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2525A - 바이올린 숄더 레스트용 클램핑 부재 - Google Patents

바이올린 숄더 레스트용 클램핑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525A
KR20050112525A KR1020057015611A KR20057015611A KR20050112525A KR 20050112525 A KR20050112525 A KR 20050112525A KR 1020057015611 A KR1020057015611 A KR 1020057015611A KR 20057015611 A KR20057015611 A KR 20057015611A KR 20050112525 A KR20050112525 A KR 20050112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arms
clamping
instrument
clam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404B1 (ko
Inventor
빅토리아 클레멘테
Original Assignee
더 쿤 쇼율더 레스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쿤 쇼율더 레스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더 쿤 쇼율더 레스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11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8Chin-rests, hand-rests, shoulder rests or guards being removable from, or integral with the instru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클램핑 부재는 거의 "U"형 구조를 갖는 강성의 클램프로서, U형 구조의 베이스는 악기 본체의 대향 측면들에서 바이올린 등의 바닥의 림과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상방을 향하는 클램핑 핑거(46, 48)에서 각각 종결되는 2개의 아암(42, 44)에 의해 형성된다. 보통, 나사식 스템(36) 형태인 피봇부는 클램핑 핑거(46, 48)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U"의 베이스로부터 돌출된다. 일반적으로, 숄더 레스트 브릿지의 단부들에서 클램핑 부재들의 자유로운 피봇 장착을 확보한다. 스템(36)은 클램핑 핑거들 중 하나로 오프셋되는 클램핑 부재의 피봇축을 형성함으로써, 2개의 아암(42, 44)의 길이는 불균일하다. 보다 짧은 아암은 악기의 테일에 비교적 근접하고, 긴 아암은 상기 테일로부터 비교적 멀리 있다. 상기 클램핑 부재들의 이점은 본체가 가장 넓은 악기 본체의 횡축의 대향 측면들에서 악기에 대한 숄더 레스트의 클램핑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숄더 레스트의 브릿지의 지점이 악기의 턱 레스트에 보다 가깝게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Description

바이올린 숄더 레스트용 클램핑 부재{A CLAMPING MEMBER FOR A VIOLIN SHOULDER REST}
본 발명은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 등의 현악기용 숄더 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대향 클램핑 부재들 사이에 브릿지를 갖는 숄더 레스트의 클램프 시스템의 클램핑 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브릿지는 강성이지만 얼마간의 제한된 가요성을 가질 수도 있다. 각 단부에는 거의 L형인 단부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데, L의 한 아암은 브릿지의 상부면에 확고하게 고정되지만, L의 다른 아암은 클램핑 부재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한다. 2개의 대향된 L형 부재들은 클램핑 부재들을 갖추고 있지만, 또한 숄더 레스트를 확고하지만 착탈 가능하게 바이올린에 부착하도록 대향된 클램핑 부재들의 제한된 벌림을 허용하는 추가의 가요성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숄더 레스트가 악기에 고정될 때, 클램핑 부재들은 악기 본체의 이면 림과 결합된다. 악기에 부착될 때 클램핑 부재들은 단단하지만 서로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바닥벽의 림을 견고하지만 해제 가능하게 파지하여, 브릿지를 악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함으로써, 악기를 연주자의 어깨에 지지할 수 있다. 클램핑 부재들은 악기로부터 숄더 레스트의 예기치않은 변위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체결력을 갖고 악기를 지지해야 한다. 그러한 변위는 브릿지의 상부면에 존재하는 돌기 등에 의해 악기 본체의 바닥 표면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숄더 레스트 브릿지를 바이올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많은 상이한 클램핑 메카니즘이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1954년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2,747,452호(Goldberger)와 2001년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6,278,044호(Ruan)은 바이올린의 테일(tail) 근처에서 핑거에 의해 각 단부에 지지되고, 악기의 각 측면과 접촉하지만 사실상 림과 어떠한 클램핑 결합없이 거의 렛지형으로만 악기를 지지하는 브릿지를 구비하는 부착 메카니즘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브릿지는 또한 이 브릿지의 각 측면에 있는 코일 스프링 섹션에 의해 클램핑 상태로 가압되는 비교적 긴 클램핑 아암을 지지한다. 따라서, 2개의 아암은 악기의 테일 근처에서 한쌍의 제1 클램핑 핑거에 있다고 하더라도 체결력과 관계없이 본체를 클램핑한다.
이들 구조들의 단점은 스프링형 코일 요소들이 번거롭고 복잡한 방식으로 브릿지에 고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브릿지의 휨력이 양 클램핑 핑거의 체결력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한 힘은 사실상 각 아암의 코일 스프링 섹션에서 발생된 힘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상기 Goldberger 특허에서는 악기 조정이 실행될 수 없고 Ruan 디자인에서는 매우 제한되고 번거로운 방식으로만 실행될 수 있다. 테일 단부 근처의 하부 핑거에서가 아니라 악기의 테일로부터 멀리 떨어진 2개의 아암 각각에서 독립적인 체결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악기에 대한 고정 강도가 불충분하다.
종래 기술의 많은 특허들은 자유롭게 피봇 가능하고 강성인 U형 클램프를 이용한 클램프 시스템 타입을 개시하고 있다. 예컨대, Kun Soulder Rest사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6,031,163호(Cullum 등)과, 1964년 12월 21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2,697,374호(Ungh)와, 미국 특허 제3,631,754호(Kun)를 참조할 수 있다(이들 특허는 모두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숄더 레스트의 U형 클램핑 부재들은 일체로 형성된 요소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핑 부재들은 모두 클램핑 핑거들 사이의 중앙에 배치된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이 구조는 악기와 결합하는 각 핑거에 균일한 압력이 가해지게 한다. 이 클램핑 시스템은 많은 용례에서 만족스럽다. 그 이점으로는 구조가 간단하여 브릿지와 악기 본체 사이의 간격 조정을 쉽게 가능하게 하도록 상이한 크기의 바이올린에 손쉽게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브릿지 위치를 악기의 턱 레스트에 가능한 한 가깝게 이동시킴으로써 악기 연주자의 편안함을 더욱 개선시키는 것이 여전히 요망된다. 이것은 기존의 강성 U형 클램핑 부재들 타입에서는 불가능하지 않으면 어려운 일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을 합체한 숄더 레스트의 사시도로서, 클램프 부재들 중 하나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숄더 레스트의 한쌍의 클램핑 부재들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방향에서 취한 클램핑 부재의 부분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 방향에서 취한 클램핑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바이올린의 본체에 부착된 본 발명의 클램핑 부재를 합체한 숄더 레스트의 도식적인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완화시키고 자유롭게 피봇되는 U형 부재들의 사용을 완전히 이용하며 또한 그것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숄더 레스트는 악기 본체의 후방 단부에 비교적 가깝게 부착되는 것이 요구되고, 숄더 레스트가 본체를 미끄러지는 경향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제거되거나 종종 제거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이한 타입에 대한 U형 부재들의 일정한 배열로부터 기존의 숄더 레스트의 저렴한 개조를 가능하게 하여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일상적인 말로, 본 발명은 본체의 일측면에서 본체의 이면 림과 결합하도록 되어 있고 제1 아암과 제2 아암을 구비하는 바이올린 등의 악기 숄더 레스트의 강성 U형 클램프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바람직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아암들은 피봇 섹션에서 상기 아암들의 신장 방향에 거의 수직인 피봇축을 중심으로 한 공통적인 자유로운 피봇 운동을 위해 서로 인접한다. 제1 클램프 핑거는 상기 제1 클램프의 자유 단부에 배치되고, 제2 클램프 핑거는 상기 제2 클램프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다. 클램프 핑거들은 바이올린 등의 본체의 측부와 결합하도록 제공된다. 제1 및 제 클램프 핑거들은 상기 피봇축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한다. 상기 아암들은 불규칙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피봇축은 상기 제1 아암의 클램프 핑거로부터 멀리 있고 제2 아암의 클램프 핑거에 근접한 위치로 오프셋된다. 상기 제1 아암의 길이는 제2 아암의 길이의 적어도 약 2배이다. 제1 클램프 핑거는 관련 바이올린 등의 허리 부분에 근접한 지점에서 바이올린 등의 본체의 측부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고, 제2 클램프 핑거는 관련 악기의 허리 부분으로부터 멀리 있고 테일에 근접한 지점에서 동일한 측부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간략하고 도식적이며 실척이 아닌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숄더 레스트(10)는 바이올린, 비올라 또는 다른 유사한 현악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바이올린을 참조할 때마다. 그러한 용어에 다른 유사한 악기들이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단순함을 위해, 숄더 레스트에 일반적으로 존재하지만 본 발명에 관련되지 않는 특정 부품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숄더 레스트(10)는 상부(14)와, 이 상부(14)의 밑면에 통상 접착식으로 고정되는 소프트 패딩(16)으로 구성되는 긴 브릿지(12)를 포함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는 적절한 강성 재료, 예컨대 유리 섬유가 보강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상부(14)는 강성이지만 브릿지가 약간 탄성적으로 휠 수 있도록 제한된 탄성을 갖는다. 상부(14)는 브릿지(12)의 상부면(18)을 규정하며, 패딩(16)은 사용시 악기 연주자의 어깨 위에 놓이는 하부면(20)을 규정한다.
브릿지에는 제1 단부(22)와 제2 단부(24)가 있다. 일반적으로 거의 L형인 제1 베이스는 상기 제1 단부(22)에 인접한 예정된 지점에서 브릿지의 상부면(18)에 확고하게 고정되는 수평 아암(28)을 갖는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아암(28)의 위치는 브릿지의 신장 방향을 따라 조정될 수 있다. L형의 제1 베이스(26)의 직립부는 수직 나사식 보어(34)가 있는 기부(32)를 지지하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지지부(30)를 형성한다. 상기 보어(34)는 나사식 스템(36)을 수용한다. 스템(36)의 상단부는 강성의 거의 U형 제1 클램프 부재(38)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클램프 부재(38)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보어(34) 내외로 간단히 스템(36)의 나사를 돌림으로써 조정될 수 있는 상부면(18)으로부터의 예정된 간격에 배치된다. 스템(36)과 그 관련 보어는 클램프 부재(38)의 피봇 섹션을 규정하는 피봇축(40)을 중심으로 한 클램프 부재(38)의 자유 피봇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피봇축(40)은 일반적으로 브릿지의 상부면(18)에 대해 거의 수직이다. 당업자들이라면 브릿지와 일체로 몰딩되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지지부를 비롯한 그러한 부재의 많은 기계적 성분들과 많은 다른 실시예들이 종래 기술로부터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L형의 제1 베이스(26)는 오직 모범적인 실시예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거의 U형의 클램프 부재(38)는 거의 동연적인(coextensive) 강성의 제2 아암(44)과 일체로 형성되는 강성의 제1 아암(42)을 구비한다. 제1 아암(42)의 자유 단부에서, 제1 클램핑 핑거(46)가 브릿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유사하게, 제2 아암(44)의 자유 단부에서, 제2 클램핑 핑거(48)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핑거(46, 48)들은 악기의 일측면에서 관련 악기 본체의 바닥의 림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각 핑거들의 오목 리세스(50, 52)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세스들은 브릿지의 대향 제2 단부(24)를 향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1은 제1 아암(42)의 길이가 짧은 아암(44)의 길이의 대략 2배인 것을 보여주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클램핑 핑거(46)는 피봇축(40)으로부터 멀리 있고 제2 클램핑 핑거(48)는 피복축(40)에 근접해 있다.
따라서, 핑거(46, 48)는 상기 U형의 2개의 직립부를 형성하고, 아암(42, 44)은 그 베이스를 형성한다. 브릿지(12)의 대향된 제2 단부에 있는 제2 클램프 부재(38')와 그 관련 베이스는 제1 클램프 부재(38)의 거의 거울상이기 때문에, 상세히 설명될 필요가 없다.
각 클램프 부재의 아암 부분은 아치형으로 만곡되어 있다는 것을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원호는 각 클램프 부재의 아암 부분을 악기의 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유지한다. 따라서, 클램핑 핑거들이 바닥벽의 림과 결합되는 동안에, 클램프 부재의 나머지는 이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악기의 음질을 억제하지 않는다.
이하, 악기의 바닥의 림에 부착되는 전술한 숄더 레스트의 도식적인 도면을 보여주는 도 5를 참조한다. 림 윤곽의 하부 부품의 윤곽 형태는 도식적으로만 지시되어 있다. 도시된 림 부품은 2개의 대향된 한쌍의 허리 부분(54, 54')과, 중앙의 테일 부분(56)과, 각 허리 부분(54, 54')과 테일 부분(56) 사이에 연장되는 본체의 각 측면에 있는 원호(58, 58')를 포함한다. 기준선(60)은 허리 부분(54)에 위치된 점(W)과 테일 부분(56)과 일치하는 점(T) 사이에서 연장된다. 림의 가장 넓은 부분을 가로지르는 횡단선은 문자 A로 지시되어 있다.
점(F1, F1')은 제1 클램프의 제1 및 제2 핑거(46, 48)가 림의 일측면과 결합되는 지점을 지시한다. 점(F2, F2')은 제2 클램프 부재(38')의 제1 및 제2 핑거(46', 48')가 림의 대향 측면과 결합되는 지점이다. 림과 핑거들의 결합점의 형태는 변경될 수 있고, 각 클램프 부재(38, 38')의 핑거가 횡단선의 대향 측면에서 림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클램프 핑거들 사이의 거리(46-48, 46'-48')는 관련된 선(W-T)의 길이의 약 1/2보다 크고 약 2/3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물론, 이 결과로 각 피봇축(40, 40')에서 브릿지(12)와 베이스(26, 26')의 가요성에 의해 발생된 체결력은 각 클램핑 핑거들에 불균일하게 분배된다.
허리 부분(54, 54') 근처의 핑거(46, 46')에서의 체결력은 클램핑 핑거(48, 48')에서의 체결력보다 작다. 그러나, 횡단선(A)의 각 측면에 2개씩 모두 4개의 점에서의 체결력은 충분하다. 이것은 클램핑 아암과 관련된 독립적인 스프링 코일을 갖는 숄더 레스트보다 우수한 특별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상기 안정성은 악기를 연주할 때 브릿지(12)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균일하게 증가된다. 강성의 U형 클램핑 부재를 갖는 기지의 숄더 레스트에 비해, 본 발명은 브릿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이 연주되는 악기의 턱 레스트 아래 또는 그러한 위치에 매우 가깝게 있는 브릿지(12)의 최적의 지점을 보장하여, 연주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첨부 도면들은 클램핑 핑거(46, 48, 46', 48')과, 보호 코팅 섹션(62, 64, 62', 64')에 의해 피복된 그 아암 부분(42, 44, 42', 44')을 보여주고 있다. 보호 코팅 섹션은 클램핑 요소에 의해 악기가 긁히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코팅 섹션은 강성 코어(66, 66')에 고무 호스를 슬립-온(slip-on) 방식으로 적용함으로써 생성된다. 전체 U형 부재에 몰딩된 엘라스토머층을 비롯하여 많은 다른 타입의 보호 코팅이 공지되어 있다.
당업자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많은 숄더 레스트 실시예들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17)

  1. 바이올린 등의 악기의 숄더 레스트에 사용하기 위한 강성의 클램프 부재로서, 관련 악기의 본체 바닥의 림과 클램프식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클램프 부재에 있어서,
    (a)서로 확고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아암으로서, 이들 아암 사이에 배치되고 아암들의 신장 방향에 거의 수직인 피봇축에 의해 형성되는 피봇 섹션에서 공통으로 피봇 운동하기 위해 서로 인접하는 제1 및 제2 아암과,
    (b)관련 악기 바닥의 림의 예정된 측부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 아암의 자유 단부에 있는 제1 클램핑 핑거 및 상기 제2 아암의 자유 단부에 있는 제2 클램핑 핑거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 핑거는 아암들과 클램핑 핑거들이 강성의 거의 U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각 아암으로부터 상기 피봇축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상기 U형 구조에서 상기 아암들은 U의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클램핑 핑거들은 U의 직립부를 형성하고,
    (c)상기 아암들의 길이가 불균일하여, 상기 피봇축은 상기 제1 아암의 클램핑 핑거로부터 비교적 멀리 있고 상기 제2 아암의 클램핑 핑거에 비교적 근접한 지점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클램프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의 길이는 제2 아암의 길이의 적어도 약 2배인 것인 클램프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 핑거는 관련 악기의 허리에 근접한 제1 접촉점에서 관련 악기 바닥의 림과 결합되고, 상기 제2 클램핑 핑거는 관련 악기의 허리로부터 멀리 있는 제2 접촉점에서 림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인 클램프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의 2개의 아암은 이 아암들로부터 클램핑 핑거의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아치형으로 하방을 향해 만곡된 것인 클램프 부재.
  5. 바이올린 등의 악기의 숄더 레스트에 사용하기 위한 강성의 클램프 부재로서,
    (a)아암들 사이에 배치되고 아암들의 신장 방향에 거의 수직인 피봇축에 의해 형성되는 피봇 섹션에서 공통으로 피봇 운동하기 위해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인접하는 제1 및 제2 아암과,
    (b)관련 악기 바닥의 림의 예정된 측부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 아암의 자유 단부에 있는 제1 클램핑 핑거 및 상기 제2 아암의 자유 단부에 있는 제2 클램핑 핑거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 핑거는 아암들과 클램핑 핑거들이 강성의 거의 U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각 아암으로부터 상기 피봇축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상기 U형 구조에서 상기 아암들은 U의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클램핑 핑거들은 "U"의 직립부를 형성하고,
    (c)상기 아암들의 길이가 불균일하여, 상기 피봇축은 상기 제1 아암의 클램핑 핑거로부터 비교적 멀리 있고 상기 제2 아암의 클램핑 핑거에 비교적 근접한 지점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클램프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의 길이는 다른 아암의 길이의 적어도 약 2배인 것인 클램프 부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 핑거는 관련 악기의 허리에 근접한 제1 접촉점에서 악기 바닥의 림과 결합되고, 상기 제2 클램핑 핑거는 상기 허리로부터 멀리 있는 제2 접촉점에서 림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인 클램프 부재.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의 2개의 아암은 이 아암들로부터 클램핑 핑거의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아치형으로 하방을 향해 만곡된 것인 클램프 부재.
  9. 제1 클램프 부재와 제2 클램프 부재로 구성되는, 바이올린 등의 악기의 숄더 레스트에 사용하기 위한 클램프 부재 세트로서, 상기 제1 클램프 부재는,
    (a)아암들의 신장 방향에 거의 수직인 피봇축에 의해 형성되는 피봇 섹션에서 공통으로 피봇 운동하기 위해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인접하는 제1 및 제2 아암과,
    (b)관련 악기 본체의 이면 림의 일측면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 아암의 자유 단부에 있는 제1 클램핑 핑거 및 상기 제2 아암의 자유 단부에 있는 제2 클램핑 핑거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 핑거는 아암들과 클램핑 핑거들이 강성의 거의 U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각 아암으로부터 상기 피봇축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상기 U형 구조에서 상기 아암들은 U의 베이스를 형성하고,
    (c)상기 아암들의 길이가 불균일하여, 상기 피봇축은 상기 제1 아암의 클램핑 핑거로부터 비교적 멀리 있고 상기 제2 아암의 클램핑 핑거에 비교적 근접한 지점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d)상기 제2 클램프 부재는,
    (e)아암들의 신장 방향에 거의 수직인 피봇축에 의해 형성되는 피봇 섹션에서 공통으로 피봇 운동하기 위해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인접하는 제1 및 제2 아암과,
    (f)관련 악기 본체의 이면 림의 대향 측면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 아암의 자유 단부에 있는 제1 클램핑 핑거 및 상기 제2 아암의 자유 단부에 있는 제2 클램핑 핑거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 핑거는 아암들과 클램핑 핑거들이 강성의 거의 U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각 아암으로부터 상기 피봇축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상기 U형 구조에서 상기 아암들은 U의 베이스를 형성하고,
    (g)상기 아암들의 길이가 불균일하여, 상기 피봇축은 상기 제1 아암의 클램핑 핑거로부터 비교적 멀리 있고 상기 제2 아암의 클램핑 핑거에 비교적 근접한 지점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클램프 부재 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각 클램프 부재의 상기 제1 아암의 길이는 제2 아암의 길이의 적어도 약 2배인 것인 클램프 부재 세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 부재의 제2 아암에 대한 제1 아암의 길이의 비는 제2 클램프 부재와 상이한 것인 클램프 부재 세트.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클램프 부재 각각의 제1 클램핑 핑거는 관련 악기의 허리에 근접한 제1 접촉점에서 관련 악기 이면의 림의 각 측부와 결합되고, 상기 2개의 클램프 부재 각각의 제2 클램핑 핑거는 관련 악기의 허리부분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2 접촉점에서 림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인 클램프 부재 세트.
  13. 제9항 내지 제12항에 있어서, 각 클램프 부재의 2개의 아암은 이들 아암으로부터 클램핑 핑거의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아치형으로 하방을 향해 만곡된 것인 클램프 부재 세트.
  14. 제1 단부와 제2 단부, 상부면 및 사용시 관련 악기 연주자의 어깨 위에 놓이도록 되어 있는 하부면을 갖는 긴 브릿지와, 제1 단부가 상기 브릿지에 고정되는 제1 클램프 및 제2 단부가 상기 브릿지에 고정되는 제2 클램프로 구성되는 한쌍의 클램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 부재들은 서로로부터 그리고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예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면과의 사이에서 관련 악기의 이면 림을 클램프식으로 고정하도록 됨으로써 브릿지를 상기 이면의 거의 횡방향으로 악기에 고정하는 타입이고, 바이올린 또는 바이올린형 악기에 사용하기 위한 숄더 레스트로서, 각 클램프 부재는,
    (a)강성의 제1 아암과 일체로 형성된 제2 아암으로서, 이들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아암들 사이에 배치된 피봇부를 중심으로 브릿지에 대해 공통으로 자유롭게 피봇 가능하고 브릿지의 상부면에 거의 수직인 피봇축을 갖는 제1 및 제2 아암과,
    (b)각 악기 본체의 이면 림의 제1 측부 및 대향된 제2 측부와 각각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 아암의 자유 단부에 있는 제1 클램핑 핑거 및 상기 제2 아암의 자유 단부에 있는 제2 클램핑 핑거를 구비하고,
    (c)상기 각 제1 및 제2 클램핑 핑거는 아암들과 클램핑 핑거들이 강성의 거의 U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관련 아암으로부터 브릿지로부터 먼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U형 구조에서 상기 핑거들 U의 직립부를 형성하고, 상기 피봇축은 제1 및 제2 핑거들 사이에 배치되고,
    (d)상기 제1 클램핑 핑거는 피봇축으로부터 멀리 있고 상기 제2 클램핑 핑거는 피봇축에 근접해 있어, 숄더 레스트가 악기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피봇축에 체결력이 발생되어 클램핑 부재를 거의 브릿지의 대향된 제2 단부를 향해 가압하면 상기 제2 클램프 핑거에서의 체결력보다 작은 체결력이 상기 제1 클램프 핑거에 제공되는 숄더 레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클램프 부재는 관련 악기의 목에 비교적 근접한 지점에 이면 림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제2 클램프 부재는 관련 악기의 목부로부터 비교적 멀리 있는 지점에서 상기 이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숄더 레스트..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각 클램프 부재의 핑거들 사이의 거리는 악기 본체의 허리에 인접하게 배치된 이면 림의 원호의 제1 단부와 본체 테일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단부 사이의 거리의 약 1/2보다 크고 약 2/3보다 작은 것인 숄더 레스트.
  17. 제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클램프 부재의 제1 및 제2 아암은 브릿지의 상부면을 향해 아치형으로 만곡된 것인 숄더 레스트.
KR1020057015611A 2003-02-26 2003-12-23 바이올린 숄더 레스트용 클램핑 부재 KR100715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420,005 2003-02-26
CA2420005A CA2420005C (en) 2003-02-26 2003-02-26 A clamping member for use in a violin shoulder r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525A true KR20050112525A (ko) 2005-11-30
KR100715404B1 KR100715404B1 (ko) 2007-05-09

Family

ID=3287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611A KR100715404B1 (ko) 2003-02-26 2003-12-23 바이올린 숄더 레스트용 클램핑 부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385124B2 (ko)
EP (1) EP1599863B1 (ko)
JP (1) JP4231482B2 (ko)
KR (1) KR100715404B1 (ko)
CN (1) CN100545905C (ko)
AT (1) ATE364218T1 (ko)
AU (1) AU2003292937A1 (ko)
CA (1) CA2420005C (ko)
DE (1) DE60314296T2 (ko)
ES (1) ES2288633T3 (ko)
HK (1) HK1083554A1 (ko)
WO (1) WO20040773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21942A (sl) * 2005-04-15 2006-06-30 Avgustin Penic Ramensko naslonjalo za violino in violo
FI20075252A0 (fi) * 2007-04-13 2007-04-13 Nokia Corp Menetelmä, radiojärjestelmä, matkaviestin ja tukiasema
DE102007038004A1 (de) * 2007-08-10 2009-02-26 Gustav Pirazzi & Comp. Kg Adapterstück
DE102010063175A1 (de) 2010-12-15 2012-06-21 Wittner Gmbh & Co.Kg Schulterstützenvorrichtung für ein Musikinstrument
JP2015505065A (ja) 2011-12-14 2015-02-16 ヴィットナ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 カーゲーWittner GmbH & Co. KG 楽器用肩サポート
EP2791934B1 (de) 2011-12-14 2016-02-10 Wittner GmbH & Co. KG Schulterstützenvorrichtung für ein musikinstrument
DE102012001520B4 (de) * 2012-01-27 2017-12-07 Wolfgang Frankenreiter Stütze für ein Streichinstrument
DE102012001521B4 (de) * 2012-01-27 2013-12-24 Wolfgang Frankenreiter Stütze für ein Streichinstrument
CN103390398B (zh) * 2013-07-13 2015-12-02 常汇雯 中阮琴托
US9311903B1 (en) 2014-11-06 2016-04-12 The Kun Shoulder Rest Inc. Adjustable and foldable shoulder rest for violin or viola
CA2869862C (en) 2014-11-06 2018-01-09 The Kun Shoulder Rest Inc. Adjustable and foldable shoulder rest for violin or viola
DE202014009627U1 (de) 2014-12-04 2015-02-04 The Kun Shoulder Rest Inc. Verstellbare und klappbare Schulterstütze für eine Violine oder Viola
CA160746S (en) * 2015-02-02 2016-02-19 Kun Shoulder Rest Inc Shoulder rest for musical instrument
CA160884S (en) * 2015-02-11 2016-02-19 Kun Shoulder Rest Inc Shoulder rest for musical instrument
CA160885S (en) * 2015-02-11 2016-02-19 Kun Shoulder Rest Inc Shoulder rest for musical instrument
CA160882S (en) * 2015-02-11 2016-02-19 Kun Shoulder Rest Inc Shoulder rest for musical instrument
JP7489131B2 (ja) 2020-03-06 2024-05-23 ザ・クン・ショルダー・レス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動パッドを有するヴァイオリンショルダレス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8530A (en) * 1948-05-25 1949-08-09 Joseph E Hall Violin shoulder safety pad
US2747452A (en) * 1952-10-22 1956-05-29 Goldberger Erno Meir Shoulder rest for violins
US2697374A (en) * 1953-04-27 1954-12-21 Ungh Elgard Malvin Violin support
US3631754A (en) * 1969-02-26 1972-01-04 Joseph Kun Violin support
JPS6423456A (en) * 1987-07-20 1989-01-26 Fujitsu General Ltd Disk centering device
CA2198320A1 (en) 1997-02-24 1998-08-24 Michael Kun Clamping member for shoulder rest for violin or like instrument
CA2231856C (en) * 1998-03-11 2002-02-05 The Kun Shoulder Rest Inc. Adjustable shoulder rest for violins or the like
US6278044B1 (en) * 2000-07-12 2001-08-21 Ying Gang Ruan Violin shoulder cradle
CA2419912C (en) * 2003-02-26 2014-02-18 The Kun Shoulder Rest Inc. Violin or the like shoulder rest
US7064258B2 (en) * 2003-09-26 2006-06-20 Mea Rogelio M Shoulder pads for violins and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88633T3 (es) 2008-01-16
DE60314296D1 (de) 2007-07-19
HK1083554A1 (en) 2006-07-07
KR100715404B1 (ko) 2007-05-09
AU2003292937A1 (en) 2004-09-17
DE60314296T2 (de) 2008-01-31
JP4231482B2 (ja) 2009-02-25
CN100545905C (zh) 2009-09-30
US7385124B2 (en) 2008-06-10
EP1599863A1 (en) 2005-11-30
JP2006514331A (ja) 2006-04-27
US20060174743A1 (en) 2006-08-10
ATE364218T1 (de) 2007-06-15
EP1599863B1 (en) 2007-06-06
WO2004077398A1 (en) 2004-09-10
CA2420005A1 (en) 2004-08-26
CN1764939A (zh) 2006-04-26
CA2420005C (en)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404B1 (ko) 바이올린 숄더 레스트용 클램핑 부재
US4535670A (en) String bender attachment construction
US5623110A (en) Quick-setting, variable, chord-forming, partial capo
US7531727B2 (en) Chin rest for musical instrument
US4104947A (en) Capo
US6875910B2 (en) Guitar bridge for improved sound transfer
US7638697B2 (en) Apparatus for coupling strings to the body of a stringed instrument and related methods
US4333378A (en) Device for supporting a musical instrument
US20200043449A1 (en) Bow for stringed instruments
WO1991005329A1 (en) Violin or the like shoulder rest
JPH04503577A (ja) ヴァイオリン等の肩掛け支持具
US5284077A (en) Dobro capo
JP2011514554A (ja) 弦楽器用肩当て
US4610190A (en) Pitch raising system for guitars
US4915009A (en) Stringed electric musical instrument with independently suspended set-up module
AU2007315930B2 (en) Chin-rest for a violin
US4753147A (en) Guitar mute
US5016514A (en) Capo for stringed instruments
JP2001067065A (ja) 楽器用あご当て
JPS61179492A (ja) バイオリン若しくはビオラ用の支持装置
US2483052A (en) Shoulder rest for musical instruments
US6600096B2 (en) Guard to protect tuning adjustments on a string musical instrument
KR102517578B1 (ko) 관악기용 사운드 디플렉터
US5408912A (en)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20020174761A1 (en) String holder for a musical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3