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955A -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955A
KR20050116955A KR20040042085A KR20040042085A KR20050116955A KR 20050116955 A KR20050116955 A KR 20050116955A KR 20040042085 A KR20040042085 A KR 20040042085A KR 20040042085 A KR20040042085 A KR 20040042085A KR 20050116955 A KR20050116955 A KR 20050116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user
operation ser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4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김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기 filed Critical 김선기
Priority to KR2004004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6955A/ko
Publication of KR2005011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955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인터넷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와, 학습교재와 관련된 모바일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프로그램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폰페이지(13)운영기능과 CTI 서버 기능 및 Web서버 기능 을 갖춘 운영서버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교재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학습의 진도에 맞추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 문자, 음성, 그림, 벨소리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자료를 분석하여 DB화하여 두고 자료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학습의 효율을 높이게 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시간에 학습자료를 보고, 학습자료를 벨소리로 듣고, 스케줄에 따라 학습자료를 SMS나 CBS로 받고, 원하는 자료를 pull방식으로 취득하여 학습해가며,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이동중 학습이 가능하고, 주교재를 보충하여 지속적으로 자료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개인별 능력별로 차등화된 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단계적으로 계획된 학습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Method to provide studying materials of a textbook using mobile contents }
본 발명은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로 교재와 관련된 학습자료를 모바일 컨텐츠로 제공하는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재는 단순히 책 한권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나, 보조교재가 다양해지면서 워크북을 비롯한 테이프, CD, 웹컨텐츠 등의 다양한 자료가 제공되어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재들은 주교재를 중심으로 테이프와 CD를 제공하는데 그치고 웹컨텐츠까지 제공하는 교재는 컴퓨터 관련 교재로 일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제작용에 한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 온오프라인이나 모바일 상에서 무작위의 학습자료를 찾을 수 있지만 온오프라인과 모바일을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학습자료가 제공되지는 않아 오프라인의 교재를 토대로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해 학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없었다.
즉, 주교재와 워크북 및 테이프, CD 사이에는 서로 연계되어 자료가 구성되어 있으나, 이들과 온라인상에서의 웹컨텐츠나 모바일 컨텐츠와는 서로 연계되지 않아 주교재를 학습하는 데에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받아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었다.
이에 국가에서 주도하는 일부 교과서의 경우 참고서와 웹컨텐츠를 연계하여 교육방송이나 웹상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모바일 컨텐츠가 전혀 제공되지 않고, 일반 출판사가 참여하는 일부 교과서의 경우 교과서 제작업체가 참고서를 별도로 판매하면서 웹컨텐츠를 일부 제공하고 있는 정도이다.
이와 같이 교재를 테이프나 CD로 연계하여 학습하기 위해서는 카세트나 CD플레이어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웹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유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기를 구비해야 하므로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들어 정보통신이 발전하면서 정보통신을 이용한 ICT(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Technology)학습으로 학습방법의 중심이 이동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주교재만으로 학습하는 경우에는 내용이 업데이트되면 새로 구입하거나 업데이트된 내용을 신속하게 알 수 없어 잘못된 내용을 학습하거나, 학습목표에 충실하지 못한 학습을 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이동중 학습이 가능하고, 주교재를 보충하여 지속적으로 자료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개인별 능력별로 차등화된 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단계적으로 계획된 학습을 할 수 있는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인터넷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와, 학습교재와 관련된 모바일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학습진도를 맞추어 줄 스케줄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과 원하는 학습자료를 선택하게 해주는 폰페이지와, ARS기능, 도우미 연결, 녹취의 기능을 가진 CTI 서버기능을 제공하는 운영서버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학습자료를 진도에 맞게 서비스 받고, 폰페이지와 CTI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 받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처리하며, 학습내용을 선택한 후 즉시 play 시키거나 다운로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선택한 서비스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시스템은, 학습교재와 관련된 모바일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11)와, 상기 데이타베이스와 연동되어 폰페이지(13)와 웹페이지(14) 및 CTI서버(14)를 운영하는 운영서버(10)와, 무선인터넷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20)와, 유무선 인터넷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단말기(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는 무선인터넷 기능을 구비한 PDA나 셀룰러폰, MP3 플레이어가 가능하다.
상기 운영서버(10)는 모바일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11)와 연동되고, 상기 데이타베이스(11)를 운영하는 관리프로그램(12)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타베이스(11)는 학습교재로부터 변환된 다양한 모바일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다. 교과서나 참고서와 같은 기본교재의 경우 암기사항을 모바일 컨텐츠로 변환하여 이동중에도 암기사항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문제집의 경우 문제나 퀴즈를 변환하고, 특히 퀴즈는 게임 컨텐츠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며, 영어의 경우 문형이나 단어를 모바일 컨텐츠로 변환하게 된다. 컨텐츠는 애니메이션, 음성, 문자, 동영상, 음악, 벨소리의 형태로 구성된다.
모바일 컨텐츠의 일부는 Push방식에서 사용될 목적으로 전송이 가능한 단위로 변환되어 저장되고, 각 단위에는 고유번호가 부여되며, 그 고유번호에 따라 관련된 자료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영어교재의 경우 하나의 문장에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하나의 단위로 저장되고, 그 문장에 해당하는 해설이 그 고유번호에 매칭되어 저장되며, 그 문장의 원어민 발음이 그 고유번호에 매칭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관련된 자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관리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선택한 모바일 컨텐츠의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관련자료를 검색한 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자료의 포멧 또한 고유번호에 매칭되게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포멧의 자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자료의 일부는 Pull방식의 자료제공을 목적으로 해설이나 심화 학습자료 등으로 구성된다. 이 자료는 Push방식에서 제공된 정보와 연계되어 추가로 학습할 수 있는 자료이며, 음성, 동영상, 텍스트, 애니메이션이나 녹취기록으로 저장된다.
모바일 컨텐츠는 기본교재를 토대로 업데이트되는 내용으로 지속적으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데이타는 관리프로그램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고 시간에 맞추어 전송된다.
상기 관리프로그램(12)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20)로 모바일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에 따라 데이타베이스(11)를 달리 운영한다. 이동통신단말기(20)로 모바일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에는 Push 방식과 Pull 방식이 있다.
Push방식은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배달되는 방식으로 SMS(단문자서비스)나 CBS(Cell Broadcasting Service)를 통해 모바일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전송하게 되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단지 보거나 듣게 되고 브라우져를 통해 URL을 입력하거나 검색어를 입력할 필요가 없게 된다.
Push방식의 경우 사용자는 온오프라인상에서 서비스 받고자 하는 학습단위와 서비스 받고자 하는 시간을 설정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3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10)가 운영하는 웹페이지(14)에 접속하여 서비스 받고자 하는 학습교재와 학습단계를 미리 선택하고, 서비스 받고자 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사용자는 웹페이지(14)상에서 학습내용을 상세히 검토한 후 학습교재와 학습단계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폰페이지(13)에 접속하여 서비스 받고자 하는 내용을 선택할 수도 있게 되나, 이때에는 서비스 내용을 자세히 검토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교재와 함께 제공되는 우편엽서를 이용하여 서비스 받고자 하는 내용을 운영서버(10)의 운영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교재에 기재되는 이메일을 통해 전달할 수도 있다.
Pull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찾아가는 방식으로,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서버기능을 가진 운영서버(10)에 접속하여 음성정보를 얻거나, 브라우져를 통해 운영서버의 폰페이지(13)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직접 필요한 정보를 가져오는 방식이다.
Pull방식은 사용자가 URL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입력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방식(도 3)과, Push방식으로 받은 정보에서 콜백URL(Call Back URL) 방식으로 폰페이지에 접속하는 방식(도 4), Push방식으로 받은 정보에서 콜백넘버(Call Back Nnmber) 서비스를 통하여 CTI서버에 접속하는 방식(도 5)의 세가지 방식이 있다.
상기 관리프로그램(12)은 모바일 컨텐츠를 벨소리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MP3 파일이나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운로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Pull방식으로 모바일 컨텐츠를 학습자료로 제공받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폰페이지(13)에 접속하게 되면 상기 운영서버는 학습교재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서비스 받고자 하는 학습교재를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는 교재의 해설서나 문제집을 학습교재로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문제집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풀이한 문제의 답을 운영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운영서버는 정답과 풀이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사용자가 학습교재를 선택한 후에는 학습단계를 선택하고, 학습자료를 곧바로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운로드 방식을 선택하고, 추후에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사용자는 학습자료를 제공받고자 하는 시간을 주기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선택한 서비스를 설정된 시간에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받게 된다.
사용자는 모바일 컨텐츠를 벨소리나 MP3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고, 벨소리로 다운로드한 경우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벨소리로 설정함으로써 전화를 수신할 때마다 학습내용을 들을 수 있게 되고, MP3 파일로 다운로드 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의 MP3 플레이어 기능을 통해 재생하거나 별도의 MP3 플레이어로 전송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애니메이션이나 그림을 다운받아 전화 대기 시작에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학습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모바일 컨텐츠를 모바일 이미지나 동영상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뷰어나 재생기능을 통해 학습자료를 보고 들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미지 파일은 모바일용 이미지인 SIS나 JPG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영상 파일은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나 VM(virtual machine)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ush방식으로 모바일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콜백URL 서비스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Pull방식의 서비스를 통해 관련된 모바일 컨텐츠나 다른 모바일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단 콜백URL을 선택하면 도 3에서와 같은 URL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받게 된다.
도 5에서 보면 Push방식에서 상기 운영서버는 콜백넘버(Call Back Number)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CTI서버에 연결할 수 있게 한다.
CTI서버는 ARS기능을 제공하여 필요한 학습자료를 음성으로 듣거나 도우미와 전화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즉, 영어회화와 같은 교재의 경우 상기 운영서버에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모바일 컨텐츠를 전송하면 사용자는 내용을 확인하면서 콜백넘버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CTI서버에서 번호를 선택하여 자동으로 원하는 추가적인 해설을 들을 수 있다. 또는 외국인과의 대화를 선택하여 회화 연습을 하고, 회화 내용을 녹취하여 다시 평가 및 보완지도를 즉시 또는 push 서비스로 받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에 의하면,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이동중 학습이 가능하고, 주교재를 보충하여 지속적으로 자료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개인별 능력별로 차등화된 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단계적으로 계획된 학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교재 학습자료를 데이타베이스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운영서버 11 : 데이타베이스
12 : 관리프로그램 13 : 폰페이지
14 : 웹페이지 15 : CTI서버
20 : 이동통신단말기 30 : 컴퓨터 단말기

Claims (10)

  1. 무선인터넷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와, 학습교재와 관련된 모바일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와, 상기 데이타베이스와 연동되어 폰페이지를 운영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학습자료를 모바일 컨텐츠로 제공하여 교재의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폰페이지에 접속하여 서비스 받고자 하는 학습교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학습교재를 선택한 후 학습단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학습단계를 선택한 후 다운로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다운로드 방식을 선택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교재의 해설서나 문제집을 학습교재로 선택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문제집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풀이한 문제의 답을 운영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처리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풀이한 문제의 답을 수신하게 되면 정답과 풀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풀이한 문제의 답을 수신한 경우 정답과 비교하여 점수를 연산하고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폰페이지에서 학습교재를 선택하고 학습단계를 선택한 후 서비스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폰페이지에서 학습교재를 선택한 후, 도우미와 전화로 연결되는 콜백넘버(Call Back Nnmber)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모바일 컨텐츠를 벨소리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모바일 컨텐츠를 전화 대기 시간에 디스플레이하여 학습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모바일 컨텐츠를 MP3 파일이나 이미지 및 동영상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학습내용을 전송하고, 사용자가 통화를 선택하면 콜백(Call Back)URL 서비스를 통해 운영서버의 폰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KR20040042085A 2004-06-09 2004-06-09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KR20050116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2085A KR20050116955A (ko) 2004-06-09 2004-06-09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2085A KR20050116955A (ko) 2004-06-09 2004-06-09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955A true KR20050116955A (ko) 2005-12-14

Family

ID=3729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42085A KR20050116955A (ko) 2004-06-09 2004-06-09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69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394B1 (ko) * 2005-12-27 2007-11-29 주식회사 비티비솔루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
KR100842866B1 (ko) * 2005-08-18 2008-07-02 (주)인피니티 텔레콤 학습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이용한 학습방법
KR100870146B1 (ko) * 2006-08-22 2008-11-24 주식회사 미디어워크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866B1 (ko) * 2005-08-18 2008-07-02 (주)인피니티 텔레콤 학습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이용한 학습방법
KR100780394B1 (ko) * 2005-12-27 2007-11-29 주식회사 비티비솔루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
KR100870146B1 (ko) * 2006-08-22 2008-11-24 주식회사 미디어워크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Greal et al. Technologies of online learning (e-learning)
Rogers Mobile learning devices
US9685094B2 (en) Text to training aid conversion system and service
CN102819969A (zh) 多媒体教育平台的实现方法及多媒体教育平台系统
McBride Podcasts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US20060121422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foreign language learning community
Afzali et al. Mobile-assisted vocabulary learning: A review study
CN112053595B (zh) 由计算机实现的训练系统
Cowie Student transcription for reflective language learning
Braun Teens, technology, and literacy; or, why bad grammar isn't always bad
US9119050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mobile comic serialization using messaging on the moving knowledge engine platform
JP6656529B2 (ja) 外国語の会話訓練システム
Srivani et al. Influence of Education 4.0 on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in Telangana’s engineering institutions
KR20050116955A (ko)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Getts et al. Accessibility of distance library services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users
JP2006023373A (ja) 言語学習支援システム、及び言語学習支援プログラム
KR100613899B1 (ko) 통신 매체를 이용한 학습 진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36950A (ko) 영어교육 및 시험을 위한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Andujar Mobile instant messaging for ELT
KR100891386B1 (ko) 역학원 방식의 외국어 회화 학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9807A (ko) 휴대형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어학 학습 제공 방법 및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WO2002029760A2 (en) Method and system customizing information representation depending on the user's learning style and abilities
KR20160142188A (ko) 음악 레슨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02003414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외국어회화 교육방법
KR101580552B1 (ko) 단어 리스트 공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