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753A -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753A
KR20050116753A KR1020040041982A KR20040041982A KR20050116753A KR 20050116753 A KR20050116753 A KR 20050116753A KR 1020040041982 A KR1020040041982 A KR 1020040041982A KR 20040041982 A KR20040041982 A KR 20040041982A KR 20050116753 A KR20050116753 A KR 20050116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vegetable
negative ions
amou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미선
박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6753A/ko
Publication of KR20050116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75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채실 내에 음이온을 발생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고, 청정도를 표시하는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 야채실 내부의 상태에 따라 음이온이 발산되도록 제어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표시제어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냉장고 도어 및 야채실을 열지 않고도 현재 야채실 내부의 청정상태를 한 눈에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도어를 열지 않아도 되어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A purity display apparatus for vegetable room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야채실의 청정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에 관한 것입니다.
냉장고는 여러가지 음식물 등을 보관하기에 적절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가능한 냉장기기 및 냉동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냉장기기 및 냉동기기는 냉각사이클을 이용하여 기기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고 있다. 상기 냉각사이클은, 압축기로부터 응축기 그리고 증발기로 연결되는 냉매유로로 구성되어, 상기 냉매유로에 흐르고 있는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냉장고에서 필요로 하는 냉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냉장고는, 냉장온도로 저장물을 보관하는 냉장실(20)과 냉동온도로 저장물을 보관하는 냉동실(10)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20)의 하측에는 야채실(60)이 별도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20)과 냉동실(10)은 각각의 도어(50, 4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20) 및 냉동실(10) 고내에 냉기토출구로부터 출력된 냉기가 순환하여 공급된다. 이때, 냉장실(20)에 구성되는 야채실(60)에도 냉기가 순환하여 공급된다.
근래에는 종래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부가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 가전제품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최근 급속도로 '웰빙'을 추구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고, 이와 같은 추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냉장고 내부의 살균 능력을 부가한 음이온 발생장치를 장착한 냉장고가 출현되고 있다. 그러나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동으로 변화하는 고내의 상태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 야채실의 청정도 상태를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는, 야채실 후측에 구성되는 음이온 발생부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후측에 구성되어, 음이온을 야채실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서 유입되는 음이온의 발산량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서 감지된 음이온의 발산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냉장고의 구동 및 야채실의 음이온 발산량을 조절하고, 상기 음이온의 발산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음이온의 발산량에 비례하여 다단계 표시하기 위한 LED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음이온의 발산량에 비례하여 수치값 및 그래프 등으로 출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송풍팬의 강도에 따라, 음이온 발산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야채실의 청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야채실에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한 야채실의 청정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어구성이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음이온은, 공기 중에 부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작용 및 악취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음이온이 발산되는 음이온 발생장치를 냉장고에 장착하는 경우, 냉장고 고내의 공기 중에 있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박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탈취기능효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구성은,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부(230)와, 음이온 발산량을 감지하는 센서부(200)와, 야채실 내에 음이온이 골고루 신속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구동하는 송풍팬(240)과, 야채실 내의 음이온 발산량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음이온 발산 및 송풍팬(240)의 회전 강도을 제어하고, 음이온 발산량을 별도의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이온 발생부(230)는, 냉장실 후면 또는 야채실 후면이나 상면 측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240)도, 냉장실 후면 또는 야채실 후면이나 상면 측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240)은, 음이온 발생부의 후면에 구성되고, 송풍팬(240)의 강/약의 바람강도에 따라 야채실 내에 공급되는 음이온 발산량이 조절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음이온 발산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별개로 송풍팬(240)의 바람의 강도를 조절하면 된다.
한편, 센서부(200)가 음이온 발산량을 감지하면, 감지된 값에 해당하는 적정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220)에 전달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20)는, 음이온 발산량에 따라 야채실 내부의 청정도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야채실 내부의 청정도를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서 현재 야채실 내부의 청정상태(청정도)를 나타낸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10)는, 다수개의 LED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20)는, 음이온 발산량에 따라 송풍팬(240)의 강도를 조절한다. 즉, 현재 야채실의 청정도가 충분하도록 판단하면, 송풍팬(240)의 구동강도를 조절하여, 야채실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때, 야채실의 청정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청정상태를 세팅하거나 미리 세팅된 조건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하여, 야채실 음이온 발산량 조건을 고정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야채 및 과일 등의 상태에 따라, 이를 보관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지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야채실의 상세도이고, 도 4b는 냉장고 야채실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냉장고는 냉장온도로 저장물을 보관하는 냉장실(120)과, 냉동온도로 저장물을 보관하는 냉동실(100)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0) 및 냉동실(100)에는 각각의 도어(130, 110)가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120)의 하측에는 야채실(140)이 구비되고 있다. 상기 야채실(140)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되고 있지는 않지만 센서부가 구성되고, 야채실 (140) 내부의 음이온 발산량을 측정하고, 해당값에 대한 신호를 마이크로컨트롤러(220)에 전달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20)는 해당값에 대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서 음이온 발산량에 따른 청정도를 표시한다. 동시에 마이크로컨트롤러(220)는 야채실(140)이 음이온 발산량에 도달할 수 있도록 음이온 발생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음이온을 송풍팬(240)을 통해서 야채실(140)에 송풍되도록 제어한다.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야채실(140) 내부에는 냉기와 함께 음이온이 야채실 내부로 발산되는 토출구(P)와, 야채실(140)을 순환한 냉기가 다시 냉기순환경로(별도로 도시하지 않음)로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I)로 구분되어 구성되어져 있다.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는 않지만, 야채실(140)에 센서부(200)가 일측에 구성되어, 현재 야채실(140)의 음이온 발산량을 검지하게 된다. 상기 음이온 발산으로 인해서 야채실(140)의 살균 작용이 수행되어, 오랫동안 저장물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b의 야채실의 측단면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야채실에 발생된 음이온은 야채실 내부에서 발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음이온을 발생하기까지의 발생조건은, 야채실의 온도 및 습기, 유해물질의 농도 및 냄새 등과 같은 공기환경에 의해서 좌우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야채실의 청정도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상세도이다.
도면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 일측에 냉장고의 동작 상태(운전상태 및 냉장/냉동온도 등)와 더불어 야채실(140)의 청정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0)가 구성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야채실(140)의 청정도를 표시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LED를 구비하고 상기 LED의 점등 개수에 의해서 청정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일실시예이며, 청정도의 상태를 다수 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 및 소자의 사용이 가능하다(예를 들어 수치값 및 그래프 등).
이를 위해서 센서부(200)를 통해서 감지되는 현재 야채실(140)의 음이온 발산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는 마이크로컨트롤러(220)가 판단하여 청정도를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서 표시제어한다. 이와 같이 야채실(140)의 청정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210)는 현재 야채실(140)의 청정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서, 사용자는 냉장실(120) 도어 및 야채실(140)을 열지 않고도 한 눈에 야채실(140)의 청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장고 야채실의 청정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음이온 발생량을 조절하고, 야채실의 청정도를 표시부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로 인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야채실에 음이온을 발생량을 조절하여, 야채실에 있는 저장물의 신선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야채실의 청정도를 별도의 표시부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한다. 그 결과 야채실의 청정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사용자가 야채실의 청정도를 한 눈에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야채실의 청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야채실의 상세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야채실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야채실의 청정도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냉동실 110 : 냉동실 도어
120 : 냉장실 130 : 냉장실 도어
140 : 야채실 200 : 센서부
210 : 디스플레이부 220 : 마이크로컨트롤러
230 : 음이온 발생부 240 : 송풍팬

Claims (4)

  1. 야채실 후측에 구성되는 음이온 발생부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후측에 구성되어, 음이온을 야채실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서 야채실로 유입되는 음이온의 발산량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서 감지된 음이온의 발산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냉장고의 구동 및 야채실의 음이온 발산량을 조절하고, 상기 음이온의 발산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음이온의 발산량에 비례하여 다단계 표시하기 위한 LED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음이온의 발산량에 비례하여 수치값 및 그래프 등으로 출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강도에 따라, 음이온 발산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
KR1020040041982A 2004-06-08 2004-06-08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 KR200501167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982A KR20050116753A (ko) 2004-06-08 2004-06-08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982A KR20050116753A (ko) 2004-06-08 2004-06-08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753A true KR20050116753A (ko) 2005-12-13

Family

ID=3729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982A KR20050116753A (ko) 2004-06-08 2004-06-08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67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208B1 (ko) 야채의 광합성이 가능한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JP4526478B2 (ja) 冷蔵庫
JP4526475B2 (ja) 冷蔵庫
EP1936301A2 (en) Refrigerator with ion gen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526476B2 (ja) 冷蔵庫
JP5630106B2 (ja) 冷蔵庫
JP7261063B2 (ja) 冷蔵庫
JP2011252612A (ja) 食品貯蔵庫
JP5750085B2 (ja) 冷蔵庫
KR100750256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750257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WO2014129143A1 (ja) 冷蔵庫
KR101789805B1 (ko) 자외선 엘이디가 구비된 냉장고
JP4197789B2 (ja) 食品冷却庫
KR20050116753A (ko) 냉장고의 야채실 청정도표시장치
KR101700194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7101061A (ja) 冷蔵庫
KR20050045043A (ko) 조명장치
JP2005114186A (ja) 冷蔵庫
JP2003279233A (ja) 家庭用冷蔵庫
JP2011045299A (ja) 微生物検出制御装置
KR20210049548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0750261B1 (ko) 김치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JP4421552B2 (ja) 冷蔵庫
JP2011002227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