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4275A - 당뇨병 치료제 - Google Patents

당뇨병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4275A
KR20050114275A KR1020057019543A KR20057019543A KR20050114275A KR 20050114275 A KR20050114275 A KR 20050114275A KR 1020057019543 A KR1020057019543 A KR 1020057019543A KR 20057019543 A KR20057019543 A KR 20057019543A KR 20050114275 A KR20050114275 A KR 20050114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
cells
csf
factor
colony stim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키 가와베
유이치로 아다치
Original Assignee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4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2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193Colony stimulating factors [CS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Obesit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당뇨병의 치료법과 비교하여 간편, 안전하고 또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투여함으로써, 파괴된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가 간편하고 또한 안전하게 수복된다. 따라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본 발명의 치료제는, 당뇨병의 치료에 유용하다. 이러한 줄기세포 동원 인자로서는, 예를 들어 G-CSF 와 같은 콜로니 자극 인자를 들 수 있다.

Description

당뇨병 치료제{REMEDY FOR DIABETES}
본 발명은,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제,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 재생제,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 파괴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인슐린 작용의 부족에 의한 만성고혈당에, 여러 가지의 특징적인 대사이상을 수반하는 질환군이다. 대사이상의 장기간에 걸친 지속은 특유의 합병증을 초래하기 쉽고, 동맥경화증도 촉진시킨다. 당뇨병은 I 형 및 II 형으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I 형은 발증기구로서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 파괴를 특징으로 하고, II 형은 인슐린 분비 저하와 인슐린 감수성의 저하 (인슐린 저항성) 의 양자가 발증에 관련되어 있다.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는, 랑게르한스섬 (췌도) 을 구성하는 4개의 분비세포 (α 세포, β 세포, δ 세포, PP 세포) 의 하나로서, 인슐린을 분비하고 있다.
일본에 있어서의 당뇨병 환자는 약 200만명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에 대한 치료방법으로는, 식사요법, 운동요법 및 인슐린을 함유하는 약품요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요법에 의해 당뇨병은 어느 정도 컨트롤할 수 있지만, 각각의 요법에는 여전히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즉, 식사요법은 칼로리 제한 나아가서는 신증을 합병하고 있는 경우 단백질을 제한하는데, 이 요법은 매일 장기간에 걸쳐 계속하지 않으면 안된다. 게다가, 환자 본인 또는 그 가족에 의해 그 대부분이 컨트롤되기 때문에, 탈락예도 많은 것이 문제로 되어 있다.
운동요법도 또 매일 계속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운동요법만하고 식사요법이 소홀해지면, 식욕증가에 의해 당뇨병 컨트롤에는 오히려 역효과이다.
약물요법으로는, I 형 및 II 형 당뇨병의 일부에 인슐린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혈당의 저하에는 극적인 효과를 갖지만, 연일 자기주사가 필요하여 대증치료일수밖에 없다. 경구 혈당하강제에는 술포닐우레아 (SU) 약, 비구아나이드약 등이 있다. 그러나, SU 약에는 만연히 사용하는 것에 의한 β 세포의 피폐, 비구아나이드약에는 락트산 아시도시스의 부작용의 문제 등이 있다. 어느 약물도, 대조적인 치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근본적인 치료약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현 실정이다. 최근, 인슐린 저항성 개선약으로서 개발된 티아졸리딘 유도체도 역시 부작용이 많아, 유효예와 무효예가 분명히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현재, 근본적인 치료라는 개념에서, 태성 줄기세포를 사용한 β 세포 이식 또는 췌조직내 β 세포 전구체에 특정한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것에 의한 분화 유도요법의 시도가 전임상단계이다.
최근, 골수 중에 있는 줄기세포가 다능성을 갖고, 혈관 또는 심근세포 등으로 분화되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내배엽 조직인 장관세포나 췌장 β 세포로도 골수 유래 세포가 분화되어, 재생에 관여하는 것이 밝혀졌다.
인간 G-CSF 는 과립구계 조혈 줄기세포의 분화 유도 인자로서 발견된 조혈인자로서, 생체내에서는 호중구 조혈을 촉진시키는 점에서, 골수이식이나 암화학요법후의 호중구 감소증 치료제로서 임상 응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작용 이외에도 인간 G-CSF 는 줄기세포에 작용하여 그 분화 증식을 자극하는 작용이나 골수 중의 줄기세포를 말초혈 중에 동원하는 작용이 있다. 실제로 후자의 작용에 근거하여, 임상의 현장에서는 강력한 화학요법을 시행한 후의 암환자의 조혈회복촉진을 목적으로 하여, 인간 G-CSF 에 의해 동원된 말초혈 조혈 줄기세포를 이식하는 말초혈 줄기세포 이식술이 행해지고 있다.
도 1 은 G-CSF 투여가 혈중 글루코스 농도에 주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는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를 항인슐린 항체로 면역 염색한 도면이다. 좌측 도면은 정상 마우스 조직, 우측 상부 도면은 스트렙토조신 투여후 용매를 투여한 마우스 조직, 우측 하부 도면은 스트렙토조신 투여후 G-CSF 를 투여한 마우스 조직을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는,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가 대상으로 하는 당뇨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I 형 당뇨병과 II 형 당뇨병의 어느 것이나 상관없지만, 바람직하게는 II 형 당뇨병이다.
줄기세포로서는, 배아줄기세포 (ES 세포), 췌장 도관에 있는 미분화인 세포, 간장의 간줄기세포, 장관 줄기세포 등을 들 수 있다.
줄기세포 동원 인자는 줄기세포 동원 작용을 갖는 한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줄기세포 동원 인자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콜로니 자극 인자 (과립구 마크로파지 콜로니 자극인자 (GM-CSF),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G-CSF) 등), 줄기세포인자 (SCF), 에리트로포에틴 (EPO)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로니 자극인자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G-CSF) 이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의 유효성분으로서 바람직한 G-CSF 는, 어떠한 G-CSF 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고도로 정제된 G-CSF 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유동물 G-CSF, 특히 인간 G-CSF 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것이다. G-CSF 의 유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천연유래의 G-CSF, 유전자 재조합법에 의해 얻어진 G-CSF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유전자 재조합법에 의해 얻어진 G-CSF 이다. 유전자 재조합법에 의해 얻어지는 G-CSF 에는, 천연 유래의 G-CSF와 아미노산 서열이 동일한 것 (배열번호 1 을 참조), 또는 그 아미노산 서열 중의 1 또는 복수의 아미노산을 결실, 치환, 부가하거나 한 것으로, 천연 유래의 G-CSF 와 동일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것 등이어도 된다.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부가 등은 당업자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당업자이면, 부위특이적 변이유발법 (Gotoh, T. et al.(1995) Gene 152, 271-275 ; Zoller, M.J. and Smith, M. (1983) Methods Enzymo1. 100, 468-500 ; Kramer, W. et al. (1984) Nucleic Acids Res.12, 9441-9456 ; Kramer, W. and Fritz, H.J. (1987) Methods Enzymo1.154, 350-367 ; Kunkel, T.A. (1985) Proc. Natl. Acad. Sci.USA. 82, 488-492 ; Kunkel (1988) Methods Enzymol.85, 2763-2766) 등을 사용하여, G-CSF 의 아미노산에 적절히 변이를 도입함으로써, G-CSF 와 기능적으로 동등한 폴리펩티드를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의 변이는 자연계에서도 생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환되는 아미노산 잔기에 있어서는, 아미노산 측쇄의 성질이 보존되어 있는 별도의 아미노산으로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 측쇄의 성질로서는, 소수성 아미노산 (A, I, L, M, F, P, W, Y, V), 친수성 아미노산 (R, D, N, C, E, Q, G, H, K, S, T), 지방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G, A, V, L, I, P), 수산기 함유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S, T, Y), 황원자 함유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C, M), 카르복실산및 아미드 함유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D, N, E, Q), 염기 함유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R, K, H), 방향족 함유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H, F, Y, W) 을 들 수 있다 (괄호내는 모두 아미노산의 1 문자 표기를 나타낸다). 어느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1 또는 복수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결실, 부가 및/또는 다른 아미노산에 의한 치환에 의해 수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가 그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Mark, D.F.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984) 81, 5662-5666 ; Zoller, M.J. & Smith, M. Nucleic Acids Research (1982) 10, 6487-6500 ; Wang, A. et al., Science 224, 1431-1433 ; Dalbadie·McFarland, G.et al., Proc. Natl. Acad. Sci.USA (1982) 79, 6409-6413).
또, G-CSF 와 다른 단백질과의 융합 단백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융합 폴리펩티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G-CSF 를 코드하는 DNA 와 다른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 를 프레임이 일치하도록 연결하여 이것을 발현벡터에 도입하여, 숙주로 발현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G-CSF 와의 융합에 부여되는 다른 단백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화학수식한 G-CSF 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학수식한 G-CSF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당쇄의 구조변환·부가·결실조작을 한 G-CSF나, 폴리에틸렌글리콜·비타민 B12 등,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 등의 화합물을 결합시킨 G-CSF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G-CSF 는,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어도 상관없고, 예를 들어, 인간 종양 세포나 인간 G-CSF 생성 하이브리도마의 세포주를 배양하여, 이것으로부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추출하여 분리 정제한 G-CSF, 또는 유전자공학적 수법에 의해 대장균, 이스트균, 차이니즈햄스터 난소세포 (CHO 세포), C127 세포, COS 세포, 미엘로마 세포, BHK 세포, 곤충세포 등에 생성시키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추출하여 분리 정제한 G-CS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G-CSF 는, 유전자 공학적 수법에 의해 제조된 G-CSF 가 바람직하고, 포유동물세포 (특히 CHO 세포) 를 사용하여 제조된 G-CSF 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보 평1-44200호, 일본 특허공보 평2-539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12929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13289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23648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4-85098호).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에는, 그 투여방법이나 제형에 따라 필요에 의해, 현탁화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보존제, 흡착방지제, 계면활성화제, 희석제, 부형제, pH 조정제, 무통화제, 완충제, 황함유 환원제, 산화방지제 등을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현탁제의 예로서는,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소르베이트8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 고무, 트라간트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용액보조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소르베이트80, 니코틴산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마크로골, 피마자유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안정화제로서는, 덱스트란40, 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아황산나트륨, 메타아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등장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D-만니톨, 소르비트 등을 들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예를 들어,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에틸, 소르브산, 페놀, 크레졸, 클로로크레졸 등을 들 수 있다.
흡착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인간 혈청 알부민, 레시틴, 덱스트란,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황함유 환원제로서는 예를 들어, N-아세틸시스테인, N-아세틸호모시스테인, 티옥트산, 티오디글리콜, 티오에탄올아민, 티오글리세롤, 티오소르비톨, 티오글리콜산 및 그 염, 티오황산나트륨, 글루타티온, 탄소원자수 1∼7 의 티오알칸산 등의 술프히드릴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리소르브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α-토코페롤, 아세트산토코페롤, L-아스코르브산 및 그 염, L-아스코르브산팔미테이트, L-아스코르브산스테아레이트,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갈산트리아밀, 갈산프로필 또는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2나트륨 (EDTA), 피롤린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등의 킬레이트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무기염 ;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칼륨, 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유기염 등의 통상 첨가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는, 주사제 (피하, 피내, 근육내, 정맥내, 복강내 등) 로서, 또는 경피, 경점막, 경비 등의 투여에 알맞은 제형, 또는 경구투여에 알맞은 제형 (정제, 캡슐제, 과립제, 액제, 현탁제 등) 으로서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투여경로나 제형 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제의 투여량, 투여회수는 대상의 질환환자의 병상을 배려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통상, 성인 1인당 0.1∼500㎍/㎏/day, 바람직하게는 1∼50㎍/㎏/day의 용량으로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투여할 수 있다. 투여회수는 1주일에 1∼7일간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줄기세포 동원 인자의 용량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를 투여함으로써 골수 중 및 말초혈 중의 줄기세포를 증가시킨 후, 세포를 모아 시험관내에서 β 세포로 분화 유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분화 유도시킨 β 세포는 체내로 되돌려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인간 G-CSF 는 이미 호중구 감소증 치료제 등으로서 임상 응용되고 있기때문에, 인간 G-CSF 를 투여하는 것은, 말초혈 중에 줄기세포를 동원하여, 파괴된 췌β 세포를 보충하는 것에 특히 적합하다.
줄기세포 동원 인자 이외의 β 세포 재생인자를 투여하는 경우, 동시에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투여함으로써 치료효과의 증대를 생각할 수 있다.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사용한 당뇨병의 치료는, SU 약, 비구아나이드약 및 티아졸리딘유도체약 등, 현재 당뇨병에 사용되고 있는 약물의 투여와 함께 행하여도 그 치료효과가 증대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동시에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유전자치료와의 병용이나,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코드하는 유전자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 자체를 유전자 치료에 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뇨병 모델 마우스에 있어서는 췌β 세포가 파괴되어 있지만, G-CSF 를 투여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β 세포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는,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의 파괴억제제 또는 재생제로서도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은,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투여한 후에, 줄기세포를 채취하여, 채취된 줄기세포를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는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말초혈로부터 단핵구를 분리채취하는 방법이나, CD34, c-kit 또는 CD133 등의 줄기세포 마커를 가진 혈액을 소팅하여 줄기세포 분획으로 하는 방법 등에 의해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 분화 유도 인자와 함께 배양하는 방법,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 분화 유도 인자를 줄기세포에 처치하는 방법, 세포 융합에 의해 증식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 분화 인자는, 줄기세포를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로 분화 유도할 수 있는 인자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와 같은 인자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bFGF, Reg 유전자, TGF, IGF1, 액티빈A, NGF, VEGF, 인터페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자기의 골수세포를 β 세포로 분화 유도시키기 때문에, 현재 고려되고 있는 태성 줄기세포를 사용한 β 세포 이식보다도 거절반응이 적고, 윤리적인 면에서도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근본치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를 인슐린 주사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게 되어, 생활의 질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종래의 당뇨병의 치료법과 비교하여 간편, 안전하고 또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G-CSF 의 줄기세포 동원작용을 이용하여 파괴된 장기 등의 수복효과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파괴된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가 G-CSF 투여에 의해 수복되어, G-CSF 가 당뇨병 치료제로서 유용한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지견에 근거하여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 재생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 파괴 억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투여후, 줄기세포를 채취하는 공정, 및 (b) 채취된 줄기세포를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험예 1
마우스에게 스트렙토조신을 100mg/㎏ 의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함으로써, 췌장의 세포를 파괴하여 당뇨병 모델을 제작하였다. 스트렙토조신 투여 1일 후부터 G-CSF 300㎍/㎏ 또는 용매를 1일 1회 피하에 연일 9일간 투여하였다. 스트렙토조신 투여 전, 투여 1, 2, 4, 7, 14 및 22일 후에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스트렙토조신을 투여한 마우스에서는 스트렙토조신 투여후부터 혈중 글루코스 농도가 상승되지만, G-CSF 투여군에서는 용매 투여군과 비교하여 혈중 글루코스 농도가 낮은 수치이었다.
또한, 동일한 실험으로 스트렙토조신을 160mg/㎏ 의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하여, 투여 다음날부터 G-CSF 300㎍/㎏ 또는 용매를 1일 1회 피하에 연일 8일간 투여하였다. 스트렙토조신 투여 2주 후에 췌장를 적출하여 동결 절편을 제작하고, 항인슐린 항체로 면역 염색함으로써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β 세포를 염색하여, 정상 마우스 췌장과 비교하였다. 결과를 도 2 에 나타낸다. 스트렙토조신 투여에 의해, 용매 투여군에서는 β 세포가 파괴되어 있지만 (우측 상부 도면), G-CSF 투여군에서는 어느 정도의 β 세포의 존재가 관찰되었다 (우측 하부 도면). 이것은, 스트렙토조신에 의한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의 파괴가 G-CSF 투여에 의해서 감소 또는 파괴된 β 세포가 재생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의해, 당뇨병의 근본 치료를 기대할 수 있고, 환자의 생활의 질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치료는, 종래의 치료법과 비교하여, 간편, 안전하고 또한 효과적이다.
<110>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120> Agent for treating Diabetes Mellitus <130> YCT-921 <150> JP 2003-110561 <151> 2003-04-15 <160> 1 <170> PatentIn version 3.1 <210> 1 <211> 174 <212> PRT <213> Human <400> 1 Thr Pro Leu Gly Pro Ala Ser Ser Leu Pro Gln Ser Phe Leu Leu Lys 1 5 10 15 Cys Leu Glu Gln Val Arg Lys Ile Gln Gly Asp Gly Ala Ala Leu Gln 20 25 30 Glu Lys Leu Cys Ala Thr Tyr Lys Leu Cys His Pro Glu Glu Leu Val 35 40 45 Leu Leu Gly His Ser Leu Gly Ile Pro Trp Ala Pro Leu Ser Ser Cys 50 55 60 Pro Ser Gln Ala Leu Gln Leu Ala Gly Cys Leu Ser Gln Leu His Ser 65 70 75 80 Gly Leu Phe Leu Tyr Gln Gly Leu Leu Gln Ala Leu Glu Gly Ile Ser 85 90 95 Pro Glu Leu Gly Pro Thr Leu Asp Thr Leu Gln Leu Asp Val Ala Asp 100 105 110 Phe Ala Thr Thr Ile Trp Gln Gln Met Glu Glu Leu Gly Met Ala Pro 115 120 125 Ala Leu Gln Pro Thr Gln Gly Ala Met Pro Ala Phe Ala Ser Ala Phe 130 135 140 Gln Arg Arg Ala Gly Gly Val Leu Val Ala Ser His Leu Gln Ser Phe 145 150 155 160 Leu Glu Val Ser Tyr Arg Val Leu Arg His Leu Ala Gln Pro 165 170

Claims (13)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제.
제 1 항에 있어서, 줄기세포 동원 인자가 콜로니 자극 인자인 당뇨병 치료제.
제 2 항에 있어서, 콜로니 자극 인자가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인 당뇨병 치료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 재생제.
제 4 항에 있어서, 줄기세포 동원 인자가 콜로니 자극 인자인 재생제.
제 5 항에 있어서, 콜로니 자극 인자가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인 재생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 파괴 억제제.
제 7 항에 있어서, 줄기세포 동원 인자가 콜로니 자극 인자인 억제제.
제 8 항에 있어서, 콜로니 자극 인자가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인 억제제.
(a)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줄기세포 동원 인자를 투여 후, 줄기세포를 채취하는 공정, 및
(b) 채취된 줄기세포를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의 제조방법.
당뇨병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줄기세포 동원 인자의 용도.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 재생제를 제조하기 위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줄기세포 동원 인자의 용도.
췌장 랑게르한스섬 β 세포 파괴 억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줄기세포 동원 인자의 용도.
KR1020057019543A 2003-04-15 2004-04-15 당뇨병 치료제 KR200501142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0561 2003-04-15
JPJP-P-2003-00110561 2003-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275A true KR20050114275A (ko) 2005-12-05

Family

ID=3329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543A KR20050114275A (ko) 2003-04-15 2004-04-15 당뇨병 치료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62366B2 (ko)
EP (1) EP1629851A1 (ko)
JP (1) JPWO2004091661A1 (ko)
KR (1) KR20050114275A (ko)
CN (1) CN1780642A (ko)
AU (1) AU2004229285A1 (ko)
CA (1) CA2522322A1 (ko)
TW (1) TW200507875A (ko)
WO (1) WO2004091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279246A1 (en) * 2003-10-14 2005-04-21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Remedy for kidney diseases
US20070031373A1 (en) * 2005-08-04 2007-02-08 Carlos Lopez Reversal of Adult Onset Disorders with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s
KR100812274B1 (ko) * 2006-10-30 2008-03-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G-csf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성 말초신경병 예방 및치료제
KR100908628B1 (ko) * 2008-03-21 2009-07-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G-csf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외상성 말초신경 손상 치료용 조성물
US20120093764A1 (en) * 2010-10-19 2012-04-19 Dipnarine Maharaj Treatment of diabetes using g-csf and hyperbaric oxygen
WO2012159044A1 (en) * 2011-05-18 2012-11-22 Wellstat Therapeutics Corporation Stem cell mobilization and tissue repair and regeneration
WO2014031745A2 (en) * 2012-08-21 2014-02-27 Nayer Ali Materials and methods for modulating glucose uptake
US9428552B2 (en) 2012-11-19 2016-08-30 Wellstat Therapeutics Corporation Stem cell mobilization and tissue repair and re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9286A (en) * 1994-03-31 1997-05-13 Brewitt; Barbara Homeopathic dilutions of growth factors
US6001647A (en) * 1994-04-28 1999-12-14 Ixion Biotechnology, Inc. In vitro growth of functional islets of Langerhans and in vivo uses thereof
AU7506396A (en) * 1995-11-09 1997-05-29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omposition for improving pancreatic function
PT974356E (pt) * 1998-07-15 2004-02-27 Merck Sante Sas Comprimidos compreendendo uma combinacao de metformina e de glibenclamida
US6610535B1 (en) * 2000-02-10 2003-08-26 Es Cell International Pte Ltd. Progenitor cells and methods and uses related thereto
JP2001233784A (ja) * 2000-02-23 2001-08-28 Morinaga Milk Ind Co Ltd インターロイキン−18産生促進剤
US6759039B2 (en) * 2000-06-30 2004-07-06 Amcyte, Inc. Culturing pancreatic stem cells having a specified, intermediate stage of development
GB0031390D0 (en) * 2000-12-21 2001-02-07 Imp College Innovations Ltd Methods
US20040136969A1 (en) * 2002-10-02 2004-07-15 New York University Adult bone marrow derived stem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22322A1 (en) 2004-10-28
JPWO2004091661A1 (ja) 2006-07-06
EP1629851A1 (en) 2006-03-01
US7662366B2 (en) 2010-02-16
US20070098680A1 (en) 2007-05-03
CN1780642A (zh) 2006-05-31
AU2004229285A1 (en) 2004-10-28
TW200507875A (en) 2005-03-01
WO2004091661A1 (ja)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6210B1 (en) Hepatocyte growth stimulation with hepatocyte growth factor and gamma-interferon
ES2330193T3 (es) Hormona de crecimiento humano para estimular la movilizacion de celulas madre hematopoyeticas pluripotentes.
EP0831888B1 (en) Methods for increasing hematopoietic cells
KR20090031547A (ko) 에리트로포이에틴을 이용한 허혈성 질환의 치료
EP2739301B1 (en) Hcv immunotherapy
KR20050114275A (ko) 당뇨병 치료제
ES2198409T3 (es) Utilizacion del interferon-beta humano para la preparacion de composiciones farmaceuticas para el tratamiento de la leucemia mieloide cronica.
JP5416589B2 (ja) G−csfを含有する、糖尿性末梢神経病予防および治療剤
CZ120298A3 (cs) Použití proteinu získaného z chemokinu savců
JP3479082B2 (ja) トロンボポイエチン組成物
JPH04506818A (ja) 造血細胞の成熟
KR101144687B1 (ko) G-csf 를 함유하는 선유아세포 동원제 및 창상 치료제
JP4732896B2 (ja) G−csfと血管新生作用を有する因子の併用
JPH08127539A (ja) ヒトil−11を含有する末梢血幹細胞増加剤
KR20050091720A (ko) 비허혈성 심부전 치료용 의약 조성물
Molineux Hematopoietic growth factors
MXPA97009388A (en) Compositions of trombopoy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