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3511A -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멀티입출력장치 및 튜너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멀티입출력장치 및 튜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511A
KR20050113511A KR1020040038728A KR20040038728A KR20050113511A KR 20050113511 A KR20050113511 A KR 20050113511A KR 1020040038728 A KR1020040038728 A KR 1020040038728A KR 20040038728 A KR20040038728 A KR 20040038728A KR 20050113511 A KR20050113511 A KR 20050113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band
cabl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1421B1 (ko
Inventor
최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8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421B1/ko
Priority to US11/043,047 priority patent/US7697069B2/en
Priority to DE602005017535T priority patent/DE602005017535D1/de
Priority to EP05103538A priority patent/EP1601194B1/en
Publication of KR20050113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8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cable transmission, e.g. using a cable mod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멀티입출력장치 및 튜너장치에 관한 것으로, 멀티입출력장치는 에어신호에 연결되는 에어입력단자, 케이블신호에 연결되는 케이블입력단자 및 상기 각각의 에어신호와 케이블신호를 분배하여 복수개의 출력단자로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플리터;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에어입력단자와 연결된 상기 스플리터 및/또는 상기 케이블입력단자와 연결된 상기 스플리터간의 신호는 쉴드케이블(Shield cable)을 사용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케이블입력단자와 신호연결된 상기 스플리터사이에 증폭기가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케이블입력단자와 상기 증폭기사이에 아웃오브밴드용 단자가 장착되도록 구성하고,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오픈 케이블 튜너장치는 양방향 통신을 위한 아웃오브밴드(OOB)입출력단자, 인밴드 입력단자 및 상기 인밴드용 입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아웃오브밴드 데이터로 출력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되는 아웃오브밴드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로 양방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조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고화질 디지털 픽처인픽처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젼은 에어입력신호와 케이블입력신호를 각각 에어신호와 케이블신호로 분배하여 복수개의 출력단자로 분배하여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플리터와 양방향통신을 위하여 상기 케이블신호와 송수신 결합되는 아웃오브밴드 입출력단자를 구비한 멀티입출력장치, 상기 멀티입출력장치의 아웃오브밴드 입출력단자와 상호 연결된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와 인밴드 입력단자 및 상기 인밴드용 입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양방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조기를 구비한 오픈 케이블 튜너장치 및 상기 스플리터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여 아날로그 및 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서브튜너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OOB 입출력 단자를 RF SPLITTER의 케이블 단자 뒤 그리고 증폭기 사이에 위치시키고 튜너의 입력 단자를 OOB, In Band 각각 2개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OpenCable 시스템에 있어서 PIP 기능을 수행 하면서 동시에 양방향 신호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또한 RF Splitter도 Cross 형태로 구성을 하여 케이블과 지상파 신호끼리의 PIP를 모두 구현 될수 있도록 하였고 노이즈특성을 고려하여 Loop Through는 특정 모드에선 출력이 되지 않도록 설계 되었기 때문에 향후 고급 디지털 TV의 필수 요건인 지상파 2HD PIP 구현을 하면서도 양방향 OpenCable 시스템을 매우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 지상파신호의 각각 경로에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LNA를 사용함으로써 채널 전환시 과도 현상을 방지 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튜너에서 OOB 입출력 단자와 In Band 입력 단자 2개를 구성하고 각 블럭은 튜너 내부 차단벽(Shielding Wall)을 설치하여 서로의 간섭이 없도록 하였으며, RF Splitter 내부에 케이블 혹은 지상파 신호 경로 어느 한쪽을 PCB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Shield Cable을 사용함으로써 동일채널 혼신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멀티입출력장치 및 튜너장치{Multi RF splitter and tuner apparatus for Interactive Open-Cable}
본발명은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멀티입출력장치 및 튜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방향 OpenCable 시스템과 지상파 2HD PIP 구현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분배기 및 튜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송은 아날로그 공중파 방송과 디지털 공중파 방송,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과 디지털 케이블 방송 등의 다양한 전송매체를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이 전송되고 있는데, 이렇게 전송매체가 다른 방송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하여 안테나 및/또는 케이블에 연결되는 장치의 수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안테나 또는 케이블을 통해 입력된 다양한 방식의 방송신호를 해당 수신장치로 인가하는 분배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장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두 개의 화면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한 장치의 일례가 한국특허청에 출원되고 공개된 특허공개번호가 01-2003-0054438호(발명의 명칭 : 멀티 입출력 스위칭 장치 및 이를 내장한 방송 수신장치)인 장치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종래 기술의 멀티 입출력 스위칭장치를 이용한 수신시스템을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며 도 2는 상기한 구성의 PIP용 수신시스템을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상기의 멀티 입출력 스위칭 장치(20)의 제1입력단(21a)은 지상파의 안테나에 연결되고, 제2입력단(21b)는 케이블에 연결되며, 상기 제1출력단(21c)은 아날로그/디지탈겸용 튜너(25)에 연결하며, 상기 제2출력단(21d)은 VTR(26)에 연결하고, 상기 루프쓰루아웃풋단(21e)은 케이블모뎀 또는 웹박스(2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스플리터회로부(22a)는 제1입력단(21a)으로 입력되고 저잡음증폭기(Low Noise Amplifier:21;이하, LNA라 한다)를 통과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탈 방식의 지상파 방송수신신호를 두개의 신호로 분배한다. 그리고, 제3스플리터회로부(22c)는 제2스플리터회로부(22b)를 통해 인가된 제2입력단(21b)의 입력신호(즉, 케이블 방송 수신신호)를 두개의 신호로 분배한다. 제1스위칭회로부(23)는 외부 제어신호(전압2)에 따라서 스위칭동작하여 상기 제1스플리터회로부(22a)의 제1분배신호와 제3스플리터회로부(22c)의 제1분배신호중 하나를 제1출력단(21c)으로 인가한다. 또한, 제2스위칭회로부(24)는 외부 제어신호(전압1)에 따라서 스위칭동작하여 상기 제1스플리터회로부(22a)의 제2분배신호와 제3스플리터회로부(22c)의 제2분배신호중 하나를 제2출력단(21d)으로 인가한다. 따라서, 제1출력단(21c)과 제2출력단(21d)에서 각각 지상파 방송신호나 케이블방송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즉, 수신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제1,2출력단(21c,21d)로 출력되는 신호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루프쓰루아웃풋(21e)은 상기 제2입력단(21b)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양방향 통신시 사용하는 단자로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케이블모뎀이나 웹박스(27)와 연결되어, 상기 루프쓰루아웃풋(21e)으로 입출력되는 데이타는 상기 케이블방송신호와는 사용대역이 다르므로 상기 케이블방송신호의 수신과는 관계없이 제2스플리터회로부(22b)를통해 제2입력단(21b)로 출력되어 케이블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PIP 구현을 위해서는 지상파 혹은 Cable 신호 2개중 어느 한개를 선택하여 제1출력단(21c)과 제2출력단(21d)으로 선택하여 출력시켜주는 RF Splitter가 필요하다. 제1출력단(21c)에 연결된 튜너는 Sub 튜너로써 2HD PIP 구현을 위하여 통상 Digital(8VSB), Analogue (NTSC) 기능을 수행하는 겸용튜너(25)가 장착된다. 왜냐하면 Air 입력으로 디지털 신호가 들어올 수도 있고 아날로그 신호가 들어 올수 있기 때문이다. 제2출력단(21d)에 연결된 튜너는 다양한 디지털 신호(QAM,QPSK,8VSB) 와 NTSC 신호를 처리 할 수 있는 기능을 하며 메인튜너(30)로 동작되게 구성한다(도 2 참조).
먼저 지상파(디지털 신호 (8VSB) 혹은 아날로그 신호 (NTSC))가 선택되어 제1출력단(21c)과 제2출력단(21d)으로 출력되는 경우는 디지털-디지털, 아날로그-아날로그, 아날로그-디지털, 디지털-아날로그 4가지의 PIP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상파의 Air 신호는 입력되는 신호의 전계가 매우 낮을 수 있기 때문에 신호의 전계가 매우 낮으면 LNA(21)를 동작 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신호의 전계는 양호하기 때문에 LNA(21)는 AIR 입력 모드일때만 장착하는것이 일반적이다.
동일한 작용으로 Cable 입력 신호가 제1출력단(21c)과 제2출력단(21d)으로 출력되는 경우, 제1출력단(21c)에는 지상파가 제2출력단(21d)에는 케이블신호가 또는 제1출력단(21c)에는 케이블신호가 제2출력단(21d)에는 지상파가 선택된 경우에도 4가지의 PIP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Air 입력 단자(21a)에 한개의 LNA(21)를 장착하고 LNA(21) 출력신호는 제1출력단(21c)과 제2출력단(21d)에 공용으로 묶어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Sub Tuner(25)를 특정 채널로 고정한 상황에서 Main Tuner(30)의 채널 전환 혹은 채널 스캐닝시 Sub 화면은 Main Tuner(30)의 채널전환 할때마다 완전히 사라졌다가 2초 후에 다시 나타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2 HD PIP 일 경우 사실상 Main 과 Sub의 구분이 모호하게 된다. 따라서 Sub 화면이 조그마한 창으로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지만 한 화면이 반으로 나누어진 형태의 Dual Window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방식의 특징으로 인해서 신호세기의 급격한 변화는 아날로그 신호처리 처럼 단순히 순간적으로 화면이 떨리는 정도가 아니라 완전히 화면이 없어졌다가 한참후에(약 2초) 화면이 다시 나타나게 된다. 왜냐하면 디지털 채널 복조기는 LOCKING을 실패한 경우 다시 동작해야 되기 때문이고 또한 뒷단 MPEG 및 AC-3 디코딩 하는 블럭도 새롭게 신호처리를 해야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 하고자 LNA를 Main 한쪽에만 장착하는 방안도 고려될 수 가 있으나 이경우 신호의 전계가 약전계 일경우 Sub Tuner의 성능이 떨어 질수 있다. 즉, 2 HD PIP 일경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의 심각한 과도현상을 방지 하기 위하여 Main-Sub 화면 Swapping 모드 일경우 튜너를 제어하진 않고 뒷단 비디오 신호를 바꾸게 된다. 또한 2 HD PIP 일 경우 여러 가지 기능 즉, Main 화면과 Sub 화면의 부드러운 전환 ( Smooth Swapping ) 기능 등 여러 가지 전환 기능이 있기 때문에 튜너를 직접 제어 하지 않고 뒷단의 비디오 신호를 서로 스위칭 시켜주게 되는데 LNA를 Main 쪽에서만 장착했기 때문에 Main 과 Sub 의 화면이 바뀌게 되면 LNA를 장착하지 않은 Sub Tuner가 Main Tuner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고 LNA를 장착한 Main Tuner가 Sub Tuner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원래 LNA를 장착하지 않았던 Sub Tuner가 이경우 Main Tuner 역할을 하게 되므로 Main Tuner의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현재의 미국 OpenCable 규격은 단방향 규격이지만 한국의 규격은 양방향으로 결정이 된 상태이고 곧 미국 규격도 양방향으로 바뀔 예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단방향 규격에서는 튜너 내부에서 Diplexr(31)를 사용하여 OOB RX블럭(33)에서 신호를 수신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또한 Return 채널을 위하여 튜너(30) 내부에 Diplexr(31)를 사용하여 OOB RX(수신;33), OOB TX( 송신;34) 블럭을 사용하여 구성을 하였다. 상기에서 OOB(Out of band)는 In Band채널에 관한 암호 키 및 채널 변조방식 및 기타 채널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제공하는 채널을 말한다. 양방향 OpenCable 튜너 내부에 Diplexr(31)를 사용하여 구성한 이유는 기존의 양방향 케이블 모뎀일 경우 대부분 셋톱박스가 주류를 이루었기 때문에 PIP 기능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향후 OpenCable 시장에서 Cable 수신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은 CableCARD 장착이 의무화가 되고 단방향 위주에서 양방향으로 바뀔경우 고급 텔레비젼은 PIP 기능도 갖추어야 하므로 종래와 같은 RF Splitter 와 튜너를 사용해서는 양방향을 구현할 수 없게 된다. 양방향 오픈케이블(Opencable)을 구현하기 위하여 튜너내부의 입력단(상기 도면에서 제2 스플리터:22b)을 분배하여 한쪽은 In-Band 채널용으로 사용하고 다른 한쪽은 OOB(Out of band)채널로 사용하기 때문에 통상 PIP구현을 위하여 튜너 앞단에 RF 스플리터를 사용하면 RF 스플리터 내부 단방향 성질을 갖는 증폭기 때문에 OOB 리턴 채널을 위한 수신단에서 송신단으로의 경로가 차단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양방향 통신시 사용하는 단자로서 루프쓰루아웃풋(21e)단자를 설정하여 두었으나 상기에서와 같이 RF Splitter는 단방향 통신을 지원하므로 PIP기능을 하면서 OpenCable 양방향을 구현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종래는 케이블신호와 지상파 신호의 동일 채널 혼신 문제로 인하여 케이블과 지상파신호를 이용한 PIP모드를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RF 스플리터 증폭기 앞단에 다이플렉스(Diplex)를 두고 상기 Diplex를 통과한 신호를 루프스루아웃단 및 OOB블럭으로 공급하고 상기 증폭기를 통과한 신호는 튜너의 In-Band 블럭 및 서브튜너로 공급하여 PIP기능을 하면서 OpenCable 양방향을 구현할 수 있는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멀티입출력장치 및 튜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발명의 목적은 RF Splitter 내부에 케이블 혹은 지상파 신호 경로 어느 한쪽을 PCB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Shield Cable을 사용하여 동일채널 혼신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멀티입출력장치 및 튜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발명의 목적은 Main 화면의 채널 전환시 Sub 화면의 심각한 과도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RF Splitter 내에 2개의 LNA (Low Noise Amplifier)를 장착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입출력장치는 에어신호에 연결되는 에어입력단자, 케이블신호에 연결되는 케이블입력단자 및 상기 각각의 에어신호와 케이블신호를 분배하여 복수개의 출력단자로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플리터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에어입력단자와 연결된 상기 스플리터 및/또는 상기 케이블입력단자와 연결된 상기 스플리터간의 신호는 쉴드케이블(Shield cable)을 사용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케이블입력단자와 신호연결된 상기 스플리터사이에 증폭기가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케이블입력단자와 상기 증폭기사이에 아웃오브밴드용 단자가 장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입력신호단자와 상기 스플리터간에는 저잡음증폭기(LNA)를 통하여 신호가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저잡음증폭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외부제어신호에 의하여 온오프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블입력단자에 연결된 루프쓰루출력단자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루프쓰루출력단자도 외부의 루프쓰루차단신호에 의하여 차단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각각의 스플리터는 외부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신호와 상기 에어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외부제어신호에 의하여 온된 상기 저잡음증폭기와 신호연결된 스플리터는 상기 저잡음증폭기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입력단자에 다이플렉서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다이플렉서를 통과한 신호를 상기 아웃오브밴드 입출력단자, 루프쓰루출력단자 및 상기 복수개의 스플리터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오픈 케이블 튜너장치는 양방향 통신을 위한 아웃오브밴드(OOB)입출력단자, 인밴드 입력단자 및 상기 인밴드용 입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아웃오브밴드 데이터로 출력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되는 아웃오브밴드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로 양방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조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케이블신호를 튜닝하여 상기 복조기로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복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아웃오브밴드 입출력단자로 출력하는 아웃오브밴드튜너블럭 및 상기 인밴드입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인밴드신호를 튜닝하여 상기 복조기로 출력하는 인밴드튜너블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웃오브밴드튜너블럭은 송수신되는 상기 아웃오브밴드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는 송수신용 필터로 구성된 다이플렉서, 상기 복조기로부로 아웃오브밴드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다이플렉서로 송신하는 아웃오브밴드 송신블럭 및 상기 다이플렉서에서 전송된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복조기로 출력하는 아웃오브밴드수신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아웃오브밴드튜너블록과 상기 인밴드튜너블록사이에는 상호 간섭 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벽을 설치하여 신호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아웃오브밴드튜너블록 및 상기 인밴드튜너블록과 상기 복조기사이에는 상호 간섭 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벽을 설치하여 신호의 간섭에 의한 왜곡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이플렉서, 상기 아웃오브밴드 송신블럭 및 상기 아웃오브밴드수신블럭도 각각 상호 간섭 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벽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고화질 디지털 픽처인픽처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젼은 에어입력신호와 케이블입력신호를 각각 에어신호와 케이블신호로 분배하여 복수개의 출력단자로 분배하여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플리터와 양방향통신을 위하여 상기 케이블신호와 송수신 결합되는 아웃오브밴드 입출력단자를 구비한 멀티입출력장치, 상기 멀티입출력장치의 아웃오브밴드 입출력단자와 상호 연결된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와 인밴드 입력단자 및 상기 인밴드용 입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양방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조기를 구비한 오픈 케이블 튜너장치 및 상기 스플리터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여 아날로그 및 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서브튜너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멀티입출력장치는 상기 에어입력신호와 상기 스플리터간에는 저잡음증폭기(LNA)를 통하여 신호가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저잡음증폭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외부제어신호에 의하여 온오프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멀티입출력장치는 케이블입력신호와 연결된 루프쓰루출력단자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루프쓰루출력단자도 외부의 루프쓰루차단신호에 의하여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외부제어신호에 의하여 온된 상기 저잡음증폭기와 신호연결된 스플리터는 상기 저잡음증폭기를 통과한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제어신호의 갯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에어신호와 연결된 상기 스플리터 및/또는 상기 케이블신호와 연결된 상기 스플리터간의 신호는 쉴드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동일 채널간 잡음을 방지한다.
상기 양방향 오픈 케이블 튜너장치는, 상기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케이블신호를 튜닝하여 상기 복조기로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복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아웃오브밴드 입출력단자로 출력하는 아웃오브밴드튜너블럭 및 상기 인밴드입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인밴드신호를 튜닝하여 상기 복조기로 출력하는 인밴드튜너블럭으로 구성하고 상기 아웃오브밴드튜너블럭은 송수신되는 상기 아웃오브밴드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는 송수신용 필터로 구성된 다이플렉서, 상기 복조기로부로 아웃오브밴드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다이플렉서로 송신하는 아웃오브밴드송신블럭 및 상기 다이플렉서에서 전송된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복조기로 출력하는 아웃오브밴드수신블럭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웃오브밴드튜너블록과 상기 인밴드튜너블록사이, 상기 아웃오브밴드튜너블록 및 상기 인밴드튜너블록과 상기 복조기사이 및 상기 다이플렉서, 상기 아웃오브밴드 송신블럭 및 상기 아웃오브밴드수신블럭에는 차단벽을 설치하여 상호 신호 간섭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멀티입출력장치에 상기 케이블입력신호단자에 다이플렉서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다이플렉서를 통과한 신호를 상기 아웃오브밴드 입출력단자, 루프쓰루출력단자 및 상기 복수개의 스플리터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분배기 및 튜너장치의 불럭 구성도이며 도 4는 상기 메인 튜너의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한 구성은 양방향 OpenCable 시스템과 지상파 2HD PIP 구현을 효과적으로 하고자 하는 발명이므로 기본적인 동작은 종래의 기술 설명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특징적인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발명의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분배기 및 튜너장치(400)는 RF SPLITTER(100)와 메인 튜너(200) 및 서브튜너(300)로 구성된다.
RF SPLITTER(100)는 케이블신호 입력단(120)에서 Diplexer(121)를 통하여 루프쓰루출력단(Loop through out;130)과 증폭기(122) 및 OOB 입출력단자(110)로 분배되고 Air 입력단(140)으로 입력된 신호는 2 HD PIP 구현시 과도현상을 방지 하기 위하여 2개의 LNA(150,160)를 통하여 제1릴레이(180)와 제2릴레이(170)로 각각 입력된다. 루프쓰루출력단(Loop through out;130)은 통상 VTR과 같은 영상 녹화장치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NA(150,160)는 각각 제1LNA제어신호(151)와 제2LNA제어신호(161)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케이블, 케이블-지상파, 지상파-케이블, 지상파-지상파 4가지 모드의 PIP 기능을 모두 구현 할수 있도록 Cross 형태로 구성을 하고, 또한 케이블신호와 지상파 신호의 혼신을 방지 하기 위하여 증폭기(122)에서 출력되어 제1릴레이(180)로 연결되는 신호라인부분(123)은 PCB 패턴으로 구성을 하지 않고 실드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ross 형태의 PIP 구현을 위하여 기존의 1개의 릴레이 대신 2개의 릴레이(170,180)를 사용 하였다. 또한, 4 PIP를 구현하기 위한 CROSS 형태의 SPLITTER 구성시 분기 되는 경로가 많아짐에 따라 노이즈특성(Noise Figure)이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RF SPLITTER(100)의 Loop Through 출력단자(130)는 특정 모드 일경우 (케이블-케이블모드의 경우) Loop Through차단신호(125)를 출력하여 스위치(124)가 차단되도록 하여 출력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OOB의 양방향 구현을 위하여 OOB 입출력 단자(110)를 RF Splitter 케이블 입력단자(120) 인근에 설치를 하여 Diplexer(121)를 통하여 양방향 신호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게 구성을 한다.
OpenCable 튜너로 동작되는 메인 튜너(200)는 기존의 튜너와 같이 Diplexer를 사용하여 In Band와 OOB TX 및 OOB RX를 구성하지 않고 튜너의 입력 단자를 2개의 단자로 구성하였다. In-Band 수신용 단자(211)와 OOB TX 및 OOB RX용으로 사용되는 OOB입출력단자(210)로 구성 하였다. 또한 메인튜너(200)의 내부는 OOB 블럭(220)과 In Band 블럭간(230) 신호의 간섭을 방지 하기 위하여 서로 차단 시킬수 있는 차단벽(Shield Wall;254)을 장착하고 또한, OOB블럭(220)도 Diplexer(221)와 OOB TX 블럭(222) 및 OOB RX 블럭(223) 사이도 신호의 간섭을 방지 하기 위하여 각각 Shield Wall(251,252)를 장착 하였다. 한편 복조기(240)와 신호처리블록들간에도 Shield Wall(253)로 차단하여 복조시 신호의 간섭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이용하여 제1LNA제어신호(151)와 제2LNA제어신호(161)의 동작에 따라 RF SPLITTER(100)의 케이블 혹은 지상파 입력 신호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케이블 입력단자(120)를 통하여 접속된 신호는 Diplexer(121)을 통하여 항시 OOB입출력단자(110), Loop Through출력단자(130) 그리고 증폭기(122)를 통하여 제1릴레이(180) 및 제2릴레이(170)의 단자에 연결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1LNA제어신호(151) 및 제2LNA제어신호(161)가 온되어 제1LNA(150)와 제2LNA(16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면 제1릴레이제어신호(181)와 제2릴레이제어신호(171)에 의하여 각 릴레이(170,180)가 Air입력단자(140)에서 입력되는 지상파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2릴레이(170)를 통하여 In-Band 출력용 단자(111)에서 출력된 Air신호는 메인튜너(200)의 In-Band 수신용 단자(111)를 통하여 입력되어 In Band 튜너블럭(230)에서 튜닝되고 복조기(240)에서 디지털 복조되어 전송데이터(TS data : transport stream Data)로 출력되어 진다. 한편, OOB 입출력단자(110)에는 실드(Shield)된 케이블을 통하여 케이블신호가 항시 메인튜너(200)의 OOB입출력단자(210)로 연결되어 Diplexer(221)를 통하여 OOB TX 블럭(222) 및 OOB RX 블럭(223)에서 송수신처리되고 복조기(240)를 통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동작된다. 또한, 제1릴레이(180)를 통하여 서브튜너출력단자(112)에서 출력된 Air신호는 메인튜너(200)의 서브튜너입력단자(212)를 통하여 입력되어 서브튜너(300)에서 튜닝되고 복조되어 TS Data 및/또는 CVBS(복합영상신호)와 SIF로 출력되고 신호처리블럭(도면미도시)에서 신호처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따라서, 2HD PIP모드에서는 메인과 서브화면이 모두 Air모드로 동작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제1LNA제어신호(151)가 온되고 제2LNA제어신호(161)가 오프된 경우는 제1LNA(150)는 온되어 Air신호를 제2릴레이(170)로 전송하고 제1릴레이제어신호(181)는 제1릴레이(180)가 케이블신호를 신호를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제2릴레이제어신호(171)는 제2릴레이(170)가 Air입력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에 의하여 각 릴레이(170,180)가 Air입력단자(140)에서 입력되는 지상파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2릴레이(170)를 통하여 In-Band 출력용 단자(111)에서 출력된 Air신호는 메인튜너(200)의 In-Band 수신용 단자(111)를 통하여 입력되어 In Band 튜너블럭(230)에서 튜닝되고 복조기(240)에서 디지털 복조되어 전송데이터(TS data : transport stream Data)로 출력되어 지고 서브튜너(300)에는 케이블입력단자(120)로 입력되는 Air신호가 선택되어 출력되어진다. 이 경우의 2 HD PIP모드에서는 메인화면은 Air모드로 서브화면은 케이블모드로 동작되는 것이다.
또, 제1LNA제어신호(151)가 오프되고 제2LNA제어신호(161)가 온된 경우는 제2릴레이제어신호(171)는 제2릴레이(170)가 케이블신호를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제1릴레이제어신호(181)는 제1릴레이(180)가 케이블신호르 신호를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제2릴레이제어신호(171)는 제2릴레이(170)가 Air입력을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각각 메인튜너(200)와 서브튜너(300)로 전송을 한다. 따라서, 2 HD PIP모드에서는 메인화면은 케이블모드로 서브화면은 Air모드로 동작된다.
한편, 제1LNA제어신호(151)와 제2LNA제어신호(161)가 오프된 경우는 메인튜너(200)와 서브튜너(300)로 모두 케이블신호가 선택되어 출력되므로, 2 HD PIP모드에서는 메인화면과 서브화면이 모두 케이블모드로 동작된다. 이경우, diplexer(121)에서 분기 되는 경로가 많아짐에 따라 노이즈특성(Noise Figure)이 나빠질 수 있으므로 RF SPLITTER(100)의 Loop Through 출력단자(130)는 Loop Through차단신호(125)에 의하여 스위치(124)가 차단되도록 하여 출력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LNA제어신호(151), 제2LNA제어신호(161), 제1릴레이제어신호(181) 및 제2릴레이제어신호(171)를 각각 시스템제어부(도면 미도시)에서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제1LNA제어신호(151)와 제2릴레이제어신호(171) 그리고 제2LNA제어신호(161)와 제1릴레이제어신호(181)가 서로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구성하여 그 제어신호의 단자수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1LNA제어신호(151)가 온되는 경우에는 제2릴레이제어신호(171)가 Air신호를 선택하도록 구성하도록 또, 제2LNA제어신호(161)가 온된 경우는 제1릴레이제어신호(181)가 Air신호를 선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Loop Through차단신호(125)가 시스템제어부(도면 미도시)에서 출력되어 메인튜너 및 서브튜너가 모두 케이블 신호를 선택한 경우에 Loop Through 출력단자(130)로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나, 제1LNA제어신호(151) 및 제2LNA제어신호(161)가 오프된 경우에만 동작되므로 상기 신호를 조합하여 시스템제어부(도면 미도시)에서 별도의 제어신호가 없어도 구성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OOB 입출력신호 단자를 케이블 입력 단자 입력과 증폭기 앞단에 위치하여 항상 케이블 신호가 OOB 신호 단자로 입출력이 되도록 하고 PIP 기능을 위하여 Relay 2개를 사용하고 이를 제어 할 수 있는 단자 2개를 추가 하였다. 또한 채널 전환시 과도 현상을 방지 하기 위하여 지상파 입력에서 각각의 경로에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LNA를 사용 하였으며 SPLITTER 구성시 분기 되는 경로가 많아짐에 따라 N.F(Noise Figure) 특성이 나빠질 수 있으므로 Loop Through 출력단자에는 특정 모드 일경우 출력이 되지 않도록 설계 하였으며, 동일채널 혼신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RF Splitter 내부에 케이블 혹은 지상파 신호 경로 어느 한쪽을 PCB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Shield Cable을 사용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OOB 입출력 단자를 RF SPLITTER의 케이블 단자 뒤 그리고 증폭기 사이에 위치시키고 튜너의 입력 단자를 OOB, In Band 각각 2개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OpenCable 시스템에 있어서 PIP 기능을 수행 하면서 동시에 양방향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RF Splitter를 설계 하는데 있어서 Cross 형태로 구성을 하여 케이블과 지상파 신호끼리의 PIP를 모두 구현 될수 있도록 하였고 노이즈특성을 고려하여 Loop Through는 특정 모드에선 출력이 되지 않도록 설계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향후 고급 디지털 TV의 필수 요건인 지상파 2HD PIP 구현을 하면서 동시에 양방향 OpenCable 시스템을 매우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지상파신호의 각각 경로에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LNA를 사용함으로써 채널 전환시 과도 현상을 방지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메인튜너에서 OOB 입출력 단자와 In Band 입력 단자 2개를 구성하고 각 블럭은 튜너 내부 차단벽(Shielding Wall)을 설치하여 서로의 간섭이 없도록 하였으며, RF Splitter 내부에 케이블 혹은 지상파 신호 경로 어느 한쪽을 PCB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Shield Cable을 사용함으로써 동일채널 혼신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멀티 입출력 스위칭장치를 이용한 수신시스템을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2는 상기한 구성의 PIP용 수신시스템을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3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분배기 및 튜너장치의 불럭 구성도,
그리고,
도 4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메인 튜너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RF SPLITTER 110 : OOB 입출력단자
121 : Diplexer 123 : Shield 케이블
150 : 제1LNA 151 : 제1LNA제어신호
160 : 제2LNA(151) 161 : 제2LNA제어신호
170 : 제2릴레이 171 : 제2릴레이제어신호
180 : 제1릴레이 181 : 제1릴레이제어신호
200 : 메인 튜너 220 : OOB튜너블럭
230 : In Band 튜너블럭 240 : 복조기
251,252,253,254 : 차단벽 300 : 서브튜너(300)

Claims (24)

  1. 멀티입출력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
    에어신호에 연결되는 에어입력단자;
    케이블신호에 연결되는 케이블입력단자; 및
    상기 각각의 에어신호와 케이블신호를 분배하여 복수개의 출력단자로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플리터;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에어입력단자와 연결된 상기 스플리터 및/또는 상기 케이블입력단자와 연결된 상기 스플리터간의 신호는 쉴드케이블(Shield cable)을 사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입출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입력단자와 신호연결된 상기 스플리터사이에 증폭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케이블입력단자와 상기 증폭기사이에 아웃오브밴드용 단자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입출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스플리터는 외부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신호와 상기 에어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입출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입력신호단자와 상기 스플리터간에는 저잡음증폭기(LNA)를 통하여 신호가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저잡음증폭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외부제어신호에 의하여 온오프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입출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입력단자에 연결된 루프쓰루출력단자;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루프쓰루출력단자는 외부의 루프쓰루차단신호에 의하여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입출력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제어신호에 의하여 온된 상기 저잡음증폭기와 신호연결된 스플리터는 상기 저잡음증폭기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입출력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입력단자에 다이플렉서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다이플렉서를 통과한 신호를 상기 아웃오브밴드 입출력단자, 루프쓰루출력단자 및 상기 복수개의 스플리터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입출력장치.
  8.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오픈 케이블 튜너장치에 있어서,
    양방향 통신을 위한 아웃오브밴드(OOB)입출력단자;
    인밴드 입력단자; 및
    상기 인밴드용 입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아웃오브밴드 데이터로 출력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되는 아웃오브밴드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로 양방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픈 케이블 튜너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케이블신호를 튜닝하여 상기 복조기로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복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아웃오브밴드 입출력단자로 출력하는 아웃오브밴드튜너블럭; 및
    상기 인밴드입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인밴드신호를 튜닝하여 상기 복조기로 출력하는 인밴드튜너블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케이블 튜너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오브밴드튜너블럭은
    송수신되는 상기 아웃오브밴드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는 송수신용 필터로 구성된 다이플렉서;
    상기 복조기로부로 아웃오브밴드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다이플렉서로 송신하는 아웃오브밴드 송신블럭; 및
    상기 다이플렉서에서 전송된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복조기로 출력하는 아웃오브밴드수신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케이블 튜너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오브밴드튜너블록과 상기 인밴드튜너블록사이에는 상호 간섭 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케이블 튜너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오브밴드튜너블록 및 상기 인밴드튜너블록과 상기 복조기사이에는 상호 간섭 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케이블 튜너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플렉서, 상기 아웃오브밴드 송신블럭 및 상기 아웃오브밴드수신블럭은 각각 상호 간섭 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케이블 튜너 장치.
  14. 고화질 디지털 픽처인픽처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젼에 있어서,
    에어입력신호와 케이블입력신호를 각각 에어신호와 케이블신호로 분배하여 복수개의 출력단자로 분배하여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플리터와 양방향통신을 위하여 상기 케이블신호와 송수신 결합되는 아웃오브밴드 입출력단자를 구비한 멀티입출력장치;
    상기 멀티입출력장치의 아웃오브밴드 입출력단자와 상호 연결된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와 인밴드 입력단자 및 상기 인밴드용 입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양방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조기를 구비한 오픈 케이블 튜너장치; 및
    상기 스플리터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여 아날로그 및 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서브튜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화질 디지털 픽처인픽처 디지털 텔레비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입출력장치는
    상기 에어입력신호와 상기 스플리터간에는 저잡음증폭기(LNA)를 통하여 신호가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저잡음증폭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외부제어신호에 의하여 온오프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디지털 픽처인픽처 디지털 텔레비젼.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입출력장치는 케이블입력신호와 연결된 루프쓰루출력단자;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루프쓰루출력단자는 외부의 루프쓰루차단신호에 의하여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디지털 픽처인픽처 디지털 텔레비젼.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제어신호에 의하여 온된 상기 저잡음증폭기와 신호연결된 스플리터는 상기 저잡음증폭기를 통과한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디지털 픽처인픽처 디지털 텔레비젼.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신호와 연결된 상기 스플리터 및/또는 상기 케이블신호와 연결된 상기 스플리터간의 신호는 쉴드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디지털 픽처인픽처 디지털 텔레비젼.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오픈 케이블 튜너장치는,
    상기 아웃오브밴드입출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케이블신호를 튜닝하여 상기 복조기로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복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아웃오브밴드 입출력단자로 출력하는 아웃오브밴드튜너블럭; 및
    상기 인밴드입력단자에서 입력되는 인밴드신호를 튜닝하여 상기 복조기로 출력하는 인밴드튜너블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디지털 픽처인픽처 디지털 텔레비젼.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오브밴드튜너블럭은
    송수신되는 상기 아웃오브밴드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는 송수신용 필터로 구성된 다이플렉서;
    상기 복조기로부로 아웃오브밴드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다이플렉서로 송신하는 아웃오브밴드송신블럭; 및
    상기 다이플렉서에서 전송된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복조기로 출력하는 아웃오브밴드수신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디지털 픽처인픽처 디지털 텔레비젼.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오브밴드튜너블록과 상기 인밴드튜너블록사이에는 상호 간섭 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디지털 픽처인픽처 디지털 텔레비젼.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오브밴드튜너블록 및 상기 인밴드튜너블록과 상기 복조기사이에는 상호 간섭 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디지털 픽처인픽처 디지털 텔레비젼.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플렉서, 상기 아웃오브밴드 송신블럭 및 상기 아웃오브밴드수신블럭은 각각 상호 간섭 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디지털 픽처인픽처 디지털 텔레비젼.
  24.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입출력장치는
    상기 케이블입력신호단자에 다이플렉서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다이플렉서를 통과한 신호를 상기 아웃오브밴드 입출력단자, 루프쓰루출력단자 및 상기 복수개의 스플리터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디지털 픽처인픽처 디지털 텔레비젼.
KR1020040038728A 2004-05-29 2004-05-29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멀티입출력장치 및 튜너장치 KR100691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728A KR100691421B1 (ko) 2004-05-29 2004-05-29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멀티입출력장치 및 튜너장치
US11/043,047 US7697069B2 (en) 2004-05-29 2005-01-27 Multi-input and multi-output device and tuner for two-way opencable
DE602005017535T DE602005017535D1 (de) 2004-05-29 2005-04-28 Vorrichtung zur Leitweglenkung und Umschaltung von Fernsehsignalen
EP05103538A EP1601194B1 (en) 2004-05-29 2005-04-28 TV signal routing/switc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728A KR100691421B1 (ko) 2004-05-29 2004-05-29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멀티입출력장치 및 튜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511A true KR20050113511A (ko) 2005-12-02
KR100691421B1 KR100691421B1 (ko) 2007-03-09

Family

ID=3493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728A KR100691421B1 (ko) 2004-05-29 2004-05-29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멀티입출력장치 및 튜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97069B2 (ko)
EP (1) EP1601194B1 (ko)
KR (1) KR100691421B1 (ko)
DE (1) DE602005017535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419B1 (ko) * 2004-09-06 2006-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2개의 튜너를 하나의 실드에 일체화한 튜너 모듈
KR100951291B1 (ko) * 2008-02-27 2010-04-02 삼성전기주식회사 Lna 루프 쓰루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6070B2 (en) 2003-12-18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Low-power wireless diversity receiver with multiple receive paths
US9450665B2 (en) 2005-10-19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Diversity re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TE523968T1 (de) 2006-01-04 2011-09-15 Thomson Licensin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ignalpegelsteuerung
US8320563B2 (en) * 2007-05-09 2012-11-27 Sony Corporation Service card adapter
KR101090066B1 (ko) * 2007-05-14 2011-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 수신장치
KR20090022894A (ko) * 2007-08-31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스위칭 방식을 이용한 rf 신호 스위칭 장치,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JP4529092B2 (ja) * 2007-09-25 2010-08-25 ソニー株式会社 チューナ装置
US20100005484A1 (en) * 2008-03-31 2010-01-07 Sony Corporation Point of Deployment Module to Retrofit Upstream Transmission Capability to an Audiovisual Device
TWI373926B (en) * 2009-01-22 2012-10-01 Avermedia Tech Inc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US8725097B2 (en) * 2010-02-09 2014-05-13 Broadcom Corporation Amplifier for cable and terrestrial applications with independent stage frequency tilt
TW201145990A (en) * 2010-06-14 2011-12-16 Hon Hai Prec Ind Co Ltd Digital video recorder
US9178669B2 (en) 2011-05-17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Non-adjacent carrier aggregation architecture
US9252827B2 (en) 2011-06-27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splitting carrier aggregation receiver architecture
US9154179B2 (en) 2011-06-29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 with bypass mode for improved sensitivity
US8774334B2 (en) 2011-11-09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receiver switching
US9362958B2 (en) 2012-03-02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Single chip signal splitting carrier aggregation receiver architecture
US9172402B2 (en) 2012-03-02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carrier aggregation receiver reuse architecture
US9118439B2 (en) 2012-04-06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 for imbalanced carriers
US9154356B2 (en) * 2012-05-25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Low noise amplifiers for carrier aggregation
US9867194B2 (en) 2012-06-12 2018-01-09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UE scheduling with shared antenna and carrier aggregation
US20140015607A1 (en) * 2012-07-10 2014-01-16 Mstar Semiconductor, Inc. Low noise amplifiers for multiple radio standards
US9300420B2 (en) 2012-09-11 2016-03-29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aggregation receiver architecture
US9543903B2 (en) 2012-10-22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Amplifiers with noise splitting
US8995591B2 (en) 2013-03-14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Reusing a single-chip carrier aggregation receiver to support non-cellular diversity
US20170142030A1 (en) * 2015-11-12 2017-05-18 ComplexIQ Inc. Digital coax network splitter
US10177722B2 (en) 2016-01-12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aggregation low-noise amplifier with tunable integrated power splitter
CN113785498A (zh) * 2019-05-09 2021-12-10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半导体芯片和接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79025B1 (de) * 1994-04-21 2000-03-22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Schaltungsanordnung zum Einspeisen eines Antennensignals
JP3174999B2 (ja) 1995-08-03 2001-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放出素子、電子源、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6133910A (en) * 1996-09-20 2000-10-17 Echostar Engineering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ng a plurality of video sources
US5982411A (en) * 1996-12-18 1999-11-0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Navigation among grouped television channels
KR19990061611A (ko) * 1997-12-31 1999-07-26 전주범 비디오폰 및 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텔레비젼의 동기회로
JP3501947B2 (ja) 1998-06-04 2004-03-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放送の受信装置
US6700624B2 (en) * 1999-12-30 2004-03-02 Lg Electronics Inc. Combined terrestrial wave/cable broadcast receiver an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for
KR100340437B1 (ko) * 2000-03-30 2002-06-15 이형도 셋탑박스용 고주파 모듈장치
MXPA03003551A (es) * 2000-10-27 2003-10-14 Gen Instrument Corp Modulos externos con caracteristicas opcionales para una terminal de convertidor-decodificador de doble selector y metodo para implementar los mismos.
JP3824868B2 (ja) 2001-02-14 2006-09-20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用チューナ
KR100406356B1 (ko) * 2001-12-26 2003-11-19 삼성전기주식회사 멀티 입출력 스위칭 장치 및 이를 내장한 방송 수신 장치
KR20030066224A (ko) * 2002-02-05 2003-08-09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디지털 케이블 방송용 셋톱 박스에서의 pip 구현장치
KR20040016592A (ko) * 2002-08-19 2004-02-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의 텔레비전 신호 분배장치
JPWO2004071080A1 (ja) 2003-02-06 2006-06-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テナ切換え装置及びその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419B1 (ko) * 2004-09-06 2006-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2개의 튜너를 하나의 실드에 일체화한 튜너 모듈
KR100951291B1 (ko) * 2008-02-27 2010-04-02 삼성전기주식회사 Lna 루프 쓰루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01194A2 (en) 2005-11-30
EP1601194A3 (en) 2006-03-15
US20050265084A1 (en) 2005-12-01
EP1601194B1 (en) 2009-11-11
US7697069B2 (en) 2010-04-13
KR100691421B1 (ko) 2007-03-09
DE602005017535D1 (de)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421B1 (ko)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멀티입출력장치 및 튜너장치
KR100322266B1 (ko)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US77924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band translation
KR100656525B1 (ko) 방송 수신기의 튜너의 운용 방법 및 그 방송 수신기
US7701515B2 (en) Multi-input multi-output tuner front ends
US7505088B2 (en) Signal selector selecting one of a ground wave digital signal and a digital cable televis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program sel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elected signal to a tuner
US20090141183A1 (en) Active Splitter Device and Method Using Diplexed Front End
US7245892B2 (en) Satellite reception
KR100809246B1 (ko) Rf 루프쓰루의 출력선택 기능을 갖는 디지탈 듀얼 튜너
US8634026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JP4701972B2 (ja) テレビ受信機
US20080284546A1 (en)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US20070143822A1 (en) Receiver and tuner
KR20060039785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듀얼 튜너
KR101625675B1 (ko) 다중채널 선택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050019334A (ko) 듀얼 채널 수신용 위성방송 수신기
JP2001346185A (ja) 双方向catvシステム
US20030218697A1 (en) Broadband television tuner front end
KR20080079824A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