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3573A -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573A
KR20050113573A KR1020050106410A KR20050106410A KR20050113573A KR 20050113573 A KR20050113573 A KR 20050113573A KR 1020050106410 A KR1020050106410 A KR 1020050106410A KR 20050106410 A KR20050106410 A KR 20050106410A KR 20050113573 A KR20050113573 A KR 20050113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nel
access floor
completed
silk screen
screen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162B1 (ko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1020050106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16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4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looring elements, e.g. parquetin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the layer being formed of fibres, chips, or particles, e.g. MDF, HDF, OSB, chipboard, particle board, h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Abstract

본 발명은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클린룸의 플로어 부재로 설치되는 억세스 플로어 패널을 주조하고, 전처리를 행하며, 세척 및 연마단계를 거쳐, 전사도장 및 1, 2도 인쇄 및 건조를 행하는 실크스크린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표면 도료막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견고한 도막을 유지함으로써 고청정상태의 클린룸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 금형에 주물 주입을 통해 주조하여 억세스 플로어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주조가 완료되면, 그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뒤틀림을 교정하기 위해 복수개의 상하 롤러를 통과시키는 정판작업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정판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전면 및 후면을 통한 천공작업인 포퍼레이트(Perforated) 작업을 실행하는 과정과; 포퍼레이트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을 세척하고, 그 표면을 샌딩작업하여 연마시키는 과정과; 연마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도료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표면에 쇼트(Shot) 가공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쇼트가공이 완료되면 다시, 2차 정판을 실시하는 과정과; 2차 정판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표면에 전사 도장을 1차적으로 실시하고, 그 1차 도장면에 1도와 2도 인쇄를 각각 실시하여 인쇄면이 제작되도록 하는 과정과; 2도 인쇄가 모두 완료된 후에 건조기를 통해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크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측면을 그라인더를 통해 연마 가공하고, 상하면 가공을 통해 두께 가공을 행한 후에, 코너락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을 청소하고, 포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기존의 열전사 방식과는 다르게 고청정도와 고마모성을 요구하는 클린룸에서 사용되어 도료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도료가 벗겨지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내마모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함으로써 클린룸에서 요구되는 환경을 만족한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SILK SCREEN PRINTING METHOD FOR AN ACCESS FLOOR PANEL}
본 발명은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반도체 클린룸의 플로어 부재로 설치되는 억세스 플로어 패널을 주조하고, 전처리를 행하며, 세척 및 연마단계를 거쳐, 전사도장 및 1, 2도 인쇄 및 건조를 행하는 실크스크린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표면 도료막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견고한 도막을 유지함으로써 고청정상태의 클린룸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반도체와 같은 고집적회로제조실, 유전자공학연구실 등 생산 및 연구를 하기 위해 각종의 특수장비가 설치되는 클린룸의 바닥에는 외부의 미세한 먼지 및 분진, 미립자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 제거하면서 각종 특수장비의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일측 바닥에 집중되는 하중으로 인해 균열되거나 침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높이로 세워진 이중마루시스템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의 이중마루판넬은 한류공기의 방지나 특수기계의 발열에 따른 과열방지가 요구되는 위치 또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조절 및 먼지, 분진, 미립자 등의 흡수제거를 위한 곳에는 작은 구멍들이 무수히 통공되어 있는 다공패널이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다공패널의 하부에는 지지패널이 구비된 플로어로 구성되는 바, 그 플로어의 하부에는 각종 배기장치 및 케이블이 배설되어져 있으므로 반도체 클린룸의 바닥면 플로어는 일정높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로어의 높이는 배기장치 및 바닥면에 내설된 케이블 장비의 크고 작음에 따라, 기타 다양한 여건에 따라 가변 가능해야만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클린룸의 바닥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클린룸 플로어는 다수의 에어홀이 천공된 바닥 지지패널(2: 일명, 댐퍼패널이라고 함)과, 그 바닥 지지패널(2)의 하부에서 바닥 지지패널(2)의 천공홀을 통한 공기유통을 수행하기 위해 통기공(6)이 형성된 고정/가동패널(4)이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바닥 지지패널(2)과 고정/가동패널(4)의 하부에는 해당 클린룸의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 지지패널(2)과 고정/가동패널(4)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8)가 구비되는 바, 그 지지대(8)의 하부에는 전체 플로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플로어 높이조절장치(10)가 설치되어져 있다.
종래의 플로어 높이조절장치(10)는 통상 생활가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장치와 마찬가지로, 그 하부에 베이스판(12)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베이스판(12)의 상부에는 상단 외주연에 수나사(18)가 각설되어져 있고, 그 중간 외주연에 볼트헤드(16)가 연장되게 형성된 조절로드(14)가 구비되어져 있다.
그 조절로드(14)의 상부에는 상기 조절로드(14)의 수나사(18)와 체결되는 암나사(22)가 그 내주연에 각설되어져 있으며, 상부에 지지판(24)이 연장되게 결합된 지지체(20)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클린룸 플로어 구조는 그 상층부인 상기 바닥 지지패널(2)은 먼지의 고착이 어렵게 함으로써 고청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그 상면에 특정 도료의 인쇄가 이루어지는 바, 통상적으로 상기 바닥 지지패널(2)의 경우에는 열전사방식을 통한 인쇄가 이루어졌었다.
하지만, 이러한 열전사방식을 통한 상기 바닥 지지패널(2)의 인쇄는 인쇄면이 쉽게 벗겨지거나 이탈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통해 각종 먼지나 이물질이 고착되기 쉬우므로 반도체룸의 필수환경인 고청정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반도체 클린룸의 플로어 부재로 설치되는 억세스 플로어 패널을 주조하고, 전처리를 행하며, 세척 및 연마단계를 거쳐, 전사도장 및 1, 2도 인쇄 및 건조를 행하는 실크스크린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표면 도료막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견고한 도막을 유지함으로써 고청정상태의 클린룸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금형에 주물 주입을 통해 주조하여 억세스 플로어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주조가 완료되면, 그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뒤틀림을 교정하기 위해 복수개의 상하 롤러를 통과시키는 정판작업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정판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전면 및 후면을 통한 천공작업인 포퍼레이트(Perforated) 작업을 실행하는 과정과; 포퍼레이트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을 세척하고, 그 표면을 샌딩작업하여 연마시키는 과정과; 연마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도료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표면에 쇼트(Shot) 가공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쇼트가공이 완료되면 다시, 2차 정판을 실시하는 과정과; 2차 정판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표면에 전사 도장을 1차적으로 실시하고, 그 1차 도장면에 1도와 2도 인쇄를 각각 실시하여 인쇄면이 제작되도록 하는 과정과; 2도 인쇄가 모두 완료된 후에 건조기를 통해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크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측면을 그라인더를 통해 연마 가공하고, 상하면 가공을 통해 두께 가공을 행한 후에, 코너락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을 청소하고, 포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공정에서 사용되는 도료는 폴리에스테르-에폭스 레진(Polyester-Epoxy Resin) 분체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공정에서 사용되는 도료의 도막 두께는 100ㅁ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은 그 외형이 종래의 플로어 패널구조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에어홀이 천공된 바닥 지지패널(2: 일명, 댐퍼패널이라고 함)과, 그 바닥 지지패널(2)의 하부에서 바닥 지지패널(2)의 천공홀을 통한 공기유통을 수행하기 위해 통기공(6)이 형성된 고정/가동패널(4)이 구비되어져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은 플로어 패널의 최상층 패널인 바닥 지지패널(2)에 대해 실크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바, 먼저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인 바닥 지지패널(2: 이하, 억세스 플로어 패널이라 함)을 특정 금형에 주물 주입을 통해 주조하여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을 제조한다(ST-1).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의 주조가 완료되면, 그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의 뒤틀림을 교정하는 정판작업을 실시한다. 정판의 경우에는 통상 복수개의 상하 롤러(미도시)를 통과시켜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의 뒤틀림을 교정하는 것이다(ST-2).
또한,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의 정판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의 전면 및 후면을 통한 천공작업인 포퍼레이트(Perforated) 작업을 실행한다. 이는 다수개의 통기공을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의 전면에 형성하기 위한 작업이다(ST-3).
포퍼레이트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을 세척하고, 그 표면을 샌딩작업하여 연마시킨다(ST-4,5). 이때, 연마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도료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의 표면에 쇼트(Shot) 가공을 실시한다. 표면의 쇼트가공은 미세한 샌드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의 표면에 그 샌드부재를 타격하는 방법으로 표면의 도료밀착성 향상을 위해 가공하는 것으로 표면 마찰력이 높아지도록 가공된다(ST-6).
한편,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의 쇼트가공이 완료되면 다시, 2차 정판을 실시하고(ST-7), 2차 정판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의 표면에 실크 스크린 인쇄를 행한다.
통상적으로, 실크스크린 인쇄공정은 일정한 크기의 망목(網目)을 갖는 스크린판에 문자나 도형의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설치하는 필름부착단계와, 필름이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스크린판상의 나머지 부분의 망목을 메워주는 스크린차폐단계와, 상기 필름이 부착된 부분에 인쇄용 도료를 도포하는 도료도포단계와, 상기 인쇄용 도료가 도포된 스크린판의 하부면에 피인쇄물이 밀착된 상태로 통과되도록 함과 동시에 스크린판상의 필름부착부위에 도포된 인쇄용 도료를 스퀴즈(Squeeze)하여 필름에 형성된 패턴이 피인쇄물의 상면에 그대로 인쇄되도록 하는 프린트단계와, 상기 프린트단계를 거치면서 피인쇄물의 상면에 인쇄된 패턴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하여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와, 1차 건조단계를 통과하여 이동되는 피인쇄물에 대하여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바람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와, 2차 건조단계를 통과하여 이동되는 피인쇄물을 냉각시키는 쿨링(Cooling)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의 실크스크린 인쇄공정에 적용되는 인쇄용 도료는 고분자화합물(올리고머), 아크릴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고, 염산과 레벨링에이전트(Leveling Agent) 및 점착성을 띠게 하기 위한 증점제 등이 일정한 비율로 첨가된 조성을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무늬나 도안을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의 표면에 1차 도막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프린트된 인쇄도막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견고한 도막이 형성되도록 도료의 도포를 통한 도막 형성단계에서 3차 도막 형성단계를 거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실크스크린 방식은 먼저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의 표면에 전사 도장을 1차적으로 실시하고, 그 1차 도장면에 1도와 2도 인쇄를 각각 실시하여 인쇄면이 제작되도록 하며, 2도 인쇄가 모두 완료된 후에 건조기를 통해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의 표면에 실크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인쇄한 인쇄면은 매우 견고한 도막을 형성하게 되며, 고청정을 유지해야되는 반도체 클린룸의 바닥재로 사용할 때, 그 도막이 벗겨짐으로써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일체 방지할 수 있다(ST-8).
실크스크린 인쇄가 완료되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의 측면을 그라인더를 통해 연마 가공하고(ST-9), 상하면 가공을 통해 두께 가공을 행한 후에(ST-10), 코너락 작업을 실시한다(ST-11). 코너락(Corner Lock) 작업 후에는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을 청소하고, 포장을 행한다(ST-12,13).
실크스크린 인쇄가 이루어진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은 높은 마모성과 고청정도를 요하는 클린룸이나 클린 부스(Clean Booth) 등에 설치되게 되며, 기존의 열전사도장과는 다르게 PVC 타일과,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하여 아웃 가스의 발생을 배제하며, 내마모성과 부착성이 우수한 도료와 도장 기술을 사용하여 분진 발생을 극소화하고, 패널 전체의 균일한 저항을 구현하여 대전을 방지시킨다.
또한, 실크스크린 과정중 전사 인쇄공정에서는 전사지를 이용한 전사공정을, 자동 설비를 이용하여 실크 인쇄후 침투시키는 공정방법으로 공정을 변경시켰으며, 종래의 열전사 방식에 비해 선명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며, 2차 고온에서의 잉크 침투작업에서 베이스 변색발생이 전혀 없다.
또한, 실크스크린 인쇄가 이루어진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2)은 2도 이상의 인쇄가 가능하며, 고객의 로고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도료의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에폭스 레진(Polyester-Epoxy Resin) 분체 도료를 사용하며, 도막의 두께는 100± 20㎛이다. 전도성, 밀착성, 내마모성, 내화학성이 매우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은 기존의 열전사 방식과는 다르게 고청정도와 고마모성을 요구하는 클린룸에서 사용되어 도료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도료가 벗겨지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내마모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함으로써 클린룸에서 요구되는 환경을 만족한다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클린룸 플로어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바닥지지패널, 4:고정/가동패널,
6:통기공.

Claims (3)

  1. 특정 금형에 주물 주입을 통해 주조하여 억세스 플로어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주조가 완료되면, 그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뒤틀림을 교정하기 위해 복수개의 상하 롤러를 통과시키는 정판작업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정판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전면 및 후면을 통한 천공작업인 포퍼레이트(Perforated) 작업을 실행하는 과정과;
    포퍼레이트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을 세척하고, 그 표면을 샌딩작업하여 연마시키는 과정과;
    연마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도료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표면에 쇼트(Shot) 가공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쇼트가공이 완료되면 다시, 2차 정판을 실시하는 과정과;
    2차 정판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표면에 전사 도장을 1차적으로 실시하고, 그 1차 도장면에 1도와 2도 인쇄를 각각 실시하여 인쇄면이 제작되도록 하는 과정과;
    2도 인쇄가 모두 완료된 후에 건조기를 통해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크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측면을 그라인더를 통해 연마 가공하고, 상하면 가공을 통해 두께 가공을 행한 후에, 코너락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억세스 플로어 패널을 청소하고, 포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공정에서 사용되는 도료는 폴리에스테르-에폭스 레진(Polyester-Epoxy Resin) 분체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공정에서 사용되는 도료의 도막 두께는 100ㅁ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050106410A 2005-11-08 2005-11-08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제조방법 KR100744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410A KR100744162B1 (ko) 2005-11-08 2005-11-08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410A KR100744162B1 (ko) 2005-11-08 2005-11-08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573A true KR20050113573A (ko) 2005-12-02
KR100744162B1 KR100744162B1 (ko) 2007-08-01

Family

ID=3728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410A KR100744162B1 (ko) 2005-11-08 2005-11-08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1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7580A (zh) * 2012-03-21 2013-09-25 上海菲林格尔木业股份有限公司 高硬度高耐磨实木复合地板的生产方法
CN103786217A (zh) * 2014-02-19 2014-05-14 张延� 能压制纹路并能喷涂涂层材料的板材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2780A (ja) * 1992-02-04 1993-08-24 Sekisui Chem Co Ltd 加飾床パネルの製造方法
KR960010139B1 (ko) * 1994-06-07 1996-07-26 김태진 알루미늄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7580A (zh) * 2012-03-21 2013-09-25 上海菲林格尔木业股份有限公司 高硬度高耐磨实木复合地板的生产方法
CN103786217A (zh) * 2014-02-19 2014-05-14 张延� 能压制纹路并能喷涂涂层材料的板材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162B1 (ko)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4077B (zh) 工作台及其自动安装垫片的方法
BR112012021883B1 (pt) Processo de produção de um assoalho.
WO2017175743A1 (ja) 印刷層を備える屈曲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035527A1 (en) Polishing with enhanced uniformity
JP2009034913A (ja) フレキソ印刷版およびその製造方法、薄膜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WO2022141832A1 (zh) 数码打印板、制造方法及应用
JP2010149383A (ja) 部分マット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CN1703326A (zh) 转印材料
KR100744162B1 (ko)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억세스 플로어 패널의제조방법
US9740093B2 (en) Pellicle
US20160154300A1 (en) Pellicle frame and a pellicle
KR101456293B1 (ko) 프린팅 도포 방식을 이용한 목재판 엣지면의 표면처리 방법
CN108859460A (zh) 用作电子设备面板的3d曲面玻璃的丝印方法、3d曲面玻璃及3d曲面玻璃制品
CN100508121C (zh) 用于涂层图形化的方法
CN101722781A (zh) 一种仿实木热转印膜的生产方法
KR100729653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밀봉용 커버 글라스의 제조 방법
EP2860583B1 (en) A pellicle
KR101430998B1 (ko) 연질의 다공성 시트를 포함하는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전 옵셋 인쇄 방법
JP2009043997A (ja) 塗布方法
JP4966262B2 (ja) 熱間プレス成形用金型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09844909A (zh) 晶片的制造方法及晶片
WO2008114117A3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oor panels by performing a photographic art
KR101578143B1 (ko) 잉크젯 방식의 백색 보호층 제조 방법
TWM410429U (en) With stereo trace structure of a substrate
CN101893822A (zh) 一种能印大幅墙画的模具的制作方法及施工技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