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460A -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 Google Patents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460A
KR20050115460A KR1020040040279A KR20040040279A KR20050115460A KR 20050115460 A KR20050115460 A KR 20050115460A KR 1020040040279 A KR1020040040279 A KR 1020040040279A KR 20040040279 A KR20040040279 A KR 20040040279A KR 20050115460 A KR20050115460 A KR 20050115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position
setting device
automatic setting
position automatic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526B1 (ko
Inventor
박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40040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526B1/ko
Publication of KR2005011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재(1)가 회전 가능하게 로딩되는 안착부(40)와, 안착부(40)에 로딩된 소재(1)를 위치시키는 고정부(50)와, 위치된 소재(1)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소재(1)를 일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60)와, 밀착부(60)에 의하여 밀착된 소재(1)의 종류별 길이에 따라 상기 소재를 용접 위치까지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부(70)와, 소재(1)를 용접 부위로 자전 회전시키는 회전부(80)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 소재마다 적합한 위치에 브라켓 등이 용접될 수 있도록 하나의 장치에서 자동으로 용접 위치가 교정됨으로서,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셋팅 시간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정확한 셋팅으로 품질의 안정화를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WELDING POSITION AUTOMATIC SETTING DEVICE OF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용되는 차종에 따라서 그 전장 길이나 각종 브라켓의 용접 위치가 다른 각종 쇽업소버의 소재를 별도의 설비의 교환 없이도 용접 부품들을 제위치에 용접시킬 수 있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량의 현가암과 차체 사이에 설치하여 차량의 주행 중 노면에서 타이어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감쇠 또는 흡수시켜 차체의 진동과 충격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쇽 업소버는 실린더의 외주면에 쇽 업소버와 너클암 사이를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너클브라켓(knuckle bracket)과 차축과의 조립 견고성을 높이기 위한 브라켓들이 용접 설치된다.
위의 각종 브라켓은 차축과의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방향성이 매우 중요하며, 만약 정위치가 아닌 다른 곳에 용접이 되어 있다면 차축과의 결합 차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각종 브라켓이 정위치에 정확히 용접되어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브라켓을 쇽업소버에 용접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차종별로 전장 길이 또는 부착되는 브라켓의 위치가 다른 쇽업소버 마다 그 기종에 해당하는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시키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 쇽업소버의 양측에서 용접기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용접하였다.
이처럼 쇽업소버에 브라켓의 용접 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다른 기종의 쇽업소버가 공급되면, 기존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못하고 새로이 공급되는 쇽업소버와 적합한 베이스 플레이트로 교체하여야 용접 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었다. 따라서 매번 이종의 쇽업소버에 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량이 과다하여 안전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장비 교환 없이도 전장 길이나 각종 브라켓의 용접 위치가 다른 소재의 브라켓 용접 위치를 자동으로 교정할 수 있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에 있어서, 소재가 회전 가능하게 로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에 로딩된 소재를 위치시키는 고정부와, 위치된 소재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소재를 일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와, 밀착부에 의하여 밀착된 소재의 종류별 길이에 따라 상기 소재를 용접 위치까지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소재를 용접 부위로 자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테이블(10)이 설치되고, 테이블(10) 상에 양측으로 용접기(20)와 브라켓공급기(30)가 설치되며, 이 용접기(20)와 브라켓공급기(30)의 사이에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는, 소재(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로딩되는 안착부(40)와, 안착부(40)에 로딩된 소재(1)를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부(50)와, 위치 고정된 소재(1)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소재(1)를 일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60)와, 밀착부(60)에 의하여 밀착된 소재(1)의 종류별 길이에 따라 용접 위치까지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부(70)와, 소재(1)를 용접 부위로 자전 회전시키는 회전부(80)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40)는, 테이블(10)의 상부측으로 직사각형의 지그 베이스(41)가 설치되고, 지그 베이스(41)의 상면 중 일단의 가장자리면에 고정브라켓(42)이 상방으로 돌출 설치된다. 이 고정브라켓(42)의 내측 공간으로는 일실시예의 쇽업소버 소재(1) 일단이 삽입되며, 삽입된 소재(1)가 회전 가능하도록 내주면에 베어링(43)이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브라켓(42)에 일단이 삽입된 소재(1)를 길이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지그 베이스(41)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V블록(44)이 상승하여 설치된다.
고정부(50)는, 고정브라켓(42)의 상측에 실린더(51)가 설치되고, 실린더(51)의 일단에는 힌지 회전되는 토글 클램프(toggle clamp:52)가 설치되어 소재(1)의 외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토글 클램프(52)는 실린더(51)에 의하여 전, 후진이 가능하며, 그 일단에는 구름 베어링(53)이 설치되어 소재(1)가 위치 고정되어 있지만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밀착부(60)는, 고정 브라켓(42)과 대향하는 위치의 지그 베이스(41) 상에 헤드 마운트(head mount:61)가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고, 헤드 마운트(61)의 상측에 길이 방향의 실린더 브라켓(62)이 설치된다. 실린더 브라켓(62)의 하방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는 중공부를 가지고, 그 일단에는 외측으로 실린더(63)가 돌출 설치된다.
실린더(63)의 축단과 조인트되는 푸시 샤프트(64)가 실린더 브라켓(62)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실린더(63)의 작동 시 안착부(40)에 안착된 소재(1)를 고정브라켓(42)의 일측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또, 실린더 브라켓(62)의 일측 하단에 너클가이드(45)가 설치되어 안착된 쇽업소버 소재(1)의 너클브라켓(1a)을 가이드하게 된다.
먼저, 회전부(80)는, 헤드 마운트(61)의 일단에 서보모터(81)가 설치되고, 서보모터(81)의 축상에는 모터기어(82)가 형성되며, 모터기어(82)에는 상측의 스핀들기어(83)와 치합된다. 스핀들기어(83)는 스핀들(84)과 일체로 형성되며, 스핀들(84)은 실린더 브라켓(62)의 내부에 위치하는 푸시 샤프트(64)와 결합되어 같이 회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스핀들(84)과 실린더 브라켓(62)의 내측 사이에는 베어링(85)이 설치되어 스핀들(84)의 회전 이동을 돕게 된다.
이송부(70)는, 지그 베이스(41)의 하부에 충격흡수수단으로 결합되는 지그 테이블(71)이 설치된다. 충격흡수수단의 일실시예인 LM가이드(72)는 전, 후진 이동되는 지그 베이스(41)와는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위에서 설명한 용접기(20)와 브라켓 공급기(30)의 용접시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한편, 지그 테이블(71)의 하부로는 소정 거리 이격된 테이블 베이스(73)가 테이블(10) 상에 설치되며, 테이블 베이스(73) 상의 일단에는 서보모터(74)가 설치되며, 서보모터(74)의 축단에는 축이음되는 볼스크류축(75)이 이어진다. 볼스크류축(75)에는 지그 테이블(71)의 하면과 결합되는 너트하우징(76)이 설치되어 지그 테이블(71)과 지그 베이스(41)를 전, 후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볼스크류축(75)의 양측의 지그 테이블(71)과 테이블 베이스(73) 사이에 이송을 돕는 LM가이드(77)가 더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브라켓 들이 용접될 소재(1)를 안착부(40)에 로딩시키게 된다. 소재(1)를 V블록(44)과 너클가이드(45)에 얹듯이 안착시키고, 일단을 고정브라켓(42)에 밀어 넣게 된다. 이어서 고정부(50)의 실린더(51) 작동으로 토글 클램프(52)를 전진시키고 힌지 회전시켜 소재(1)의 외주면을 눌러서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위치 고정된 소재(1)의 일단에서 밀착부(60)가 작동하며, 실린더(63)는 푸시 샤프트(64)로 하여 소재(1)의 일단을 밀어서 고정브라켓(42)측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소재(1)가 이탈 없이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이송부(70)의 서보모터(74)가 작동하여 지그 테이블(71) 및 지그 베이스(41)의 일체를 전, 후진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서보모터(74)는 소재(1)의 전장 길이와 용접 위치가 미리 입력되어 있어서 공급되는 소재(1)에 따라서 길이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서보모터(74)가 회전하면, 축이음 연결되어 있는 볼스크류축(75)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너트하우징(76)이 이동되어 지그 테이블(71)을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지그 테이블(71)의 이동은 지그베이스(41)와 같이 이동을 이루게 된다. 이때, LM가이드(77)는 지그 테이블(71)의 이동을 돕게된다.
소재(1)가 용접기(20)와 브라켓 공급기(30)의 사이에서 용접할 위치에 이르게 되면, 회전부(80)의 서보모터(81)가 구동하게 된다.
위의 서보모터(81)도 이송부(70)의 서보모터(74)와 마찬가지로 종류별 소재(1)의 용접 위치가 입력되어 있어서 공급되는 소재(1)를 용접 위치까지 회전시키게 된다.
서보모터(81)가 회전을 하게되면, 모터기어(82)가 회전하고, 모터기어(82)에 치합되어 있는 스핀들기어(83)가 같이 회전하여 스핀들(84)과 푸시 샤프트(64)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베어링(85)은 스핀들(84)의 회전을 돕게 된다.
따라서 푸시 샤프트(64)는 고정브라켓(42)에 밀착되어 있는 소재(1)를 회전시켜, 소재(1)를 브라켓과의 용접 부위까지 위치시킨다.
한편, 소재(1)의 용접 위치를 교정하기 위하여 회전부(80)가 먼저 구동하고 나중에 이송부(70)가 구동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소재(1)의 용접 위치가 셋팅되면, 일측의 브라켓 공급기(30)에서 브라켓이 공급되고, 공급된 브라켓을 용접기(20)에서 용접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소재의 용접 과정에서 전장 길이나 용접될 브라켓의 위치 등이 다른 소재가 공급되면, 이처럼 하나의 장치에서 각 서보모터(74)(81)를 이용하여 용접 위치를 자동으로 셋팅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기종의 소재가 공급되어도 하나의 공용 장치에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셋팅 시간이 단축되며, 기준면을 정하기와, 셋팅 산포 제거가 용이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장치는, 각 소재마다 적합한 위치에 브라켓 등이 용접될 수 있도록 하나의 장치에서 자동으로 용접 위치가 교정됨으로서,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셋팅 시간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정확한 셋팅으로 품질의 안정화를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재 10 : 테이블
20 : 용접기 30 : 브라켓 공급기
40 : 안착부 41 : 지그베이스
42 : 고정브라켓 43, 85 : 베어링
44 : V블록 45 : 너클가이드
50 : 고정부 51, 63 : 실린더
52 : 토글클램프 60 : 밀착부
61 : 헤드 마운트 62 : 실린더 브라켓
64 : 푸시 실린더 70 : 이송부
71 : 지그 테이블 72, 77 : LM가이드
73 : 테이블 베이스 74, 81 : 서보모터
75 : 볼스크류축 76 : 너트하우징
80 : 회전부 82 : 모터기어
83 : 스핀들기어 84 : 스핀들

Claims (13)

  1.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재가 회전 가능하게 로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로딩된 소재를 위치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위치된 소재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상기 소재를 일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에 의하여 밀착된 상기 소재의 종류별 길이에 따라 상기 소재를 용접 위치까지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소재를 용접 부위로 자전 회전시키는 회전부,
    를 포함하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지그 베이스와,
    상기 지그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소재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삽입된 상기 소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지그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V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에 베어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된 소재의 너클브라켓을 가이드할 수 있는 너클가이드가 더 포함되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소재의 외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토글클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클램프의 일단에 구름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안착부 상에 설치되는 헤드 마운트(head mount)와,
    상기 헤드 마운트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실린더 브라켓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의 일단에 돌출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소재를 일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푸시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밀착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일단에 설치되는 모터기어와,
    상기 모터기어와 치합되는 스핀들기어를 가지며 내부 중공부에 푸시 샤프트가 결합되어 같이 회전되는 스핀들(spindl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회전 이동을 돕도록 그 외주면에 베어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10.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지그 테이블과,
    상기 지그 테이블의 하부로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는 테이블 베이스와,
    상기 테이블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일단으로 이어지는 볼스크류축과,
    상기 볼스크류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지그 테이블의 하면과 결합되는 너트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베이스 사이에 이송을 돕는 LM가이드가 더 설치되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이송부 사이에 상기 이송부의 진행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이동되는 충격흡수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의 용접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LM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KR1020040040279A 2004-06-03 2004-06-03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KR100736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279A KR100736526B1 (ko) 2004-06-03 2004-06-03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279A KR100736526B1 (ko) 2004-06-03 2004-06-03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460A true KR20050115460A (ko) 2005-12-08
KR100736526B1 KR100736526B1 (ko) 2007-07-06

Family

ID=3728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279A KR100736526B1 (ko) 2004-06-03 2004-06-03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5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057B1 (ko) * 2007-06-19 200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험평가용 점용접기의 시편 지그 장치
KR100882749B1 (ko) * 2007-06-21 2009-02-10 주식회사 대일 차량용 고정브라켓 용접장치
CN109967935A (zh) * 2017-12-28 2019-07-05 刘海平 一种汽车配件的焊接定位装置
CN112404866A (zh) * 2020-12-04 2021-02-26 南方泵业股份有限公司 一种泵体组合式焊接工装夹具及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057B1 (ko) * 2007-06-19 200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험평가용 점용접기의 시편 지그 장치
KR100882749B1 (ko) * 2007-06-21 2009-02-10 주식회사 대일 차량용 고정브라켓 용접장치
CN109967935A (zh) * 2017-12-28 2019-07-05 刘海平 一种汽车配件的焊接定位装置
CN112404866A (zh) * 2020-12-04 2021-02-26 南方泵业股份有限公司 一种泵体组合式焊接工装夹具及方法
CN112404866B (zh) * 2020-12-04 2024-05-10 南方泵业股份有限公司 一种泵体组合式焊接工装夹具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526B1 (ko) 200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9656B2 (en) Positioning jig device for vehicle body frame
JP2005028565A (ja) 車体パネル操作装置
KR101344343B1 (ko) 대형관 타입의 파이프 자동 용접 시스템
KR20120063778A (ko) 클램핑 장치
CN110142540A (zh) 胶带输送机滚筒内壁机器人数控智能焊接系统
US5010226A (en) Automatic seam welding apparatus
KR20200085109A (ko) 지그장치
KR100736526B1 (ko)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CN116140872A (zh) 一种摄像头自动焊接机
CN113635014A (zh) 辅助轮组件装配设备
KR20130027696A (ko) 자동차 조향장치용 스플라인 샤프트의 가공장치
JP4451340B2 (ja) 溶接装置
JP3427585B2 (ja) バリ取り装置およびバリ取り方法
KR101771955B1 (ko) 현가장치 제조방법
KR101638346B1 (ko) 차량용 범퍼 안착장치
CN213855417U (zh) 一种电池本体及上盖组装自动灌胶装置
JP2001287132A (ja) テーパピン利用の位置決め装置
KR200146767Y1 (ko) 파이프 고정지그
CN219505475U (zh) 汽车空调冷凝器芯子壳体自动熔接集成夹取机构及装置
KR102088127B1 (ko) 자동차용 로워암의 부시부재 용접을 위한 부시부재 공급장치
CN219582073U (zh) 一种滚轮架组件
CN216096481U (zh) 一种灵活性较强的摇臂钻床
CN220881595U (zh) 一种转向节锻造切边装置
CN219402746U (zh) 一种用于钢管外纵缝的焊接机
CN219945169U (zh) 一种硒鼓齿轮组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