환되어 컴퓨터에 제공되기는 기존 것과 마찬가지로 똑같다. 다만, 상기 키보드 스캔코드는 직렬통신으로 메인보드 측에 전송되는데 이때 보내지는 코드의 키 눌림과 해제가 구분이 되는데 있어서, 키 눌림의 시간차에 따라 같은 환경의 코드가 되어 전송되기도 하고 다른 환경의 코드로 변환이 되어 전송되도록 프로그램을 해놓으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따로 한/영 변환키를 누르지 않고서도 소정의 키를 소정의 시간보다 길게 눌러줌으로서 한글환경에서 영어를 그리고 영어환경에서 한글을 쉽게 표현할 수 있으며, 또한 소정의 동일한 키 버튼을 연속 두 번 눌러서 복자음이나 이중모음을 표시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빠르면서도 손쉽게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자판배열,
도2는 일반적인 키보드에서 코드변환 과정도,
도3은 일반적인 키보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취소키 20: 기능키부
30: 자판부 40: 이동키부
50: 쇼트키부 60: 특수키부
70: 표시부 80: 숫자키부

Claims (2)

  1. 컴퓨터에 문자나 다양한 기호를 입력하는 키보드의 자판배열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첫번째 열에 (Q ㅃ ㅂ), (W ㅉ ㅈ), (E ㄸ ㄷ), (R ㄲ ㄱ), (T ㅆ ㅅ), (Y ㄳ ㅛ), (U ㅞ ㅕ), (I ㅙ ㅑ), (O ㅒ ㅐ), (P ㅖ ㅔ)로 구성하고, 두번째 열에 (A ㄻ ㅁ), (S ㄵ ㄴ), (D ㄶ ㅇ), (F ㄼ ㄹ), (G ㅀ ㅎ), (H ㅚ ㅗ), (J ㅝ ㅓ), (K ㅘ ㅏ), (L · ㅣ)로 구성하고, 세번째 열에 (Z ㄺ ㅋ), (X ㄾ ㅌ), (C ㄽ ㅊ), (V ㄿ ㅍ), (B ㅄ ㅠ), (N ㅟ ㅜ), (M ㅢ ㅡ)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의 자판배열.
  2. 제1항의 자판배열로 구성된 자판부를 포함하는 키보드 입력장치로서,
    상기 키보드 자판부의 연속적으로 나열된 키 버튼에서 소정의 키를 소정의 시간보다 길게 누를 경우 한/영 변환키를 누르지 않고서도 그 버튼에 표시된 문자가 자동으로 한글환경에서는 영어문자로, 영어환경에서는 한글문자로 변환되는 변환수단과;
    한글환경인 경우에 상기 키보드의 소정의 동일한 키를 연속해서 두 번 누를 경우 그 버튼에 표시된 복자음이나 이중모음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의 자판배열을 갖는 입력장치.
KR1020040043797A 2004-06-10 2004-06-10 키보드의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 KR20050117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797A KR20050117456A (ko) 2004-06-10 2004-06-10 키보드의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797A KR20050117456A (ko) 2004-06-10 2004-06-10 키보드의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456A true KR20050117456A (ko) 2005-12-14

Family

ID=3729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797A KR20050117456A (ko) 2004-06-10 2004-06-10 키보드의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74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6556A (en) Keyboard for inputting to computer means
US7417566B2 (en) Sequential two-key system to input keyboard characters and many alphabets on small keypads
US10990192B2 (en) Multilingual character input device
US20090179780A1 (en) Hand-held thumb touch typable ascii/unicode keypad for a remote, mobile telephone or a pda
KR100371381B1 (ko) 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내장된 문자입력장치
US20130057478A1 (en) Ethiopic computer keyboard
JP3965413B2 (ja) 片手操作の文字入力機器
KR101747037B1 (ko) 문자 입력 방법
KR102459508B1 (ko) 일본어 문자 입력기 및 입력 방법
US20050187754A1 (en) Software-based keystroke eliminator for alpha-numeric keyboards and keypads
US7205982B1 (en) Character input keyboard
JP3738066B2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JP2008293498A (ja) 日本語入力方法
JP2022094941A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文字入力装置
KR20050117456A (ko) 키보드의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
KR100404339B1 (ko) 한글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
JP3223652B2 (ja) 日本語入力手段を有する装置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30037953A (ko) 한글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
KR20050113564A (ko) 간단한 문자 입력 방식
JP2002229721A (ja) 日本語の音節表記に基づく簡易型文字入力装置
KR20230014675A (ko)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200313360Y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KR200289449Y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KR100539281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